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 2013-2020 W3C® (MIT, ERCIM, Keio, Beihang). W3C liability, trademark and permissive document license rules apply.
This document describes requirements for general Korean language/Hangul text layout and typography realized with technologies like CSS, SVG and XSL-FO. The document is mainly based on a project to develop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Korean text layout.
이 문서는 CSS, SVG, XSL-FO 등의 기술에서 구현되는 일반적인 한국어/한글 텍스트 레이아웃과 타이포그래피를 위한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있다. 이 문서는 한글 텍스트 레이아웃에 대한 국제표준안 제안과제에 근거하고 있다.
This section describes the status of this document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Other documents may supersede this document. A list of current W3C publications and the latest revision of this technical report can be found in the W3C technical reports index at https://www.w3.org/TR/.
This document describes requirements for general Korean language/Hangul text layout realized with technologies like CSS, SVG and XSL-FO. The document is mainly based on a project to develop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Korean text layout, and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orean typographic experts and standardization experts in Korean, then translated to English under the guidance of the authors. The English version is the authoritative version. The Working Group expects this document to become a Working Group Note.
To make it easier to track comments, please raise separate issues or emails for each comment, and point to the section you are commenting on using a URL for the dated version of the document.
This document was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ization Working Group as a Working Group Note.
GitHub Issues are preferred for discussion of this specification.
Publication as a Working Group Note does not imply endorsement by the W3C Membership. This is a draft document and may be updated, replaced or obsoleted by other documents at any time. It is inappropriate to cite this document as other than work in progress.
This document was produced by a group operating under the W3C Patent Policy. The group does not expect this document to become a W3C Recommendation.
This document is governed by the 1 March 2019 W3C Process Document.
Every cultural group has its own language and writing system. Especially between East and West, the difference is great. Thus to digitize the writing system, a lot of data and technology is needed that accurately represents the language and writing system.
각각의 문화 공동체는 자신만의 언어와 문자 체계를 갖는다. 특히 동양과 서양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크다. 따라서 이러한 언어 시스템을 디지털화하여 표현하는 데는 언어 시스템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많은 정보와 기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explain th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writing system and others, in order to digitize it. However this document does not provide the solution for actual implementations or problems, but only describes the basic information tha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issues.
본 문서의 목적은 한국어/한글 시스템을 디지털화하는데 필요한 다른 언어와의 중요한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러나 실제 구현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기본적인 정보로서 중요하게 처리되어야 할 이슈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document was created by discussing the Korean related issues through Korea's Standard Infrastructure Enhancement Program and surveying needs from actual users and technical experts.
본 문서는 한국 기술 표준원의 표준기술력향상 사업의 지원과제를 통하여 많은 한국어 관련 이슈를 토론하고 실제 사용자와 기술적 전문가로부터 수집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The following types of experts were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document:
본 문서 작성에는 아래와 같은 전문가가 포함되어 있다 :
Korean typography experts
한국어 텍스트 폰트 전문가
International and Domestic (Korea) Standardization Experts
국제 및 국내(Korea) 표준 전문가
Academic and Industry Experts
학계, 산업계 전문가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are related to the Korean writing system, so all discussions took place in Korean, and were then translated into English once the document had been finished.
본 문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언급되는 내용은 한국어 시스템과 연관 있는 내용이므로, 모든 논의는 한국어로 진행되었으며, 개발된 한국어 문서를 기반으로 영문으로 번역되었다.
The technical terms for discussing and describing the Korean writing system were carefully selected after considering potential differences in nuance even if a direct translation exists, and in some parts they were described in both languages so the discussion can be continued in the future. Also many figures are included to promote understanding for certain parts that are hard to describe in English.
한국어 시스템에 대한 논의와 기술 시 기술적인 용어에 대해서는 해당 한국어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주위를 기울여 그 두 언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인 차이점과 뉘앙스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표현하여 향후 논의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많은 그림을 삽입하여 영어로 표현하기 힘든 부분에 대해서 가능한 쉽게 정리하는 노력을 하였다.
This document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system along the lines of the following principles.
이 문서는 다음의 정책을 따라 한국어의 특성을 주요하게 설명한다.
It does not cover every issue of Korean typography, but only the important differences from the Western language systems.
한국어 타이포그래피의 모든 이슈를 다루지 않는다. 그러나 서양 언어 시스템과 주요한 차이에 대해 논의한다.
All text in the figures is in Korean, but the technical aspects of actual implementation are not covered by this document.
모든 이미지의 텍스트는 한국어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를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은 본 문서의 범위 밖이다.
In order to help readers' understanding of how Korean is used, typical real life example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core combination properties.
독자가 내용에 대한 사용방법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제 사용되는 전형적인 예제를 제공한다.
Text layout rules and recommendations for readable design are different matters, but it is hard to discuss these two aspects separately. In this document, these two issues are separated carefully.
텍스트 레이아웃 규칙과 읽도록 하는 디자인의 권고안들은 서로 다르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이슈를 각각 독립적으로 논의하기는 어렵다. 본 문서에서는 이 두 형태가 조심스럽게 분리된다.
This document consists of six parts as below:
본 문서는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Introduction
소개
Hangul fonts
한글폰트
Character typography
글자 단위 타이포그래피
Paragraph typography
단락 단위 타이포그래피
Components besides paragraphs
문단 외 요소
Page layout
쪽 단위 레이아웃
The characters used in Hangul Fonts consist of the following: Hangul characters, punctuation marks, Latin alphabetic charac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한글 폰트의 글자는 한글, 문장부호, 로마자, 숫자, 특수문자(약물)로 구성된다.
The Hangul code ranges in Unicode consist of precomposed Hangul syllables and the Hangul 'Jamo' alphabet. (Refer to Appendix A for the code table.)
유니코드의 한글 영역에는 완성형 한글 글자와 자모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표는 부속서 A 참조)
Hangul Syllables: U+AC00 ~ U+D7A3
완성형 한글: U+AC00 ~ U+D7A3
Hangul Jamo: U+1100 ~ U+11FF
한글 자모: U+1100 ~ U+11FF
Hangul Jamo for Compatibility: U+3130 ~ U+318E
한글 호환 자모: U+3130 ~ U+318E
Hangul Jamo Extended-A: U+A960 ~ U+A970
한글 자모 확장-A: U+A960 ~ U+A970
Hangul Jamo Extended-B: U+D780 ~ U+D7FB
한글 자모 확장-B: U+D780 ~ U+D7FB
Following punctuation marks are used in a Hangul environment. (Refer to Appendix A for the code table.)
