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7262B1 -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262B1
KR0127262B1 KR1019940003181A KR19940003181A KR0127262B1 KR 0127262 B1 KR0127262 B1 KR 0127262B1 KR 1019940003181 A KR1019940003181 A KR 1019940003181A KR 19940003181 A KR19940003181 A KR 19940003181A KR 0127262 B1 KR0127262 B1 KR 012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ray
disc
chassis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482A (ko
Inventor
아끼모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구쯔자와 겐따로우
알파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쯔자와 겐따로우, 알파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구쯔자와 겐따로우
Publication of KR94002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되는 등으로 하여 디스크 구동부로 이동하는 트레이가 설치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상으로부터 디스크가 위치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트레이로부터 매거진이 벗어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종래와 같은 소롤러는 불필요하여 디스크에 손상을 주는 일은 없다. 트레이가 이동하고 있을 때 디스크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나라, 턴테이블과 클램퍼로의 클램프 해제 직후의 휘청거리고 있는 디스크를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부로 확실하게 리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디스크 체인저의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디스크 체인저의 디스크선택 구동부를 나타낸 핑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의 단면도,
제4도는 디스크 체인저의 평면도,
제5도는 디스크가 클램프된 상태의 디스크선택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6도는 디스크 선택전의 디스크선택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7도는 트레이 이동도중의 디스크선택 구동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8도는 아암부재를 나타낸 제4도와 제10도의 Z단면도,
제9도는 아암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제4도와 제10도의 Z단면도,
제10도는 트레이의 스토퍼와 디스크 규제부재를 나타낸 디스크선택 구동부의 평면도,
제11도는 디스크 규제부재를 나타낸 제4도와 제10도의 Z단면 부분도,
제12도는 디스크 규제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제4도와 제10도의 Z단면 부분도,
제13도는 제10도의 XIII-XIII선의 확대단면도,
제14도는 매거진을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사시도,
제15도는 매거진을 비스듬하게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제16도는 매거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의 구조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디스크 설치부, B : 디스크선택 구동부,
D : 디스크, M : 매거진,
T : 트레이, Tx : 선택된 트레이,
10 : 박스체, 11 : 클램프샤시,
12 : 구동부샤시, 13 : 턴테이블,
14 : 스핀들모터, 15 : 클램퍼,
16 : 판스프링, 16b : 돌출부,
16d : 하면, 21,22 : 구동링크,
31 : 대경기어, 31a : 캠홀,
32 : 피니온기어, 33 : 제어핀,
35 : 인출아암, 35a : 캠홀,
37 : 인출훅, 50 : 제어판,
50a : 압압부, 50b : 구동편,
51 : 스토퍼, 51a : 규제면,
55a : 디스크 규제부재, 55a : 측면,
61 : 아암부재, 61c : 규제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스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되는 등에 의하여 디스크 구동부로 이동하는 트레이가 설치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상으로부터의 디스크의 위치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디스크 등의 디스크를 디스크 구동부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디스크가 탑재된 트레이를 디스크 구동부의 턴테이블과 클램퍼와의 사이로 이송시키는 것이 있다.
이 트레이를 사용하는 디스크장치의 일예로서 제17도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가 있다.
이 디스크 체인저는 디스크 구동부의 샤시(1)에 스핀들모터(2)가 설치되고, 이 모터(2)에 의하여 턴테이블(3)이 회전 구동된다. 또 샤시(1)의 상방에는 클램프샤시(4)가 설치되고, 이 클램프샤시(4)에 클램퍼(5)가 탑재되어 있다. 매거진(M)내에는 복수매의 트레이(T)가 수납되고, 이 트레이(T)상면의 수납오목부(T1)내에 디스크(D)가 탑재되어 있다.
어느 트레이(T)가 선택되어 도면의 오른쪽방향으로 인출되어 턴테이블(3)과 클램퍼(5) 사이로 이동하면, 샤시(1)가 상승하여 턴테이블(3)과 클램퍼(5)에 의해 디스크(D)가 협지되고, 디스크(D)는 수납오목부(T1)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회전 구동되어, 도시 생략한 광픽업에 의하여 재생동작등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트레이(T)를 사용한 디스크장치에서는 트레이(T)가 턴테이블(3)과 클램퍼(5) 사이를 향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 매거진(M)내로 리턴하는 도중에 디스크(D)가 트레이(T)의 수납오목부(T1)로부터 위치어긋남을 일으켜 트레이(T)의 상면(T2)으로 디스크가 올라앉아 버리는 일이 있다. 또, 턴테이블(3)과 클램퍼(5)에 의한 디스크(D)의 클램프가 해제되어 디스크(D)가 트레이(T)의 수납오목부(T1)로 리턴될 때도 디스크(D)가 휘청거려 수납오목부(T1)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하강하기 쉽게 된다.
특히 차량 탑재용의 디스크 체인저 등의 경우에는 차체의 진동이 항상 체인저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D)가 수납오목부(Tl)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 디스크(D)가 수납오목부(T1)로부터 벗어나면, 트레이(T)를 이동시키거나, 또 매거진(M)내로 리턴할 수 없어져 디스크장지의 고장원인이 된다.
