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24258193A1 -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258193A1
WO2024258193A1 PCT/KR2024/008088 KR2024008088W WO2024258193A1 WO 2024258193 A1 WO2024258193 A1 WO 2024258193A1 KR 2024008088 W KR2024008088 W KR 2024008088W WO 2024258193 A1 WO2024258193 A1 WO 20242581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yeing composition
dyeing
extract
gallat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4/0080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다은
김현나
공봉주
김서영
박천호
권영지
장수빈
최재환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1734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57730B1/ko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2581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2581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Definitions

  • hair dye can be considered the product that is most easily and widely used to maintain beautiful hair.
  • the metal-phenol complex, melanin or its precursor has no septic toxicity, exhibits an immediate hair dyeing effect, and has excellent color retention after dyeing. Therefore, the composition can exhibit a natural dyeing effect on skin or hair without irritating the skin, and can be used as a dye for dyeing hair, eyebrows, eyelashes, skin, nails, etc.
  • metal-phenolic complex refers to a complex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a metal ion and a phenol compound under specific conditions, and stabilized by electronic interaction between the positive charge of the metal ion and the negative charge of the phenol.
  • the metal-phenol complex exhibits a dye effect by charge transfer (complex formation) between the metal ion and the phenol compound, or by structural interaction formed between the metal ion and the phenol compound. Accordingly, since a specific color is exhibited depending on the types and bonding structures of the metal and phenol compound constituting the metal-phenol complex, the properties of the hair dy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ratio of the metal and phenol compound.
  • the metal may include a transition metal or an alkali metal.
  • the transition metal may be, for example, iron (Fe), copper (Cu), silver (Ag), zinc (Zn), platinum (Pt), gold (Au), etc.
  • the alkali metal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thium (Li), sodium (Na), potassium (K), rubidium (Rb), cesium (Cs), barium (Ba), calcium (Ca), nickel (Ni), cobalt (Co), manganese (Mn), and magnesium (Mg).
  • the phenol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nnic acid, gallic acid, flavones, anthocyanins, polyphenols, isoflavones, catechins, methyl gallate, ethyl gallate, propyl gallate, octyl gallate, lauryl gallate,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gallocatechin gallate, and theaflavin-3-gallate, or a derivative thereof.
  • the metal-phenol complex may be a mixture of iron(II) D-gluconate hydrate and tannic acid and gallic acid.
  • the metal-phenol complex may be formed by mixing iron(II) D-gluconate hydrate, gallic acid, and tannic acid in a weight ratio of 1:0.01 to 10:0.01 to 5.
  • the iron(II) D-gluconate hydrate, gallic acid, and tannic acid may be mixed in a concentration ratio of, for example, 1:0.01 to 10:0.01 to 5, 1:0.01 to 10:0.01 to 3, 1:0.01 to 5:0.01 to 0.5, 1:0.1 to 5:0.05 to 3, or 1:0.1 to 2.5:0.05 to 1.5.
  • the metal-phenol complex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metal-phenol complex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1 to 10.0 wt%, 0.01 to 8.0 wt%, 0.05 to 7.5 wt%, 0.1 to 6.5 wt%, 1.0 to 10.0 wt%, 1.5 to 7.0 wt%, or 2.0 to 5.0 wt%.
  • the term “melanin” refers to black to brown pigments that exist in tissues such as skin, hair, and eyes, and “melanin precursor” plays a role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and depending on the amount, skin color, body hair color including hair, eye color, etc. are determined. Therefore, the composition can be used not only to prevent or improve graying by promoting the production of melanin, but also to color hair, eyelashes, fingernails, toenails, or skin.
  • the above melanin precursors may be, for example, poly-dihydroxylindole, L-dopaquinone, tyrosine, 5,6-dihydroxyindole, indole-5,6-quinone,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opachrome, etc.
  • the melanin precursor may be poly-dihydroxyindole.
  • the poly-dihydroxyindole is an indole series compound, found in plant and animal tissues, and mainly plays a role related to the biosynthesis of melanin, a skin pigment.
  • the poly-dihydroxyindole has an antioxidant effect, and thus can help protect the skin from oxidation and environmental damage. Therefor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s effective in soothing the skin 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kin inflammation. In addition, it can strengthen hair roots and prevent, improve, or treat hair loss, and thus can be used for strengthening hair roots and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air loss.
  • the metal-phenol complex and melanin or a precursor thereof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01 to 10.
  • the metal-phenol complex and melanin or a precursor thereof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for example, 1:0.01 to 10, 1:0.1 to 8, 1:0.15 to 7, 1:0.5 to 9, 1:0.7 to 6 or 1:1 to 3.
