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0875Y1 -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75Y1
KR0120875Y1 KR2019950007002U KR19950007002U KR0120875Y1 KR 0120875 Y1 KR0120875 Y1 KR 0120875Y1 KR 2019950007002 U KR2019950007002 U KR 2019950007002U KR 19950007002 U KR19950007002 U KR 19950007002U KR 0120875 Y1 KR0120875 Y1 KR 0120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member
sliding reciprocating
outer cylinder
mechanical pencil
kn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342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우에끼 후미지
요시히데 미쯔야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수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66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087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수한양행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960004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43K21/20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with writing-cores automatically replaced from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필심탱크(2) 및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내경을 크게 해서 1번에 여러개의 예비필심을 수용할 수 있고, 그립부재 및 봉상물조출기구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선구(7)을 가진 외통(1)과, 이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 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앞쪽에 위치하고서 척링(4)이 느슨하게 끼워지는 척(3), 이 척(3)을 뒷쪽으로 밀어부쳐주는 척스프링(6), 상기 외통(1)에 설치되는 측방녹크기구를 갖추어 구성된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측방녹크기구가, 상기 외통(1)에 설치된 측방녹크레버(16)와, 이 측방녹크레버(6)가 직경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 닿게 되는 경사면부(17c)를 갖고서 측방향으로 척스프링(6)의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상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로 이루어진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Description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본 고안은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우개고무와 같은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봉상물조출기구를 갖춘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는바, 그 예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개 소 51-17942호 공보에 도 19로 도시된 것과 같은 샤아프펜슬을 들 수 있다.
이 종래의 예에서는, 척기구를 갖고서 외통(20)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21)내에 장착시켜진 녹크레버(22)를 손가락으로 녹크해줌으로써 필심을 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녹크레버(22)에 의해 녹크되어져 그 작동부(2a)가 중간원통체(23)에 설치된 미끄럼부재(24)의 경사면(24a)에 닿아, 중간원통체(23)를 스프링(25)이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외통(20)의 내벽면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척(26)을 개방시켜 필심을 내보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아프펜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측방녹크식기구가 그립(Grip)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부분에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그립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그립부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필심탱크(27)의 직경이 필심이 1개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하고서 뒷쪽부위에다 다른 예비의 필심이 수납되는 공간을 설치해 놓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필기구의 뒷쪽부위에 지우개고무와 같은 봉상물을 조출시키는 봉상물조출기구가 설치된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봉상물조출기구가 조립=설치된 구조의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는, 뒷쪽부위에 예비필심을 수용하는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필심탱크(27)의 직경을 가늘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예비필심을 수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뒷쪽부위에 있어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음과 더불어, 복수의 예비필심도 수용할 수 있는 길이의 필심탱크 및 미끄럼왕복이동부재 내경을 크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립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결점인 최초의 필심을 내보내기 위해 연속해서 녹크하여 필심을 조출하였던 것을 보다 쉽게 조출시키기 위해 측방녹크기구에 부가해서 후단녹크기능도 갖추도록 함과 더불어, 측방녹크기구를 구성하는 미끄럼왕복이동부재를 1개의 부품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도 싸고 조립도 간단해지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을 제공함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2는 제1도에서의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저면도.