그래서, 종래는 예를 들면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4)의 하면에 판스프링(6)으로 지지된 소롤러(7)를 설치하고, 트레이(T)가 이동하고 있을 때 수납오목부(T1)내의 디스크(D)를 소롤러로 누르도록 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트레이(T)가 디스크 구동부로 이동하고, 디스크(D)가 턴테이블(3)과 클램퍼(5)에 협지된 단계에서 소롤러(7)를 도면상방으로 풀어주어 디스크(D)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소롤러(7)를 도면 상방으로 풀어주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면, 디스크장치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또, 트레이(T)가 이동할 때 소롤러(7)가 디스크(D)의 표면에서 구름운동을 하기 때문에, 디스크(D)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기 쉬운 결점도 있다. 따라서, 소롤러(7)의 재질로서는 극히 연질의 것을 사용하고, 또 롤러표면을 평활하게 되도록 연마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고가인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소롤러를 설치하는 일 없이 트레이상의 디스크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턴테이블과 이것에 대향하는 클램퍼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클램퍼와의 사이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디스크가 탑재된 트레이를 설치하고 있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트레이가 디스크 구동부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클램퍼를 턴테이블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접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트레이가 디스크 구동부에 삽입된 시점에서 클램퍼를 턴테이블로 디스크를 형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다시 이동시키는 클램퍼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턴테이블이 설치된 샤시와 클램퍼가 설치된 클램프샤시와, 상기 턴테이블과 클램프와의 사이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디스크가 탑재된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와 클램프샤시와의 사이에 아압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트레이가 디스크 구동부로 이동하고 있을 때, 또한 샤시와 클램프샤시가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아암부재가 상기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접근하는 위치에 있고, 샤시와 클램프샤시와의 거리가 짧아져 턴테이블과 클램퍼로 디스크가 협지된 시점에서 상기 아암부재가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턴테이블과 이것에 대향하는 클램퍼를 가지는 디스크 구동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클램퍼와의 사이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디스크가 탑재된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디스크가 턴테이블과 클램퍼로 협지되어 있을 때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부의 측방에 위치하고, 또한 턴테이블과 클램퍼에 의한 디스크의 협지가 해제된 후에 상기 디스크 탑재부의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디스크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수단은 클램퍼의 턴테이블 방향으로의 이동을 이용하여 턴테이블로부터의 디스크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턴테이블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클램퍼를 턴테이블상의 디스크에 접근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턴테이블상에 위치하는 디스크를 클램퍼에 의하여 규제하여 트레이로부터 디스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트레이가 디스크 구동부로 완전하게 이동한 후는 클램퍼를 다시 이동시켜 턴테이블과 클램퍼에 의하여 디스크를 협지한다.
상기 제2의 수단은 샤시와 클램프샤시 사이에 예를 들면 와이어 등의 아암부재를 설치하고, 샤시와 클램프샤시와의 상대적인 동작에 의하여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규제하는 것이다. 즉, 트레이가 이동하고 있을 때는 샤시와 클램프샤시가 떨어져 있어 이 대향거리의 확대에 의하여 양 샤시간에 설치된 아암부재가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접근하여 디스크의 탈락방지가 이루어진다. 또 디스크가 클램프되었을 때에는 샤시와 클램프샤시가 접근하기 때문에 양 샤시간에 설치된 상기 아암부재는 디스크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제3의 수단은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부의 측방에 대향하는 디스크 규제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이 디스크 규제부재에 의하여 트레이상의 공간에 있어서, 디스크가 가로방향으로 엇갈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면이 형성된다. 또, 디스크의 클램프가 해제되었을 때 이 디스크 규제부재를 디스크 탑재부의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이동시키고, 클램프해제 직후에 휘청거림이 생기기 쉬운 상태의 디스크를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부로 확실하게 리턴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의 일예로서 차량탑재용 디스크 체인저의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와 제10도는 디스크 체인저의 디스크선택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의 단면도, 제4도는 상기 디스크 체인저의 거의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디스크 구동부에 디스크가 클램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제6도와 제7도는 제5도의 동작설명도, 제8도와 제9도는 제4도와 제10도의 Z단면도, 제11도와 제12도는 Z단면의 부분도, 제13도는 제10도의 XIII-XIII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0은 박스체이다. 이 박스체(10)는 상자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디스크설치부(A)와 디스크선택 구동부(B)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설치부(A)에는 매거진(M)이 제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충전된다. 제14도와 제15도에 있어서, 후기하는 바와 같이 이 매거진(M)은 트레이 방식으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도면 경사 오른쪽이 디스크의 인출구(Ma)가 된다.
또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디스크설치부(A)에 충전된 매거진(M)내의 복수의 트레이(T)중 선택된 트레이(Tx)가 도중까지 인출되고, 디스크선택 구동부(B)에 있어서 클램프된 디스크(D)는 그 일부가 매거진(M)내에 남은 상태에서 회전구동된다.
디스크선택 구동부(B)에는 클램프샤시(11)와 그 하방에 위치하는 구동부셔터(12)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선택 구동부(B)의 도면 오른쪽단 위치에는 박스체(10)의 저부로부터 상승하는 2개의 가이드축(17,17)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는 각각 이 가이드축(17,17)에 승강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는 도시생략한 로크기구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양 샤시(11과 12)가 서로 로그되었을 때 제6도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샤시(11과 12)는 넓은 간격(h1)을 유지하고 있다.
박스체(10)의 양측판의 내측에는 제5도에 나타낸 X상으로 짜여진 구동링크(21과 22)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구동링크(21과 22)의 상단은 연결핀(2la와 22a)에 의하여 구동부샤시(12)의 측부에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체(10)의 저부하면에 설치된 모터(23)의 동력이 감속기어군(24)을 거쳐 래크(25)에 전달되면, 구동판(26)이 왕복이동한다. 또한 이 구동판(26)의 동력은 연결링크판(27)을 거쳐 다른쪽의 측면에 설치된 구동판(28)에 전달된다. 양 구동판(26과 28)의 왕복 동작에 의하여 상기 X상의 구동링크(21과 22)의 X자의 개방각도가 변화하고, 이것에 의하여 구동부샤시(12) 및 이것에 대하여 h1의 간격으로 로크되어 있는 클램프샤시(11)가 일제히 승강 구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매거진(M)내의 복수의 트레이(T)중 선택해야만 하는 것의 전방으로 양 샤시(11과 12)가 대향하기에 이른다.