한글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장 부호를 사용한다. (코드표는 부속서 A 참조)
Basic Latin (U+0020~U+007F): Latin alphabet and numerals
기본 로마자 (U+0020~U+007F): 로마자(비례폭), 숫자, 반각 약물
General Punctuation (U+2010~)
일반 구독점 (U+2010~): 굽은 따옴표
Superscripts and Subscripts (U+2070~)
위첨자, 아래첨자 (U+2070~)
Currency Symbols (U+20A0~)
통화 기호 (U+20A0~): ₩
Letterlike Symbols (U+2100~)
문자형 기호 (U+2100~): ℃, ℉, №
Number Forms (U+2050~)
숫자류 (U+2050~) : 분수, 로마 숫자
Arrows (U+2190~)
화살표 (U+2190~)
Mathematical Operators (U+2200~)
수학 기호 (U+2200~)
Enclosed Alphanumerics (U+2460~)
둘러싼 로마자·숫자 (U+2460~)
Box Drawing (U+2500~)
괘선 요소 (U+2500~)
Block Elements (U+2580~)
블럭 요소 (U+2580~)
Geometric Shapes (U+25A0~)
기하 도형 (U+25A0~)
Miscellaneous Symbols (U+2600~)
기타 기호 (U+2600~): 별, 하트, 깃발, 해, 구름. 달, 우산
Dingbats (U+2700~)
딩벳 장식 기호 (U+2700~)
CJK Symbols and Punctuation (U+3000~)
CJK 기호 및 구두점 (U+3000~): 전각 괄호, 온점, 고리점
둘러싼 CJK 문자·숫자 (U+3200~)
Enclosed CJK Letters and Months (U+3200~)
CJK Compatibility Ideographs (U+F900~)
CJK호환한자 (U+F900~)
CJK Compatibility Symbols and Punctuation for Vertical Writing (U+FE30~FE48)
CJK호환형 (U+FE30~FE48): 세로짜기 괄호, 구독점
CJK Symbols and Punctuation (U+3008~U+300F) are used by default. However, in the case of punctuation, half-width punctuation (pause (comma) U+002C, full stop (period) U+002E) is used for horizontal writing, and full-width punctuation (ideographic comma U+3001, ideographic full stop U+3002) are used for vertical writing.
CJK 전각 기호와 문장부호(CJK Symbols and Punctuation; U+3008~U+300F)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단, 구독점의 경우, 가로짜기에는 반각 문장 부호(반점(쉼표); U+002C, 온점(마침표); U+002E)를, 세로짜기에는 전각 문장 부호(모점; U+3001, 고리점; U+3002) 사용을 기본값으로 한다.
Hangul uses both fixed width and proportional width fonts.
한글은 낱 글자의 글자틀의 너비에 따라 비례폭과 고정폭을 사용한다.
In this mode, Hangul (Hangul Syllables U+AC00 ~ U+D7A3) glyphs use 'character frame width proportional to each letter face width'.
한글(Hangul Syllables; U+AC00 ~ U+D7A3) 글리프가 ‘각 글자면 너비에 비례하는 글자틀 폭’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In this mode, Hangul (Hangul Syllables U+AC00 ~ U+D7A3) glyphs use fixed values for character frame width.
한글(Hangul Syllables; U+AC00 ~ U+D7A3) 글리프에 일정한 글자틀 폭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Standardization of 'letter face position in character frame' of fixed width Hangul fonts improves the compatibility of the space between Hangul font characters. (The relation between each side's spaces remains even when the Hangul font is changed. It prevents a paragraph's left outline being scattered when the opening quotation mark or parenthesis at the line head has an unexpected space).
고정폭 한글 폰트의 '글자틀 내 글자면 위치'를 표준화는 한글 폰트 간의 글자사이 비율 호환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한글 폰트를 변경해도 문장부호의 좌우 여백 관계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글줄 시작에 위치한 열기 괄호·따옴표에 의도치 않은 여백이 생겨 단락의 왼쪽 외곽선이 흐트러지는 경우를 방지한다).
In horizontal writing, the letter face of a full width opening parenthesis is placed on the right end of the character frame, and the left space is considered a user controlled area. In vertical writing, the letter face of a full width opening parenthesis is placed on the bottom end of character frame, and the space is considered a user controlled area.
가로짜기의 경우 전각 열기 괄호의 글자면은 글자틀의 오른쪽(가로짜기)·아랫쪽(세로짜기) 끝에 두고, 왼쪽 여백은 사용자 조정 영역으로 간주한다. 세로짜기의 경우 전각 열기 괄호의 글자면은 글자틀의 아랫쪽 끝에 두고, 여백은 사용자 조정 영역으로 간주한다.
In horizontal writing, the letter face of a full width closing parenthesis is placed on the left end of the character frame, and the space is considered a user controlled area. In vertical writing, the letter face of a full width closing parenthesis is placed on the top end of the character frame, and the space is considered a user controlled area.
가로짜기의 경우 전각 닫기 괄호의 글자면은 글자틀의 왼쪽(가로짜기)·윗쪽(세로짜기) 끝에 두고, 오른쪽 여백은 사용자 조정 영역으로 간주한다. 세로짜기의 경우 전각 닫기 괄호의 글자면은 글자틀의 윗쪽 끝에 두고, 여백은 사용자 조정 영역으로 간주한다.
The letter face of punctuation marks is placed at the left end of the character frame. The remaining space is available for use as a controllable margin by the font user.
가로짜기의 경우 글자틀의 왼쪽 끝에 글자면을 배치한다. 나머지 우측 영역은 폰트 사용자의 임의 여백 지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Other glyphs are designed with either proportional or fixed width.
비레폭 혹은 고정폭으로 디자인한다.
This is a typographic option for adjusting the kerning between all characters or character classes used in a Hangul environment.
한글 환경에 사용되는 모든 문자 또는 문자 클래스 간의 커닝을 조정하는 타이포그래픽 옵션이다.
Hangul font kerning is adjusted by considering the inner space and contour region of Hangul syllables that are composed of Hangul Jamos.