도 5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제1도에서의 안내원통에 지우개 고무받침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안내통만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안내통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1에서의 지우개 고무받침대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의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11은 도 9에서의 슬라이더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의 측방녹크동작을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의 지우개고무 조출동작을 나타낸 요부종잔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의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측면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도 19는 종래의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외통 2:필심탱크
3:척 4:척링
5:슬리이브 6:척스프링
7:선구 8:선단파이프
9:슬라이더 10:쿠션스프링
10a:되돌림스프링 11:안내원통
12:뒤쪽캡 13:지우개고무
14:지우개고무받침대 15;그립부재
16:녹크레버 17:미끄럼왕복이동부재
18:고정원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구를 갖춘 외통과, 이 외통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된 필심탱크, 이 필심탱크의 앞끝부위에 설치되고서 바깥에 척링이 느슨하게 끼워진 척, 이 척을 뒷쪽에서 밀어부쳐주는 스프링 및, 상기 외통에 설치된 측방녹크기구를 갖춘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측방녹크기구가, 상기 외통에 설치된 측방녹크부재와 이 측방녹크부재가 축방향으로 압압되었을 때 닿게 되는 경사면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이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미끄럼왕복이동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필심탱크가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앞쪽에 역시 왕복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측방녹크부재의 녹크레버를 누르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녹크면인 경사면부를 매개로 미끄럼왕복이동부재가 스프링의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앞으로 전진해서 척을 개방시켜 필심을 내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요할 때 뒷쪽캡을 회전시키면 지우개고무와 같은 봉상물을 뒷쪽으로 조출시킬 수가 있고, 또 연속적인 녹크가 필요할 때에는 뒷끝을 후단녹크함으로써 필심을 조금씩 내보낼 수도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녹크조작이 측방녹크 및 후단녹크로 이루어지는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인바, 도면에서 외통(1)내에는 앞쪽부위에 필기구가 설치되는 한편 뒷쪽부위에는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앞쪽부위에 설치되는 필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외통(1)내에 필심을 동시에 여러개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내경을 가진 필심탱크(2)가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심탱크(2)의 앞끝에는 척(3)이 압입·고정되어 있고, 이 척(3)의 외주에는 척링(4)이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또, 상기 척(3)의 바깥쪽에는 슬리이브(5)가 설치되고서 그 안에 필심탱크(2)를 뒷쪽으로 밀어주는 척스프링(6)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통(1)의 앞끝에는 내주면에 척링(4)의 스토퍼용 계단부(7a)를 가진 선구(7)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선구(7)내에는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선단파이프(8)와, 이 선단파이프(8)의 뒷끝이 압입·고정되고서 그 내주면부위에서 필심을 일정한 마찰력으로 지지하는 슬라이더(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슬리이브(5) 뒷끝과 외통(1)사이에는 과대필압을 흡수하기 위한 쿠션스프링(10)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0a는 외통(1)과 뒤에 설명되는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앞끝 사이에 설치되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등을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것으로 척스프링(6)보다 약한 탄발력을 가진 되돌림스프링을 나타내는바, 이 되돌림스프링(10a)은 특히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필심탱크(2)의 뒷끝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앞부위 내부계단부에 닿은 상태로 되어 있으면 녹크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척(3)의 앞끝부분이 조금 벌어진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필심이 미끄러지는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필심탱크(2)의 전체길이에 오차가 있더라도 결코 필심탱크(2)의 뒷끝이 미끄럼이동부재(17)의 앞부위 내부계단부에 닿지 않도록 설계상 항상 조금의 간극(2a)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간극(2a)이 있다 하더라도 아무래도 그 만큼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앞뒤로 이동할 염려가 있게 된다. 그래서 되돌림스프링(10a)이 있으면 항상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뒷쪽으로 밀어부쳐지기 때문에,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앞뒤로 흔들려 왔다갔다하지 않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게 된다.
이어, 뒷쪽부위인 지우개고무 조출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내원통(11)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뒷부위에 형성되어 받침부역할을 하는 큰직경부(17a)에 뽑아내어질 수 있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 큰직경부(17a)의 내주면에 환상홈(17b)이 형성되는 한편, 안내원통(11)의 외주면에는 이 환상홈(17b)과 걸어맞춰지기 위한 링형상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원통(11)에는 축방향으로 한쌍의 슬릿(11b)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 슬릿(11b)은 그 뒷 끝에 막혀지도록 하는 큰직경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안내원통(11)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뒷쪽캡(1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고서 축회전방향이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그 뒷끝쪽은 상기 뒷쪽캡(12)의 뒷끝에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원통(11)의 앞부위에는 뒷쪽캡(12)과 걸려져 축방향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1쌍의 탄성을 가진 걸림돌편(1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탄성걸림돌(11d)이 뒷쪽캡(12)내로 삽입되면 안쪽으로 휘어졌다가 뒷쪽캡(12)을 통과하고 나면 도로 되돌려지게 되는 결과, 이후에는 안내원통(11)과 뒷쪽캡(12)이 회전은 하지만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되기 때문에 빠지지가 않게 된다.
