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8771Y1 -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 Google Patents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771Y1
KR0118771Y1 KR2019950020504U KR19950020504U KR0118771Y1 KR 0118771 Y1 KR0118771 Y1 KR 0118771Y1 KR 2019950020504 U KR2019950020504 U KR 2019950020504U KR 19950020504 U KR19950020504 U KR 19950020504U KR 0118771 Y1 KR0118771 Y1 KR 0118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lt
disk
present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243U (ko
Inventor
손연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2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771Y1/ko
Publication of KR970009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16D65/123Discs; Drums for disc brakes comprising an annular disc secured to a hub member; Disc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84Connection to wheel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92Conne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크와 허브를 체결할 때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에 브라켓을 삽입하여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 제동장치의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가 보울트(60)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60) 중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6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단에 보울트(60)를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양끝단부를 절곡시커 보울트(60)의 한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14)가 형성된 브라켓(10)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제1도는 일반적인 제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제동장치의 디스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브라켓이 제동장치의 디스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을 보인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브라켓과 보울트의 설치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브라켓12:삽입홈
14:절곡부50:드라이브 샤프트
52:너클54:더스트 커버
56:휘일 허브58:디스크
60:보울트62:헤드
본 고안은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와 허브를 체결할 때 서로 대항하는 보울트에 브라켓을 삽입하여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바퀴의 안쪽에 장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드럼 또는 브레이크 디스크 등에 마찰재를 밀어붙여 그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로 페달을 밟음으로써 모든 바퀴에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고속화에 따라 드럼식 보다 성능적으로 뛰어난 디스크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며 디스크 브레이크는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로 양쪽에서 제동패드를 유압에 의해 밀어붙여 제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예시되면 제1도 및 2도는 종래의 제동장치 및 디스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드라이브 샤프트(50)의 끝단부는 너클(52)과 결합되고 너클(52)의 돌기부는 바디의 더스트 커버(54)를 관통하여 휘일 허브(56)에 삽입되고 브레이크 디스크(58)의 중심을 관통하여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휘일 허브(56)는 디스크(58)와 다수개의 보울트(60)로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는 주행 중에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특히 디스크(58)는 제동시 디스크(58)의 양쪽 표면에 마찰을 가하여 회전을 감속시키는 구조로되어 있어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의 체결부위에서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의 체결부위는 풀림방지를 위해 바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다수개의 보울트(60)중 하나라도 풀림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차에 치명적인 안전상의문제가 제기되며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 사이에 유동이 발생되어 제동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크와 휘일 허브를 체결하는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디스크의 유동을 방지하고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크와 휘일 허브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보울트 중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에 브라켓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브라켓의 끝단부를 너트의 한면에 밀착시켜 절곡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은 자동차 제동장치의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가 보울트(60)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60) 중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6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단에 보울트(60)를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양끝단부를 절곡시켜 보울트(60)의 한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14)가 형성된 브라켓(10)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이 디스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브라켓을 보인 정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브라켓을 보인 측면도이며, 제6도는 보울트의 헤드의 한면에 절곡부를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은 주행 중에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특히 디스크(58)는 제동시 디스크(58)의 양쪽 표면에 마찰을 가하여 회전을 감속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의 체결부위가 보울트(60)로 체결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60)를 한쌍으로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에는 2개의 보울트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절곡부(14)가 형성된 브라켓(10)을 제3도와 같이 한쌍의 보울트(60)에 삽입하고 절곡부(14)를 절곡시키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10)은 디스크(58)와 휘일허브(56)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보울트(60) 중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60)를 한쌍으로 하여 삽입되고 예시도면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14)를 절곡시켜 통상의 육각 보울트(60)의 헤드(62)의 한쪽면에 각각 밀착시켜 절곡부(14)를 절곡시키므로 보울트(60)의 회전을 억제하게되어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디스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제동장치의 디스크(58)와 휘일 허브(56)가 보울트(60)로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60) 중 서로 대향하는 보울트(6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양단에 보울트(60)를 삽입홈(12)이형성되고, 양끝단부를 절곡시켜 보울트(60)의 한쪽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부(14)가 형성된 브라켓(10)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KR2019950020504U 1995-08-09 1995-08-09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KR0118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04U KR0118771Y1 (ko) 1995-08-09 1995-08-09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04U KR0118771Y1 (ko) 1995-08-09 1995-08-09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243U KR970009243U (ko) 1997-03-27
KR0118771Y1 true KR0118771Y1 (ko) 1998-07-01

Family

ID=1942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504U KR0118771Y1 (ko) 1995-08-09 1995-08-09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243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9643A2 (en) Symmetric brake clip
US7575107B2 (en) Brake disc
US5588508A (en) Disk brake using a pulled pad with permanent bearing
EP0826894B1 (en) Disc brake device
US3998296A (en) Anti-rattle spring for a motor vehicle disc brake
KR0118771Y1 (ko) 제동장치의 디스크 풀림방지를 위한 브라켓
JPS60157523A (ja) デイスクブレーキ
KR100456966B1 (ko) 자동차 제동시 진동저감장치
JP2649617B2 (ja) 車輪回転センサの取付け構造
US5915505A (en) Disc brake system with unitary support
JPH1114158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00741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240170359A (ko) 드럼 브레이크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215931B1 (ko)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KR0137139Y1 (ko) 디스크 브레이크
CA1295954C (en) Friction pad support mechanism for disc brake
KR0119230Y1 (ko)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 구조
KR200200862Y1 (ko) 드럼식브레이크의브레이크라이닝설치장치
KR100325232B1 (ko) 에어 디스크 브레이크용 캘리퍼와 브레이크 쳄버의 커플링 구조
JPS5899525A (ja) フロ−テイングキヤリパ形デイスクブレ−キ
KR19980023703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패드 고정용 백플레이트 설치구조
KR19990027691A (ko) 디스크 브레이크 진동방지장치
KR980008723U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50056494A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KR19980066923U (ko) 자동차 전륜구동축의 베어링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8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3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