박스체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10a,10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택 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클램프샤시(11)만이 어느 위치결정홈(10a)에 위치결정되어 로크된다.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양측판의 내측에는 ㄷ자 형상의 트레이가이드(19,19)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가 상기 h1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있을 때, 후기하는 기구에 의하여 매거진(M)내로부터 선택된 트레이(Tx)가 인출되나 이 트레이(Tx)의 양단부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9,l9)에 유도되어 양 샤시(11과 12)사이로 이동한다.
선택된 트레이(Tx)가 양 샤시(11과 12) 사이로 완전하게 이동하면,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가 상기 구동링크(21과 22)에 의하여 더욱 상승되어 제5도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가 좁은 간격(h2)이 된다 이 간격일 때, 디스크가 양 샤시(11과 12) 사이에서 클램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도 및 제5도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샤시(12)에는 턴테이블(13)과 이 턴테이블(13)을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모터(14) 또는 턴테이블(13)로 구동되는 디스크(D)의 기록정보를 재생하는 광픽업(도시생략)이 탑재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에는 클램퍼(15)가 탑재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퍼(15)는 그 축부(15b)가 클램프샤시(11)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뻗어 있고, 이 축부(15b)상단의 플랜지부(15c)의 상면에 피봇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의 상면에는 판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판스프링(16)은 2개소에 설치된 지지핀(18,18)에 의하여 클램프샤시(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램퍼(15)의 플랜지부(15c)는 판스프링(16)의 선부로 탈락 방지되어 유지되고 있다. 또 판스프링(l6)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ㄴ자형으로 구부러진 지지편(16a)이 설치되고, 상기 피봇부(15a)가 이 지지편(16a)의 하면에 당접하여 클램퍼(15)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판스프링(16)은 제2도에 나타낸 1쌍의 상기 지지핀(18과 18)을 연결하는 가상 지지선(E)을 지점으로 하여 굴곡변형하는 것으로서, 이 판스프링(16)의 굴곡 탄성력에 의하여 클램퍼(15)가 턴테이블(13)의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6)에는 클램프샤시(11)방향으로 돌출변형된 돌출부(161))가 형성되고, 다른 위치에는 클램프샤시(11)측에서 보아 함몰 변형된 오목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상면에는 대경기어(31)가 축(30)에 의하여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의 상면에는 피니온기어(32)가 설치되고 이 피니온기어(32)가 상기 대경기어(31)와 항상 맞물려 있다. 구동부샤시(12)의 하면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클램프샤시(11)와구동부샤시(12)와의 간격의 변화(h1과 h2)를 추종할 수 있는 가변길이의 동력전달축에 의하여 상기 모터익 동력이 피니온기어(32)에 전달되고, 이 피니온기어(32)에 의하여 대경기어(31)가 구동된다.
이 대경기어(31)는 그 회전에 의하여 3종의 제어기능을 발휘한다. 제1의 제어기능은 클램퍼(15)이 높이제어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6)의 돌출부(16b) 및 오목부(16c)는 대경기어(31)의 축(30)을 중심으로 한 반경(r)의 원호궤적상에 위치하고 있다. 트레이(T)가 매거진(M)내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경기어(31)의 회전위상은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상태이고, 이때 대경기어(31)의 상면에 고정된 재어핀(33)이 상기 판스프링(16)의 돌출부(16b)에 닿아 있고, 판스프링(16)이 들어올려져 있다. 이 때의 클램퍼(15)의 높이위치를 (가)로 나타낸다(제3도와 제6도 참조).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어핀(33)이 판스프링(l6)의 돌출부(16b)로부터 벗어나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하면(16d)에 닿아 섭동한다. 이 때 판스프링(16)은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램프샤시(11)에 접근하고, 클램퍼(l5)는 (나)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하강한다(제3도와 제7도 참조). 이 때,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도중의 트레이(T)에 클램퍼(15)가 접근하여 디스크(d)의 상면에 대하여 미소간극으로 대향하게 된다. 클램퍼(15)가 디스크(d)에 미소간격으로 대향함으로써 이동중의 트레이(t)의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디스크(D)가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대경기어(31)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오목부(l6c)내에 들어가면, 판스프링(l6)은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클램프샤시(11)에 접근한다. 이 때, 클램퍼(15)는 다시 하강하여 (다)로 나타낸 높이 위치가 된다. 이 때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샤시(12)가 상승하여 양샤시(11과 12)의 간격은 h2가 되어 있고, 이 시점에서 클램퍼(15)와 턴테이블(13)로 디스크(D)가 협지된다. 대경기어(31)의 제2의 제어기능은 매거진(M)내로부터의 트레이(T)의 출입 기능이다.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 상면에는 인출아암(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아암(5)은 축(36)에 의하여 클램프샤시(11)상에서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이 인출아암(35)의 중복부에는 캠홈(35a)이 형성되어 있고, 대경기어(31)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제어핀(33)이 이 캠홈(35a)내에 섭동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에는 직선상의 섭동홈(11a)이 형성되고, 이 섭동홈(11a)에 인출훅(37)이 섭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제4도에만 도시) 이 인출훅(37)의 상면에는 핀(37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출아암(35)의 선단에는 긴 구멍(35b)이 형성되고, 상기 핀(37a)은 이 긴 구멍(35b)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제어핀(33)의 회동궤적에 따라 인출아암(3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인출훅(37)이 상기 섭동홈(1la)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대경기어(31)의 회동에 의하여 인출훅(37)이 제4도의 위치에서 도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사이, 매거진(M)내의 선택된 트레이(Tx)가 디스크선택 구동부(B)에 있어서의 디스크 클램프위치로 보내진다.
