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04597A1 -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004597A1 WO2019004597A1 PCT/KR2018/005736 KR2018005736W WO2019004597A1 WO 2019004597 A1 WO2019004597 A1 WO 2019004597A1 KR 2018005736 W KR2018005736 W KR 2018005736W WO 2019004597 A1 WO2019004597 A1 WO 2019004597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coupling
- refractory panel
- steel
- steel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process of fixing a first engaging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to a steel member and a refractory panel, respectively, and then detachably coupling the second engaging member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roof panel fastening structure for a steel member,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shortening the air while ensuring sufficient fire resistance.
- the fireproof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has a fireproof performance so that the structure can withstand the fi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tructure due to the heat of the fire when the fire occurs.
-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defined as 0.5 hour, 1 hour, 1.5 hour, 2 hour, and 3 hour in relation to the fire resistance structure in the architectural law.
- steels generally melt or deform when exposed directly to temperatures of 1200 ° C or higher, and can not be used as structural materials any more.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refractory structure, a refractory material such as a fiber spray was directly sprayed on the surface of a steel member such as a column or a beam to form a refractory coating.
- a refractory material such as a fiber spray was directly sprayed on the surface of a steel member such as a column or a beam to form a refractory coating.
- these refractory materials are often used as lightweight porous materials. Such materials are not rigid, so they are easy to peel off and are vulnerable to moisture, making them unavailable as finishing materials. Particularly, when water is absorbed during the fire-extinguishing process, the entire refractory material is detached at one time.
-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refractory material during the refractory material spraying work for the refractory coating, and the spraying work is carried out after the steel member is install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frame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a general refractory method in which a refractory coating is formed by spraying directly onto the surface of a steel material.
- a fixing structure for a refractory panel coupled to the outside of a steel frame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fitting members are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The second joining member is fixed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joining member.
- an engaging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the lower engaging plat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upling plat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 an engaging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the lower engaging plat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upling plat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engaging member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are each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or a spacing portion having one side thereof bent 180 ° inwardl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refractory panel is mounted so as to enclose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thereby ensur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actory material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due to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 fireproof panel construction can be done by dry method, so that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air can be shortened.
- the general prefabricated refractory panel can be easily joined to the steel memb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teel member and a first engaging memb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ory panel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of a ste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engagement member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member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steel member and a refractor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s of the connection between a steel member and a refractor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a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for a refractor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member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A plurality of second engagement member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s are coupled to the first engagement member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teel member and a first coupling memb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ory panel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of a stee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for a steel member relates to a fixing structure of a refractory panel 2 to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a steel member 1,
-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members 3 ar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and a plurality of second engaging members 4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Is connected to the member (3).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 having a box-shaped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beam, a girder or a column, and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general refractory method in which a refractory coating is formed by spraying directly on a steel material. Is easi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teel member 1 and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 the steel frame member 1 can be formed of a steel plate, and can be configured in a box shape so that concrete is filled in the steel frame member 1.
- steel-concrete composite members which can combine steel and concrete to exhibit both the advantages of steel and concrete.
- a plurality of first engagement members (3)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 the first joining member 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join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by welding.
- the refractory panel (2) is joined to the outsid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 the refractory panel 2 may be attach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so as to enclose the outer sid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instead of the fireproof spraying.
- the refractory panel (2) has a plurality of second engaging members (4) fixed to its inner surface.
- the second joint member 4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at least two or more and the first joint member 4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int member 4.
- Member 3 are respectively coupled.
- the second joining member 4 is coupled to the first joining member 3 so that the refractory panel 2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3. Therefore, since the refractory panel 2 can be constructed by dry etching, the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the air can be shorte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members 3 and 4 are fixed to the mutually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teel frame member 1 and the refractory panel 2,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general prefabricated refractory panel 2 as well.
- the refractory panel 2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the adhesion force of the refractory material is maintained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low, unlike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refractory material is sprayed. Further, the performance of the refractory panel 2 due to moisture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and the operator can be protected from scattering of the refractory material. In addition, when the refractory panel 2 is attach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in advance, there is no fear of safety problems due to high-level work.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steel member and the refractor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n engaging plate 3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 and having a low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 joining space portion 42 is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joining member 4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so that the joining plate 31 of the first joining member 3 is joined to the second joining member 4,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of a metal material.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can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by welding.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has a coupling plate (31) protruded at one side thereof.
-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31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is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portion 42 at one side thereof.
- the engaging space portion 42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refractory panel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 the engaging plate 31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space portion 42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and the steel frame member 1 and the refractory panel 2 are engaged.
- the refractory panel 2 and the steel frame member 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mov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refractory panel 2 and the steel frame member 1 (Fig. 7A)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by sliding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member 1 (Fig. 7 (b)) (Fig. 7 (c) .
- the engaging plate 31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42) is greater than the engaging plate (31)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 the width of the engagement space portion (42)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ement plate (31).
- the coupling plate 31 is tapered so as to be narrowed toward the side end so a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portion 42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to be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44 bent toward the refractory panel 2 are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44 engage the refractory panel 2 So that the refractory panel 2 can be fixed.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is coupl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the first engaging member 3 is joined to the steel frame member 1 by welding or the like.
