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03593A1 -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 Google Patents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203593A1 WO2019203593A1 PCT/KR2019/004704 KR2019004704W WO2019203593A1 WO 2019203593 A1 WO2019203593 A1 WO 2019203593A1 KR 2019004704 W KR2019004704 W KR 2019004704W WO 2019203593 A1 WO2019203593 A1 WO 2019203593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wire
- endoscope
- probe
- connector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having a detachable pro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e capable of separating a probe, which is a part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from a handle part.
- Medical endoscope is a device used to check the state of the affected area or to perform the procedure by directly injected into the internal tissue of the human body to be examined or treated.
- the endoscope 10 may adjust the insertion direc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joint assembly 12 at the end of the flexible insertion tube 11 and inserting it into the human body.
- An end portion of the joint assembly 12 is provided with a tip body 13 mounted with an image sensor and a light source (or lens).
-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 is provided with a handle body 14.
- the handle body 14 is connected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through a separate cable and connector.
- the handle body 14 is disposed with the dial 15 and the buttons 16 used for adjusting the direction and the procedure of the joint assembly 12.
- the dial 15 is arranged in pairs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ip body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11).
- a sprocket 17 and a chain 18 are provided inside the handle body 14 to conve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ial 15 into a linear movement.
- the chain 18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joint assembly 12 via a separate wire 19.
- the rotation of the dial 15 is converted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wire 19 via the sprocket 17 and the chain 18, and the joint assembly 12 is bent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wire 19.
- the operator of the endoscope 10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ront end body 13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sertion tube 11 into the human body.
- the endoscope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thorough hygiene management is required, and must be washed / disinfec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or surgery. In some cases it may be impossible or undesirable to reuse the parts that are actuall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e the insertion tube and joint assembly.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endoscope has a problem in that the entire endoscope apparatus needs to be replaced because the whole body consists of one body. In addition, even if it is possible to reuse, if you can separate only a part of the endoscope rather than the entire washing and disinfec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3947 discloses an endoscope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a handle body and an operation unit body.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3947 discloses an endoscope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a handle body and an operation unit body.
- Even if the problem of detachment of the wire is solved,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endoscope precisely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radius in the endoscope bending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n endoscop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part of the endoscope.
- an endoscope having a separate probe includes a handle portion and a probe portion detachably mounted to the handle portion.
-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installed reciprocally by an adjustment knob.
- the probe unit includes a probe that is deformed as the wire moves, and a second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an end of the wir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 the hand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sprocket rotatably connected to the adjustment knob, and a chain engaged with the sprocket to reciprocate by rotation of the sprocket, and the first connector may be reciprocated in conjunction with the chain.
- the handle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end wire coupled to the chain, the end wir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o pull the first connector to the sprocket side.
- a wire coupl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hain and the end wire is coupled to the wire coupler.
- the hand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chain guide disposed adjacent to the chain, and when the chain moves, the wire coupler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chain guide and slides.
-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spring moun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return spring is adapted to replace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force for pulling the first connector is released by the end wire.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position.
- the end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by a wire fixing piece, and the wire fix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to be slidably movable within a limited distance.
- any on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n end tip having an insertion hole at an end thereof,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o rotate the end tip. It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fastened to.
- the end tip further includes a cutout at its sid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extends in width relative to the other part,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protrudes into the cutout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rotates.
- the hand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housing accommodating the first connector therein and guiding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or.
- the end tip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in on the side
- the connector housing has a guide groove for engaging the guide pin on the side, the guide groove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obliquely.
- the han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guide pin.
- the probe device include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 first pinion gea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the pair of second The connector has a rack gear port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mesh with the first pinion gear, and when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one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moved in the direction.
-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connectors that can be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any one of the pair of first connectors and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that can be coupled thereto Whe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y interlock with each other, but when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ey do not interlock.
-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by a wire fixing piece, the wire fix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is mounted to allow a slide movement within a limited distance.
- the probe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release opening on its side, and the end of the stopper release opening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urface, when the stopper release opening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and the stopper and the first connector May be released.
- the product can be appropriately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each use for which the endoscope is u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economically reuse or replace parts of the endoscope more easily and to perform cleaning and disinfec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endoscope structure.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nd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coupling part of a handle part and a probe par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of a probe unit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handle par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internal structure of a coupling part of a handle part and a probe par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inside of the probe unit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8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pinion gear in FIG. 7.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handle par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11 is a partial cutaway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handle par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art and a probe part are coupl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FIG. 1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art and a probe part are coupl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FIG.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FIG.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nd portion of the probe unit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 an embodiment of an endoscope with a removable p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the embodiment includes a handle part 100 and a probe part 200 detachably mounted to the handle part 100.
- the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adapter 50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connector adapter 50 i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100 by a universal cord (60).
- the connector adapter 50 and the universal cord 60 is illustrative and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of course, may employ any that may be applied to the endoscope.
- the handle part 100 includes a body part 110 in which a chain and a cable for driving the probe part are accommodated therein while providing a holding space for the operator to grip.
- a handle side coupling part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 the handle sid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n end cover 121 that closes an end of the handle part 100.
- the end cover 121 has two supply channels 122 and suction channels 123 formed therebetween to provide air and water stored in the affected part at the bottom of the procedure based on FIG. 2.
- the air supply channel, the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suction channel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inside is empty and is inserted into the probe unit when combined with the probe unit, so that water or air does not leak, and stably does not leak to the procedure or test site. To be supplied.
- Connection terminals 124 are provided above the channels.
-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unit so that data obtained by a camera or the lik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obe unit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connection terminal 124 transmits an image. It may be an HDMI terminal.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5 are formed between the channe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rough holes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topper release port provided in the probe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 the coupling part 12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part 110, and an outer ring 126 may be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o prevent leakage of air or water.