대경기어(31)의 제3의 제어기능은 트레이의 스토퍼(51) 및 디스크 규제부재(55)의 구동제어이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기어(31)에는 캠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샤시(11)에는 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구동링크(41)가 설치되고, 이 구동링크(41)의 선단에 설치된 섭동핀(43)이 상기 캠홈(31a)내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링크(41)에는 핀(44)을 거쳐 연결판(45)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45)은 클램프샤시(11)의 도면 오른쪽단면으로 제4도에 나타낸 (라),(마)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 연결판(45)의 도시상단은 핀(46)에 의하여 연결링크(47)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링크(47)는 클램프샤시(11)상에서 핀(48)에 의하여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연결링크(47)는 핀(49)에 의하여 제어판(5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판(50)은 클램프샤시(11)의 도면상방의 측면에서 (바),(사)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제4도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하면에는 스토퍼(51)가 핀(5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제16도에 과장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토퍼(51)는 스프링(53)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스토퍼(51)에는 규제면(51a)과 피압압면(51b)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가 인출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51)는 상기 스프링(53)의 가세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있고, 규제면(51a)이 트레이(T)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제4도의 상태에서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인출훅(37)에 의하여 매거진(M)내로부터 선택된 트레이(Tx)가 인출되는데, 이 대경기어(31)이 회전시, 섭동핀(43)은 최초로 캠홈(31a)의 동일 반경부(a)를 섭동하기 때문에 섭동링크(41)는 구동되지 않는다.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의 종반이 되어 트레이(Tx)가 양 샤시(11과 12) 사이로 이동이 끝나는 시점에서 캠홈(31a)의 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동부(b)에 섭동핀(43)이 이르러 구동링크(41)가 반시계방향으로 급속하게 구동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판(45)이 (마)방향으로, 또 제어판(50)이 (사)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제어판(50)의 선단에 설치된 압압부(50a)에 의하여 스토퍼(51)의 피압압면(51b)이 압압되고, 스토퍼(51)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제10도 및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51)의 규제면(51a)이 인출된 트레이(Tx)의 후단에 계지되어 트레이(Tx)의 매거진(M)내로의 리턴이 방지되고, 또한 규제면(51a)이 매거진(M)에 남아 있는 트레이(T)의 전방을 막아 매거진(M)내로부터의 다른 트레이(T)의 튀어오름이 방지된다.
또,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하면에는 디스크 규제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 규제부재(55)는 클램프샤시(11)의 하면에 고정된 핀(56)에 의하여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동시에 이 디스크 규제부재(55)와 클램프샤시(11)의 하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7)에 의하여 디스크 규제부재(55)는 제10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세되고 있다. 또, 클램프샤시(11)의 하면에는 스토퍼핀(58)이 설치되고, 디스크 규재부재(55)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이 스토퍼핀(58)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규제부재(55)는 인출된 트레이(Tx)의 표면과 클램프샤시(11) 하면과의 간극을 메우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디스크 규제부재(55)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도면 왼쪽에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Tx)가 인출되어 양 샤시(11과 12) 사이로 이동하여 갈 때에는 트레이(Tx)상의 디스크(D)가 이 디스크 규제부재(55)의 하측을 통과하여 디스크(D)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트레이(Tx)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시(11과 12)내에 완전하게 이동한 상태에서는 디스크 규제부재(55)의 측면(5a)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의 측부상방에 벽을 형성하고 수납오목부(72)에 위치할 때의 디스크(D) 및 클램프 때문에 수납오목부(72)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도중의 디스크(D)가 제11도에서 화살표 P로 나타낸 궤적으로 도면 왼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제어판(50)에는 구동편(50b)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경기어(3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제어판(50)이 (바),(사) 방향으로 구동되면, 구동편(50b)이 디스크 규제부재(5)의 선단에 닿고, 디스크 규제부재(55)가 제10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특히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에 의한 디스크(D)의 클램프 해제직후에 디스크 규제부재(55)의 측면(55a)이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의 상방까지 돌출함으로써 클램프 해제직후의 디스크(D)를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 확실하게 리턴시키게 된다.
즉, 트레이(Tx)의 인출이 완료되어 디스크(D)가 턴테이블(13)과 클램퍼(l5)로 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판(50)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고, 구동편(50b)은 디스크 규제부재(5)로부터 벗어나 있다. 디스크(D)의 재생이 종료되면, 대경기어(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이때 대경기어(31)의 캠홈(31a)에 의하여 제어판(50)이 (바)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턴테이블(13)과 클램퍼에 의하여 디스크(D)의 협지가 해제된 직후에 제어판(50)의 구동편(50b)이 디스크 규제부재(55)에 닿아 이 디스크 규제부재(5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가 해제된 직후에 아직 트레이(T)의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있는 디스크(D)의 연부가 디스크 규제부재(5)의 측면(55a)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제12도의 오른쪽으로 약간 압압된다. 따라서, 디스크(D)의 P방향으로의 휘청거림이 방지될 뿐만아나라 적극적으로 디스크(D)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의 상방공간으로 리턴되어 디스크(D)가 수납오목부(72)내로 확실하게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제11도와 제12도는 제4도와 제10도에 있어서 디스크선택 구동부(B)를 화살표 Z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규제부재(55)는 Z단면의 도면 왼쪽으로 배치되어 있어 트레이(T)로부터의 디스크의 Z단면 좌방향(P방향)으로의 위치어긋남이 방지된다. 한편, Z단면의 오른쪽에서의 디스크의 탈락방지는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낸 기구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 사이에는 ㄴ자상의 아암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이 아암부재(61)가 강선재(와이어)를 굴곡 변형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아압부재(61)는 수지에 의하여 ㄴ자형상으로 성형된 것이어도 좋다. 또는 금속판을 ㄴ자상으로 구부린 것이라도 좋다.