또한, 이 안내원통(11)내에는 지우개고무(13)를 받쳐 지지하는 지우개고무받침대(14)가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고서 그 축회전방향이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지우개받침대(14)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상을 한 본체(14a)와 이 본체(14a)로부터 뒷쪽으로 뻗고서 서로 마주보는 1쌍의 아암부(14b) 및 이들 아암부(14a,14b)의 각 외벽부에 형성된 1쌍의 경사돌기(14c)를 갖추고 있어서, 이들 경사돌기(14c)가 안내원통(11)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b)을 관통해서 뒷부위 캡(12)의 안쪽에 형성된 나선홈(12a)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외통(1)의 그립부에는 고무같은 것으로 된 그립부재(15)가 부착되어 있고, 이 그립부재(15)의 뒷쪽의 외통(1) 측벽부에는 측방녹크용 녹크레버(16)가 직경방향으로 압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녹크레버(16)의 앞끝내측의 각진 부위가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경사면부(17c)에 닿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되고서, 그 속에 예컨대 직경 0.5mm인 필심이 한번에 2개 이상 수납될 수 있는 필심통로(17j)를 갖는 한편, 조립되었을 때 녹크레버(16)와 마주보는 위치에 경사면(17c)을 갖는 큰 직경부(17k)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사면부(17c)는 앞부위에서 뒷부위를 향해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이 경사면부(17c)에 녹크레버(16)가 압압되어 닿게 되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밀려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측면에는 축방향의 위치결정용 걸림홈(17e)이 형성되어 있고, 뒷부위에 설치되어 받침부역할을 하는 큰직경부(17a)의 옆부위에도 외통(1)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1a)와 걸어맞춰지는 회전저지용 걸림홈(17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뒷부위의 큰직경부(17a)내주에는 안내원통(11)의 다각형상부(11d)와 걷어맞춰져 회전저지기능을 하는 횡단면이 예컨대 8각형으로 된 다각형상부(17g)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앞부위인 필기구와 뒷부위인 지우개고무조출기구를 연결시킴으로써 측방녹크조작에 더해서 후단녹크조작도 가능해지도록 하는 기술적 배려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뒷부위인 지우개고무조출기구에서 지우개고무(13)를 조출시킬려면 회전조작이 필요하게 되고, 그 때문에 회전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뒷부위의 회전이 앞부위의 필기기구에 전달되면 공회전이 이루어져 회전조작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우개고무조출기구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안쪽과 안내원통(11)의 안쪽을 각각 예컨대 8각형인 다각형으로 형성시켜 축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후단녹크도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게 된다. 즉, 필기도중 측방녹크조작으로 필심을 조금씩 조출시키기는 쉬우나, 필심이 아직 필심탱크(2)내에 있고, 선단파이프(8)에 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기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수납된 선단파이프(8) 및 필심을 조출시키기 위해 여러번 연속해서 녹크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측방녹크조작으로 외통(1)을 옆으로 뉘운 상태에서 조작하기 때문에, 척(3)이 개방되더라도 필심이 쉽게 밑으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통(1)을 세운 상태에서 조작하는 후단녹크가 가장 적합하다. 거기에 더해서 녹크를 여러번 연속적으로 되풀이 하려는 경우에는 후단녹크쪽이 측방녹크쪽보다 간단해서 조작성면에서 뛰어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동작을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2a)는 녹크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기를 하기 위해 측방녹크레버(16)를 누르면 이 측방녹크레버(16)의 앞끝 안쪽에 있는 각진부위가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경사면(17c)을 따라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를 앞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렇게 되면 척스프링(6)이 뒷쪽으로 밀어부치고 있는 힘에 대항해서 필심탱크(2) 및 척(3)이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하는 과정에서 척(2)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척링(4)이 선구(7) 내주면의 계단부(7a)에 닿아 벗겨짐과 더불어 슬라이더(9)가 척(3)에 의해 앞으로 밀어내어져 선단파이프(8)가 돌출하게 된다.
