[go: up one dir, main page]

KR0127764B1 -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64B1
KR0127764B1 KR1019940032213A KR19940032213A KR0127764B1 KR 0127764 B1 KR0127764 B1 KR 0127764B1 KR 1019940032213 A KR1019940032213 A KR 1019940032213A KR 19940032213 A KR19940032213 A KR 19940032213A KR 0127764 B1 KR0127764 B1 KR 012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function
output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373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764B1/ko
Priority to US08/565,126 priority patent/US5936750A/en
Publication of KR96002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부착된 기능키를 이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정모드로 절환한 후 디스플레이된 데이타를 보거나 전자관에 나타나는 문자정보를 보면서 소정 수준에 따라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할 수 있어서 별도의 조정용 지그가 필요치 않아 경제성이 있으며, 조정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용이하게 조작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본체마이컴이 수행하는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그2 : 마이컴
3, 13 : 디스플레이부4 : 키매트릭스
5, 15 : 본체마이컴6, 16: 메모리부
7, 17 : D/A 변환부8, 18 : DSP부
9, 19 : 기능키입력부10, 20 : 리모콘신호수신부
11, 21 : 리모콘12 : OSD부
본 발명은 캠코더의 부착된 조작버튼이나 원격제어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캠코더를 구동하는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할 수 있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일반 가정에 영상기기의 보급이 늘어남과 더불어 캠코더의 사용이 빈점해지는 추세이며 특히 캠코더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 경량화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제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부품이 증가하고 신호처리의 복잡도가 커짐으로 인해 캠코더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생산공정에서는 각 기능블록의 동작 특성 및 전반적인 기기특성을 검사하고 있으며, 사용도중에 캠코더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써비스센터에서 고장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캠코더의 점검공정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딸린 조정용 지그(JIG)를 이용하여 각 기능블록의 조정범위를 세부조정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특성조정장치는 조정용 지그(1)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그(1)는 다수개의 키를 갖춘 키매트릭스(4)와 조정자가 점검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현시하는 디스플레이부(3) 및 조정과정을 제어하는 마이컴(2)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서 본체마이컴(5)은 캠코더에 내장되며 상기 마이컴(2)과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또, 종래의 특성조정장치는 캠코더의 겉면에 부착된 조작버튼들과 각각 회로연결되어 일정버튼을 선택하면 그에 따라 해당 키신호를 본체마이컴(5)으로 출력하는 키매트릭스(9)와 본체마이컴(5)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블록으로 이득값을 출력하는 D/A 변환부(7)와 각 기능블록에 설정된 이득값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6)와 디지탈신호형태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신호처리전용의 DSP부(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특성조정장치는 지그(1)에 내장된 마이컴(2)과 본체 마이컴(5) 상호간에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므로써 제품설계시 설정되었던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기준으로 조정하는데 그 조정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키매트릭스(4)에서 모드설정키를 선택하여 마이컴(2)으로 키신호를 출력한다. 그에 따라 마이컴(2)은 조정모드임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디스플레이부(3)는 약정된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여 조정자가 조정모드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세븐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숫자나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단 조정모드로 절환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데이타를 보면서 소정 수순에 따라 키매트릭스(4)를 조작하여 각 기능블록에 적정한 이득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키매트릭스(4)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은 마이컴(2)은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본체마이컴(5)으로 출력하게 되면 본체마이컴(5)은 다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메모리부(6)의 지정된 어드레스에 조정된 이득값을 저장한다. 이후 조정모드가 아닌 정상모드에서 캠코더를 작동시킬 경우에 마이컴(2)은 메모리부(6)에 저장된 이득값을 독출한 후 D/A 변환부(7)와 DSP부(8)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D/A 변환부(7)는 아날로그형태(전압값)로 변환하여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한다. 