한글 커닝은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에 따라 만들어지는 글자의 속공간과 외곽영역을 고려하여 지정한다.
Group kerning can be applied for efficient adjustment of kerning for the 11,172 Hangul syllables. In order to apply Hangul group kerning, kerning groups are defined first, then groups are paired.
한글 완성형 11,172자의 커닝 작업에는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그룹 커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룹 커닝을 적용하기 위해서 커닝 그룹을 설정하고 그룹 커닝의 짝을 지정한다.
Typographic options include the control of characters and the control of paragraphs. In this chapter, the font itself and options i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font are described.
타이포그래픽 옵션에는 활자 단위로 제어하는 옵션과 단락 단위로 제어하는 옵션이 있다. 여기에서는 폰트 자체와 폰트를 다루는 시스템 상의 설정 모두를 다룬다.
Characters or symbols with same characteristics in the typographic environment are classified, then writing options are applied for each character class.
타이포그래피 환경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 문자·기호를 분류하여 문자 클래스별로 조판 설정을 적용한다.
Full-width, half-width, and proportional-width for character frame width.
글자틀 폭에는 전각, 반각, 비례폭이 있다.
Character groups that cannot be placed at the line head.
글줄 시작에 올 수 없는 문자 군이 있다.
Character groups that cannot be placed at the line end.
글줄 끝에 올 수 없는 문자 군이 있다.
Inter-character space between the character groups.
문자 군 간의 경계지점에 글자사이 설정한다(예를 들어 4분각 삽입).
In a Hangul environment, characters and symbols are classified by typographic characteristics, into 32 classes.
한글 환경에서 문자와 기호는 타이포그래픽 특성에 따라 괄호, 하이픈, 문장구분 기호 등 32가지로 구분한다.
Rule setting: For each character class, set whether it can or not be placed at the line head or end.
금칙 설정: 문자 클래스 별로, 글줄 시작·끝에 배치 가능 여부를 설정한다.
Space setting between character classes: Set up spaces between each character class.
문자 클래스 간 간격 설정: 각 문자 클래스 간의 간격을 설정한다.
Hangul Compatibility Jamo (U+3130~)
한글 호환 자모 (U+3130~)
Enclosed CJK Characters and Numerals (U+3200~)
둘러싼 CJK 문자·숫자(21~50) (U+3200~)
CJK Ideographs (U+4E00~)
Hangul Jamo Extended-A (U+A960~)
한글 자모 확장 (U+A960~)
Hangul Precomposed Syllables (U+AC00~U+D7A3)
한글 완형성 (U+AC00~U+D7A3)
Hangul Jamo Extended-B (U+D7B0~)
한글 자모 확장B (U+D7B0~)
CJK Compatibility Ideographs (U+F900~)
CJK 호환 한자 (U+F900~)
Characters like Hangul, Hanja, or Kana have zero space between characters by default. Additionally, there are inter-character space settings such as narrower or wider, to support double-sided justification.
한글, 한자, 가나 등의 문자는 글자사이 0으로 배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좁혀짜기, 넓혀짜기, 양끝 맞추기 등의 글자사이 설정 방식이 있다.
Mixed writing in a Hangul sentence with Latin alphabetic characters, numbers, or symbols inside.
섞어짜기는 한글 문장 속에 로마자, 숫자, 기호 등을 함께 짜는 경우를 말한다.
Hangul syllables, proportional width basic Latin, and fixed width or proportional width Arabic numerals are used.
완성형 한글(Hangul Syllables), 비례폭 로마자(Basic Latin), 고정폭 또는 비례폭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Each Latin character is placed vertically.
로마자를 한 글자씩 세로로 배열한다.
Latin characters are placed 90 degrees rotated.
로마자를 시계방향 90도로 회전하여 배열한다.
Partial horizontal writing in vertical writing; two-digit numbers are rotated 90 degrees as a group, then aligned by the center of the line. Used mainly for two-digit numbers.
세로 짜기 중 일부 가로 짜기 처리; 두 자릿수의 숫자의 경우 그룹화하여 시계방향 90도로 회전한 후, 글줄 가운데에 정렬한다. 주로 두 자릿수 숫자에 사용한다.
Superscripts and subscripts are placed next to a base character. Superscripts and subscripts are used for SI units, numeric·chemical formulae, footnote numbers, etc. The space between the base character and the superscript or subscript is zero by default.
첨자는 문자(어미 글자) 옆에 붙이는데 그 위치에 따라 윗 첨자와 아랫 첨자가 있다. 국제단위계(SI)의 단위, 수식, 화학식, 각주 번호 등에 사용한다. 어미글자와 첨자의 글자사이는 0을 기본으로 한다.
Usually the size of the superscript or subscript is 60~70% of the size of the base character.
첨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어미 글자의 60~70%를 많이 사용한다
The space between signs, math symbols and Hangul characters is a user defined space (1/8-width space recommended) by default.
부호류, 연산 기호류와 한글과의 글자사이는 사용자 정의 공백(8분각 권장) 지정을 기본으로 한다.
The space between signs or math symbols and numerals or Latin alphabetic text is zero by default.
부호류, 연산 기호류와 숫자, 로마자와의 글자사이는 0을 기본으로 한다.
Typographic options include the control of characters and the control of paragraphs. This issue describes the writing/layout/editing system settings that control the font, not the font itself.
타이포그래픽 옵션에는 활자 단위로 제어하는 옵션과 단락 단위로 제어하는 옵션이 있다. 이 이슈에서는 폰트 자체가 아닌 폰트를 다루는 조판/레이아웃/편집 시스템 상의 설정을 다룬다.
Hangul is written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한글 짜기에는 가로짜기와 세로짜기가 있다.
The direction of characters, lines, columns, and pages is as follows.
문자, 글줄, 단, 페이지의 진행 방향은 다음과 같다.
In vertical writing:
세로짜기의 경우:
Characters progress from top to bottom, and lines progress from right to left.
문자는 위에서 아래로, 글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한다.
Columns progress from top to bottom, pages progress from right to left, and pages are turned from left to right.
단은 위에서 아래로, 페이지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페이지를 넘긴다.
In horizontal writing:
가로짜기의 경우:
Characters progress from left to right, and lines progress from top to bottom.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줄은 위에서 아래로 진행한다.