또, 녹크를 해제하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척스프링(6)의 탄발력으로 뒷쪽으로 되돌려진다. 이러한 녹크조작을 되풀이하면 필심이 조출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필기를 한 후에는 앞끝을 종이 같은 데나 손가락끝 같은 것에다 대고 가볍게 누른 상태에서 측방녹크레버(16)를 녹크하면 척(3)이 개방되어 필심과 선단파이프(8)가 선구(7)내로 수납되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이 제1실시예의 후단녹크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샤아프펜슬을 필기면에 대해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고서 뒷끝을 녹크하면,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척스프링(6)이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외통(1)내를 전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 지우개고무조출기구에 연결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필심탱크(2) 및 척(3) 등이 전진하게 되어 앞에서 설명된 측방녹크때와 마찬가지로 필심이 조출되게 된다.
한편,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지우개고무를 조출시킬려면, 샤아프펜슬본체의 외통(1)을 고정시키고서 뒷부위캡(12)을 회전시키면 지우개고무받침대(14)가 안내원통(11)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는 지우개고무받침대(14)의 경사돌기(14c)가 안내원통(11)의 슬릿(11b)과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내원통(11)은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의 사이에서 회전이 저지되고서 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다시 외통(1)과의 사이도 회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우개고무받침대(14)의 경사돌기(14c)가 뒷부위캡(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훔(12a)을 따라 뒷부위캡(12)의 회전에 따라 안내원통(11)의 슬릿(11b)내를 축방향 윗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지우개고무받침대(14)가 도 13(b)와 같은 상태로 된다.
또, 필심을 새로 공급하려는 경우, 뒷부위캡(12)을 잡고서 당기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를 남기고 안내원통(11)에서부터 윗쪽에 위치하는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독립된 일체 조립품으로 되어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받침부를 가진 큰직경부(17a)를 통해 한꺼번에 여러개의 필심을 필심탱크(2)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2실시예는 측방녹크조작만으로 선단파이프(8) 및 필심을 조출시킬 수가 있도록 된 것이다. 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뒷부위의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구조적으로 분리되어져 있기 때문에, 앞부위의 필기구와 뒷부위의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기능적올 완전히 독립되게 된다. 즉, 미끄럼이동부재(17)의 뒷끝이, 필심을 새로 공급할때의 유도수단으로 작용하도록 내부에 깔대기 형상부(17ℓ)가 형성된 길이가 짧은 대경부(17h)를 가진 구조로 형성되고서, 이 대경부(17h)에서 떨어져서는 고정원통(18)이 외통(1)내에 강하게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고정원통(18)의 외주에는 단면상 뒷 끝에 직립부를 갖고서 앞쪽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도록 된 경사면부를 가진 환상돌기(18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원통(18)을 도구를 가지고 뒷끝으로부터 강하게 압입하게 되면, 이 환상돌기(18a)가 찌부러진 상태로 되어 고정원통(18)이 외통(1)내에 완전히 고정설치되게 된다. 이 고정원통(18)내에는 안내원통(11)이 쉽게 뽑아낼 수 있게 걸어맞춰져지면서, 이 고정원통(18)의 상단면이 축중심방향으로 필심이 삽입되기 쉽도록 깔때기형상을 한 경사면(18b)을 갖도록 되어 있다. 기타의 지우개고무조출기구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필심을 보충할 경우, 안내원통(11)의 뒷쪽으로 노출된 큰직경부(11c) 또는 뒷쪽캡(12)을 잡고서 지우개고무조출기구를 뽑아내면, 고정원통(18)을 남겨두고 외통(1)으로부터 일체로 조립된 지우개고무조출기구 전체가 쉽게 꺼집어내어질 수 있게 되어 필심을 쉽게 보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앞부위 샤아프펜슬기구와 뒷부위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완전히 기능적으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뒷부위의 회전운동이 앞부위로 전달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하는 등의 별도의 기술적 배려가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양 기구가 완전히 독립되어 있음과 더불어 샤아프펜슬기구가 외통(1)에 강하게 고정된 고정원통(18)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글자를 지울때의 압력이 샤아프펜슬기구에 전해져 필심이 필요없이 송출된다거나 또는 지우개고무가 조금이라도 후퇴하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에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홈(17e,17f)을 형성시키는 한편 이들 걸림홈(17e,17f)에 대응해서 외통(1)의 내주부에다 걸림리브(1a; 도 5)를 형성시켜 놓으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외통(1)의 상대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좋다. 