또, DSP부(8)는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 데이타를 가변하여 적정한 이득값을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의 특성조정장치는 제품제조공정에서 기기특성조정에 장시간이 소형되며 제품별 또는 모델별로 별도의 조정용 지그를 갖추어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장수리 또는 부품교체시에 기기특성조정을 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도 조정용 지그없이는 기기특성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조정용 지그를 분실했을 경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정용 지그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에 부착된 기능키나 원격제어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부착된 기능키중에서 약정된 지정키를 이용하여 조정모드로 절환한 후 디스플레이된 숫자나 문자정보를 확인하면서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캠코더의 특성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기능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기능키입력부와 리모콘을 구비하고 입력받는 키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동작모드가 조정모드로 절환된 경우에는 각 기능블록의 특성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입력부에서 출력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키신호의 종류와 입력지속시간에 따라 동작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본체마이컴과, 상기 본체마이컴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 구성소자가 갖는 규정치범위내에서 이득값을 조정하는 D/A 변환기와, 소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해당어드레스에 저장된 데이타를 가변하여 적정한 이득값을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하는 DSP부와, 소정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정보를 현시하기 의해서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문자코드를 출력하는 OSD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마이컴의 동작모드를 조정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지정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해당 지정키의 입력에 의해 조정모드로 절환된 경우 조정변수를 1로 설정하는 단계와, 조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와 OSD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키조작에 따라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지정키를 입력하여 조정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조정장치는 기능키입력부(19)와 리모콘(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능키입력부(19)는 본체시스템의 전원공급등의 기본작동작을 선택하는 기본기능키와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억모드기능키로 구성되며 이러한 키구성은 리코콘(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기능키입력부(19)나 리코콘(21)을 사용하여 캠코더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체마이컴(15)을 조정모드로 절환시에는 일반적인 키조작과는 다른 키조작을 통해 동작모드를 절환한다. 즉, 개별적인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중에서 약정된 두 종류이상 키를 동시에 선택하거나 키선택의 순서를 정하므로써 본체마이컴(15)이 이를 입력받아 조정모드로 판별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A키와 B키를 동시선택한 경우 또는 C키와 D키를 동시에 선택한 경우의 2가지로 한정하였으며 이는 사용자가 3개이상의 키를 동시선택하기 불편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약정된 두개의 키신호(A키와 B키 또는 C키와 D키)를 입력받은 본체마이컴(15)은 조정모드임을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조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한다. 여기서, 리모콘(21)을 사용하여 동작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리모콘(21)에서 출력하는 키신호를 리모콘신호수신부(22)가 입력받아 기능키입력부(19)로 출력하면 기능키입력부(19)의 키를 선택한 경우와 동일하게 키신호를 본체마이컴(15)으로 출력하고 이에따라 조정모드로 절환할 수 있다. 또, 본체마이컴(15)은 출력단에 접속된 OSD부(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OSD부(10)는 문자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면 가산기(도시하지 않음)가 비데오신호와 문자코드를 혼합하여 뷰파인더로 출력하여 조정자가 캠코더의 뷰파인더(전자판)을 통해 조정모드에 대한 문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조정모드로 절환된 후에는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종래의 조정절차의 중복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즉, 종래에는 본체시스템과 분리된 지그의 키매트릭스를 조작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능키입력부(19) 또는 리모콘(21)의 기능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예로 기본기능키중에서 A키를 선택하고 동시에 기억모드기능키중에서 B키를 선택하면 본체마이컴(15)이 조정모드임을 인식하도록 하거나 기억모드기능키중에서 A키와 B키를 동시선택하였을때 본체마이컴(15)이 조정모드임을 인식하도록 프로그램한다. 이는 정상모드에서 A키를 선택했을 때는 해당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조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지정키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B키로 동작모드에 따라 두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세부조정시에는 조정자는 디스플레이된 데이타를 보거나 전자판에 나타나는 문자정보를 보면서 소정 수순에 따라 키입력부(19)의 기능키(또는 리모콘키)를 조작하여 각 기능블록에 적정한 이득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이득값을 메모리부(16)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16)는 전원오프시에도 저장데이타가 지워지지않는 비활성메모리소자를 사용한다. 정상모드에서 본체마이컴(15)은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이득값을 독출하고 이에 따라 D/A 변환부(17)와 DSP부(18)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D/A 변환부(17)는 아날로그형태(전압값)로 변환하여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하며, DSP부(18)는 디지탈형태의 데이타를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하므로써 조정된 이득값에 따라 각 기능블록은 동작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본체마이컴이 수행하는 동작흐름도이다. 