Columns progress from left to right, and pages progress from left to right, and pages are turned from right to left.
단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페이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페이지를 넘긴다.
The direction of Latin alphabetic characters and numerals inserted in sentences is as below:
문장에 삽입된 로마자 및 숫자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Regular direction is used in horizontal writing, and there are three ways of arranging text in vertical writing.
가로짜기는 정상적인 방향으로 배치하고, 세로짜기 경우는, 다음 세 가지 배치 방법이 있다.
Each character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gul characters.
한글과 같은 방향으로 한 글자씩 배열한다.
Characters are rotated 90 degrees, mainly for Latin alphabet words.
문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를 돌려 배열한다. 주로 로마자 단어를 표현한다.
Arrangement the same as Hangul characters. Two digit numbers rotated 90 degrees as a group, then aligned by the center of a line.
한글과 같은 방향으로 한다. 두 자릿수의 숫자는 그룹화하여 시계방향 90도로 회전한 후, 글줄 가운데에 정렬한다.
Captions or titles of tables, figures, etc.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표, 그림 등의 캡션 이나 제목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열한다.
In vertical writing, the caption top of tables, figures, etc. is positioned to the right side of the page. If the caption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caption top is positioned to the top side of the page.
세로짜기에서 표, 그림 등의 상단이 면의 오른쪽에 오도록 배열한다. 가로방향 캡션 처리를 할 경우는 표, 그림 등의 상단이 면의 위쪽으로 오도록 배열한다.
In horizontal writing, the caption top of tables, figures, etc. is positioned to the left side of the page. If the caption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caption top is positioned to the top side of the page.
가로짜기에서 표, 그림 등의 상단이 면의 왼쪽에 오도록 배열한다. 가로방향 캡션 처리를 할 경우는 표, 그림 등의 상단이 면의 위쪽으로 오도록 배치한다.
Line adjustment; it is possible to do line adjustment regardless of columns in multi-column layout.
글줄 맞추기, 여러 단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에서, 단에 무관하게 글줄 맞추기를 할 수 있다
Vertical writing, align vertical lines in each column.
세로짜기, 각 단의 세로 줄을 맞춘다
Horizontal writing, align horizontal lines in each column.
17 가로짜기, 각 단의 가로 줄을 맞춘다
Indentation, by emptying the beginning of a line when a new paragraph starts, is applied so that the division into paragraphs is shown clearly. The value of the character width in the specific paragraph is used as the default unit for indentation.
새 단락이 시작될 때마다 글줄 시작을 비워주는 들여짜기를 적용하여 단락 구분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들여짜기의 단위는 해당 단락에 사용된 글자 폭으로 지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Line head indentations on every paragraph. The most common writing mode.
모든 단락의 첫 글줄 들여짜기. 가장 일반적인 조판 방법이다.
No indentation on all paragraphs. More suitable for horizontal writing where the length of lines is shorter, relatively, than vertical writing.
모든 단락을 들여짜지 않음. 세로짜기 보다는 글줄 길이가 비교적 짧게 편성되는 가로짜기에 적합하다.
Indentation on the first line of every paragraph, but not applied to the first paragraph of a page or the paragraph right after a title.
모든 단락의 첫 글줄 들여짜기를 적용하나, 장의 최초 단락이나 제목 직후의 단락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Indentation is applied to all lines besides the first line of a paragraph for bulleted list, numbered list, etc.
글머리 기호(bulleted list), 번호 매기기(Numbered list) 등은 단락 첫 글줄을 제외한 모든 글줄에 들여짜기를 적용한다.
Inward paragraph indentation is writing placed inside of the page body by a certain number of characters, and outward paragraph indentation is writing placed outside of the page body.
글자 수만큼 판면 안쪽으로 들이는 조판을 들여짜기라 하고, 판면 바깥쪽으로 내는 조판을 내어짜기라고 한다.
Line alignment means aligning a line to the position of a certain character.
정렬은 하나의 글줄을 단위로 하여 특정 문자의 위치에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Center Alignment: apply zero or a specified value 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characters, and equally apply the same amount of space at both sides of the line. Align to the center of the line.
중앙 정렬: 인접 문자 간의 글자사이를 0 또는 명시된 수치를 적용하고, 글줄 시작과 끝의 공간을 균등 적용한다. 각 글줄 가운데 지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Line Head Alignment (left side alignment in horizontal writing): apply zero or a specified value 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characters, and align to the line head. If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last line is not enough to be a full line, fill from the line head and empty the line end.
글줄 시작 정렬(가로짜기의 경우 왼끝 정렬): 인접 문자 간의 글자사이를 0 또는 명시된 수치를 적용하고, 글줄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마지막 글줄의 글자 수가 한 글줄을 채우지 못할 경우, 글줄 시작의 공간을 채우고 글줄 끝을 비운다.
Line End Alignment (right side alignment in horizontal writing): apply zero or a specified value 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characters, and align to the line end. If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last line is not enough to be a full line, fill from the line end and empty the line head.
글줄 끝 정렬(가로짜기의 경우 오른끝 정렬): 인접 문자 간의 글자사이를 0 또는 명시된 수치를 적용하고, 글줄 끝 지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마지막 글줄의 글자 수가 한 글줄을 채우지 못할 경우, 글줄 끝의 공간을 채우고 글줄 시작을 비운다.
Even Space Alignment: apply zero or a specified value 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characters, and align by the line head and the line end. If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last line is not enough to be a full line, fill from the line head and empty the line end.
글줄 양끝 정렬: 인접 문자 간의 글자사이를 0 또는 명시된 수치를 적용하고, 글줄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마지막 글줄의 글자 수가 한 글줄을 채우지 못할 경우, 글줄 시작의 공간을 채우고 글줄 끝을 비운다. 글자사이 간격 조정 시 단어 간격과 글자사이 선택 조정 가능하다.
Even Space Alignment with Forced End: apply zero or a specified value 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characters, then align by the line head and the line end. If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last line is not enough to be a full line, fill from the line head to the line end by force-adjusting the space between characters.
글줄 강제 정렬: 인접 문자 간의 글자사이를 0 또는 명시된 수치를 적용하고, 글줄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마지막 글줄의 글자 수가 한 글줄을 완벽히 채우지 못할 경우, 글자사이 간격을 강제 조정하여 글줄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맞추어 채운다
This is a process to avoid a situation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last line of a paragraph is lower than the recommended minimum number. This is also called the widow process.