즉,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뒷쪽을 향해 하강하는 경사면(17c)을 갖고서, 이것이 외통(1)내에 조립될 때 외통(1)에 설치된 측방녹크레버(16)와 마주보도록 위치해 있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조립할 때 외통(1)의 걸림리브(1a)에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걸림홈(17e,17f)이 맞춰져 조립되면 방향성좋게 조립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이들 걸림홈(17e,17f)은 회전저지기능 즉 위치결정기능을 하기만 한다면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걸림홈(17e,17f) 대신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쪽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키고서 이에 대응해서 외통(1)의 내주부에다 걸림홈을 형성시켜도 마찬가지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3실시예에서는 측방녹크 및 후단녹크조작이 가능한 것으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뒷부위인 받침부(17a)와, 이 받침부(17a)와 앞쪽의 경사면부(17c)사이에서 내부에 필심통로(17j)를 가진 중간파이프(17d), 상기 받침부(17a)의 앞쪽부위에 형성된 연장부(17i)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17i)의 앞 끝에 직접 척(3)이 압입·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치되었던 되돌림스프링(10a)을 제외시키는 것이가능하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이 실시예는 측방녹크조작만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뒷끝부위가 짧게 되고서 지우개고무조출기구가 제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샤아프펜슬 전체가 훨씬 짧아질 수가 있기 때문에 미니샤아프펜슬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참조부호 13a는 캡을 겸하는 짧은 지우개고무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이는 상기 제2 및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측방녹크만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앞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의 그립부재를 없게 함으로써 부품수를 될 수 있는대로 적게한 샤아프펜슬이다.
본 고안이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서 뒷부위에 충분한 공간이 마련됨과 더불어, 예비필심도 수용할 수 있게 필심탱크 및 미끄럼왕복이동부재의 내경을 크게할 수가 있고, 그립부재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측방녹크의 결점인 맨처음의 필심을 내보낼 때 연속해서 녹크를 해야하는 경우에도, 필심을 쉽게 조출시킬 수 있도록 후단녹크도 겸비한 샤아프펜슬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미끄럼왕복이동부재를 한개의 부품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도 싸고 조립도 간단한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선구(7)를 가진 외통(1)과, 이 외통(1)의 축선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외통(1)내에 삽입된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 이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에 접속된 척(3), 이 척(3)의 외주에 느슨하게 끼워진 척링(4), 이 척링(4)을 포함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를 외통(1)의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스프링(6) 및 상기 외통(1)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17)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스프링(6)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힘에 대항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를 외통(1)의 앞끝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측방녹크기구로 이루어진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상기 측방녹크기구가 닿게 되는 경사면부(17c)와, 이 경사면부(17c)의 뒷쪽에 형성되어 외통(1)의 내경과 대략 같은 외경을 가진 큰직경부(17a,17h) 및 상기 경사면부(17c)와 상기 큰직경부(17a,17h)를 관통해서 축선방향으로 뻗은 필심통로(17j)가 내부에 형성된 중간파이프(17d)를 갖춘 1개의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녹크기구가 녹크레버(16)를 갖추고서 외통(1)의 그립부(15) 뒷쪽에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3.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외통(1)에 이들 상호간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저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통로(17j)의 직경이 필심을 동시에 여러개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뒷쪽인 외통(1)의 후단부내에 봉상물조출기구가 조립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상기 봉상물조출기구가 후단녹크할 수 있게 접속되고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상기 봉상물조출기구를 구성하는 안내원통(11) 사이에 상호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이 갖춰지는 한편,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외통(1)사이에도 상호 회전을 처리하는 회전방지수단이 갖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와 외통(1)사이의 회전방지수단이, 상기 외통(1) 또는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걸림홈(17e,17f)과 상기 외통(1) 