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4878Y1 -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878Y1
KR0114878Y1 KR2019940004234U KR19940004234U KR0114878Y1 KR 0114878 Y1 KR0114878 Y1 KR 0114878Y1 KR 2019940004234 U KR2019940004234 U KR 2019940004234U KR 19940004234 U KR19940004234 U KR 19940004234U KR 0114878 Y1 KR0114878 Y1 KR 0114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conditioner
ionizer
charged
electr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4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096U (ko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2019940004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878Y1/ko
Publication of KR950028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878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서 먼지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대전된 먼지가 미처 포집되지 못하고 포집과정을 빠져 나온 작은 양의 미세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냉,난방코일 및 닥트(Duct)가 먼지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방식 또는 이오나이저방식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기집진기(4) 또는 이온화부(5)의 후면에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중성화시키는 제전장치(1)를 설치함으로서 전기집진기나 이오나이저에서 양성화(+이온화)시키거나 음성화(-이온화)시킨 먼지를 포집극판에 포집한 후 미처 포집되지 못한 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먼지가 극화되어 냉, 난방코일이나 닥트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제1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먼지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전기집진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이오나이저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조화기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전기집진기와 최종훨터 사이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도이고, (b)는 최종훨터 다음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도이다.
제3도는 이오나이저 방식의 공기조화기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이온화부와 최종훨터 사이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도이고, 최종훨터 다음에 본 고안을 실시한 상태도이다.
제4도는 공기조화기의 닥트에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전장치 2 : 프리훨터(Prefilter)
3 : 최종훨터 4 : 전기집진기
5 : 이온화부(Ionized Part) 6 : 휀(Fan)
7 : 냉,난방코일 8 : 닥트(Du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서 먼지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대전된 먼지가 미처 포집되지 못하고 포집과정을 빠져 나온 작은 양의 미세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냉,난방코일 및 닥트(Duct)가 먼지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방식 또는 이오나이저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최종훨터의 전면이나 후면에 먼지를 중성화시키는 제전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전기집진기나 이오나이저에서 양성화(+이온화)시키거나 음성화(-이온화)시킨 먼지를 포집극판에 포집한 후 미처 포집되지 못한 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먼지가 극화되어 냉,난방코일이나 닥트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전장치에 의한 먼지의 중성화원리는 제전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제전장치에서 +와-이온이 발생하여 먼지와 역극성이 이온이 먼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전장치의 이온과 먼지의 전하가 재결합됨으로서 먼지가 중화되는 원리이다.
그리고, 전지집진방식이나 이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는 프리훨터에서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제거한 후 상기 프리훨터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성장시켜 최종훨터로 포집함으로서 먼지를 제거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지집진방식 공기조화기의 먼지제거장치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리훨터(2)의 후면에 전기집진기(4)을 설치하되, 상기 전기집진기(4)는 먼지를 + 또는 - 로 대전시키는 이온화부(4a)의 후면에 이온화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4b)를 형성하며, 상기 전기집진기(4)의 후면에 최종훨터(3), 냉,난방코일(7) 및 휀(6)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훨터(2)에서 입자가 큰 먼지를 1차 제거하고, 상기 프리휄터(2)를 통과한 먼지를 이온화부(4a) 에서 + 또는 - 전하로 대전시킨 후 집진부(4b)에서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 또는 + 극판에 전기적 인력으로 흡착시켜 먼지를 성장포집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예를들어, 이온화부(4a)에서 + 전하를 방전시텨 먼지는 + 전하로 대전시키게 되면 집진부(4b)의 + 극판은 반발극판으로 작용하여 + 로 대전된 먼지알갱이를 - 극판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 전하로 대전된 먼지는 - 극판에 붙게 된다(상기 반발극판은 생략되기도 함).
따라서, - 극판상에는 미세한 먼지들이 쌓이면서 성장을 하게 되는데, 먼지가 일저크기 이상으로 성장되게 되면 휀(6)의 풍력에 의해 성장된 먼지는 - 극판에서 이탈되어 최종훨터(3)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전기집진방식 공기조화기는 그 집진효율이 최고 90-95%(비색법, 이하같음)로서 5-10%의 먼지는 이온화된 상태로 집지부(4b)에 포집되지 아니하고(성장이 이루어 지지아니 하였으므로) 최종훨터(3)를 쉽게 통과하여 냉, 난방코일(7)이나 닥트의 벽면에 붙게 된다.
