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4911Y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911Y1
KR0114911Y1 KR2019940009274U KR19940009274U KR0114911Y1 KR 0114911 Y1 KR0114911 Y1 KR 0114911Y1 KR 2019940009274 U KR2019940009274 U KR 2019940009274U KR 19940009274 U KR19940009274 U KR 19940009274U KR 0114911 Y1 KR0114911 Y1 KR 0114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treated water
treated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382U (ko
Inventor
임재한
윤운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9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911Y1/ko
Publication of KR950030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처리수에 오존을 반응시켜 정수를 행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일정량의 처리수(W)가 저류되는 저수탱크(10)와, 상기 저수탱크(10)내의 처리수(W)를 반구형상의 수막(24)이 형성되도록 분출하는 펌프(26), 상기 수막(24)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24a) 내로 오존(O3)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18)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코스트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구상으로 형성된 수막의 공동부내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의 용존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중오존농도를 증대시켜 수중에 용존된 오존에 의해 병원균의 살균 및 유기물, 중금속 등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위생적이고 청결한 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정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수탱크 18 : 오존발생기
24 : 수막 24a : 공동부
26 : 펌프 W : 처리수
본 고안은 수도물이나 생수 등의 음용수, 산업용의 공업용수 등을 정수처리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된 기체상태의 오존이 처리수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처리수중에 용존된 오존의 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정수효과가 향상되도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 생수 등의 음료수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공업용수는 침전, 여과, 소독, 등의 정수처리를 행함에도 불구하고, 수송관이나 주위환경의 오염 등에 의해 대장균 등의 병원균이나 중금속등이 유입됨으로써 인체나 산업부분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근래에는 음료수나 공업용수(이하, 통칭하여 처리수라 함.) 등의 처리수에 별도의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용존시키는 정종수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1)의 일측에는 처리수(W)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2)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수탱크(1)의 하측에는 그 내부에 저류된 처리수(W)를 배출시키는 소경부(3a)를 형성시킨 배출관(3)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부(3a)의 일측에는 오존발생기(4)로 부터 발생된 오존을 상기 배출관(3)의 내부로 유입시켜 처리수(W)내에서 용존되도록 하는 오존유입관(5)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존유입관(5)의 타측에는 오존발생기(4)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구(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관(2)을 통하여 공급된 저수탱크(1)내의 처리수(W)는 자중에 의해 배출관(3)의 내부로 낙하되어 소경부(3a)를 통과할 때 오존발생기(4)에서 발생된 오존이 오존유입관(5)을 통하여 상기소경부(3a)내로 유입시킨후 처리수(W)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W)내에 오존이 용존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오존 발생기(4)에서 발생되는 오존의 공급량은 소경부(3a)를 통과하는 처리수(W)의 유속에 따라 가변되어 공기흡입구(6)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배출관의 소경부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유속이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공기흡입구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공급량이 많게 됨으로써 오존발생기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이 많게 되어 오존의 발생량이 적게 되고, 이에 따라 오존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존의 농도가 낮게됨으로써 처리수중에 용존된 오존농도가 낮게되어 처리수의 처리효과가 미약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소경부를 통과하는 처리수의 유속이 현저히 저하될 경우에는 오존발생기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이 현저히 적게되어 오존의 발생량이 적게 됨으로써 역시 처리수내에 포함된 오존농도가 적게되어 소망하는 오존에 의한 처리수 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고 하는 등의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처리수에 형성된 공동부내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과 처리수가 효율적으로 반응되도록하여 추리수중에 용존된 오존의 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치는 처리수에 오존을 반응시켜 정수를 행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량의 처리수가 저류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내의 처리수를 반구형상의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출하는 펌프와, 상기 수막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내로 오존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코스트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구상으로 형성된 수막의 공동부내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의 용존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중오존농도를 증대시켜 수중에 용존된 오존에 의해 병원균의 살균 및 유기물, 중금속 등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위생적이고 청결한 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10)은 내부에 처리수(W)가 저수되는 저수탱크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는 처리수(W)를 공급하는 급수구(12) 및 정화된 처리수(W)를 배출시키는 배구수(1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급수구(12) 및 배수구(14)는 별도의 펌핑수단, 예컨대 펌프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급수 및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10)의 일측에는 공기공급수단(16)으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무성방전 또는 전기분해 등을 가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오존발생기(18)에서 발생된 오존은 오존공급관(20)을 통하여 상기 저수탱크(10)내의 처리수(W)에 공급되도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10)의 내측에는 분수관(22)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처리수(W)를 분사시켜 내측에 공동부(24a)가 형성되도록 수막(24)을 형성시키는 펌프(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분수관(22)의 선단에는 처리수(W)의 수면위에 위치되어 수막(24)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는 분사노즐(22a)이 결합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치에 대한 착용 및 설명한다.