상기 아암부재(61)의 한쪽의 단부(61a)는 클램프샤시(11)의 상면으로 절곡된 지지면(11b)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또 아암부재(61)의 다른쪽의 선단(61b)은 구동부샤시(12)의 도면 오른쪽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구멍(12a)에 괘지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x)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와의 간격은 h1로 나타내도록 널리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부재(61)의 도면 오른쪽부분이 내려가는 상태가 되어 아암부재(61)이 규제부(61c)가 Z단면 오른쪽으로 트레이의 상방으로 접근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크(D)의 도면 오른쪽의 연부가 트레이(T)의 수납오목부(72)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트레이가 디스크선택 구동부에 완전하게 끌어들여져 디스크(D)가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로 클램프된 상태에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의 간격은 h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근하고 있다. 이 접근에 의하여 아암부재(61)의 도면 오른쪽부분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아암부재(61)의 규제부(61c)가 디스크(D)로부터 떨어져 디스크(D)의 회전구동을 저해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디스크(D)의 구동이 완료하여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로의 협지가 해제된 직후에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와의 간격이 떨어져 가면, 아암부재(61)의 규제부(61c)가 비스듬하게 경사된 상태에서 트레이(Tx)에 접근한다. 이 때, 클램프해제 직후의 디스크(D)는 비스듬한 상태의 규제부(61c)로 유도되어 수납오목부(72)내로 확실하게 리턴된다. 따라서, 클램프해제 직후에 디스크(D)가 제8도와 제9도의 도면 오른쪽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낸 디스크 설치부(A)에 충전되는 매거진(M)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4도는 매거진(M)을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 제15도는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 제15도는 매거진(M)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매거진(M)내에는 복수매의 트레이(T)가 수납되어 있고 각각의 트레이(T)상에 디스크(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박스체(10)에 형성된 상기 위치결성홈(10a)이 상하로 6단 설치되고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의 상하정지위치가 6단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매거진(M)내의 6매의 트레이(T)에 대한 선택동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제14도 이하에 나타낸 매거진(M)에서는 도면형편상 트레이(T)가 4매 수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진(M)의 양측벽의 내면에는 복수단의 섭동홈(71,7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트레이(T)의 양단부가 이 섭동홈(71,71)에 섭동자유롭게 수납되고, 또한 각각의 트레이(T)는 매거진의 인출구(Ma)로부터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T)의 상면에는 디스크(D)가 설치되는 원형의 수납오목부(72)가 형성되고, 또 수납오목부(72)의 저부가 절결되어 U자상의 중심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T)의 전방판(74)의 하면에는 상기 중심구멍(73)과 연속하는 부분 원형상의 오목부(75)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Tx)가 인출되고 그 위에 위치하는 디스크(D)가 들어올려지면, 디스크(D)는 인출된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로부터 떨어지고, 이 수납오목부(72)와 그 위에 위치하고 있는 트레이(T)의 하면의 부분원형상의 오목부(75)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진(M)의 천정판의 내면에도 부분원형상의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고, 최상부의 트레이(T)가 인출되었을 때에는 이 트레이(T)상의 디스크(D)가 들어올려지고, 수납오목부(72)와 상기 오목부(76)와의 공간내로 디스크(D)가 구동된다.
또, 각 트레이(T)의 전방에는 상기 인출훅(37)이 계합하는 돌출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의 수납오목부(72)의 연부의 2개소(3개소 이상이어도 좋다)에는 위치결정구멍(78,78)이 상하로 관통하여 개구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Tx)가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 사이로 완전하게 이송되어 구동부샤시(12)가 상승하면, 트레이(Tx)의 하면이 구동부샤시(12) 상면에 설치되나, 이 구동부샤시(12)의 상면에는 위치결정핀(81,8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핀(81)은 선단이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위치결정구멍(78,78)과 감합함으로써 트레이(Tx)의 위치결성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10도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핀(81)은 트레이의 수납오목부(72)의 연부에서 디스크(D)의 주연부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13) 의하여 수납오목부(72)로부터 디스크(D)가 들어올려지고, 클램퍼(15)에 의하여 디스크(D)가 클램프되기까지 동안 위치결정핀(81,81)에 의하여 디스크(D)의 연부가 규제되고, 디스크(D)가 제13도의 좌우방향(제10도의 도면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어긋남이 방지된다. 따라서 디스크(D)가 센터링되어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구조의 디스크선택식 플레이어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가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의 상태)
디스크(D)의 재생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클램프샤시(11)의 상면에 설치된 대경기어(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위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대경기어(31)의 제어핀(33)은 인출아암(35)의 캠홈(35a)의 홈시단에 위치하고, 인출아암(35)은 반시기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다.
이때,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경기어(31)에 설치된 상기 제어핀(33)에는 판스프링(16)의 하면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6b)가 올라앉아 있고, 판스프링(16)은 클램프샤시(11)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16)의 선단에 지지되고 있는 클램퍼(15)는 턴테이블(13)로부터 가장 떨어진(가)위치에 있다(제3도와 제6도 참조).
또, 구동링크(41)에 설치된 섭동핀(43)은 대경기어(31a)의 캠홈(31a)의 동일반경부(a)의 홈시단에 위치하고, 구동링크(41)는 제4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이다. 따라서, 연결판(45)은 (라)방향으로 이동하고, 제어판(50)은 (사)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어판(50)의 선단의 압압부(50a)는 클램프샤시(11)에 설치된 스토퍼(51)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스토퍼(51)는 스프링(53)의 가세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있고, 그 규제면(51a)은 트레이(T)의 이동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또 제어판(50)에 형성된 구동편(50b)도 상기 디스크 규제부재(55)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크 규제부재(55)는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스프링(57)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스토퍼핀(58)에 규제된 상태이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는 넓은 간격(h1)으로 서로 로크되어 있고, 따라서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부재(61)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Z단면방향의 오른쪽이 내려간 상태로 되어 있다.