따라서, 냉, 난방코일(7)이나 닥트에서 일정크기 이상으로 미세먼지가 성장되면 풍력에 의해 코일 및 닥트로 부터 이탈되어 사람이 위치한 공간으로 유입되게 되므로서 공기중에 큰 입자의 먼지가 날아다니게 되어 불쾌감을 불러일으키고 특히, 수술실 또는 음식점들과 같이 청결을 핑요로 하는 장소에서는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리고 이오나이저 방식 공기정화기의 먼지 제거장치는 제1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리훨터(2)의 후면에 침상돌기가 다수 부착된 이온화부(5)를 설한 후 최종훨터(3), 냉,난방코일(7) 및 휀(6)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프리휠터(2)를 통과한 먼지는 이온화부(5)에서 12000-20000V의 고압 코로나 방전으로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후 상호 전기적인 인력으로 인하여 상호 달라붇게 되어 먼지의 성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후 성장된 먼지는 최종휠터(3)에 물리적 또는 전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흡착된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상기 전기집진방식과 같이 5-10%는 최종휠터를 통과하게 되어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가 냉,난방코일(7)이나 닥트에 흡착하게 되어 먼지의 성장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전기집진방식과 같이 인체에 해를 입히게 된다.
다시말해 전지집진방식이나 이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는 최종휠터를 통과한 먼지의 양은 인체에 해를 미치치 않는 5-10%정도의 양에 불과하나 최종휠터를 통과하는 먼지는 + 또는 - 전하로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냉, 난방코일이나 닥트 등에 흡착되어 성장되므로 냉, 난방코일의 열효율을 저하시킴은 물론 성장된 먼지가 풍속에 의해 인체주변으로 비산되므로서 인체에 큰 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전된 상태로 최종휠터를 빠져나간 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냉,난방코일이나 닥트에 먼지가 전기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의 성장을 방지함으로서 청결한 실내공간을 확보함을 물론 냉, 난방코일의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지집진방식 또는 이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지집진기 또는 이온화부의 후면에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중성화시키는 제전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조화기에 본 고안인 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로서, (a)는 전기집진기와 최종휠터 사이에 본 고안인 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것이고, (b)는 최종휠터 다음에 본 고안인 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입자의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휠터(2)와, 상기 프리휠터(2)다음에 설치되어 프리휠터(2)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 또는 - 전하로 대전시키는 이온화부(4a)와, 상기 프리휠터(2)의 후면에 설치되어 이온화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4b)와, 상기 집진부(4b)의 후면에 설치되어 집진부(4b)에서 포집되어 성장된 먼지를 제거하는 최종휠터(3)와, 상기 최종휠터(3)의 후면에 설치되어 냉, 온수가 공급되는 냉,난방코일(7)과, 상기 냉,난방코일(7)의 후면에 설치되어 먼지가 제거되고, 가열 및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휀(6)으로 구성된 전기집진방식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4a)와 집진부(4b)로 구성된 전기집진장치(4)의 후면에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중화시키는 제전장치(1)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전장치(1)는 최종휠터(3)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집진장치(4)의 집진부(4b)에서 성장시키지 못한 미세먼지는 최종휠터(3)를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집진방식 공기조화기는 입자가 큰 먼지는 1차 프리휠터(2)에서 제거하고, 상기 프리휠터(2)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를 이온화부(4a)에서 + 또는 - 전하로 대전시켜 집진부(4b)에서 먼지를 성장시켜 성장된 먼지를 최종휠터(3)에서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 집진부(4b)를 빠져나온 성장되지 않은 먼지는 + 또는 - 전하로 대전되어 있게 된다.
