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3105B1 -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05B1
KR0123105B1 KR1019940031679A KR19940031679A KR0123105B1 KR 0123105 B1 KR0123105 B1 KR 0123105B1 KR 1019940031679 A KR1019940031679 A KR 1019940031679A KR 19940031679 A KR19940031679 A KR 19940031679A KR 0123105 B1 KR0123105 B1 KR 012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xed station
terminal
time slot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110A (ko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3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05B1/ko
Publication of KR96002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임의의 지역에서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고정국으로만 접속하기 때문에 그 고정국의 타임 슬롯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타임 슬롯의 사용자중 어느 한 사람이 통화를 끝마칠 때까지 대기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국을 신호 레벨에 따라 차례로 조사하여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단말기의 접속 사용자가 많을 경우의 접속 가능성을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고정국 하나만을 조사하는 것에 비해 훨씬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DECT 단말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DECT 규격에 의한 제1도의 일반적인 DECT 단말기 처리의 일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ECT (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고정국(기지국이라고도 칭함)에 접속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도는 일반적인 DECT 단말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 기능을 갖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2)와, 중앙 처리 장치(2)에 제어되어 단말기의 현재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 표시부(4)와, 중앙 처리 장치(2)에 제어되어 단말기 시스템에 단말기 동작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와,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8)과, 마이크로폰(8)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탈(Digital)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의 디지탈 음성 신호를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 DSP) 프로세서(Processor)(14)에 인가하는 ADPCM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부(12)와, 중앙 처리 장치(2)와 통신하여 디지탈 신호를 DECT 규격에서 사용하는 음성 부호화 방법에 따라 디지탈 신호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14)와,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14)의 ADPEM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변환하는 PCM-ADPCM 변환부(16)와, PCM-ADPCM 변환부(16)의 PCM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8)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8)의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20)와, 중앙 처리 장치(2)로부터 ADPCM으로 부호화된 음성 데이타를 변조용 캐리어(Carrier)에 실어 변조하는 신호 합성부(22)와, 신호 합성부(22)의 변조된 신호를 DECT에서 규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24)와, 신호 증폭부(24)의 증폭된 신호를 대기중에 전파시키며 대기 중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Antenna)(26)와, 수신 기간 동안 안테나(26)를 통해서 수신되는 고정국의 고주파 신호를 받아들여 저잡음(Low noise) 중폭하는 저잡음 증폭부(28)와, 저잡음 증폭부(28)의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중간 주파수 변환부(30)와, 중간 주파수 변환부(30)의 중간 주파수로부터 송신되어진 원래의 신호를 뽑아내어 중앙 처리 장치(2)에 인가하는 복조부(32)와, 중앙 처리 장치(2)에 호 입력을 하기 위한 키 입력부(34)와, 중앙 처리 장치(2)의 신호를 인가받아 종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36)와, 중앙 처리 장치(2)의 신호를 인가받아 키입력 및 신호음 등의 단말기 사용을 위해 발생되는 특별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저(38)와, 중앙 처리 장치(2)의 제어에 의해 음량의 초기 상태 및 각종 전화 번호를 기록해 두는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 able Road Only Memory ; EEPROM)(40)과,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전체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데이타를 저장하는 롬(Read Only Memory ; ROM) (42)과,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종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램(Read Acces s Memory ; RAM)(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DECT 단말기를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 처리 장치(2)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한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원 표시부(4)는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제어되어 단말기의 현재 전원 상태를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서 사용자가 현재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등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전원 공급부(6)는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제어되어 단말기 동작용 전원을 공급하며, 마이크로폰(8)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는 마이크로폰(8)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ADPCM-PCM 변환부(12)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의 디지탈 음성 신호를 AD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14)에 인가하고,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14)는 중앙 처리 장치(2)와 통신하여 디지탈 신호를 DEC T 규격에서 사용하는 음성 부호화 방법에 따라 디지탈 신호 처리한다.