제3도에 따라 본 발명의 특정조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체마이컴(15)은 기능키입력부(19)나 리모콘(21)의 키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키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별한다(제100단계) 판별결과 키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No)에는 그대로 종료하며, 키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Yes)에는 2종류의 키신호가 동시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제110단계) 판별결과 단일 키신호이거나 3종류이상이 키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No)에는 정상모드로 작동하며(제120단계), 2종류의 키신호가 동시 입력된 경우(Yes)에는 조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지정키인가를 판별한다(제130단계) 판별결과 2개의 키신호가 지정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No)에는 그대로 종료하며, 2개의 키신호가 지정키인 경우(Yes)에는 조정변수를 1로 설정한다(제140단계). 이어서, 조정자가 조정모드로 절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마이컴(15)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디스플레이부(13)부와 OSD부(10)는 약정된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한다(제150단계). 이어서, 각 기능블록에 적정한 이득값을 조정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별한다(제160단계). 판별결과 키입력이 없는 경우(No)에는 그대로 종료하며, 키입력이 있는 경우(Yes)에는 그에 따른 이득값을 메모리부(16)의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한다(제170단계). 이어서, 조정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2종류의 지정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제180단계). 판별결과 해당 지정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에는 제150단계로 피드백시켜 조정과정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며, 해당 지정키가 입력된 경우(Yes)에는 조정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므로 조정변수를 0으로 설정한(제190단계) 다음 조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지정키를 동시입력하므로써 조정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였으나 동시입력이 아니라도 지정키의 입력순서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빈도가 적은 특정키를 두세번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조정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본체에 부착된 기능키를 이용하거나 필요한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정모드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정용 지그가 필요치 않아 경제성이 있으며, 조정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용이하게 조작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6)

  1. 소정 기능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기능키입력부와 리모콘을 구비하고 입력받는 키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동작모드가 조정모드로 절환된 경우에는 각 기능블록의 특정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캠코더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입력부에 출력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키신호의 종류와 입력지속 시간에 따라 동작모드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본체마이컴과; 상기 본체마이컴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 구성소자가 갖는 규정치범위내에서 이득값을 조정한느 D/A 변환기와; 소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된 데이타를 가변하여 적정한 이득값을 해당 기능블록으로 출력하는 DSP부와; 소정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문자코드를 출력하는 OS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비활성메모리를 사용하여 소정 데이타를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으며 전원오프시에도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동작모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 데이타를 현시하기 위해 세븐세그먼트 또는 액정판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4. 기능블록의 특성을 조정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방법에 있어서, 키신호를 입력받아 동작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조정모드일 경우 조정변수를 1로 설정하는 단계와; 조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프레이부와 OSD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키조작에 따라 각 기능블록의 이득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지정키를 입력하여 조정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판별단계는 키신호의 종류, 입력순서, 입력지속시간을 판별하여 조정모드 또는 정상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판별단계는 약정된 2종류의 키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조정코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KR1019940032213A 1994-11-30 1994-11-30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KR012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213A KR0127764B1 (ko) 1994-11-30 1994-11-30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US08/565,126 US5936750A (en) 1994-11-30 1995-11-30 Camcorder having a characteristic adjustm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213A KR0127764B1 (ko) 1994-11-30 1994-11-30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73A KR960020373A (ko) 1996-06-17
KR0127764B1 true KR0127764B1 (ko) 1997-12-29

Family

ID=1939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213A KR0127764B1 (ko) 1994-11-30 1994-11-30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36750A (ko)