- the first and second knobs 111 and 112 are provided in a stacked shap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rst and second knobs 111 and 1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are configured to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Each of the knobs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teeth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ip and rotate.
- the first knob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while the second knob is stopped.
- the second knob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while the first knob remains stationary.
- the first knob 111 control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obe unit. That is, when the first knob i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end portion of the probe portion is bent upward or downward accordingly.
- the second knob 112 controls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obe unit. That is, when the second knob 112 i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end portion of the probe portion is bent to the left or the right accordingly.
-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be uni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knobs 111 and 112.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fix the bent state of the probe unit at a specific angle.
- the fixing knob 113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knob 112. When the fixing knob 113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sprockets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and thus the ends of the probe part are fixed.
- the prob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robe 210 for insertion into the human body on one side and a coupling unit 220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unit 100 on the other side.
- the probe 210 may be a camera or the like installed at its end, and includes a bending par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bent up, down, left and right by movement of a wire to be described later.
- the outside of the bending part may be equipped with a mesh tube 204 (FIG. 5) for protecting it.
- the coupling part 220 provided in the probe part 200 includes a fixing nut 201 for fixing with the handle part.
- the fixing nut 201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urround a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probe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specifically,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coupling portions provided in the respective portions.
- the fixing nut 201 may be mounted to rotate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probe unit 200, and may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handle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 the handle part when the fixing nut 201 rotates in one direction while the two coupling part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andle part is coupled with the fixing nut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and when the fixing nut 20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handle part 100 and the fixing nut 201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the handle part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probe part.
- each channel receiving tube 222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each channel to be inserted.
- an O-ring may be provided inside to prevent leakage of supplied water or air.
- connection terminal 223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at is,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male terminal, and the prob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emale terminal.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 End portions of the four second connectors and the stopper release ports are respectively protruded between the channel accommodation pipe 22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23. These are mentioned later.
- the PCB 124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0 of the handle part 100.
- the PCB 124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4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 first connectors 13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cover 121.
- the four first connectors 130 have a hollow hollow tube and are arranged to form a quadrang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 a connector guide plate 140 is disposed at the knob side en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30.
- the connector guide plate 140 includes a guide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four first connectors 130 are inserted, and each of the first connectors 130 is slidably mounted in the guide hole. That is, the connector guide plate 140 not only fixes the first connectors but also serves to guide the slide movement.
- An arm 15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fixedly formed on the connector guide plate 140.
- a return spring 132 is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or 13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he first connectors 130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5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 the first connectors 130 are slid to the knob sid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5 by the first and second knobs, but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knobs is removed, the first connectors are moved by the return springs. Will return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 the two first connectors disposed at the lower side with reference to FIG. 5 are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knob 111. That is, when the first knob 111 is rotated, the lower first connectors are moved to rotate the probe up and down.
- the two first connector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re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knob 112, and when the second knob 112 is rotated, the upper first connectors move to rotate the probe left and right.
- One stopper 150 is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nnectors 130, respectively.
- the stopper 150 is plac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or 130, as shown in Figure 5, in this embodiment is placed on its surfac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arm 152 is limited to this It may be placed completely apart.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will be described later.
- a supply pipe 154 connected to the supply channel 122 and the suction channel 12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nector 130.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to supply water and air to the supply channel 122 or to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channel 124.
- the base plate 160 is dispos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connector guide plate 130.
- the base plate 160 functions a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handle part 100 and has a thin plate shape. Sprockets and chains to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above the base plate 160, and a protection plate 162 is disposed above them.
- the base plate 160 and the protection plate 162 cooperate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the formed space is used as a space for moving the chain and the end wire to be described later.
- an end tip 133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obe unit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30.
- the end tip 133 has an enlarged diameter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end thereof is open to form the insertion hole 133a.
- the insertion hole 133a has a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to one side.
- cutouts 133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djacent to the open end. As a result, a stepped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utout 133b and the open end.
- the side of the end tip 133 is formed with a guide pin 134,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be described later, while the first connector rotates about its longitudinal axis when the slide of the first connector 130 is moved. Slide it.
- connection terminal 223 disposed on the coupling part 220 of the probe par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224 as in the handle part.
- four second connectors 230 are disposed in the PCB 224.
- the four second connectors 2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or when the probe part is coupled to the handle part.
- an approximately conical insertion protrusion 232 is formed at a handle side end of the second connector 23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is an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end tip 133 of the first connector. It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133a.
-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has a form in which the width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is wid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at the end tip of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an interlock with each other. Func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one stuffer release opening 240 is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 the stopper release opening 240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urface at an end thereof,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topper release opening 240 has a length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150 through the end cover disposed at the end of the handle part.
- the stopper release opening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the stopper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nector, and as a result, the stopper and the first connector are releas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a rack gear part 233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230. 7 to 9, the rack gear unit 233 is formed on a surface in which a pair of second connectors facing each other face each other. That is, a pair of second connectors disposed at the bottom and responsible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probe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and a pair of second connectors disposed at the top thereof and responsible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obes ar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 Pinion gears 250 geared to the respective rack gears are further provided.
- the pinion gear 250 is disposed two spaced apart up and down.
- the pinion gear 250 disposed below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formed in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obe, and the pinion gear 250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is responsible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obe.
- the pinion gear 250 is installed to rotate about a rotation shaft 252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rotation shaft 252 is a rotation shaft support plate 254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nector. ) Is rotatably mounted.
- a wire 260 for moving the probe is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or 230.
- the wire 260 is not simply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or, but may be mounted to be accommoda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wire 2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hrough the wire fixing piece 262, and the stepped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fixing piece 262 may contact the second connector. Until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or.