또는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걸림리브(1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큰 직경부(17a)가 뒷쪽으로 연장되어 내부가 받침부를 이루고서, 이 받침부에 봉상물조출기구가 끼워맞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의 뒷부위내에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뒷끝에서 떨어진 위치에 슬리이브역할을 하는 고정원통(18)이 고정설치되고서, 이 고정원통(18)내에 상기 봉상물조출기구가 뽑아내어질 수 있게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큰직경부(17h)가 필심을 받아 필심통로(17j)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이 상기 큰직경부(17h) 내면에 형성된 깔때기형상부(17ℓ)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3)의 후단부가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상기 필심통로(17j)에 직접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가 그 선단부에 받침부(17m)를 갖고서, 이 받침부(17m)에 왕복이동할 수 있게 후단부가 삽입되어 이음부재역할을 하는 필심탱크(2)를 매개로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 상기 척(3)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탱크(2)의 후단부와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 사이에 간극(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외통(1)과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앞끝사이에 상기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를 상기 외통(1)의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되돌림스프링(10a)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탱크(2)의 내경과 미끄럼왕복이동부재(17)의 내경이 필심을 통해 동시에여러개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KR2019950007002U 1994-07-22 1995-04-10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Expired - Lifetime KR01208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29394 1994-07-22
JP94-191293 1994-07-22
JP94-267965 1994-09-27
JP26796594A JP3501418B2 (ja) 1994-07-22 1994-09-27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342U KR960004342U (ko) 1996-02-14
KR0120875Y1 true KR0120875Y1 (ko) 1998-07-15

Family

ID=2650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002U Expired - Lifetime KR0120875Y1 (ko) 1994-07-22 1995-04-10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5791797A (ko)
JP (1) JP3501418B2 (ko)
KR (1) KR01208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048B1 (ko) * 2002-08-23 2005-10-2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 받침대 및 이 봉상물 받침대를 갖춘 필기구의 원통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418B2 (ja) * 1994-07-22 2004-03-02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100428482B1 (ko) * 1995-01-30 2004-07-27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측부노크식샤프펜슬
JPH10129182A (ja) * 1996-10-31 1998-05-19 Kotobuki Kk サイドノックシャープペンシル
JPH11129679A (ja) * 1997-10-27 1999-05-18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JP3490008B2 (ja) * 1998-12-25 2004-01-26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KR100369763B1 (ko) * 2001-06-19 2003-01-30 주식회사 모리스산업 필기구
EP1441964A1 (en) * 2001-11-06 2004-08-04 Henrik Bartholin Blister knife
FR2926244B1 (fr) 2008-01-16 2010-02-19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muni d'une gomme protegee par un manchon
CN101797858A (zh) 2010-03-17 2010-08-11 王元鸿 侧按活动铅笔
US8734040B2 (en) 2011-06-09 2014-05-27 A.T.X.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with propulsion mechanism
US9335874B2 (en) 2013-03-12 2016-05-10 Bby Solutions, Inc. Validated touchscreen stylus interaction method
US9063588B2 (en) 2013-03-12 2015-06-23 Bby Solutions, Inc. Grip-enabled touchscreen stylus
FR3047690B1 (fr) * 2016-02-11 2018-03-16 Societe Bic Portemine a bouton lateral et distribution de gomme et procede d'assemblage
FR3047689B1 (fr) 2016-02-11 2019-06-28 Societe Bic Instrument d'ecriture a assemblage autobloquant
CN107264129B (zh) * 2016-03-30 2018-09-25 天津大学 一种推拉式旋芯自动笔的使用方法
CN110962490B (zh) * 2019-12-22 2020-10-09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按压自锁结构以及采用该结构的按压笔
JP7661108B2 (ja) * 2021-04-28 2025-04-14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6072A (en) * 1922-07-21 1932-07-05 Pencil Mechanism Corp Magazine lead pencil