또한, PCM-ADPCM 변환부(16)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14)의 ADPCM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8)는 PCM-ADPCM 변환부(16)의 PCM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20)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8)의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그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신호 합성부(22)는 중앙 처리 장치(2)로부터 ADPCM으로 부호화된 음성 데이타를 인가받아 무선 송신을 위해 1.8GHz의 변조용 캐리어에 실어 변조하며, 신호 증폭부(24)는 신호 합성부(22)의 변조된 신호를 DECT에서 규정한 레벨로 증폭하고, 안테나(26)는 신호 증폭부(24)의 증폭된 신호를 대기중에 전파시키며 대기중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저잡음 증폭부(28)는 단말기의 수신 기간 동안 안테나(26)를 통해서 수신되는 고정국의 1.8GHz의 신호를 받아들여 저잡음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 변환부(30)는 저잡음 증폭부(28)의 1.8GHz의 수신된 주파수를 110MHz의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복조부(32)는 중간 주파수 변환부(30)의 110MHz의 중간 주파수로부터 송신되어진 원래의 신호를 뽑아내어 중앙 처리 장치(2)에 인가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34)는 중앙 처리 장치(2)에 호 입력을 하며, 화면 표시부(36)는 중앙 처리 장치(2)의 신호를 인가받아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소자를 이용하여 종 상태를 표시하고, 부저(38)는 중앙 처리 장치(2)의 신호를 인가받아 키입력 및 신호음 등의 단말기 사용을 위해 발생되는 특별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며, 이이피롬(40)은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음량의 초기 상태 및 각종 전화 번호를 기록해 두고, 롬(42)은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전체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비휘발성 데이타를 저장하고, 램(44)은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종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제2도는 DECT 규격에 의한 제1도의 일반적인 DECT 단말기 처리의 일실시예를 단게별로 나타낸 순서도 즉, 중앙 처리 장치(2)의 알고리즘(Algorithm)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전원을 켜면, 하드웨어(Hardware)에 대한 초기값을 롬(42)이나 이이피롬(40)으로부터 읽어내어 각각의 하드웨어를 초기화시키고, 램(44)을 검사하여 클리어(Clear)시킨 뒤, 자체 진단 프로그램(Program) 등을 동작시켜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이상 여부를 검사한 뒤, 무선 기지국(고정국이라고도 칭함)의 신호를 무선 채널 0부터 9번까지 10개에 걸쳐서 받아들인다(100,102,104,106,108,110,112).
다음, 10개 모두의 무선 채널에 대한 수신된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그중 가장 강한 무선 신호를 내보내는 무선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결정하고, 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어지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단말기 내부의 각종 타이밍의 기준이 되도록 동기를 맞춘다(114).
그 이후, 그 무선 기지국의 타임 슬롯(Time slot) 사용 상태를 조사하여 비어 있는 타임 슬롯이 있는가를 확인한 다음,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116).
이때, 등록 절차를 마친 뒤 단말기는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되는데, 대기 상태에서 진행하는 단말기의 동작은 크게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단말기는 고정국으로부터의 페이징(Paging) 신호의 유무를 검사하여 페이징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는, 먼저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Layer)의 접속을 진행하여 무선 채널의 타임 슬롯 사용권을 확보하고 DLC(Data Link Control) 계층의 접속, 네트워크(Network) 계층의 접속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다음 통화를 진행하도록 한다(118,120,122,124,126).
이후 어느 한쪽의 통화 절단 상황에 의해 네트워크 계층의 단절, DLC 계층의 단절, 이후 MAC 계층의 단절을 진행하여 무선 채널의 사용권을 해제하고 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128,130,132).
상기에 반해, 페이징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특정 가입자에게로의 접속 요구를 검사하고, 요구가 발생되었으면 타임 슬롯의 사용 확보를 위해 비어 있는 타임 슬롯의 유무를 확인하여 비어 있는 타임 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타임 슬롯의 사용 요구를 고정국에 하고, 만일 타임 슬롯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타임슬롯의 사용이 종료될 때까지 시간 지연이 설정되어 있는 값을 초과하지 않는한 대기를 하여 그 사이에 다른 사용자의 타임 슬롯 사용이 종료되면 그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MAC 계층의 접속을 시도한다(134,136).