- the wire fixing piece 262 is slide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if the wire fixing piece 262 exceeds the above range, the wire fixing piece 262 is moved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or.
- This slide movement distance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ement distances of the wires placed radially inward and the wires located outward during the rotational drive.
- the pair of second connectors facing each other by the pinion gear 250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nector moves toward the handle portion side is referred to as the contractio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away from the handle portion is a relaxation direction.
- the second connector is align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7. If the first or second knob is rotated, one of the first connectors connected to the knob is moved in the contract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other first connector does not move in the relaxation direction but maintains a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eutral position) without an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 the second connector interlocked with the first connector moving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is moved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by the first connector.
-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or causes the other second connector engaged by the rack gear part and the pinion gear 250 to move in the relaxation direction. That is, in the movement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interlocked and move together, but in the movement in the relaxation direction, the first connector maintains the neutral position and only the second connector moves in the relaxation direction.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n the relaxation direc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probe is subjected to external force not only in the force of either of the second connectors but also in both the contracting and the relaxation directions, whereby a more accurate and direct feeling of operation can be obtained.
- the movement length of the wire located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movement length of the wire located in the relaxation direction, so it is necessary to absorb the difference in the movement distance.
- the slid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230 and the wire 260 also functions as a buffer for absorbing the difference in movement distance as described above.
- 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handle part.
- two sprockets 170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knobs 111 and 112. And rotatably moun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second knob.
- the chain 171 is engaged with the respective sprockets and is moved. Both ends of the chain 171 are coupled to the end wires 172, respectively, and a wire coupler 173 is provided therebetween. The wire coupler 173 is guided in movement while contacting the chain guide 174 disposed adjacent thereto.
- the chain guide 174 ha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empty inside, and the side surface thereof functions as a guide surface while contacting the wire coupler 173. Thus, the chain can be stably moved by the chain guide 174 even if the chain moves in a contraction or relaxation direction.
- the end wire 172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1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end wire 172 is coupled by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wire fixing piece 175 as in the second connector.
- the wire fixing piece 175 is slidably mounted within a limited range in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or 130. In this case, in relation to the slide movement, the wire fixing piece and the first connector may be immediately moved together without the slide movement in the contracted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slide only in the relaxed direction.
- the pair of chains are respectively responsible for vertical movement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probe, and they can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or located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moves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but the first connector located in the relaxed direction does not move in the relaxed direction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wire fixing piece described above. Will maintain its position.
- the first connectors are received in the connector housing 180.
- the connector housing 18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spac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s 130 can be slidably received.
- the connector housing 18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82 that engages with the guide pin 134 formed on the end tip 133.
- the guide groove 182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housing 180 starting from th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80 and progress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e groove 182 is on th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but the end poin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or rotates about 90 degrees while being moved in the contracting direction by the guide pin 134 and the guide groove 182.
-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of the second connector 2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3a formed in the end tip 133, bu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no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133a even when the first connector is moved. Accordingly, wh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probe portion are coupled or separated, a separate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wires provided in each of them is not required.
- the first or second knob When the first or second knob is rotated after engagement, one of the first connectors linked thereto moves in the contracting direction.
- the first connector 130 is rotated by about 90 degrees by the guide pin 134 and the guide groove 182,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32 to the end tip 133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utout 133b to be caught and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first connector moves in the contracting direction, the second connector also moves together, and as a result, the probe is de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return spring Upon removal of the external force, the return spring returns the first connector to the neutral position and rotates 90 degrees back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guide pin and the guide groove, thereby placing the insertion protrusion in the state of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insertion hole.
- the aforementioned stopper 150 has a guide pin receiving groove 156 on an inner side surface thereof.
- the guide pin receiving groove 156 has a depth and width such that two guide pins 134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accommodated therein.
- the length of the guide pin receiving groove 156 is formed to accommodate both guide pins in a neutral position.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guide pins, respectively.
- the guide pin When the guide pin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pin receiving groove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guide pin is prevented by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ccordingly,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are to be rotated, the guide pins are not blocked by the receiving grooves and therefore cannot be rotated.
- the above-mentioned stopper release opening 240 is inserted between the stopper 150 and the guide pin 232,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topper ( The guide pin is separated from 156.
- the stopper release opening 240 is always disposed inside the stopper in a state where the probe part is coupled to the handle part, thereby preventing the guide pin from being recombined with the receiving groove.
- the knob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handle part is coupled to the probe part, the knob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unintentional operation while the handle part and the probe part are separated.
- an end cover 280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probe unit 200.
- the end cover 280 has a flat cylindrical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be unit 200.
- the end cover 280 is equipped with an image sensor 282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inspected part and a nozzle pipe 284 for injecting air and water, respectively.
- the end cover 280 is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ssion window 286 at a plurality of points.
- the light transmission window 286 is made of a plate of glass or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 a flexible PCB 29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nd cover 280, and a plurality of LEDs 292 are mounted on the flexible PCB 290.
- the plurality of LEDs 292 are disposed in a por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light transmission window 286 and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inspected part.