  • the mixing ratio of the metal-phenol complex and melanin or a precursor thereof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yeing effect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not only the dyeing efficiency per weight decreases, but also the unit cost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decreases.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C1 to C4,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cetearyl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cocamidopropyl betaine, polyacrylate crosspolymer-6, and silica silylate.
  •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C1 to C4,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cetearyl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cocamidopropyl betaine, polyacrylate crosspolymer-6, and silica silylate.
  •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70 to 99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70 to 99 wt%, 70 to 85 wt%, 75 to 90 wt%, 80 to 95 wt%, or 85 to 95 wt%.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plant extract having dye activity.
  • the plant extract may be, for example, a pomegranate extract, a quince extract, a cedar extract, an aloe extract, a lacquer tree extract, a walnut extract, a rose extract, a mugwort extract, and the like.
  • the plant extract may be a pomegranate extract.
  • the above pomegranate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ng a pomegranate tree with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C1 to C4,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pomegranate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flowers, fruits, seeds, leaves, branches, stems, or a mixture thereof of the pomegranate tree.
  • the dried pomegranate tree may be cut into pieces, and then wat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pomegranate tree to perform the extraction.
  •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 to 100° C. for 1 to 10 hours.
  • any of cold steeping, ultrasonic extraction, and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s may be used, and the extraction may be repeated 1 to 5 times.
  • the pomegranate extract may be a butylene glycol fraction obtained by extracting a pomegranate tree with water, a lower alcohol of C1 to C4, or a mixture thereof, and then refining it with butylene glycol.
  • the lower alcohol used for extracting the pomegranate tree may be ethanol or methanol.
  • the dried pomegranate tree may be cut into pieces, and then wat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2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pomegranate tree to perform the extraction.
  • the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30°C to 100°C.
  • the extraction time may be 1 to 10 hours.
  • the extraction method may utilize a cold steeping, ultrasonic extraction, or reflux cooling extraction method. The number of extractions may be 1 to 5 repeated extractions.
  • the pomegranate extract may contain an active compound.
  • the active compound may be ellag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 the ellagic acid derivative may be a sodium salt, a calcium salt, and an amine salt derivative of ellagic acid, an ellagic acid derivative having a saturated or unsaturated acyl group having 2 to 22 carbon atoms bonded to it, or a form in which glucose is bonded to one or more hydroxyl groups of ellagic acid in a single or multiple ether form.
  • the ellag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400 ppm or more per 100 g of the pomegranate extrac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may additionally include a thickener.
  • the thickener may be, for example,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polyacrylate crosspolymer-6, etc.
  •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thick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or example, 0.01 to 10 wt%, 0.01 to 8 wt%, 0.05 to 6 wt%, 0.1 to 4 wt%, or 1 to 2 wt%.
  • the composition comprises 0.001 wt% to 80 wt%, for example, 0.01 wt% to 60 wt%, 0.01 wt% to 40 wt%, 0.01 wt% to 30 wt%, 0.01 wt% to 20 wt%, 0.01 wt% to 10 wt%, 0.01 wt% to 5 wt%, 0.05 wt% to 60 wt%, 0.05 wt% to 40 wt%, 0.05 wt% to 30 wt%, 0.05 wt% to 20 wt%, 0.05 wt% to 10 wt%, 0.05 wt% to 5 wt%, 0.1 wt% to 60 wt%, 0.1 wt% to 40 wt%, 0.1 wt% to 30 wt%, 0.1 wt% to 20 It may include a metal-phenol complex in an amount of 0.1 wt% to 10 wt%, or 0.1 w
  • the term "including as an effective ingredient"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metal-phenol complex of this specification and melanin or a precursor thereof are added to an extent capable of exhibiting the above-mentioned effect, and includes formulation in various forms by adding various components as auxiliary components for drug delivery and stabilization, etc.
  • the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above cosmetic composition may have, for example, a cosmetic formulation of a flexible toner, a nourishing toner, a massage cream, a nourishing cream, an essence, a pack, a gel, an ampoule or a skin adhesive type.
  • ingredients included in the abov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as an effective ingredi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onventional auxiliary agents and carrier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 the abov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hampoo, cleanser, conditioner, treatment, hair pack, rinse, scalp pack, tonic, essence, lotion, cream, oil, mist, spray, hair gel, eyelash mascara, eyebrow tattoo, eyebrow, and manicure.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tability of a formul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of a formulation containing a thickener.
  • a metal-phenolic complex (MPC) was prepared. Specifically, iron(II) D-gluconate dehydrate (699014-53-4), gallic acid, and tannic acid were mixed to have the content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n freeze-dried to prepare a metal-phenol complex.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he contents are in wt%.