이어, MAC 계층의 접속을 진행하여 무선 채널의 타임 슬롯 사용권을 확보하고 DLC 계층의 접속, 네트워크 계층의 접속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다음 통화를 진행하도록 한다(138,140,142).
이후, 어느 한쪽의 통화 절단 상황에 의해 네트워크 계층의 단절, DLC 계층의 단절, 이후 MAC 계층의 단절을 진행하여 무선 채널의 사용권을 해제하고 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144,146,148).
이때, 페이징 신호 및 사용자의 송신 요구가 없거나 그 처리(132 단계 또는 148단계)를 다 끝마친 뒤에는 단말기 내부의 상태 검사를 진행한다.
대표적인 내부 상태 검사는 전원 배터리의 전압 레벨 검사이다.
먼저, 배터리의 전압을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를 통해 입력해서 적정 레벨인가를 확인하여 적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서 예를 들어 충전 필요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충전 필요 상황을 알리고, 고정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신호 레벨을 유지하는지 아니면 신호 레벨이 너무 낮아져서 인접 고정국으로의 접속을 시도해야 하는가를 검사한다(150,152,154,156,158).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83dBm 이상일 경우에는 현재 등록되어 있는 고정국의 신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신호 레벨이 특정값 이하로 떨어져서 이전 국으로의 이동 접속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무선 채널을 0부터 9까지 10개에 걸쳐서 받아들인다(160,162,164,166,168,170,172).
이에, 10개 모두의 무선 채널에 대한 수신된 전계 강도를 조사하여 그중 가장 강한 무선 신호를 내보내는 무선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결정하고, 그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어지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단말기 내부의 각종 타이밍의 기준이 되도록 동기를 맞춘다(174,176).
그 이후, 그 무선 기지국의 타임 슬롯 사용 상태를 조사하여 비어 있는 타임 슬롯이 있는가를 확인한 다음 , 핸드 오버를 새로이 수행한다.
즉, 대기 상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국으로부터의 페이징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그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고, 사용자의 송신 요구를 검사하여 그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고, 배터리의 전압이 적정레벨인가를 검사하여 그것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고, 고정국의 신호 레벨을 검사하여 그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고, 기타 단말기의 각종 타이머 처리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DECT 단말기 전체 처리의 기본 형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DECT 규격에서 규정하는 고정국으로의 접속은 수신되는 모든 고정국의 신호를 모두 수신한 다음 가장 강한 고정국으로 접속을 시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DECT 방식의 셀 구성상 핸드 오버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그리고 셀간의 서비스 불능 상태를 없애기 위해 고정국의 신호가 2개 또는 3개가 수신되는 지역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지역에서 가장 강한 고정국으로의 접속만을 시도할 경우 가장 강한 고정국의 타임 슬롯은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신호 레벨이 가장 강하지는 않지만 인접 고정국의 타임 슬롯은 사용 가능한 것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임의의 지역에서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고정국으로의 접속만을 시도한다면 그 고정국의 타임 슬롯이 모두 사용중인 경우 타임 슬롯의 사용자중 어느 한 사람이 통화를 끝마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또한, 통화가 끝난 후 통화 대기자가 많을 경우에는 곧바로 접속이 불가능하고 접속 시도의 충돌 등의 문제로 인하여 더욱 시간 지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나타내지 않는 고정국이라 할지라도 통화를 위해 그 고정국의 타임 슬롯중 사용 가능한 것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이 있을 경우에는 그 고정국으로 접속을 진행한다면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등록을 시도 또는 통화를 시도할 경우 접속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고정국(기지국이라고도 칭함)에 접속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은 이이피롬(40)이나 롬(42)에 탑재되어 중앙 처리 장치(2)에 의해 운영된다. 또한, 하나의 셀을 갖는 기지국(고정국이라고도 칭함),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하는 기지국 제어기,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와 통신하는 교환기를 경유하여 교환기의 교환 작용에 의해 단말기들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와 기지국은 그 기지국의 셀(cell)안에서 무선 통신하고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간은 유선통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나타낸 제1도에 따른 각 부의 기본적인 동작 설명은 상술한 바에 따르기로 한다.