- the above-described image sensor 282 is also mounted on the flexible PCB. Since a plurality of LEDs are used as the lighting unit, the illumination intensity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amount of irradiated light can be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halogen lamp,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시경은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는 조절 노브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부는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프로브,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인 프로브를 핸들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내시경은 검사 또는 시술 대상인 인체 내부 조직에 직접 투입하여 환부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시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내시경(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내시경(10)은 유연한 삽입 튜브(11)의 단부에 관절부 조립체(12)를 배치하여 인체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절부 조립체(12)의 단부에는 이미지 센서, 광원(또는 렌즈)가 장착된 선단부 몸체(13)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 튜브(11)의 다른 단부에는 손잡이 몸체(1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14)는 별도의 케이블 및 커넥터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영상처리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 몸체(14)에는 상기 관절부 조립체(12)의 방향 조절 및 시술에 이용되는 다이얼(15) 및 버튼(16)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15)은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삽입 튜브(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선단부 몸체(13)의 진행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 몸체(14)의 내부에는 스프라켓(sprocket)(17)과 체인(chain)(18)이 제공되어 상기 다이얼(15)의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체인(18)은 별도의 와이어(19)를 통해 상기 관절부 조립체(12)의 단부에 연결되어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다이얼(15)의 회전은 스프라켓(17)과 체인(18)을 통해 와이어(19)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되며, 와이어(19)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관절부조립체(12)가 굽혀지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내시경(10)의 운용자는 상기 삽입 튜브(11)를 인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선단부 몸체(13)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내시경은 인체로 삽입되기 때문에,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진료나 수술 전후에는 반드시 세척/소독을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로 인체에 삽입되는 부분, 즉, 삽입 튜브 및 관절부 조립체를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내시경은 전체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시경 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재사용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내시경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을 분리할 수 있다면 세적 및 소독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내시경이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3947호는 손잡이 몸체와 조작부 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내시경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그 작동 구조상 상기 와이어를 분리 및 재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와이어를 그대로 둔 채 다른 부분을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효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설령 와이어의 탈부착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내시경이 휘어진 상황에서는 반경의 차이로 인해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와이어가 이동하는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밀하게 내시경을 조작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시경의 일부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이 제공된다. 상기 내시경은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는 조절 노브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부는,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프로브,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조절 노브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에 맞물려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체인과 연동되어 왕복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엔드 와이어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엔드 와이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스프라켓 측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인의 단부에 와이어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결합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체인에 인접하여 배치된 체인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이동 시, 상기 와이어 결합구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주부에 장착된 리턴 스프링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엔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엔드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편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어 제한된 거리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그 단부에 삽입구를 갖는 엔드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엔드 팁에 체결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엔드 팁은 그 측부에 절개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는 일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해 확장되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회전시 상기 확장된 일부분이 상기 절개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더욱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엔드 팁은 측면에 가이드 핀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측면에 상기 가이드 핀이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의 상단부를 향하도록 기울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로브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사이에는 제1 피니언 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랙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커넥터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 가능한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서로 연동하지만, 제2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연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편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은 상기 제2 커넥터에 삽입되어 제한된 거리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프로브부는 그 측부에 스토퍼 해제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해제구의 단부는 테이퍼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해제구가 상기 스토퍼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에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제1 및 제2 커넥터를 이용하여 분리된 핸들부 및 프로브부에 구비되는 와이어들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시경의 임의의 지점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있다. 특히, 핸들부와 프로브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들을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탈부착 작업을 매우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와이어의 위치에 관계없이 임의의 지점에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시경이 사용되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제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보다 경제적으로 내시경의 부품들을 재사용 또는 교체할 수 있으며, 세척 및 소독 작업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가 그 이동 방향에 따라서 연동되거나 연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반경 차이로 인한 조작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내시경의 프로브부를 휘어지게 하는 힘이 가해지는 쪽은 연동이 되도록 하여 내시경의 프로브루를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휘도록 하면서도 반대쪽 와이어는 (연동되지 않으므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동 거리 차이를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핸들부 및 프로브부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프로브부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핸들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핸들부와 프로브부의 결합부의 내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브부의 내부 중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 중 제2 커넥터와 피니언 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핸들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핸들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부와 프로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부와 프로브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스토퍼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프로브부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프로브를 구비한 내시경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 가능한 프로브를 구비한 내시경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크게 핸들부(100)와 상기 핸들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브부(20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실시예는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어댑터(5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어댑터(50)는 유니버셜 코드(60)에 의해 상기 핸들부(1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어댑터(50) 및 상기 유니버셜 코드(6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시경에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핸들부(100)는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공간을 제공하면서 내부에 상기 프로브부를 구동하기 위한 체인 및 케이블 등이 수납되는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단부에는 핸들측 결합부(120)가 제공된다. 상기 핸들측 결합부(120)는 상기 핸들부(100)의 단부를 폐쇄하는 엔드 커버(121)를 구비한다. 상기 엔드 커버(121)는 도 2를 기준으로 하부에 시술시 환부에 저공되는 공기 및 물을 제공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급채널(122)과 이들의 사이에 석션 채널(12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채널, 물 공급채널 및 석션 채널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비어 있어 상기 프로브부와 결합시에 프로브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물이나 공기 등이 누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술 또는 피검 부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채널들의 상측에는 연결 터미널(12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 터미널(124)은 상기 프로브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등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프로브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상기 연결 터미널(124)은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HDMI 단자일 수 있다.