  • Example 1-1 Manufacturing Example 1-2 Manufacturing Example 1-3 D-Ferrous(II) Gluconate Hydrate 2 1 5 Galsan 4 2 10 Tannic acid 2 1 5
  • a pomegranate extract having an increased content of ellagic acid contained in the pomegranate was prepared. Specifically, 150 g of the raw powder of the whole pomegranate tree containing 90 wt% or more of pomegranate flowers was extracted with a 70% ethanol aqueous solution at 60°C for 5 hours. Thereafter, the mixture was filtered using a 250 mesh, 5 ⁇ m filter, and concentrated until the amount of the raw powder became 20 wt% of the initial amount. The pomegranate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by diluting the mixture with 1,3-butylene glycol so that the content of ellagic acid became 400 ppm or more.
  • a dyeing composi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daily aspect. Specifically, a dye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each component so as to include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able 2 and Table 3 below.
  • Manufacturing example 3 Manufacturing example 4
  • Manufacturing example 5 Manufacturing example 6
  • Manufacturing example 7 Manufacturing example 8
  • Manufacturing example 9 Manufacturing example 10
  • Manufacturing example 11 Poly-dihydroxyindole 0.05 - - - -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D-Ferrous(II) Gluconate Hydrate - 0.076 - - - 0.076 - - - 0.076 Galsan - - 0.17 - - - 0.17 - - 0.17 Tannic acid - - - 0.17 - - - 0.17 - 0.17 Pomegranate extract (preparation example 4) - - - - 0.05 - - - 0.05 0.0001
  • Manufacturing example 13 Manufacturing example 14 Manufacturing example 15 Poly-Dihydroxyindole 1 1 1 Manufacturing example 1 D-Ferrous(II) Gluconate Hydrate 2 - - Galsan 4 - - Tannic acid 2 - - Manufacturing example 2 D-Ferrous(II) Gluconate Hydrate - 1 - Galsan - 2 - Tannic acid - 1 - Manufacturing example 3 D-Ferrous(II) Gluconate Hydrate - - 5 Galsan - - 10 Tannic acid - - 5 Manufacturing example 4 0.02 0.01 0.05
  • formulations including a dyeing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were prepared. Specifically, various types of formulations were prepared by mixing each component so as to include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able 4 below.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Purified water To 100 Propylene Glycol 54 - - - - - Glycerin - 82.28 10 10.5 1.3 2.1 Ethanol 20 - - - - - Butylene Glycol - 2.5 2.5 - - - Cetearyl Alcohol - 2.0 2.0 2.0 - - Cetyl Alcohol - - - 1.0 - 3.2 Stearyl Alcohol - - - - 7.8 - Behenyl Alcohol - - - - 8.0 -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 - 1.0 - - - Cocamidopropyl Betaine - - - - 7.8 - Poly-Dihydroxyindole 0.5 Iron(II) D-gluconate dehydrate 1.1 Gallic acid 0.8 Tannic acid 0.4 Pomegranate extract (preparation example 2) 0.0001
  • the actual (average) color of the hair was 178, and a lower L value means a darker colo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yeing effect is relatively high.
  • the R, G, and B values which represent three properties of color, are each in the range of 0 to 255, and the higher the value, the higher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color, and a specific color is expressed by mixing the three colors.
  • Manufacturing example 3 Manufacturing example 4
  • Manufacturing example 5 Manufacturing example 6
  • Manufacturing example 7 Average L(lightness) 161 177 178 178 182 R(Red) 179 205 205 205 215 G(Green) 156 186 186 186 195 B(Blue) 137 143 143 143 138 Mixed colors (color code) #B39C89 #CDBA8F #CDBA8F #CDBA89 #D7C38A
  • Manufacturing example 8 Manufacturing example 9 Manufacturing example 10
  • Manufacturing example 12 Average L(lightness) 157 166 167 174 149 R(Red) 169 187 187 203 167 G(Green) 162 171 172 180 150 B(Blue) 140 141 143 139 130 Mixed colors (color code) #A9A28C #BBAB8D #BBAC8F #CBB48B #A79682
  • Preparation Example 3 containing only poly-dihydroxyindole had a high dyeing effect with an L value of 161, compared to Preparation Example 4 (177) containing only iron (II) D-gluconate hydrate, Preparation Example 5 (178) containing only gallic acid, Preparation Example 6 (178) containing only tannic acid, or Preparation Example 7 (182) containing only pomegranate extract.
  • Preparation Examples 8 to 12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dihydroxyindole, iron (II) D-gluconate hydrate, gallic acid, tannic acid, and pomegranate extract exhibited a synergistic dyeing effect.