먼저, 주위 고정국들의 각 신호를 수신하여 즉, 채널 0부터 채널 9까지의 모든 채널을 수신하여 그 중에서 가장 강한 레벨의 신호를 나타내는 고정국을 선택하여 그 선택한 고정국과 접속한다(200,202,204,206,208,210,212).
다음, 상기 선택한 고정국에 사용 가능 타임 슬롯이 없을 경우 그 다음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상이고 사용 가능 타임 슬롯이 있는 경우 그 고정국에 접속하고 등록한 후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214,216,218,220,228).
이어, 상기 다음 고정국의 모든 타임 슬롯이 사용중인 경우 3번째 고정국의 신호를 조사해서 그 3번째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상이고 사용 가능 타임 슬롯이 있는 경우 그 3번째 고정국에 접속하고 등록한후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222,224,226,228).
그리고, 3번째 고정국에 사용 가능 타임 슬롯이 없을 경우 다시 상기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갖는 고정국의 타임 슬롯을 조사하는 것 부터의 과정을 반복한다.
물론, 상기 고정국과의 접속시도를 3번째까지만 할 것이 아니라 고정국의 수신전계강도를 고려하여 더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2개의 고정국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접속 요구시 또는 2개의 고정국의 신호가 중첩되는 지역에서의 접속 시도를 할 경우 이와 같은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국을 신호 레벨에 따라 차례로 조사하여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DECT 단말기의 접속 사용자가 많을 경우의 접속 가능성을 가장 강한 신호 레벨을 나타내는 고정국 하나만을 조사하는 것에 비해 훨씬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주위 고정국들의 각 신호를 수신하여 그 중에서 가장 강한 레벨의 신호를 나타내는 고정국과 접속하는 단계(200,202,204,206,208,210,212) ; 상기 고정국에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이 없을 경우 그 다음으로 강한 레벨의 신호를 나타내는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상이고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이 있는 경우 그 고정국에 접속하고 등록한 후,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214,216,218,220,228) ; 상기 다음 고정국의 모든 타임 슬롯이 사용중인 경우 3번째로 강한 레벨의 신호를 나타내는 고정국의 신호 레벨이 규정치 이상이고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이 있는 경우 그 3번째 고정국에 접속하고 등록한 후,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222,224,226,228)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KR1019940031679A 1994-11-29 1994-11-29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KR012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79A KR0123105B1 (ko) 1994-11-29 1994-11-29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79A KR0123105B1 (ko) 1994-11-29 1994-11-29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10A KR960020110A (ko) 1996-06-17
KR0123105B1 true KR0123105B1 (ko) 1997-11-19

Family

ID=193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79A KR0123105B1 (ko) 1994-11-29 1994-11-29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10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3009A (en) Radio transceiver having fixed calling capacity
WO1997033386A1 (fr) Systeme de detection d'informations de position
EP0921668B1 (en) TDM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637781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operating under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KR0123105B1 (ko)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KR2000004221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마이크로셀을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방법
KR970001871B1 (ko)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시키는 방법
KR0124183B1 (ko)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KR0121964B1 (ko)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감청하는 방법
KR970003976B1 (ko) 단말기의 입출력 상태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JP3196634B2 (ja) 無線移動端末
KR970001870B1 (ko) 단말기의 전원 공급 방법
KR970003975B1 (ko) 단말기의 통화 금지 방법
KR970001872B1 (ko) 단말기의 주변을 감시하는 방법
KR970008674B1 (ko) 단말기의 사용 가능 기간을 표시하는 방법
US7295858B2 (en) Mobile station capable of outputting ring tones coming from a base station without storing them locally on the mobile station
KR0121963B1 (ko) 단말기의 위치 표시 방법
KR100285729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시스템에서전원온/오프시자동위치등록및해제장치및방법.
KR9700018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단절상태 경고방법
KR19990041241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 절약방법
JPH10313481A (ja) 携帯無線システム
KR01544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KR0135361B1 (ko) 단말기의 통화 방법
KR0123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임슬롯 접속방법
JPH07274226A (ja) 受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