상기 채널과 연결 터미널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5)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프로브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및 스토퍼 해제구 등이 상기 핸들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에 비해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는 공기 또는 물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오링(12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 상부에는 제1 및 제2 노브(111, 112)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적층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노브(111, 112)는 후술할 제1 및 제2 스프라켓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노브들은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제1 노브는 제2 노브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노브는 제1 노브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브(111)는 상기 프로브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1 노브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그에 따라 프로브부의 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 제2 노브(112)는 상기 프로브부의 좌우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2 노브(11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그에 따라 프로브부의 단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 노브(111, 112)의 조작을 통래서 프로브부의 회전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브부가 특정의 각도로 휘어진 상태를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제2 노브(112)의 상측에 고정 노브(1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노브(11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에 따라 프로브부의 단부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프로브부(200)는 인체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프로브(210)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핸들부(1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브(210)는 그 단부에 카메라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벤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부의 외부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메시 튜브(204; 도 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부(200)에 구비되는 결합부(220)에는 상기 핸들부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 너트(201)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너트(201)는 상기 프로브부의 단부 일부와 핸들부의 단부 일부, 구체적으로는 각각에 구비되는 결합부들의 외주부를 동시에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 너트(201)는 상기 프로브부(200)에 대해서 소정 각도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서 핸들부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결합부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너트(201)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핸들부는 고정 너트와 체결되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고정 너트(20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부(100)와 상기 고정 너트(20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핸들부는 프로브부로부터 분리된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프로브부(200)측 결합부(2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220)는 프로브부의 일측 단부를 폐쇄하는 엔드 커버(221)가 구비된다. 상기 엔드 커버(221)에는 상술한 공급 채널(122)과 석션 채널(123)이 삽입되는 3개의 채널 수용관(222)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채널 수용관(222)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삽입될 각각의 채널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 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수용관(222)의 반대측에는 상기 연결 터미널에 대응되는 또 다른 연결 터미널(223)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핸들부에는 수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프로브부에는 암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이나. 그 역도 가능한다.
상기 채널 수용관(222)과 상기 연결 터미널(223)의 사이에는 4개의 제2 커넥터의 단부 및 스토퍼 해제구가 각각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핸들부(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00)의 연결 터미널(120)와 인접하여 PCB(124a)가 배치된다. 상기 PCB(124a)는 상기 연결 터미널(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엔드 커버(121)와 인접하여 4개의 제1 커넥터(130)들이 배치된다. 상기 4개의 제1 커넥터(13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의 형태를 가지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커넥터(130)의 노브측 단부에는 커넥터 가이드 플레이트(140)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 플레이트(140)는 상기 4개의 제1 커넥터(130)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130) 각각은 상기 가이드 홀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커넥터 가이드 플레이트(140)는 상기 제1 커넥터들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 플레이트(140) 상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152)이 고정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30)의 외주부에는 리턴 스프링(132)이 장착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130)들을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동작 중에, 상기 제1 및 제2 노브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130)들이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노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나, 노브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제1 커넥터들이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커넥터는 제1 노브(111)의 동작에 연동된다. 즉, 제1 노브(111)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의 제1커넥터들이 이동하면서 프로브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커넥터는 제2 노브(112)의 동작에 연동되어, 제2 노브(112)가 회전되면 상측의 제1 커넥터들이 이동하면서 프로브를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커넥터(130)들의 좌우측으로 각각 하나의 스토퍼(15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넥터(130)와 인접한 위치에 놓이게 되고, 금번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암(152)과 분리된 상태로 그 일부면에 얹혀져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완전히 떨어져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커넥터(130)들의 하부에는 상기 공급채널(122) 및 석션채널(123)과 연결되는 공급관(154)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내시경의 외부와 연결되어 물과 공기 등을 상기 공급채널(122)에 공급하거나 석션채널(124)을 통해 흡입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좌측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6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상기 핸들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며, 얇은 판재의 형태를 갖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상부에는 후술할 스프라켓 및 체인 등이 배치되고, 이들의 상부에 보호 플레이트(162)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162)가 협력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공간은 후술할 체인 및 엔드 와이어가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부(100)의 내부 구조와 프로브부(200)의 내부 구조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넥터(130)의 프로브부측 단부에는 엔드 팁(1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엔드 팁(133)은 제1 커넥터(13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확장된 직경을 가지고 있고, 그 단부는 개방되어 삽입구(133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구(133a)는 일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단부와 인접하여 좌우에 각각 절개부(133b)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절개부(133b)와 개방 단부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엔드 팁(133)의 측면에는 가이드 핀(134)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제1 커넥터(130)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제1 커넥터가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면서 슬라이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로브부(200)의 결합부(220)에 배치되는 연결 터미널(223)은 핸들부에서와 동일하게 PCB(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PCB(224)의 부에 4개의 제2 커넥터(230)가 배치된다.
상기 4개의 제2 커넥터(230)는 프로브부가 핸들부와 결합된 경우 상술한 제1 커넥터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커넥터(230)의 핸들부측 단부에는 대략 원추형의 삽입돌기(2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돌기(232)는 상술한 제1 커넥터의 엔드 팁(133)에 형성되는 삽입구(133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상기 삽입돌기(232)의 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확장된 형태를 가지며, 이는 상술한 제1 커넥터의 엔드 팁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맞물려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커넥터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의 스터퍼 해제구(24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 해제구(240)는 단부가 테이퍼 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해제구(240)는 상기 프로브부가 핸들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핸들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엔드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1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스토퍼 해제구가 상기 스토퍼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스토퍼는 제1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스토퍼와 제1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2 커넥터(230)의 측면에는 랙 기어부(233)가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랙 기어부(233)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즉, 하부에 배치되며 프로브의 상하 이동을 담당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가 대향하는 명과, 상부에 배치되며 프로브의 좌우 이동을 담당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가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랙 기어와 각각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5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50)는 2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250)는 프로브의 상하 이동을 담당하는 한쌍의 제2 커넥터에 형성되는 랙 기어부와 맞물리고, 상부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250)는 프로브의 좌우 이동을 담당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에 형성되는 랙 기어부와 맞물린다.