  • Preparation Example 12 including all components exhibited the best dyeing effect.
  • the dyeing effect of the dye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ratio of each component was confirmed.
  • the hair color after dyeing was meas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s for the compositions of Manufacturing Examples 13 to 15, and is shown in Table 6 below.
  • Manufacturing example 13 Manufacturing example 14 Manufacturing example 15 Average L(lightness) 125 146 145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 Example 4 Example 5
  • Example 6 L(lightness)/i.e. 179 189 186 176 178 96 L(lightness)/50°C, 1W 177 182 192 175 183 170
  • Example 1 anhydrous formulation
  • Example 4 normal cream
  • Example 5 treatment shampoo
  • the difference in L/i.e. and L/50°C, 1W values before (178) and after dyeing was not large
  • Example 2 mask pack
  • Example 3 high content glycerin
  • the L/i.e. and L/50°C, 1W values after dyeing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dyeing, confirming that the dyeing effect and color stability were poor.
  • Example 6 treatment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aily aspect has a better immediate dyeing effect the higher the content of purified water.
  • Example 6 showed excellent dyeing effect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dyeing effects actually decreased when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polyol was used instead of purified water to secure both dyeing effects and color stability. Specifically, after preparing a formulation including a dyeing composition with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able 8 below, the dyeing effects and color st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below.
  • Example 7 Example 8
  • Example 9 Example 10 Propylene Glycol To 100 - - - Butylene Glycol - To 100 - - Ethanol - - To 100 - Glycerin - - - To 100 Poly-Dihydroxyindole 0.18 Iron(II) D-gluconate dehydrate 0.35 Gallic acid 0.70 Tannic acid 0.35 Pomegranate extract (preparation example 2) 0.0035
  • Example 7 Example 8
  • Example 9 Example 10 L(lightness)/i.e. 125 128 124 118 L(lightness)/50°C, 1W 139 143 146 117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can be manufactured into a formulation having excellent dyeing effect and color stability by including a specific solvent in a specific content.
  • Example 10 which was confirmed to have excellent dyeing effect and color stability, had a problem in that some parts sank to the bottom and the formulation separated when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n this experimental example, a thickening agent was added to improve the formulation stability and thereby secure color stability.
  • Table 10 shows that after preparing a dyeing composition with each component and content, it was placed in a container with the same content, and then lef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der light and temperature conditions (room temperature, 4°C, 37°C, and 45°C). Thereafter, the container was turned over and photographs were take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and 2, respectively.
  • the dyeing effect and color stability (1 week and 2 weeks) were measur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s, and are shown in Table 11 below.
  • Example 11 Example 12
  • Example 13 Example 14
  • Example 10 To 100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1.0 - - - - Sodium Polyacryloyldimethyl Taurate - 1.0 - - -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 1.0 - -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polymer - - - 1.0 - Polyacrylate crosspolymer-6 - - - - 1.0
  • Example 10 Example 15 L(lightness)/i.e. 118 117 L(lightness)/50°C, 1W 117 118 L(lightness)/50°C, 2W 130 116
  • Figures 1 and 2 show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hickener.
  • Example 10 which did not include a thickener, caused the particles to settle to the bottom and the formulation to separate regardless of temperature or light conditions.
  • Example 15 which included a thickener, did not cause the formulation to separate.
  • Example 10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 weeks at 50°C compared to the brightness value immediately after dyeing.
  • Example 15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brightness value immediately after dyeing even after 2 weeks at 50°C.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invention forms a stable formulation by additionally including a thickener, so that not only an immediate dyeing effect but also color stability can be impro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염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포 독성이 없어 피부와 모발에 안전하며 자연스럽고 색상 안정도가 우수하여 모발, 눈썹, 속눈썹, 피부, 손톱 및 발톱 등을 착색하기 위한 염료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염색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뿐만 아니라 용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아름답고 건강한 모발에 대한 관심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머리카락은 단순한 털이 아니라 건강과 젊음의 상징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 아름다운 머릿결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손쉽고 다양하게 사용하는 제품으로 염모제를 들 수 있다.