제전장치(1)에서 대전된 먼지를 중회시키게 되므로 최종휠터(3)를 통과한 먼지는 종래와 같이 냉, 난방코일(7)이나 공기의 이동통로인 닥트의 내벽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도는 이오나이저방식의 공기조화기에 본 고안인 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이온화부와 최종휠터 사이에 본 고안인 ㄴ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최종휠터 다음에 본 고안인 제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입자를 제거하는 프리휠터(2)와, 상기 프리휠터(2)다음에 설치되어 프리휠터(2)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 또는 - 전하로 대전시켜 미세먼지를 성장시키는 이온화부(5)와, 상기 이온화부(5)후면에 설치되어 이온화부에 의해 성장된 먼지를 제거하는 최종휠터(3)와, 상기 최조휠터(3)의 후면에 설치되어 냉,온수가 공급되는 냉,난방코일(7)과, 상기 냉,난방코일(7)의 후면에 설치되어 먼지가 제거되고 가열 및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휀(6)으로 구성된 아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부(5)의 후면에 + 또는 - 전하로 이온화된 먼지를 중화시키는 제전장치(1)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전장치(1)는 전기집진방식과 같이 최종휠터(3)으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는 입자가 큰 먼지는 1차 프리훨터(2)에서 제거하고, 상기 프리휠터(2)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를 이온화부(5)에서 + 또는 - 전하로 대전시켜 상호 전기적인 인력으로 인하여 상호 달라붙게 하여 먼지를 성장시킨 후 최종휠터(3)에서 성장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서, 성장되지 않은 채 최종휠터(3)를 빠져나온 먼지는 + 또는 - 전하로 대전되어 있게 되나 제전장치(1)에서 대전된 먼지를 중화시키게 되므로 최종휠터(3)를 통과한 먼지가 종래와 같이 냉, 난방코일(7)이나 닥트의 내벽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전장치(1)에서 + 이온 및/또는 - 이온을 대량으로 방출하게 되므로 + 또는 - 전하에 의해 대전된 먼지는 중화되어 전기력을 잃게 되므로 냉,난방코일이나 닥트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닥트(8)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동안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운동에너지에 의해 다시 + 또는 - 전하로 대전되어 닥트(8)내벽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닥트(8)의 중간중간에 일정거리로 다수개의 제전장치(1)을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최종힐터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중성화시킴으로서 미세먼지가 냉,난방코일이나 닥트의 내벽에 흡착되는 것을 바지하여 냉, 난방코일의 열효율을 증대시키고, 미세먼지가 상기 냉,난방코일 및 닥트에 흡착되므로서 성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실내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기집진방식 또는 이오나이저방식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기집진기(4) 또는 이온화부(5)의 후면에 + 또는 - 전하로 대전된 먼지를 중성화시키는 제전장치(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장치(1)가 전기집진기(4) 또는 이온화부(5)와 최종휠터(3)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장치가 최종휠터(3)와 냉,난방코일(7)사이에 설치도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장치(1)가 공기조화기의 공기공급통로인 닥트(8)에 일정거리로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2019940004234U 1994-03-05 1994-03-05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0114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234U KR0114878Y1 (ko) 1994-03-05 1994-03-05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4234U KR0114878Y1 (ko) 1994-03-05 1994-03-05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096U KR950028096U (ko) 1995-10-20
KR0114878Y1 true KR0114878Y1 (ko) 1998-04-18

Family

ID=1937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4234U KR0114878Y1 (ko) 1994-03-05 1994-03-05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8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745B1 (ko) * 2021-02-24 2021-10-05 백정현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745B1 (ko) * 2021-02-24 2021-10-05 백정현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096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521A (en)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KR920004208B1 (ko) 공기 청정기용 전기 집진장치
US20050051028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with insulated driver electrodes
KR102221735B1 (ko) 대전부와 집진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가변형 양방향 정전필터 시스템
US7803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iltration
WO2010048223A2 (en) Electrically enhanced air filtration system using rear fiber charging
KR20110046420A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32612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0114878Y1 (ko)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JP2004286418A (ja) 空気浄化装置
KR20040007007A (ko) 우레탄 필터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US5711788A (en) Dust neutralizing and floculating system
KR20110123542A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JP2010142773A (ja) 集塵装置
JP2627575B2 (ja) 半導体製造用クリーンルームの海塩粒子汚染防止方法
JP3976611B2 (ja) イオン除去装置及びイオン除去方法
EP1652587A2 (en) Air conditioner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US20070180995A1 (en) Air Cleaning Device II
KR20030075703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KR0146943B1 (ko) 열교환기의 먼지흡착방지장치
JP2006132928A (ja) 空気調和機
KR20030075702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 필터
JPH06134340A (ja) 集塵電極,塵あい粒子帯電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システム機器
JPS6283019A (ja) 集塵装置
JPH0727910U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3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052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609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