단락 마지막 줄의 글자 수가 권장 최소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를 피하기 위한 처리. 위도우(widow)처리라고도 한다.
Periods and commas.
구독점
In vertical writing; 。[U+3002] 、 [U+3001]
세로짜기의 경우; 。[U+3002] 、 [U+3001]
In horizontal writing; . [U+002E] , [U+002C] .[U+FF0E] ,[U+FF0C]
가로짜기의 경우; . [U+002E] , [U+002C] .[U+FF0E],[U+FF0C]
Brackets, quotation marks.
낫표, 따옴표
In vertical writing; 「 [U+300C], 」[U+300D], 『[U+300E], 』[U+300F]
세로짜기의 경우; 「 [U+300C], 」[U+300D], 『[U+300E], 』[U+300F]
In horizontal writing; ‘ [U+2018], ’ [U+2019], “ [U+201C], ” [U+201D]
가로짜기의 경우; ‘[U+2018], ’ [U+2019], “[U+201C], ” [U+201D]
When a closing parenthesis is followed by an opening parenthesis, a half-width space is added between them.
닫기 괄호의 뒤에 열기 괄호가 이어질 경우, 그 사이는 반각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When an opening parenthesis is followed by an opening parenthesis, no space is added between them, and a half-width space is added in front of the first opening parenthesis.
열기 괄호의 뒤에 열기 괄호가 이어질 경우, 그 사이는 공간을 두지 않고, 앞쪽 열기 괄호의 앞 공간은 반각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When a closing parenthesis is followed by a closing parenthesis, no space is added between them, and a half-width space is added after the last closing parenthesis.
닫기 괄호의 뒤에 닫기 괄호가 이어질 경우, 그 사이는 공간을 두지 않고, 뒷쪽 닫기 괄호의 뒷 공간은 반각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When a closing parenthesis is followed by a middle dot, a quarter-width space is added between them.
닫기 괄호의 뒤에 중점류가 이어질 경우, 그 사이는 4분각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When a middle dot is followed by an opening parenthesis, a quarter-width space is added after the middle dot.
중점류의 뒤에 열기 괄호가 이어질 경우, 중점류의 뒷 공간은 4분각으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Lines cannot start with closing parenthesis (cl2), hyphen (cl5), dividing punctuation marks (cl6), middle dots (cl7), periods and commas (cl8~9), iteration marks (cl11), or prolonged sound marks (cl12).
닫기 괄호(cl2), 하이픈 기호(cl5), 문장 구분 기호(cl6), 중점류(cl7), 구독점류(cl8~9), 반복 기호류(cl11), 장음 기호(cl12)는 글줄 시작에 위치할 수 없다(글줄 시작 금칙).
Opening parenthesis (cl1) cannot be placed at the end of a line.
열기 괄호(cl1)는 글줄 끝에 위치할 수 없다(글줄 끝 금칙).
In cases of characters or symbols in a sequence like following, there is no line break between them.
다음과 같이 문자, 기호가 연속하는 단어의 경우, 분할하여 두 행으로 나누지 않는다.
Between a sequence of em dashes (——) or horizontal bars (――).
연속하는 전각 대시(——) 또는 수평선(――)의 사이
Between a sequence of triple dot ellipses (……) or double dot ellipses (‥‥).
연속하는 삼점 리더(……) 또는 이점 리더(‥‥)의 사이
Between a sequence of Arabic numerals.
연속하는 아라비아 숫자의 사이
Between prefix symbols (cl13) and Arabic or Hanja numerals.
숫자 앞 기호(cl13)와 아라비아 숫자, 한자 숫자와의 사이
Between Arabic or Hanja numbers and suffix symbols (cl14).
아라비아 숫자, 한자 숫자와 숫자 뒤 기호(cl14)와의 사이
Between a base character and a superscript or subscript.
첨자의 어미 글자간의 사이
Between strings of footnote numbers.
각주 번호 문자열간의 사이
In cases like the following inter-character width cannot be expanded during line adjustment. This is done in order to group characters and symbols as one word.
글줄 조정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 글자사이 넓히기를 피한다(=단어분할금지 4.3.6). 이는 문자, 기호를 묶어 하나의 단어로 취급하기 위함이다.
All the cases mentioned in 4.3.6.
4.3.6에서 언급한 모든 경우
Before and after Hangul opening parenthesis (cl2) and Hangul closing parenthesis (cl2).
한글 열기 괄호(cl1), 한글 닫기 괄호(cl2)의 앞뒤
Before and after periods, commas (cl8~9) and middle dots (cl7).
구독점(cl8~9), 중점(cl7)의 앞뒤
Before and after dividing punctuation marks (cl6).
문장 구분 기호(cl6)의 앞뒤
Before and after hyphens (cl5).
하이픈 기호(cl5)의 앞뒤
Before and after spaces in CJK characters, such as full-width characters.
전각 문자 등의 CJK 문자권 사용 공백의 앞뒤
Lines are expressed by information such as line spacing or paragraph spacing.
글줄은 줄 간격과 문단 간격 정보 등으로 표현한다.
There are four approaches to line spacing: character size, fixed value, space, and minimum line spacing.
줄 간격은 글자, 고정 값, 여백, 최소 줄간격 등으로 4가지 표현법이 있다.
'Proportional line spacing' is applied by using a certain percentage of the character size.
글자 퍼센트(%) 단위로 적용하는 '비례 줄 간격'
'Line height' is applied using a fixed value, using units like point (pt), millimeter (mm), centimeter (cm), pica (pi), pixel (px), character (ch), 'Geop' (gp), inch ("), etc.
고정값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포인트(pt), 밀리미터(mm), 센티미터(cm), 파이카(pi), 픽셀(px), 글자(ch), 급(gp), 인치(˝) 등의 단위로 적용하는 '글줄 보내기'
'Fixed value interline space' is applied by only specifying a value for the space, using units like point (pt), millimeter (mm), centimeter (cm), pica (pi), pixel (px), character (ch), 'Geop' (gp), inch("), etc.