한편, 얼굴의 지붕 격인 눈썹과 머리카락의 컬러 매치가 중요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염색할 때 눈썹을 같은 색으로 물들임으로써 염색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얼굴 피부는 두피보다 훨씬 약하기 때문에 눈썹 염색을 위해서는 염모제에 의한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이 자극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피부 자극이 적고, 염색 효과가 뛰어난 염모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금속-페놀 복합체(Metal-Phenolic Complex, MPC);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금속-페놀 복합체(Metal-Phenolic Complex, MPC);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금속-페놀 복합체,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가 세독 독성이 없고, 모발의 즉각적인 염색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염색 후 색상 지속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자연스러운 염색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바, 모발, 눈썹, 속눈썹, 피부, 및 네일 등을 염색하기 위한 염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금속-페놀 복합체(Metal-Phenolic Complex, MPC)"는 금속 이온과 페놀 화합물이 특정 조건에서 상호작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금속 이온의 양전하와 페놀의 음전하 간 전자 상호작용에 의하여 안정화된다.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금속 이온과 페놀 화합물 사이의 전하 전이(complex formation)에 의해, 또는 금속 이온과 페놀 화합물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염료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를 구성하는 금속 및 페놀 화합물의 종류와 결합 구조 등에 따라 특정 색상을 나타내므로, 금속과 페놀 화합물의 구성과 비율의 조성에 따라 염모제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전이 금속이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예를 들어, 철(Fe), 구리(Cu), 은(Ag), 아연(Zn), 백금(Pt), 금(Au) 등일 수 있고, 상기 알칼리 금속은 예를 들어,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바륨(Ba), 칼슘(Ca), 니켈(Ni), 코발트(Co), 망가니즈(Mn) 및 마그네슘(Mg)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놀 화합물은 탄닌산(Tannic acid), 갈산(Gallic acid), 플라본(Flavone), 안토시아닌(Anthocytanin), 폴리페놀(Polyphenol), 이소플라본(Isoflavone), 카테킨(Catechin),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 에틸 갈레이트(Ethyl gallate),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라우릴 갈레이트(Lauryl gallate),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및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Theaflavin-3-gal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및 탄닌산과 갈산의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과, 갈산 및 탄닌산이 1:0.01 내지 10:0.0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과, 갈산 및 탄닌산은 예를 들어, 1:0.01 내지 10:0.01 내지 5, 1:0.01 내지 10:0.01 내지 3, 1:0.01 내지 5:0.01 내지 0.5, 1:0.1 내지 5: 0.05 내지 3 또는 1:0.1 내지 2.5:0.05 내지 1.5의 농도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과, 갈산 및 탄닌산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색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중량 대비 염색 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05 내지 7.5 중량%, 0.1 내지 6.5 중량%, 1.0 내지 10.0 중량%, 1.5 내지 7.0 중량%,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색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단가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멜라닌"은 피부, 털, 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흑색 내지 갈색 색소를 총칭하고, "멜라닌 전구체"는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련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에 따라 피부색, 모발을 포함한 체모색, 눈동자 색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함에 따라 새치를 예방 또는 개선할 뿐만 아니라, 모발, 속눈썹, 손톱, 발톱 또는 피부의 착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전구체는 예를 들어,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Poly-Dihydroxylindole), L-도파퀴논(L-Dopaquinone), 티로신(Tyrosine), 5,6-디하이드록시인돌(5,6-Dihydroxyindole), 인돌-5,6-퀴논(Indole-5,6-quinone), 5,6-디하이드록시인돌-2-카르복시산(5,6-Dihyroxyindole-2-Carboxylic acid), 도파크롬(Dopachrome)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전구체는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Poly-Dihydroxylindole)일 수 있다. 상기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은 인돌 계열의 화합물로 식물 및 동물 조직에서 발견되며, 주로 피부 색소인 멜라닌의 생합성과 관련된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산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환경적인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진정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 또한, 모근을 강화하고 탈모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바, 모근 강화용, 탈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는 1:0.0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는 예를 들어, 1:0.01 내지 10, 1:0.1 내지 8, 1:0.15 내지 7, 1:0.5 내지 9, 1:0.7 내지 6 또는 1: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색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중량 대비 염색 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단가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와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경우, 특정 용매에서 즉각적인 염색 효과 및 염색 후의 색상 지속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Alco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및 실리카실릴레이트(Silca Sil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70 내지 99 중량%, 70 내지 85 중량%, 75 내지 90 중량%, 80 내지 95 중량% 또는 85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료의 색상 안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염색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염료 활성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예를 들어, 석류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향나무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장미 추출물, 쑥 추출물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석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석류 추출물은 석류 나무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상기 석류 추출물은 석류 나무의 꽃, 열매, 종자, 잎, 가지,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시, 건조된 석류 나무를 세절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석류 나무 무게의 2배 내지 20배를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2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이 모두 이용 가능하며, 추출은 1 회 내지 5회 동안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은 석류 나무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한 후, 부틸렌글리콜로 정제한 부틸렌글리콜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석류 나무의 추출에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일 수 있다. 