상기 피니언 기어(250)는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회전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52)은 제2커넥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지지 플레이트(25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23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와이어(26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60)는 단순히 상기 제2 커넥터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만큼 제2 커넥터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60)는 와이어 고정편(262)을 통해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 고정편(262)은 그 단부에 형성된 단턱부가 제2 커넥터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2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와이어 고정편(262)은 소정 거리 내에서는 상기 제2 커넥터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지만,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2커넥터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회전 구동시에 반경 방향 내측에 치한 와이어와 외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이동 거리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50)에 의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핸들부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수축 방향, 핸들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이완 방향으로 지칭한다. 상기 핸들부에 프로브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황, 즉 상기 제1 또는 제2 노브를 조작하지 않은 상황에서 제2 커넥터는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정렬된다. 만일, 제1 또는 제2 노브를 회전하면 해당 노브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중 하나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다른 하나의 제1 커넥터는 이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지칭한다)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넥터와 연동되는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에 의해서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커넥터의 움직임은 상기 랙 기어부 및 피니언 기어(250)에 의해 맞물린 다른 하나의 제2 커넥터를 이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수축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연동되어 함께 이동하지만, 이완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는 중립위치를 유지하고 제2 커넥터만이 이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이완 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프로브는 제2 커넥터 중 어느 한쪽의 힘만이 아니라 수축 및 이완 방향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외력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직접적인 조작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반경의 차이로 인해서 수축 방향에 위치한 와이어의 이동 길이는 이완 방향에 위치한 와이어의 이동 길이보다 작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 거리의 차이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완 방향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분리되기 때문에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이동 거리의 차이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넥터(230)와 와이어(260) 사이의 슬라이드 결합도 상기와 같은 이동 거리의 차이를 흡수하는 버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핸들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노브(111, 112)의 하부에는 두 개의 스프라켓(170)이 상기 제1 및 제2 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스프라켓과 맞물려 이동하는 체인(171)이 구비된다. 상기 체인(171)은 양단부가 각각 엔드 와이어(172)에 결합되되, 이들 사이에는 와이어 결합구(173)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결합구(173)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체인 가이드(174)와 접촉하면서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체인 가이드(174)는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그 측면이 상기 와이어 결합구(173)와 접촉하면서 가이드 면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인은 수축 또는 이완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체인가이드(174)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엔드 와이어(172)는 상기 제1 커넥터(1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 와이어(172)는 상기 제2 커넥터에와와 마찬가지로 제1 커넥터(130)와 와이어 고정편(175)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편(175)은 상기 제1 커넥터(13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홀 내에 제한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과 관련하여,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이동이 없이 즉시 와이어 고정편과 제1 커넥터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고, 이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인은 각각 프로브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을 담당하며,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이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경우 수축 방향에 위치한 제1 커넥터는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완 방향에 위치한 제1 커넥터는 상술한 와이어 고정편의 결합 구조로 인해서 이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립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커넥터들은 커넥터 하우징(18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80)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130) 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80)에는 상기 엔드 팁(133)에 형성되는 가이드 핀(134)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1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8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80)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커넥터 하우징(180)의 상단부를 향하도록 기울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홈(182)의 시작점은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있지만 종료 지점은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핀(134)과 상기 가이드 홈(182)에 의해서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 90도 정도 자전하게 된다.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 커넥터(230)의 삽입돌기(232)는 엔드 팁(133)에 형성된 삽입구(133a)에 삽입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연동되지는 않는다. 제1 커넥터가 이동하더라도 삽입돌기(232)가 상기 삽입구(133a)로부터 손쉽게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와 프로브부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 각각에 구비된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합 후 제1 또는 제2 노브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된 제1 커넥터 중 하나는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핀(134) 및 가이드 홈(182)에 의해 제1 커넥터(130)는 90도 정도 자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삽입돌기(232)의 배면이 상기 엔드 팁(133)에 형성되는 절개부(133b) 외부로 돌출되어 단턱부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서, 제1 커넥터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커넥터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프로브가 소정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리턴 스프링에 의해서 제1 커넥터는 중립 위치로 복귀하고 가이드 핀 및 가이드 홈에 의해 다시 역방향으로 90도 자전하면서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핸들부와 프로브부를 체결 또는 분리함에 있어서 와이어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핸들부와 프로브부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노브가 조작되면 제1 커넥터가 이동하면서 파손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스토퍼(150)는 내측면에 가이드 핀 수용홈(156)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핀 수용홈(15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 핀(134)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 