여백만 지정하는 방식으로 포인트(pt), 밀리미터(mm), 센티미터(cm), 파이카(pi), 픽셀(px), 글자(ch), 급(gp), 인치(˝) 등의 단위로 적용하는 '고정 글줄 간격 '
'Minimum line height' is applied by specifying the minimum value for line spacing, using units like point (pt), millimeter (mm), centimeter (cm), pica (pi), pixel (px), character (ch), 'Geup' (gp), inch (˝), etc.
포인트(pt), 밀리미터(mm), 센티미터(cm), 파이카(pi), 픽셀(px), 글자(ch), 급(gp), 인치(˝) 등의 단위로 최소의 줄간격을 적용하여 적용하는 '최소 줄 간격'
Line breaking is done by setting the rules for dividing the end of each line, and by adjusting the space between words in the line before.
각 줄의 마지막을 나누는 기준과 앞줄에 있는 낱말들 사이의 빈칸 간격을 조정하여 줄 나눔 기준을 두어 표현한다.
Line Breaking Rules in Hangul.
한글 단위 줄 나눔 기준
If a line ends in Hangul, line breaking is done on character or word basis. The user can decide which approach to use on a paragraph-by-paragraph basis, or for the whole document.
각 줄의 마지막에 한글이 올 때 줄 나눔 기준을 “글자” 또는 “어절” 단위로 한다. 문서 작성자가 “글자” 또는 “어절” 단위의 줄 나눔 기준을 지정할 수 있다.
Line Breaking Rules in English.
영문 단위 줄 나눔 기준
If a line ends in English, line breaking is done on character basis or word basis, or by using a hyphen.
각 줄의 마지막에 영어가 올 때 줄 나눔 기준을 “글자” 또는 “어절” 단위로 하거나, “하이픈”을 사용한다.
Minimum Space for Breaking Line.
최소 공백 줄 나눔 기준
By specifying a minimum value for inter-word spaces, inter-word spaces in a line can be reduced in order to keep the word at the end of the line from breaking onto the next line.
낱말들 사이의 빈칸 간격을 일정한 범위까지 줄임으로써 줄 끝에 걸린 낱말이 다음 줄로 넘어가지 않고 그 줄에 남을 수 있도록 최소 공백 값을 지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Even space alignment is the default setting in Hangul writing. Lines are aligned using even spaces if fixed-width Hangul characters are arranged without spaces, but in cases like those below, line adjustment (adjusting inter-character spaces) is applied to align any dislocated line ends.
한글 조판에서는 양끝 정렬을 기본으로 한다. 고정폭 한글을 띄어쓰기 없이 나열하면 글줄의 양끝이 정렬되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어긋나는 글줄 양끝을 맞추기 위해 글줄 조정 처리(글줄 단위로 글자 사이 조정)한다.
When proportional width glyphs like Latin alphabet text, Latin alphabet punctuation marks, numerals, etc. are included (Hangul-Latin mixed writing).
로마자, 로마자 문장 부호, 숫자 단어 등의 비례폭 글리프가 포함된 경우(한글 -로마자 섞어짜기)
When the character sizes in a line are different to each other.
한 글줄에 포함된 글자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
When restrictions, such as line breaking restrictions, are applied
금칙처리, 단어 분할 금지를 적용할 경우
The position of a tab and the alignment method (tab type) are specified, then the tab code is entered before the character or the word in the specified position.
탭 위치와 정렬 방식(탭 종류)을 지정하며, 지정 위치에 배치할 문자, 단어 앞에 탭 문자를 입력해 두어야 한다.
Adjustment mode (tab type) is specified at the tab position.
탭 위치에 정렬 방식(탭 종류)을 지정한다.
(Upper) left corner adjustment tab: in horizontal writing, the left end of characters/words is aligned to the tab position, and in vertical writing, the top end is aligned.
왼(위)쪽 정렬 탭: 가로짜기의 경우, 탭에 정렬할 문자/단어의 왼쪽 끝을 탭 위치에 정렬하며, 세로짜기의 경우 위쪽 끝을 정렬한다.
(Bottom) right corner adjustment tab: in horizontal writing, the right end of characters/words is aligned to the tab position, and in vertical writing, the bottom end is aligned.
오른(아래)쪽 정렬 탭: 가로짜기의 경우, 탭에 정렬할 문자/단어의 오른쪽 끝을 탭 위치에 정렬하며, 세로짜기의 경우 아래쪽 끝을 정렬한다.
Center adjustment tab: the center of characters/words is aligned to the tab position.
가운데 정렬 탭: 탭에 정렬할 문자/단어의 가운데 지점을 탭 위치에 정렬한다.
Specific character adjustment tab: the front end of a specific character in characters/words is aligned to the tab position.
지정문자 정렬 탭: 탭에 정렬할 문자/단어에서 특정 문자의 앞쪽 지점을 탭 위치에 정렬한다.
A note is used for present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bout the main content, or presenting the source of cited information.
주석은 본문 내용에 대한 보충 자료를 제시하거나, 인용한 자료의 출처 등을 밝히기 위해서 사용한다.
When footnotes are used in multi-column, there are three processing modes.
‘각주’가 다단에 사용되는 경우, 3가지 방식으로 표시한다
Showing footnotes at the bottom of the column with the corresponding text.
주석을 주석 본문이 포함된 단의 아래에 표시한다.
Showing footnotes in a single-column, aligned to the page width.
주석을 전단(1단) 모양으로 문서 폭에 맞추어 사용한다.
Showing all the footnotes in a column on the right side.
맨 오른쪽 단에 모아서 표시한다.
The position of footnotes can be specified when the page is not full.
본문이 쪽에 가득 차지 않았을 때, 각주 내용을 어느 위치에 놓을 것인지 지정할 수 있다.
Placing the footnote right above the specified footer area.
편집 용지에서 설정된 꼬리말 영역 바로 윗부분에 위치한다.
If the footnote is increased, it goes toward the main text and the main text area is decreased.
각주 내용이 늘어나면, 점점 본문 쪽으로 올라가면서 본문 영역이 줄어드는 방식
Placing the footnote right below the main text.
본문 바로 아래 위치한다.
If the main text content is increased, the footnote content goes downward.
본문 내용이 늘어나면, 각주 내용이 점점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가는 방식
Numbers used in footnotes and endnotes use many types of symbols and characters, such as Arabic numerals, Latin alphabet characters, Hangul characters, Hanja characters, etc.