US1518822A (en) * 1924-03-26 1924-12-09 Saadi Edward Pencil
DE802797C (de) * 1948-10-02 1951-02-26 Stefan Dr-Ing Steuer Fuellbleistift mit feststehender Spitze
DE1020256B (de) * 1953-06-08 1957-11-28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Handschreibgeraet mit durch Querdruck auf einen querelastischen Teil des Schreibgeraeteschaftes laengsbeweglich gefuehrter Klemmzange
US3836264A (en) * 1972-02-15 1974-09-17 Mitsubishi Pencil Co Mechanical pencil
US3883253A (en) * 1972-03-03 1975-05-13 Pentel Kk Mechanical pencil
ATA872573A (de) * 1973-10-12 1976-08-15 Faber Castell A W Fullminenstift mit verschiebbarer mine
US3813176A (en) * 1973-04-02 1974-05-28 Mitsubishi Pencil Co Ever-sharp pencil
JPS5212489A (en) * 1975-07-17 1977-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nector
US4270870A (en) * 1977-05-22 1981-06-02 Ancos Co., Ltd.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JPS5727380U (ko) * 1980-07-22 1982-02-13
US4381158A (en) * 1980-12-29 1983-04-26 Dino L. Garganese Writing instrument
US5236271A (en) * 1985-08-10 1993-08-17 Micro Co., Ltd. Automatic mechanical pencil
DE3642283C1 (de) * 1986-12-08 1988-03-10 Herlitz Ag Fuellfederhalter mit einem auswechselbaren Loeschteil
US4929107A (en) * 1987-06-12 1990-05-29 Kotobuki & Co., Ltd. Swing-type mechanical pencil
KR890701377A (ko) * 1987-06-27 1989-12-20 호리에 유키오 필 기 구
EP0311121B1 (en) * 1987-10-09 1993-10-27 KOTOBUKI & CO., LTD. Writing tool
JPH01110199A (ja) * 1987-10-23 1989-04-26 Kotobuki:Kk シヤープペンシル
JPH0295800A (ja) * 1988-09-30 1990-04-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噴流ポンプ
JPH0310899A (ja) * 1989-06-08 1991-01-18 Ankosu Kk つまみ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H048000A (ja) * 1990-04-25 1992-01-13 Sony Corp 立体音響再生装置
JP2848924B2 (ja) * 1990-06-15 1999-01-20 株式会社寿 棒状物繰出装置付筆記具
JP2540964Y2 (ja) 1991-02-21 1997-07-09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574343Y2 (ja) 1991-02-22 1998-06-11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装置
US5354141A (en) * 1991-03-04 1994-10-11 Pilot Precision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encil with shaking type lead-feeding mechanism
JP3501418B2 (ja) * 1994-07-22 2004-03-02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048B1 (ko) * 2002-08-23 2005-10-2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 받침대 및 이 봉상물 받침대를 갖춘 필기구의 원통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91797A (en) 1998-08-11
JPH0885292A (ja) 1996-04-02
US5836707A (en) 1998-11-17
JP3501418B2 (ja) 2004-03-02
US5702193A (en) 1997-12-30
US6210058B1 (en) 2001-04-03
US6099182A (en) 2000-08-08
KR960004342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875Y1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KR101269801B1 (ko) 복합필기구
US6749354B2 (en) Composite writing implement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JPH0226698Y2 (ko)
KR100397300B1 (ko) 2중척식 샤프펜슬 및 그 내부필기기구
KR100507891B1 (ko) 이중척식 샤프펜슬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JP2557187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とボールペンの多芯筆記具
JP2578084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162605Y1 (ko) 2중척식 샤아프펜슬
JP3761504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3503270B2 (ja) 多芯筆記具
KR920004690Y1 (ko) 복합필기구의 지우개 송출장치
JPH0440953Y2 (ko)
KR200240539Y1 (ko) 샤아프펜슬
KR880001861B1 (ko) 필기구
KR930003576Y1 (ko) 플로터용 샤아프펜슬
JPH078237Y2 (ja) ノック式筆記具
KR0119113Y1 (ko) 흔들어식 샤아프펜슬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S6323180Y2 (ko)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10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4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3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