및 폭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핀 수용홈(156)의 길이는 중립 위치에서 두 개의 가이드 핀을 모두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 핀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 핀이 가이드 핀 수용홈 내에 수용되면, 수용홈의 내벽에 의해 가이드 핀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노브를 회전하려 해도, 가이드 핀이 수용홈에 막혀 이동되지 않으므로 노브의 회전도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핸들부가 프로브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이나, 프로브부가 핸들부에 결합되면, 상술한 스토퍼 해제구(240)가 상기 스토퍼(150)와 가이드 핀(232)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스토퍼에 형성된 수용홈(156)으로부터 가이드 핀이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해제구(240)는 프로브부가 핸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시 스토퍼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가이드 핀이 수용홈에 재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는 핸들부가 프로브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만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핸들부와 프로브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의도치 않은 조작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브부(200)의 단부에는 단부 커버(280)가 구비된다. 상기 단부 커버(280)는 납짝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프로브부(200)의 단부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단부 커버(280)에는 피검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282)와 공기 및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 파이프(284)가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단부 커버(280)에는 복수 지점에 투광창(286)이 구비된다. 상기 투광창(286)은 유리 또는 투명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부 커버(280)의 배면에 연성 PCB(290)가 배치되고, 상기 연성 PCB(290)에는 복수 개의 LED(292)가 장착된다. 상기 복수 개의 LED(292)는 상술한 투광창(286)과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피검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성 PCB에는 상술한 이미지 센서(282)도 장착된다. 복수 개의 LED를 조명부로서 활용하므로, 조도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사되는 광량을 기존의 할로겐 램프 등에 비해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은:핸들부; 및상기 핸들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브부를 포함하고,상기 핸들부는 조절 노브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며,상기 프로브부는,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프로브; 및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조절 노브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스프라켓; 및상기 스프라켓에 맞물려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체인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체인과 연동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인 내시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체인에 결합되는 엔드 와이어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엔드 와이어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스프라켓 측으로 당길 수 있는 것인 내시경.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체인의 단부에 와이어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결합구에 결합되는 것인 내시경.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체인에 인접하여 배치된 체인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체인의 이동 시, 상기 와이어 결합구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인 내시경.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제1 커넥터의 외주부에 장착된 리턴 스프링을 더욱 포함하고,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엔드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인 내시경.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엔드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편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어 제한된 거리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그 단부에 삽입구를 갖는 엔드 팁을 포함하고,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엔드 팁에 체결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내시경.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엔드 팁은 그 측부에 절개부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삽입돌기는 일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에 비해 확장되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후 회전시 상기 확장된 일부분이 상기 절개부로 돌출되는 것인 내시경.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제1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내시경.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엔드 팁은 측면에 가이드 핀을 더욱 구비하고,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측면에 상기 가이드 핀이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상기 가이드 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의 상단부를 향하도록 기울어 형성된 것인 내시경.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핀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인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부는,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사이에는 제1 피니언 기어가 배치되며,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랙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고,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인 내시경.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핸들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상기 한 쌍의 제1 커넥터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 가능한 상기 한 쌍의 제2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서로 연동하지만, 제2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연동되지 않는 것인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편에 의해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편은 상기 제2 커넥터에 삽입되어 제한된 거리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인 내시경.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프로브부는 그 측부에 스토퍼 해제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해제구의 단부는 테이퍼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해제구가 상기 스토퍼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에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 커넥터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인 내시경.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970,816 US11826022B2 (en) | 2018-04-18 | 2019-04-18 | Endoscope having separable probe |
CN201980014290.6A CN111741706B (zh) | 2018-04-18 | 2019-04-18 | 具有分离型探头的内窥镜 |
JP2020544424A JP7049590B2 (ja) | 2018-04-18 | 2019-04-18 | 分離型プローブを有する内視鏡 |
DE112019002022.6T DE112019002022T5 (de) | 2018-04-18 | 2019-04-18 | Endoskop mit einer abnehmbaren Son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4870A KR102110352B1 (ko) | 2018-04-18 | 2018-04-18 |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
KR10-2018-0044870 | 2018-04-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03593A1 true WO2019203593A1 (ko) | 2019-10-24 |
Family
ID=6824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9/004704 WO2019203593A1 (ko) | 2018-04-18 | 2019-04-18 |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826022B2 (ko) |
JP (1) | JP7049590B2 (ko) |
KR (1) | KR102110352B1 (ko) |
CN (1) | CN111741706B (ko) |
DE (1) | DE112019002022T5 (ko) |