‘각주’/‘미주’ 번호는 아라비아 숫자, 원형 숫자, 알파벳, 음소, 낱 글자, 한자 등 여러 가지 기호와 문자를 이용한다.
In order to divide the note and the main text, a dividing line or a space is inserted. Spaces are added above and below the dividing line, and spaces between each note are specified.
주석과 본문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 구분선을 넣거나 일정 여백을 지정한다. 구분선을 기준으로 위 여백, 아래 여백 그리고 각 주석의 본문 간의 여백을 지정한다.
A note has many different posi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tnotes and endnotes.
주석은 각주, 미주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위치를 가진다.
Footnote Position
각주 위치
A footnote can be presented below the annotated main text, right above the footer of the page including the annotated main text (refer to the figure in § 5.1.2 Vertical Position of Footnote ‘각주’의 세로 위치).
각주는 주석 처리된 본문의 아래, 주석 처리된 본문이 포함된 쪽의 꼬리말 바로 위에 표현될 수 있다(* § 5.1.2 Vertical Position of Footnote ‘각주’의 세로 위치 그림 참조).
Endnote Position
미주 위치
Endnotes can be presented all together at the end of the document. If the document is separated into many chapters and each chapter needs different endnotes presented, endnotes can be gathered at a specified location.
미주는 문서의 끝에 한꺼번에 모아서 표현하며, 문서가 여러 장으로 구별되어 각 장 단위로 주석 표현 되어야 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 주석을 모아서 표현할 수 있다.
Note Restrictions
주석 사용의 제한
Notes can be used in any part of the text body including paragraphs with tables or boxes, but cannot be used in footers or headers.
주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본문을 포함하여 표나 글상자가 포함하고 있는 포함한 문단 안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문서의 머리말, 꼬리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Page numbers can be presented in many forms, and can also be located on any side of the corresponding page.
쪽 번호는 여러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위치 또한 해당 쪽의 상하좌우에 모두 가능하다.
Page numbers can be at 10 different positions as follows. The appearance of numbers can also be different in many ways, sometimes used with a dash ('-') on each side.
쪽 번호는 다음과 같이 10가지 위치가 가능하다. 번호의 모양도 여러 가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번호 양쪽에 줄눈(‘-’)을 넣어 표현하기도 한다.
Elements beside paragraphs (objects) are processed the same as characters, or as objects.
문단 외 요소(개체)는 글자와 동일하게 또는 개체 형식으로 처리한다.
The object is positioned in a certain location between characters, and the size affects the line spacing.
개체는 글자사이 특정 위치에 표시되며 개체의 크기에 따라 줄 간격에 영향을 미친다.
Objects have 4 processing modes, as below.
개체 형식은 다음과 같이 4가지 표현 방식이 있다.
Text Wrap mode
어울림 방식
Both body and objects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but they do not invade each other's space. The objects are reflowed to match the body.
개체와 본문이 같은 줄을 나누어 쓰되, 서로 자리를 침범하지 않고 본문이 개체에 흐르듯이 어울리도록 배치한다.
Top and Bottom mode
자리 자치 방식
Line spacing of the line with the object is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object and the body does not invade the object areas.
개체가 개체의 높이만큼 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개체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에는 본문이 침범 할 수 없다.
Behind text mode
글 뒤
The object is placed like a background.
개체가 본문의 배경처럼 표현된다.
Front of text mode
글 앞
The object is placed on top of the text, covering it.
개체를 본문이 덮이도록 본문 위에 배치한다.
The object's placement in text and vertical/horizontal position is changed, depending on where the base is.
개체의 기준 위치에 따라 본문과의 배치 및 가로/세로 위치가 달라진다.
Paragraph base position
“문단” 기준 위치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is calculated from the paragraph base.
개체가 있는 문단을 기준으로 가로 위치와 세로 위치를 계산한다.
Column base position
“단” 기준 위치
The horizontal position is calculated from the column base.
개체가 있는 단을 기준으로 가로 위치를 계산한다.
Page base position
“쪽” 기준 위치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is calculated from the page base.
개체가 있는 쪽을 기준으로 가로 위치와 세로 위치를 계산한다.
Sheet base position
“종이” 기준 위치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is calculated from the sheet base.
개체가 있는 종이를 기준으로 가로 위치와 세로 위치를 계산한다.
When objects are set to 'text wrap' or 'top and bottom' modes, objects do not overlap as a default. However such objects can be overlap by using an 'overlap' setting.
개체를 '어울림'이나 '자리 차지'로 표현한 경우, 기본적으로 겹쳐지지 않고 서로의 영역만큼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서로 겹침 허용’하는 설정을 두어 '어울림'이나 '자리 차지'로 지정된 개체끼리도 서로 겹쳐 놓은 수 있다.
문단 외 요소의 바깥 여백은 개체와 주변에 존재하는 문서의 요소들과의 여백을 의미한다.
The outer margin of elements beside a paragraph means the spa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paragraph elements around it. If an outer margin is set for an object, the caption for the object starts from the original object area, not the outer margin area.
개체의 바깥 여백을 설정하더라도 개체를 위한 제목(caption)은 바깥 여백부분을 제외하고 순수한 개체 영역부터 시작한다.
Left: A space between the text and the left side of the object.
왼쪽 : 개체 가장자리의 왼쪽과 본문 사이의 간격
Right: A space between the text and the right side of the object.
오른쪽 : 개체 가장자리의 오른쪽과 본문 사이의 간격
Top: A space between the text and the upper side of the object.
위쪽 : 개체 가장자리의 위쪽과 본문 사이의 간격
Bottom: A space between the text and the lower side of the object.
아래쪽 : 개체 가장자리의 아래쪽과 본문 사이의 간격
Objects can have borders with various types of line.
개체는 다양한 종류의 선으로 테두리를 표현할 수 있다.
Tables are composed of cells, and each cell can be configured into various forms as shown below.
표는 기본적으로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셀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Cells can be selected individually and have various settings.
원하는 셀들만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값을 설정한다.
Font and paragraph format of the cell
셀의 글자와 문단 형식
Border and background style
테두리/배경의 모양
Merging and dividing cells
셀을 합치거나 나누기
Size and margin adjusting
크기 및 여백 조절
Space between cells
셀 간의 간격
If inner padding space is applied to both table and cell, the value is applied to the cell prior to that of the table. The size of table does not change even if the value of inner padding is high.