추출시 건조된 석류 나무를 세절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석류 나무 무게의 2배 내지 20배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추출온도는 30℃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추출시간은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추출방법은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 횟수는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석류 추출물은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화합물은 엘라직산(Ellagic acid)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엘라직산 유도체는 엘라직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및 아민염 유도체, 탄소수 2-22의 포화 혹은 불포화 아실기가 결합된 엘라직산 유도체, 또는 엘라직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산기에 포도당이 단일 혹은 다중 에테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라직산 또는 이의 유도체는 상기 석류 추출물 100g 당 400 ppm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점증제를 추가함에 따라 제형 안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Sodium Poly acryloyldimethyl Taurate),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5 내지 6 중량%, 0.1 내지 4 중량%,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형이 분리되어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며, 이로 인해 염색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착색 효과가 감소하며, 염색 부위에 조성물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염료 효과 및 염색 후 색상 지속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본 명세서의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가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약물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포뮬레이션 (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클렌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팩, 린스, 두피팩, 토닉, 에센스, 로션, 크림, 오일, 미스트, 스프레이, 헤어젤, 속눈썹 마스카라, 눈썹 타투, 아이브로우, 및 매니큐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어 피부와 모발에 안전하며 자연스럽고 색상 안정도가 우수하여 모발, 눈썹, 속눈썹, 피부, 손톱 및 발톱 등을 착색하기 위한 염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의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점증제를 포함하는 제형의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제조예 1. 금속-페놀 복합체의 제조
금속-페놀 복합체(Metal-phenolic complex, MPC)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Iron(Ⅱ) D-gluconate dehydrate, 699014-53-4), 갈산(Gallic acid) 및 탄닌산(Tannic acid)을 하기 표 1의 함량을 포함하도록 혼합한 뒤 동결건조하여 금속-페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2 1 5
갈산 4 2 10
탄닌산 2 1 5
제조예 2. 석류 추출물의 제조
석류 내 포함된 엘라직산(ellagic acid)의 함량이 증가된 석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석류나무 꽃이 90 중량% 이상 포함된 석류나무 전초를 분쇄한 원물 파우더 150g을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6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250 mesh, 5 ㎛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원물 파우더의 양이 초기 대비 20 중량%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을 이용하여 엘라직산의 함량이 400 ppm 이상이 되도록 희석하여 석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15. 염색용 조성물의 제조
일 양상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2 및 표 3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염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 0.05 - - - - 0.05 0.05 0.05 0.05 0.05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 0.076 - - - 0.076 - - - 0.076
갈산 - - 0.17 - - - 0.17 - - 0.17
탄닌산 - - - 0.17 - - - 0.17 - 0.17
석류 추출물(제조예 4) - - - - 0.05 - - - 0.05 0.0001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Poly-Dihydroxyindole) 1 1 1
제조예 1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2 - -
갈산 4 - -
탄닌산 2 - -
제조예 2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 1 -
갈산 - 2 -
탄닌산 - 1 -
제조예 3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 - 5
갈산 - - 10
탄닌산 - - 5
제조예 4 0.02 0.01 0.05
[실시예]
실시예 1~7. 제형의 제조
일 양상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정제수 To 100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4 - - - - -
글리세린(Glycerin) - 82.28 10 10.5 1.3 2.1
에탄올(Ethanol) 20 - - - - -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 2.5 2.5 - - -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 2.0 2.0 2.0 - -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 - - 1.0 - 3.2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 - - - 7.8 -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 - - - 8.0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 - - 1.0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 - - - 7.8 -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Poly-Dihydroxyindole) 0.5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Iron(Ⅱ) D-gluconate dehydrate) 1.1
갈산(Gallic acid) 0.8
탄닌산(Tannic acid) 0.4
석류 추출물(제조예 2) 0.0001
[실험예]
염색 효과 확인
염색용 조성물의 염색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3 내지 12 조성물을 모발에 각각 분사한 뒤, 손으로 잘 흡수시켜 상온(약 15~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물로 1차 세척하고 미온수에서 샴푸로 2차 세척한 뒤 1분간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이후, 모발을 포토 박스에 놓고 사진을 찍어서 이미지를 얻은 뒤,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하여 L(lightness, 명도), R(Red), G(Green) 및 B(Blue) 값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모발의 실제(평균) 색상은 178이고, L 값이 낮을수록 어두운 색을 의미하며, 염색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색의 3가지 속성을 나타내는 R, G, B 값은 각각 0 내지 255 범위에서 그 값이 높을수록 해당 색상의 색이 더 높게 나타나며, 3가지 색상의 혼합에 의해 특정 색상을 나타낸다.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평균 L(lightness) 161 177 178 178 182