WO (1) | WO20192035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98465A1 (en) | 2016-11-28 | 2018-05-31 | Inventio, Inc. | Endoscope with separable, disposable shaft |
USD1018844S1 (en) | 2020-01-09 | 2024-03-19 | Adaptivendo Llc | Endoscope handle |
CN115843228A (zh) * | 2020-06-30 | 2023-03-24 | 普锐医疗(香港)有限公司 | 具有可拆卸头部和手柄的柔性内窥镜 |
US20220007918A1 (en) * | 2020-06-30 | 2022-01-13 | Pristine Surgical Llc | Endoscope with Bendable Camera Shaft |
USD1051380S1 (en) | 2020-11-17 | 2024-11-12 | Adaptivendo Llc | Endoscope handle |
DE102020134036A1 (de) * | 2020-12-17 | 2022-06-23 | Ambu A/S | Endoskop mit einem Endoskopgriff mit einer Trennvorrichtung |
KR20220112402A (ko) * | 2021-02-04 | 2022-08-11 | 주식회사 메디칼파크 | 일회용 내시경 및 내시경 기능을 갖는 일회용 삽관 장치 |
USD1031035S1 (en) | 2021-04-29 | 2024-06-11 | Adaptivendo Llc | Endoscope handle |
USD1070082S1 (en) | 2021-04-29 | 2025-04-08 | Adaptivendo Llc | Endoscope handle |
USD1066659S1 (en) | 2021-09-24 | 2025-03-11 | Adaptivendo Llc | Endoscope handle |
KR102397647B1 (ko) * | 2021-12-08 | 2022-05-16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동력수용부를 가지는 내시경 |
KR102496047B1 (ko) * | 2021-12-08 | 2023-02-07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내시경 |
KR102720181B1 (ko) * | 2022-01-14 | 2024-10-22 | (주) 태웅메디칼 | 착탈형 내시경 |
KR102769055B1 (ko) * | 2022-01-14 | 2025-02-19 | (주) 태웅메디칼 | 착탈형 내시경 |
KR102780174B1 (ko) * | 2022-01-14 | 2025-03-14 | (주) 태웅메디칼 | 십이지장용 착탈형 내시경 |
CN114569040A (zh) * | 2022-03-03 | 2022-06-03 | 上海秦隆医疗器械有限公司 | 支持分解组合的内窥镜装置 |
CN115054184B (zh) * | 2022-06-15 | 2023-03-10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手柄的重复使用段、内窥镜手柄及内窥镜 |
CN115120168A (zh) * | 2022-08-31 | 2022-09-30 | 苏州科沁微视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角度控制装置及内窥镜 |
CN118892294A (zh) * | 2023-05-05 | 2024-11-05 | 施长碧 | 内视镜装置及搭配使用的置换式穿置管机构与导管 |
CN119867911A (zh) * | 2025-01-15 | 2025-04-25 | 北京医院 | 电切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00427A (ja) * | 2005-06-24 | 2007-01-11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内視鏡 |
JP2009165722A (ja) * | 2008-01-18 | 2009-07-30 | Fujinon Corp | 内視鏡 |
KR100912155B1 (ko) * | 2004-07-02 | 2009-08-14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내시경 |
KR101091999B1 (ko) * | 2009-11-30 | 2011-12-08 |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
KR200461877Y1 (ko) * | 2010-11-19 | 2012-08-13 |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 내시경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9253A (ja) * | 2004-03-02 | 2005-10-13 | Olympus Corp | 内視鏡 |
JP4370201B2 (ja) * | 2004-05-14 | 2009-11-2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US7789826B2 (en) * | 2004-09-30 | 2010-09-07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Manually controlled endoscope |
KR100673413B1 (ko) * | 2006-07-03 | 2007-01-24 | 주식회사 액츠비전 | 삽입부 교체가 용이한 의료용 내시경 |
JP5087035B2 (ja) * | 2009-03-25 | 2012-11-2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バー式処置内視鏡及び内視鏡カバー |
KR101092461B1 (ko) * | 2009-06-23 | 2011-12-13 | 주식회사 케어텍 | 내시경의 굴절 조절장치 |
KR20140063947A (ko) | 2012-11-19 | 2014-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분리형 내시경 |
CN104955375B (zh) | 2013-02-08 | 2017-06-30 | 奥林巴斯株式会社 | 操纵器 |
KR101565958B1 (ko) * | 2014-03-24 | 2015-11-0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내시경 |
CN206007355U (zh) * | 2015-12-31 | 2017-03-15 | 凡梅迪克斯株式会社 | 内窥镜用手术刀 |
CN206007354U (zh) * | 2016-02-01 | 2017-03-15 | 凡梅迪克斯株式会社 | 内窥镜用手术刀 |
KR20170100758A (ko) * | 2016-02-26 | 2017-09-05 |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
KR20170100759A (ko) * | 2016-02-26 | 2017-09-05 |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 체결구조를 가지는 분리형 내시경 |
CN106691361B (zh) * | 2017-01-19 | 2020-10-23 |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内窥镜头座与内窥镜 |
-
2018
- 2018-04-18 KR KR1020180044870A patent/KR102110352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4-18 US US16/970,816 patent/US11826022B2/en active Active
- 2019-04-18 CN CN201980014290.6A patent/CN111741706B/zh active Active
- 2019-04-18 JP JP2020544424A patent/JP7049590B2/ja active Active
- 2019-04-18 DE DE112019002022.6T patent/DE112019002022T5/de active Pending
- 2019-04-18 WO PCT/KR2019/004704 patent/WO201920359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2155B1 (ko) * | 2004-07-02 | 2009-08-14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내시경 |
JP2007000427A (ja) * | 2005-06-24 | 2007-01-11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内視鏡 |
JP2009165722A (ja) * | 2008-01-18 | 2009-07-30 | Fujinon Corp | 内視鏡 |
KR101091999B1 (ko) * | 2009-11-30 | 2011-12-08 |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
KR200461877Y1 (ko) * | 2010-11-19 | 2012-08-13 |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 내시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113068A1 (en) | 2021-04-22 |
CN111741706A (zh) | 2020-10-02 |
CN111741706B (zh) | 2023-10-20 |
KR102110352B1 (ko) | 2020-06-08 |
JP2021514717A (ja) | 2021-06-17 |
DE112019002022T5 (de) | 2021-01-07 |
US11826022B2 (en) | 2023-11-28 |
JP7049590B2 (ja) | 2022-04-07 |
KR20190121497A (ko) | 201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203593A1 (ko) |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 |
WO2019203594A1 (ko) | 내시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브 장치 | |
US7361140B2 (en) | Connector for a combination cable, combination cable connected thereto, socket therefor, device for feeding light, plug connection system and endoscopy system | |
US7722532B2 (en) | Electric bending endoscope | |
WO2013100312A1 (ko) | 삼차원 내시경 수술장치 | |
US11642007B2 (en) |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 |
WO2015088142A1 (ko) | 카테터 또는 내시경용 제어장치 | |
KR20110060785A (ko) |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 |
US20180000323A1 (en) | Endoscope apparatus and light source apparatus | |
JPH0211123B2 (ko) | ||
US11547281B2 (en) | Sheath assembly for a rigid endoscope | |
WO2009096696A2 (ko) | 내시경 | |
WO2023106747A1 (ko) | 동력수용부를 가지는 내시경 | |
WO2023106668A1 (ko) | 동력수용체에 의해 제어되는 내시경 | |
JPH0910166A (ja) | 内視鏡 | |
WO2023106772A1 (ko) | 의료기기용 동력제공장치 | |
CN219397177U (zh) | 一种内窥镜 | |
US20250082182A1 (en) | Endoscope | |
KR102496047B1 (ko) | 동력전달부를 가지는 내시경 | |
WO2012121439A1 (ko) | 개폐성(開閉性)을 가지는 개폐 클립과 이를 이용한 개폐 클립 처치구 | |
WO2025121511A1 (ko) | 꺽인 구조를 가지는 컨트롤 바디를 포함하는 내시경 | |
JP2001161642A (ja) | 内視鏡用コネクタ | |
WO2025053701A1 (ko) | 내시경 | |
CN115363506A (zh) | 转向控制机构、内窥镜和医用检查装置 | |
Oneda | Technical Insigh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97878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054442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97878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