(디스크선택·인출동작)
소망의 디스크(D)가 설치되어 있는 트레이(T)를 선택하는 동작은 제1도에 나타낸 모터(23)를 구동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모터(23)의 동력은 감속기어군(24)으로부터 래크(25)에 전달되어 구동판(26)이 구동된다. 이 동력은 연결링크판(27)을 거쳐 구동판(28)에 전달되어 양 구동판(26과 28)이 구동된다. 이 동력에 의하여 X자상으로 짜여진 구동링크(21와 22)에 의하여 구동부샤시(1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구동부샤시(12)와 간격 h1을 거쳐 로크되어 있는 클램프샤시(11)도 함께 승강된다.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가 매거진(M)내의 소망의 디스크(Tx)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면, 양 샤시(11과 12)의 승강동작이 정지하고, 제1도에 나타낸 위치결정홈(10a)중 어느것에 의하여 클램프샤시(11)만이 박스체(I0)에 로크된다. 또한, 구동부샤시(12)는 박스체(10)에 로크되지 않는다.
다음에 대경기어(31)가 피니온기어(32)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시동한다. 대경기어(31)의 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먼저 제어핀(33)이 인출아암(35)의 캠홈(35a)내를 섭동하고, 인출아암(35)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그 선단에 연결된 인출훅(37)이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출훅(37)에 의하여 매거진(M)내의 선택된 트레이(Tx)의 돌출부(77)가 도면 오른쪽으로 끌어당겨지고, 트레이(Tx)가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와의 사이로 인출된다. 이때, 트레이(Tx)는 클램프샤시(11)의 양측판 내면에 설치된 ㄷ자상의 트레이가이드(19,19)로 안내되어 양 샤시(11과 12) 사이를 이동하여 간다.
또,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돌출부(16b)로부터 벗어나고,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하면(16d)(제3도 참조)에 닿아 이 하면(16d)를 섭동한다. 따라서, 판스프링(16)은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램프샤시(11)에 접근하고, 클램퍼(15)는 제3도와 제7도에 나타낸 (나)위치로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아암(35)에 의하여 인출되어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트레이(Tx)의 바로 상방위치로 클램퍼(15)가 접근하여 미소간격으로 대향한다. 따라서 이동도중의 트레이(Tx)가 수납오목부(72)내의 디스크(D)는 그 바로 상방의 클램퍼(15)에 규제됨으로써 수납오목부(72)로부터 디스크(D)가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 Z단면의 도면 윈쪽에서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샤시(11)의 하면에 디스크 규제부재(55)가 설치되고, 이 디스크 규제부재(55)가 트레이(Tx)의 상면과 클램프샤시(1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트레이(Tx)상의 디스크의 연부가 이 디스크 규제부재(55)의 하측을 통과함으로써 이 디스크 규제부재(55)에 의하여 디스크(D)의 연부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 트레이(Tx)가 제10도의 위치까지 완전하게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규제부재(55)의 측면(55a)이 수납오목부(72)의 측방으로 트레이(Tx)의 상면과 클램프샤시(11)의 하면 사이에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진동에 의하여 상기 클램퍼(15)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디스크(D)가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들어올려졌다고 하여도 디스크(D)가 제11도에서 P로 나타낸 궤적에서 트레이(Tx)의 측방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 시점에서는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와의 간격이 h1이기 때문에, Z단면의 도면 오른쪽에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재(61)의 오른쪽부분이 하강하고, 아암부재(61)의 규제부(61c)가 트레이(T)의 도면 오른쪽의 상부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도면 오른쪽의 연부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고, 또 수납오목부(72)로부터 도면 오른쪽으로 벗어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트레이(Tx)가 선택되어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간을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클램퍼(15)가 상방으로부터 수납오목부(72)내의 디스크(D)에 미소간극으로 대향하고, Z단면의 좌측에서는 제11도에 나타대는 바와 같이 디스크 규제부재(55)가 대향하고, 또한 Z단면의 우측에서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아암부체(61)의 규제부(61c)가 디스크(D)의 도면 오른쪽면부를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로부터 디스크(D)가 빠져나오는 일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디스크클램프 동작)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가장 회동한 시점에서 인출아암(35)에 의하여 트레이(Tx)가 양 샤시(11과 12) 사이로 완전하게 이송된다. 이때 제5도에 나타낸 구동링크(21과 22)에 의하여 구동부샤시(12)가 다시 들어올려져 박스체(10)에 로크되어 있는 클램프샤시(11)와 구동부샤시(12) 간격은 h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짧아진다.
이때, 구동부샤시(12)의 상면에 트레이(Tx)의 하면이 배치되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부샤시(12)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결정핀(81,81)이 트레이(Tx)의 위치결정구멍(78,78)에 감합하여 트레이(Tx)가 위치결정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승하는 구동부샤시(12)에 설치된 턴테이블(13)이 디스크(D)의 중앙구멍에 감합하고, 또한 턴테이블(13)에 의하여 디스크(D)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이때,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핀(81,8l)의 선부가 디스크(D)의 양연부에 대향하고, 디스크(D)가 디스크면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센터링가이드된다.
또,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완전하게 회동한 상태에서는 대경기어(31)에 설치된 상기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오목부(16c)내에 감합되고, 판스프링(16)이 클램프샤시(11)로 다시 접근하여 클램퍼(15)가 가장 하강한 (다)의 높이 위치가 된다. 이때,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D)가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로 클램프된다.