R(Red) 179 205 205 205 215
G(Green) 156 186 186 186 195
B(Blue) 137 143 143 143 138
혼합색(색상코드) #B39C89 #CDBA8F #CDBA8F #CDBA89 #D7C38A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평균 L(lightness) 157 166 167 174 149
R(Red) 169 187 187 203 167
G(Green) 162 171 172 180 150
B(Blue) 140 141 143 139 130
혼합색(색상코드) #A9A28C #BBAB8D #BBAC8F #CBB48B #A79682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만 포함하는 제조예 3은 L 값이 161로,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만 포함하는 제조예 4(177), 갈산만을 포함하는 제조예 5(178), 탄닌산만을 포함하는 제조예 6(178) 또는 석류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제조예 7(182)과 비교하여 높은 염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 갈산, 탄닌산 및 석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제조예 8 내지 12에서 염색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든 구성을 전부 포함하는 제조예 12에서 가장 우수한 염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함량에 따른 염색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구성 성분의 함량비에 따른 염색용 조성물의 염색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3 내지 15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후의 모발 색상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평균 L(lightness) 125 146 145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3 내지 15 모두 염색 전의 L 값(178)과 비교하여 L 값이 감소하였는 바, 염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3은 제조예 14 및 15와 비교하여 L 값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제형별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 확인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에 따른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후의 모발 색상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50℃에서 1주일간 방치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후 모발의 색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L(lightness)/즉 179 189 186 176 178 96
L(lightness)/50℃, 1W 177 182 192 175 183 170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무수제형), 실시예 4(일반크림) 및 실시예 5(트리트먼트 샴푸)는 염색 전(178)과 후의 L/즉 및 L/50℃, 1W 값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실시예 2(마스크팩) 및 실시예 3(고함량 글리세린)은 염색 전과 비교하여 염색 후의 L/즉 및 L/50℃, 1W 값이 커졌는 바,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6(트리트먼트)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하여 염색 전과 비교하여 L/즉 값이 현저히 감소하였는 바, 즉각적인 염색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정제수의 함량이 높을수록 즉각적인 염색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용매에 따른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 확인
상기 실험예에서 실시예 6은 염색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장기 보관할 경우 염색 효과가 오히려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실험예에서는 정제수 대신 폴리올을 사용하여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 모두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8의 성분 및 함량으로 염색용 조성물을 포함한 제형을 제조한 후,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To 100 - - -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 To 100 - -
에탄올(Ethanol) - - To 100 -
글리세린(Glycerin) - - - To 100
폴리-디하이드록시인돌(Poly-Dihydroxyindole) 0.18
D-글루콘산 철(Ⅱ) 수화물(Iron(Ⅱ) D-gluconate dehydrate) 0.35
갈산(Gallic acid) 0.70
탄닌산(Tannic acid) 0.35
석류 추출물(제조예 2) 0.0035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L(lightness)/즉 125 128 124 118
L(lightness)/50℃, 1W 139 143 146 117
그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제형에서 염색 후 L/즉 및 L/50℃, 1W 값이 감소하였는 바,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글리세린을 포함한 실시예 10이 다른 제형과 비교하여 가장 작은 L/즉 및 L/50℃, 1W 값을 나타내었는 바, 즉각적인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특정 용매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가 우수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점증제 유무에 따른 제형 안정도 확인
상기 실험예에서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실시예 10은 장기간 보관할 경우 일부가 바닥에 가라 앉고 제형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험예에서는 점증제를 추가하여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색상 안정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0과 같이, 각 성분 및 함량으로 염색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용기에 동일한 함량으로 담은 뒤, 빛과 온도 조건(상온, 4℃, 37℃ 및 45℃)에 따라 일정 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용기를 뒤집어서 사진 촬영한 후 그 결과를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험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 효과 및 색상 안정도(1주 및 2주)를 측정하여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0 To 100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Hydroxyethyl cellulose)
1.0 - - - -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Sodium Poly acryloyldimethyl Taurate) - 1.0 - - -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 - 1.0 - -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Taurate compolymer) - - - 1.0 -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 - - - - 1.0
실시예 10 실시예 15
L(lightness)/즉 118 117
L(lightness)/50℃, 1W 117 118
L(lightness)/50℃, 2W 130 116