표와 셀에는 안쪽 여백이 지정되면, 표에 적용된 값보다 셀에 적용된 값이 우선하여 반영되며, 안쪽 여백 값을 크게 주더라도 표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The background of table and cell can be color, gradation, or background images.
표와 셀의 배경을 색, 그라데이션, 배경 그림 등으로 정의한다.
The Hangul text layout system is approached from two perspectives: overall page layout design and page body design.
페이지 전반의 설계와 기본 판면의 설계의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한다.
Page size (size of selected page or screen), page direction.
페이지의 크기(설정한 지면·화면의 크기), 진행 방향
Text direction (horizontal/vertical writing).
텍스트 진행 방향(가로짜기/세로짜기)
Page body (the area excluding top/bottom/left/right margin from the page size).
기본 판면(페이지 크기에서 상·하·좌·우 여백을 뺀 나머지 영역)
Running head and page numbers.
면주(面註)와 페이지 번호
In the case of pages in books, the elements are as below:
책의 지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ize and name of fonts.
사용한 글자 크기, 폰트 이름
Writing direction (vertical/horizontal).
짜기 방향(가로짜기/ 세로짜기)
Number and spacing of columns.
단의 수와 간격
Width of line (text box width=page body width).
글줄 너비(글 상자의 너비=판면의 너비)
Number of lines per page (per columns in multi-column format).
한 페이지 당 글줄 수(단짜기의 경우 한 단에 할당된 글줄 수)
Line height value.
글줄 보내기 수치
Note that the position of the page body is linked to the margin values.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positioning and setting size of page body.
기본 판면 위치는 여백 수치와 연동됨에 주의한다. 다음은 기본 판면의 위치와 크기 지정 방법 예시이다.
Vertical position, center of page; Horizontal position, center of page.
상하 위치, 페이지 중앙; 좌우 위치, 페이지 중앙
Vertical position, upper or lower margin specified; Horizontal position, center of page.
상하 위치, 위쪽 여백 지정 또는 아랫쪽 여백 지정; 좌우 위치, 페이지 중앙
Vertical position, center of page; Horizontal position, inner margin specified.
상하 위치, 페이지 중앙; 좌우 위치, 안쪽 여백 지정
Vertical position, upper or lower margin specified; Horizontal position, inner margin specified.
상하 위치, 위쪽 여백 지정 또는 아랫쪽 여백 지정; 좌우 위치, 안쪽 여백 지정
Running heads and page numbers are placed outside of the page body, and typical positions are as shown below.
면주와 페이지 번호는 기본 판면의 외곽에 위치하며 대표적인 위치 지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punctuation marks are used in Hangul environment.
한글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장 부호를 사용한다.
Basic Latin (U+0020~U+007F): Latin alphabet and numerals
기본 로마자 (U+0020~U+007F): 로마자(비례폭), 숫자, 반각 약물
General Punctuation (U+2010~)
일반 구독점 (U+2010~): 굽은 따옴표
Superscripts and Subscripts (U+2070~)
위첨자, 아래첨자 (U+2070~)
Currency Symbols (U+20A0~)
통화 기호 (U+20A0~): ₩
Letterlike Symbols (U+2100~)
문자형 기호 (U+2100~): ℃, ℉, №
Number Forms (U+2050~)
숫자류 (U+2050~): 분수, 로마 숫자
Arrows (U+2190~)
화살표 (U+2190~)
Mathematical Operators (U+2200~)
수학 기호 (U+2200~)
Enclosed Alphanumerics (U+2460~)
둘러싼 로마자·숫자 (U+2460~)
Box Drawing (U+2500~)
괘선 요소 (U+2500~)
Block Elements (U+2580~)
블럭 요소 (U+2580~)
Geometric Shapes (U+25A0~)
기하 도형 (U+25A0~)
Miscellaneous Symbols (U+2600~)
기타 기호 (U+2600~): 별, 하트, 깃발, 해, 구름. 달, 우산
Dingbats (U+2700~)
딩벳 장식 기호 (U+2700~)
CJK Symbols and Punctuation (U+3000~)
CJK 기호 및 구두점 (U+3000~): 전각 괄호, 온점, 고리점
Hangul Compatibility Jamo (U+3130~)
한글 호환 자모 (U+3130~)
Enclosed CJK Letters and Months (U+3200~)
둘러싼 CJK 문자·숫자 (U+3200~)
Hangul Jamo Extended-A (U+A960~)
한글 자모 확장A (U+A960~)
Hangul Syllables (U+AC00~U+D7A3)
한글 완성형 (U+AC00~U+D7A3)
Hangul Jamo Extended-B (U+D7B0~)
한글 자모 확장B (U+D7B0~)
CJK Compatibility Ideographs (U+F900~)
CJK호환한자 (U+F900~)
CJK Compatibility Forms (U+FE30~FE48)
CJK호환형 (U+FE30~FE48): 세로짜기 괄호, 구독점
ISO/IEC 10646-1:1993.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 (UCS) -- Part 1: Architecture and Basic Multilingual Plane
W3C Working Group Note. 2009. "Requirements for Japanese Text Layout" 1st ed., https://www.w3.org/TR/2009/NOTE-jlreq-20090604/
Korea Font Development Center. 2000. Korean Font Dictionary, King Sejong Memorial Foundation.
한글글꼴개발연구원. 2000. 한글글꼴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Sang-Soo Ahn, Jae-Joon Han, and Yong-Je Lee. 2009. Hangeul Design Textbook. Ahn Graphics.
안상수, 한재준, 이용제. 2009. 한글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S. J. Song. 2008. Book design textbook. Ahn Graphics. (translated from Andrew Haslam. 2006. Book design. Laurence King Publishing.)
앤드류 해슬램 저, 송성재 역. 2008. 북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Adobe Systems. 2010. User Guide. Using Adobe® InDesign® CS5 for Windows® and Mac OS. Adobe Systems.
This document has been developed with contributions from participants of Korean standardization committee members and Korean Society of Typography. The project to develop this document was supported by Korea's Standard Infrastructure Enhancement Program from 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이 문서의 개발에는 한국 기술표준원 문서처리 표준화위원회 전문위원과 한국타이포그래피학회 회원들이 참여하였으며, 개발 작업은 기술표준원 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지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