먼저, 급수구(12)를 통하여 일정량의 처리수(W)가 저수탱크(10)내로 급수되면, 펌프(26)가 작동하여 분수관(22)내로 처리수(W)를 분사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분사노즐(22a)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처리수(W)는 수면위에 반구(半球)형상의 수막(24)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막(24)의 내부에는 공동부(24a)가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수막(24)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24a)내에는 오존발생기(18)에서 발생된 오존(O3)이 오존공급관(20)을 통하여 공급되어 진다.
즉, 공기공급수단(16)으로 부터 대기중의 공기(즉, 질소79%, 산소 21%로 이루어지는 공기)가 오존발생기(18)내로 공급되어지면, 상기 오존발생기(18)에서는 무성방전 또는 전기분해 등에 의해 오존(O3)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18)에서 발생된 오존(O3)이 오존공급관(20)을 통하여 상기 수막(24)의 공동부(24a)내로 공급되면 상기 공동부(24a)내에는 다량의 오존(O3)이 저장되어지고, 상기 공동부(24a)내에 저장된 오존(O3)은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수막(24)의 내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용이하게 용존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22a)을 통하여 분사되는 처리수(W)는 펌프(26)에서 급수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처리수(W)를 곧바로 분사시킴으로써, 처리수(W)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오존(O3)의 용존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부(24a)내에 공급된 오존(O3)이 수막(24)의 내측면과 계속적인 접촉으로 반응이 이루어져 처리수(W)중의 오존농도를 현저히 증대시켜 처리수(W)를 정수하게 되며, 정수된 처리수(W)는 배수구(14)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즉, 처리수(W)중에는 다량의 오존(O3)이 용존됨에 따라 대장균 등의 병원균을 살균시킴과 동시에 유기물리안 중금속 등을 제거하여 매우 위생적이고 청결한 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코스트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구상으로 형성된 수막의 공동내부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의 용존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중오존농도를 증대시켜 수중에 용존된 오존에 의해 병원균의 살균 및 유기물, 중금속 등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위생적이고 청결한 물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의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돗물이나 공업용수 등을 정수하는데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세탁기, 가습기, 정수기 등의 가전기기, 또는 하수, 폐수처리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처리수에 오존을 반응시켜 정수를 행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량의 처리수(W)가 저류되는 저수탱크(10)와, 상기 저수탱크(10)내의 처리수(W)를 반구형상의 수막(24)이 형성되도록 분출하는 펌프(26), 상기 수막(24)의 내측에 형성된 공동부(24a)내로 오존(O3)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오존발생기(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6)는 저수탱크(10)내에 설치되고, 상기펌프(26)의 작동에 따라 형성되는 수막(24)은 처리수(W)의 수면위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KR2019940009274U 1994-04-29 1994-04-29 정수장치 KR0114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74U KR0114911Y1 (ko) 1994-04-29 1994-04-29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74U KR0114911Y1 (ko) 1994-04-29 1994-04-29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82U KR950030382U (ko) 1995-11-20
KR0114911Y1 true KR0114911Y1 (ko) 1998-04-15

Family

ID=1938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274U KR0114911Y1 (ko) 1994-04-29 1994-04-29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9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382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6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or intermittent supply of ozonated water
WO2018139551A1 (ja) 飲料水生成装置
KR102370130B1 (ko) 오존수를 활용한 세정장치
JP5808030B1 (ja) 空気清浄装置
KR0114911Y1 (ko) 정수장치
KR20160068422A (ko) 필터 엘리먼트 세척 장치
JP3625271B2 (ja) 紫外線反応装置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5200224B2 (ja) 水処理装置
KR19980026575U (ko) 오존수 제조장치
CN2908478Y (zh) 羟基自由基对污水消毒解毒净化装置
KR100615455B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의 고압세척 장치
KR20230139419A (ko) 폐염수 재활용장치
JPH04135694A (ja) 水処理装置
KR100641065B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살균장치
KR100871416B1 (ko) 오존살균수 생성장치
KR200399286Y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살균장치
JP4144394B2 (ja) 膜濾過器の膜洗浄装置
WO2002060820A2 (en) Photooxidation water treatment device
JP2004160384A (ja) 無排気型紫外線オゾン併用殺菌浄化装置
TWI301775B (ko)
KR102473760B1 (ko)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탈취 장치
JPH1133535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4575270B2 (ja) 余剰汚泥減量化設備
KR100411956B1 (ko) 고효율 오존 산소 접촉 장치
RU2238248C2 (ru) Аэратор-окислитель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4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