KR (1) KR012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047A1 (en) * 2000-12-07 2002-06-13 Graham Strong Sight enhancement device
KR100452862B1 (ko) * 2002-09-05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정모드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기기
US9138143B2 (en) 2010-08-17 2015-09-22 Fujitsu Limited Annotating medical data represented by characteristic functions
US8874607B2 (en) * 2010-08-17 2014-10-28 Fujitsu Limited Representing sensor data as binary decision diagrams
US9002781B2 (en) 2010-08-17 2015-04-07 Fujitsu Limited Annotating environmental data represented by characteristic functions
US8930394B2 (en) * 2010-08-17 2015-01-06 Fujitsu Limited Querying sensor data stored as binary decision diagrams
US9176819B2 (en) 2011-09-23 2015-11-03 Fujitsu Limited Detecting sensor malfunctions using compression analysis of binary decision diagrams
US9075908B2 (en) 2011-09-23 2015-07-07 Fujitsu Limited Partitioning medical binary decision diagrams for size optim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2618A (en) * 1977-05-30 1981-11-11 Rca Corp Automatic setup system for television camera
US4564856A (en) * 1981-04-09 1986-01-14 Harris Corporation Apparatus providing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of setup adjustments for TV cameras
JPS58215884A (ja) * 1982-06-10 1983-12-15 Sony Corp 電子カメラ
JPS59196679A (ja) * 1983-04-22 1984-11-08 Toshiba Corp 複数のカラ−テレビジヨンカメラ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方式
US4654706A (en) * 1985-06-03 1987-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utomatic front of screen adjustment, testing system and method
US5134431A (en) * 1986-10-14 1992-07-2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hotographic camera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adjustment data and a means for adjusting functions of the camera based on the stored adjustment data
JPS63193773A (ja) * 1987-02-06 1988-08-11 Hitachi Ltd 再生機能を具備したvtr一体形カメラ
JP2973420B2 (ja) * 1988-03-30 1999-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H01289948A (ja) * 1988-05-17 1989-11-21 Minolta Camera Co Ltd フィルム容器
US5065232A (en) * 1988-09-22 1991-11-1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still camera system
KR920005598A (ko) * 1990-08-29 1992-03-28 오가 노리오 디지탈 전자스틸카메라
WO1992005657A1 (en) * 1990-09-19 1992-04-02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Digitized picture play back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back digitized pictures
KR930002042Y1 (ko) * 1990-10-11 1993-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스틸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US5293241A (en) * 1991-04-02 1994-03-08 Gold Star Co., Ltd.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of a camcorder iris diaphragm
JP3829333B2 (ja) * 1993-07-16 2006-10-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パラメータ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373A (ko) 1996-06-17
US5936750A (en) 199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764B1 (ko)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US5621484A (en) User-programmable control device for a television apparatus
US5680115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EP1061656A3 (en) Audio apparatus, controller, audio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dio apparatus
JPH11261907A (ja) Av機器
JPH103044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4267696A (ja) リモコンプリセット方法及びプリセットリモコンユニット
JPH0483474A (ja) テレビ受像機
JPH06334933A (ja)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機能付映像・音響機器
KR200181757Y1 (ko) 버튼기능을임의로설정할수있는카메라
US5929768A (en) Multi-remote controller circuit having automatic setting functions
KR100508596B1 (ko) 접속된 영상 기기의 전원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1456A (ko) 채널번호 자동 메모리장치
KR0154013B1 (ko) 비디오신호의 뮤트회로
JP4854186B2 (ja) 携帯型記録媒体再生機器
JP2000099230A (ja) 電子機器制御装置
KR100199098B1 (ko) 키 공용 파워온 방법
KR100213042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의한 리모콘 키 선택 방법
KR890001905B1 (ko) 제어장치
KR960005982B1 (ko) 전자기기의 전원 온/오프장치
KR100268371B1 (ko) 부화면모드자동설정장치
JP3409332B2 (ja) 表示装置
JPH032958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58520B1 (ko) 브이시알에서의 리모콘 대용 세트키 제어방법
KR100197370B1 (ko) 영상 기기의 배경색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5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