도 1 및 도 2는 점증제 유무에 따른 온도별 제형 안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증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0은 온도나 빛 조건에 관계없이 입자가 바닥에 가라 앉아 제형이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증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5는 제형이 분리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은 염색 직후의 명도 값과 비교하여 50℃에서 2주 경과 후의 명도 값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5는 비교하여 50℃에서 2주 경과 후에도 염색 직후의 명도 값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안정된 제형을 형성하는 바, 즉각적인 염색 효과뿐만 아니라, 색상 안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금속-페놀 복합체(Metal-Phenolic Complex, MPC);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 및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Alcoh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및 실리카실릴레이트(Silca Sil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석류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향나무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옻나무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장미 추출물, 및 쑥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페놀 복합체는 철(Fe), 구리(Cu), 은(Ag), 아연(Zn), 백금(Pt), 금(Au),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바륨(Ba), 칼슘(Ca), 니켈(Ni), 코발트(Co), 망가니즈(Mn) 및 마그네슘(Mg)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및
    탄닌산(Tannic acid), 갈산(Gallic acid), 플라본(Flavone), 안토시아닌(Anthocytanin), 폴리페놀(Polyphenol), 이소플라본(Isoflavone), 카테킨(Catechin),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 에틸 갈레이트(Ethyl gallate),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라우릴 갈레이트(Lauryl gallate),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및 테아플라빈-3-갈레이트 (Theaflavin-3-gal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의 유도체인 페놀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염색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전구체는 (폴리)하이드록시인돌((Poly)hydroxyindole), L-도파퀴논(L-Dopaquinone), 티로신(Tyrosine), 5,6-디하이드록시인돌(5,6-Dihydroxyindole), 인돌-5,6-퀴논(Indole-5,6-quinone), 5,6-디하이드록시인돌-2-카르복시산(5,6-Dihyroxyindole-2-Carboxylic acid), 및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염색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발, 눈썹, 속눈썹, 피부, 손톱 및 발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착색을 위한, 염색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의 금속-페놀 복합체, 0.001 내지 1.00 중량%의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 중량%의 용매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소듐 폴리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Sodium Poly acryloyldimethyl Taurate),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염색용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색용 조성물은 샴푸, 클렌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팩, 린스, 두피팩, 토닉, 에센스, 로션, 크림, 오일, 미스트, 스프레이, 헤어젤, 속눈썹 마스카라, 눈썹 타투, 아이브로우, 및 매니큐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염색용 조성물.
PCT/KR2024/008088 2023-06-16 2024-06-12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WO20242581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77312 2023-06-16
KR10-2023-0077312 2023-06-16
KR10-2023-0173434 2023-12-04
KR1020230173434A KR102757730B1 (ko) 2023-06-16 2023-12-04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258193A1 true WO2024258193A1 (ko) 2024-12-19

Family

ID=9385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4/008088 WO2024258193A1 (ko) 2023-06-16 2024-06-12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25819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71A (ko) * 1999-03-19 2002-02-09 출원후보충 피부 노화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아스코르브산 조성물및 방법
KR20160059753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17500302A (ja) * 2013-12-09 2017-01-05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20190009537A (ko) * 2017-07-19 2019-01-29 한국과학기술원 수성 염색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용 샴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71A (ko) * 1999-03-19 2002-02-09 출원후보충 피부 노화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아스코르브산 조성물및 방법
JP2017500302A (ja) * 2013-12-09 2017-01-05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KR20160059753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9537A (ko) * 2017-07-19 2019-01-29 한국과학기술원 수성 염색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색용 샴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SANG YEONG, KANG EUNHYE K., CHOI INSUNG S.: "Iron Gall Ink Revisited: A Surfactant-Free Emulsion Technology for Black Hair-Dyeing Formulation", COSMETICS, MDPI AG, vol. 8, no. 1, pages 9, XP093247165, ISSN: 2079-9284, DOI: 10.3390/cosmetics8010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525B1 (ko) 두족류의 먹물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1589119B1 (ko)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WO2023282376A1 (ko)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모발 발색용 조성물
WO2018164309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174707B1 (ko) 설페이트-프리의 모발 또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0062138A2 (en) Composition for the oxidative dyeing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KR20080070334A (ko)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648730B2 (ja) 皮膚化粧料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WO2024258193A1 (ko)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KR101636807B1 (ko)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염모제용 혼합첨가제 조성물
KR102757730B1 (ko) 금속-페놀 복합체, 및 멜라닌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염색용 조성물
JP3998085B2 (ja) ヒアルロン酸量増加促進剤
KR101458877B1 (ko)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305154B1 (ko) 눈썹 또는 속눈썹의 밀도 증가 및 길이 성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KR101738966B1 (ko) 케라틴 섬유의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KR101826006B1 (ko) 천연 염료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9479B1 (ko) 비듬방지 모발용 조성물
CN110664681A (zh) 一种白茶口红及其制备方法
WO2020045689A1 (ko) 항산화용 복합체 및 이를 형성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48237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