또한, 구동부샤시(12)가 상승하여 클램프샤시(11)와의 간격이 h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아진 시점에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부재(61)의 우측부분이 들어올려지고, 아암부재(6)의 규제부(61c)는 디스크(D)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아암부재(61)가 디스크(D)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또, 대경기어(31)가 시계방향으로 가장 회동한 시점에서 제4도에 나타낸 대경기어(31)의 캠홈(31a)의 구동부(b)에 의하여 구동링크(41)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연결판(45)이 (마)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제어판(50)이 (사)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어판(50)의 선단의 압압부(50a)가 스토퍼(51)의 피압압면(51b)에 닿고, 스토퍼(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51)의 규제면(51a)이 트레이(Tx)의 후단에 계지되고, 트레이(Tx)의 매거진(M)방향으로의 리턴이 방지된다. 또한, 이 규제면(51a)에 의하여 매거진(M)내에 남아 있는 트레이(Tx)가 매거진(M)으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클램프 해제동작)
클램프의 재생등이 완료되면, 대경기어(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대경기어(31)에 설치된 제어핀(33)이 판스프링(16)의 오목부(16c)로부터 벗어나 판스프링(16)의 하면(16d)에 닿는다. 따라서 판스프링(16)은 약간 들어올려지고, 클램퍼(15)는 (나)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턴테이블(13)과 클램퍼(15)로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구동부샤시(12)가 하강되고, 턴테이블(13)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있던 디스크(D)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내로 리턴되고, 동시에 구동부샤시(12)의 상면이 트레이(Tx)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대경기어(31)의 캠홈(31a)에 의하여 구동링크(41)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연결판(45)이 (라)방향으로 또한 제어판(50)이 (바)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제어판(50)에 설치된 구동편(50b)이 디스크 규제부재(55)에 닿고 디스크 규제부재(55)가 제10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그 측면(55a)이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오목부(72)의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다. 따라서 클램퍼(15)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어 하강하는 도중의 디스크(D)의 주연부가 디스크 규제부재(55)의 측면(55a)에 의하여 제12도의 도시우방향으로 압압되고, 따라서 디스크(D)가 P방향으로 휘청거리는 일 없이 수납오목부(72)내로 리턴된다.
한편, Z단면의 도면 오른쪽예서는 구동부샤시(12)의 하강에 의하여 아암부재(61)의 도면 오른쪽부분이 내려가기 때문에 디스크(D)의 도면 오른쪽부분의 연부가 아암부재의 규제부(61c)에 의하여 하강방향으로 안내되고, 따라서 디스크(D)는 수납오목부(72)내로 확실하게 리턴된다.
그리고 인출아암(35)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트레이(Tx)가 매거진(M)내로 리턴되나,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나)의 위치에 있는 클램퍼(15)에 의하여 디스크(D)의 상면이 규제되고, 또 디스크 규제부재(55)와 아암부재(61)로 디스크의 양연부가 규제된다. 따라서, 트레이(Tx)의 리턴동작시에도 디스크(D)가 트레이(Tx)의 수납오목부(72)로부터 빠져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램프샤시(11)가 박스체(10)에 로크되고, 구동부샤시(12)가 상승함으로써 턴테이블과 클램퍼로 디스크가 협지되나 구동부샤시(12)가 정지하여 클램프샤시(11)가 하강하는 구조이어도 좋다. 또는 양 샤시(11과 1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좋다.
또 클램퍼(15)를 (가),(나),(다) 3단계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대경기어(31)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캠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재용 디스크 체인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매거진 이외의 디스크 탑재부로부터 트레이가 인출되는 것, 또는 단일의 트레이가 이동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1항과 제2항의 본 발명에서는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트레이로부터 매거진이 벗어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소롤러는 불필요하여 디스크에 손상을 주는 일은 없다.
제3항 기재의 발명에시는 트레이가 이동하고 있을 때 디스크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이나라 턴테이블과 클램퍼로의 클램프 해제직후 휘청거리고 있는 디스크를 트레이의 디스크 탑재부로 확실하게 리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내에 설치되고 디스크가 얹혀지는 얹힘부를 가지는 트레이를 적층상태로 복수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설치부와; 이 디스크 설치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크 실치부내 각각의 트레이 인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디스크 구동부와; 이 디스크 구동부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어느 한 트레이 인출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가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선택된 트레이의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 이 선택된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로 넣는 인출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인출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클램퍼를 가지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부에는, 상기 인출기구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에 있을 때에는 상기 클램퍼를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가장 떨어진 제1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구동부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클램퍼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접근하는 제2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 제2위치에서 정지시키고,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로 완전히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클램퍼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서 상기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협지(狹支)시킬 수 있는 제3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클램퍼 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폴레이어.
  2.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내에 설치되고, 디스크가 얹히는 얹힘부를 가지는 트레이를 적층상태로 복수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설치부와, 이 디스크 설치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크 설치부내 각각의 트레이 인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디스크 구동부와; 이 디스크 구동부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어느 한 트레이 인출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가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선택된 트레이의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 이 선택된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로 넣는 인출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인출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클램퍼를 가지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부는, 상기 턴테이블이 설치되는 구동부샤시와, 상기 클램퍼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샤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촉 이탈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클램프샤시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샤시와 상기 클램프샤시와의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샤시에, 타단이 상기 클램프샤시에 각각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아암부재가 도설되어 있고, 이 아암부재는, 상기 구동부샤시와 상기 클램프샤시가 떨어진 위치에 있고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구동부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고, 또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에 완전히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에 의해 상기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협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샤시와 상기 클램프샤시가 근접할 때에는 상기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3.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내에 설치되고 디스크가 얹히는 얹힘부롤 가지는 트레이를 적층상태로 복수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설치부와; 이 디스크 설치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크 설치부내 각각의 트레이 인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디스크 구동부와; 이 디스크 구동부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어느 한 트레이 인출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가 상기 디스크 설치부내의 선택된 트레이의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 이 선택된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로 넣는 인출기구와; 상기 디스크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인출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이 턴테이블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클램퍼를 가기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구동부에는, 상기 인출기구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디스크 설치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구동부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 선택된 트레이상의 디스크에 근접하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또 상기 선택된 트레이가 상기 디스크 구동부내로 완전히 들어간 시점에서 상기 선택된 트레이의 상기 얹힘부의 측부상방 위치로 이동하는 디스크 규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KR1019940003181A 1993-03-10 1994-02-23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KR0127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245 1993-03-10
JP1993016245U JP2590361Y2 (ja) 1993-03-10 1993-03-10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482A KR940022482A (ko) 1994-10-21
KR0127262B1 true KR0127262B1 (ko) 1998-04-03

Family

ID=1191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181A KR0127262B1 (ko) 1993-03-10 1994-02-23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1948A (ko)
JP (1) JP2590361Y2 (ko)
KR (1) KR0127262B1 (ko)
CN (1) CN1029268C (ko)
DE (1) DE440812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399B2 (ja) * 1994-11-12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US6560171B2 (en) 1996-11-13 2003-05-06 Clarion Co., Ltd. Disk changer device having a transport and a disk chucking mechanism seperately and selectively operated by a single driving source
JP3630896B2 (ja) 1996-11-13 2005-03-2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3510068B2 (ja) * 1996-12-24 2004-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ES2218718T3 (es) * 1997-01-31 2004-11-16 Clarion Co., Ltd. Aparato reproductor de discos.
JP3751706B2 (ja) 1997-03-31 2006-03-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90661B2 (ja) * 1997-04-08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293954A (ja) * 1997-04-17 1998-11-04 Nakamichi Corp クランプ機構
JP3114863B2 (ja) * 1997-11-29 2000-12-04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0123452A (ja) * 1998-10-12 2000-04-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WO2001088914A1 (fr) * 2000-05-19 2001-11-22 Clarion Co., Ltd. Dispositif de retenue de disque
EP1313100B1 (en) * 2000-05-19 2007-07-25 Clarion Co., Ltd. Disk holder pop-out preventing device
JP2002157809A (ja) * 2000-11-17 2002-05-3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並びに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602911B2 (en) * 2001-11-05 2003-08-05 Cypress Bioscience, Inc. Methods of treating fibromyalgia
JP3906114B2 (ja) * 2002-06-10 2007-04-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4260783B2 (ja) * 2005-07-19 2009-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イジェクト時における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脱落防止制御方法
US20100199293A1 (en) * 2008-01-07 2010-08-05 Hung-Jui Lin Inclinable pick-and-place head of disc pick-and-place device
US8641944B2 (en) * 2009-12-23 2014-02-04 Oliver Wang Synthetic yarn
US20110151256A1 (en) * 2009-12-23 2011-06-23 Oliver Wang Synthetic yarn
US11202508B2 (en) 2017-08-28 2021-12-21 Agio International Co., Ltd Q-shaped wicker furni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0459B1 (de) * 1982-03-27 1985-07-03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Plattenspieler
US4680748A (en) * 1984-12-19 1987-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ed disk playback apparatus
JPS6222263A (ja) * 1985-07-22 1987-01-30 Canon Electronics Inc 記録媒体クランプ装置
JPS62159372A (ja) * 1986-01-07 1987-07-15 Nec Corp デイスククランプ機構
DE3638914A1 (de) * 1986-11-14 1988-05-26 Thomson Brandt Gmbh Abspielgeraet fuer video- und/oder audio-platten
JPH0510280Y2 (ko) * 1987-07-03 1993-03-12
JPS6466862A (en) * 1987-09-07 1989-03-13 Toshiba Corp Disk auto-changer device
JPH01151059A (ja) * 1987-12-09 1989-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ー
US5247500A (en) * 1987-12-09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vating and lowering system in a multi-disk player
JP2532556B2 (ja) * 1988-02-29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ヤ
JPH0752543B2 (ja) * 1988-10-31 1995-06-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クランパ支持装置
BE1002664A3 (fr) * 1988-11-17 1991-04-30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ejection et de centrage pour disques de diametres differents.
JPH02260272A (ja) * 1989-03-31 1990-10-23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2132350U (ko) * 1989-04-04 1990-11-02
US5191569A (en) * 1989-05-15 1993-03-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playback device
JPH02185756A (ja) * 1989-08-24 1990-07-20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2804307B2 (ja) * 1989-09-11 1998-09-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ガジン収納ディスクプレーヤ
GB2241102B (en) * 1990-02-16 1994-07-20 Pioneer Electronic Corp System for recovering a CD in a compact disk player having a magazine
JPH04302851A (ja) * 1991-03-29 1992-10-26 Sony Corp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プレーヤ
KR0175335B1 (ko) * 1992-08-28 1999-04-15 구쯔사와 겐다로오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8120B4 (de) 2010-02-18
KR940022482A (ko) 1994-10-21
JP2590361Y2 (ja) 1999-02-10
CN1092547A (zh) 1994-09-21
CN1029268C (zh) 1995-07-05
JPH0677047U (ja) 1994-10-28
DE4408120A1 (de) 1994-09-15
US5831948A (en) 199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262B1 (ko) 차량장착용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KR0175335B1 (ko) 디스크 선택식 플레이어
KR100536103B1 (ko) 정보디스크용체인저장치
JPH0625986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EP0702363B1 (en) Disk player
EP1033710B1 (en) Disc changer
JP3540399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US6226253B1 (en) Disk driving apparatus
EP0855707B1 (en) Disk device
KR19980064566A (ko) 디스크 드라이브용 얇은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셔터암을 가진디스크 장치
JPH1196646A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装填装置
JP3573598B2 (ja) 駆動装置の移動機構
JP309817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ディスク交換方法
JP3442802B2 (ja) ディスク装置
KR0136618Y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의 트레이장치
EP0855708B1 (en) Disc device
KR950010965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JP3011676B2 (ja) ディスク選択式プレーヤ
KR970000914B1 (ko) 카형 멀티 씨디 플레이어
JP354164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20070074232A1 (en) Auto loading device for data storage cartridges
KR0136619Y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의 트레이장치
JP256361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457486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3612234B2 (ja) 担体自動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6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4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701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403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7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7072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8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