- the refractory panel 2 is usually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it is difficult to join the second joining member 4 to the refractory panel 2 by welding.
- the refractory panel 2 and the second joining member 4 may be joined together with an adhesive, but the adhesive is generally vulnerable to fire and may be detached due to heat.
- the engaging protrusion 44 is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4 can be inserted into the refractory panel 2 to couple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to the refractory panel 2 Respectively.
- the engaging projections 44 may be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 the engaging projections 44 are formed in a wedge shape having a triangular shape with a sharp end so as to be easily stuck into the refractory panel 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engaging protrusions 44 by forming both ends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in a sawtooth shape so as to prevent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from falling out after being joined to the refractory panel 2.
- the coupling protrusion 44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which is a plate material, so that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can be fixed to the refractory panel 2 without any additional member.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may be formed with an auxiliary engaging projection 45 by cutting an inner part of the inner engaging member 4 and then vertically bending it.
- auxiliary coupling protrusions 45 ar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upling protrusions 4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is fixed to the refractory panel 2 in both directions As shown in Fig.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may be fixed to the refractory panel 2 with a piece or the like.
-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detail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el member and the refractor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an engaging plate 4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late 4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3 is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portion 32 between itself and the steel frame member 1 so that the coupling plate 41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space portion 3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3, (32)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is constructed so that there is no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 the coupling plate 4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member 4 coupled to the refractory panel 2 as shown in FIG.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has a coupling plate 41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41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has a coupling space (32) at one side thereof.
- the coupling space portion 32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3, that is, one surface facing the steel member 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1.
- the engaging plate 41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space portion 32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 and the steel frame member 1 and the refractory panel 2 are engaged.
- the first engaging member 3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late 31,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are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an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 the coupling space portions 32, 42 can be formed by the thickness.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panel 2 by a certain distance when the space holding portion 43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 .
- the first joining member 3 bend a part of the first joining member 3 for welding with the steel frame member 1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member 1.
- the second joining member 4 may also be bent to partially close the refractory panel 2 but the second joining member 4 is not welded to the refractory panel 2, You do not have 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al member refractory panel fixing structure in which a first joining member and a second joining member are fixed to a steel member and a refractory panel, respectively, and then a second join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ing member, And it can be used industrially because it can be attach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member with a refractory panel to ensure fire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에 각각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고정한 후 제2결합부재를 제1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철골 부재의 외부를 내화 패널로 감쌀 수 있어 충분한 내화 성능을 확보하면서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는 철골 부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내화 패널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내화 패널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가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에 각각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고정한 후 제2결합부재를 제1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철골 부재의 외부를 내화 패널로 감쌀 수 있어 충분한 내화 성능을 확보하면서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에 대한 것이다.
내화 구조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의 열에 의해 구조물이 손상되어 피해를 확대시키지 않도록 화재에 대해서 구조물이 일정 시간 견디도록 내화 성능을 지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관련법에서는 내화구조와 관련하여 0.5시간,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으로 내화 성능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강재는 일반적으로 1200℃ 이상의 온도에 직접 노출시 용융되거나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더는 구조재로서 사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내화 구조로 하기 위해 기존에는 기둥, 보 등 철골 부재의 표면에 직접 섬유 스프레이 등의 내화재를 뿜칠하여 내화 피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뿜칠에 의하여 내화 피복 형성시에는 동절기 등 온도가 낮은 경우 내화재의 부착력이 떨어져 내화재가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이러한 내화재는 경량의 다공성 재료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재료는 단단하지 않아 탈락이 쉽고 습기에 취약하여 마감재로서 사용 불가능하다. 특히, 화재시 소화 과정에서 물을 흡수하게 되면 내화재 전체가 한 번에 탈락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화 피복을 위한 내화재 뿜칠 작업시 내화재의 비산으로 작업 환경이 열악하고, 철골 부재 설치 후 뿜칠 작업이 진행되므로 고공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문제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강재 표면에 직접 뿜칠하여 내화 피복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내화 공법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철골 부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내화 패널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내화 패널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가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측에는 하면이 철골 부재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의 일측 하부에는 내화 패널 내측면과의 사이에 결합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결합플레이트가 제2결합부재의 결합공간부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결합부재의 일측에는 하면이 내화 패널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일측 하부에는 철골 부재와의 사이에 결합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의 결합플레이트가 제1결합부재의 결합공간부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결합플레이트 또는 결합공간부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가 내측으로 180° 절곡된 간격유지부가 구비되어 각각 철골 부재의 외측면 및 내화 패널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뿜칠에 의한 내화 피복 공법에서 발상을 전환하여 내화 패널을 철골 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부착하여 내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온도나 습기 등 외부 환경에 따른 내화재의 손상 또는 탈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에 각각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고정한 후 제2결합부재를 제1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시공 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식에 의해 내화 패널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셋째,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에 각각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고정하면 되므로, 일반적인 기성 내화 패널도 철골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다.
도 1은 철골 부재와 제1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내화 패널과 제2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결합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2결합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일실시예에 의한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의 결합 상세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는 철골 부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내화 패널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내화 패널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가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철골 부재와 제1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내화 패널과 제2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는 철골 부재(1)의 외부에 결합되는 내화 패널(2)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3)가 고정되고, 상기 내화 패널(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부재(4)가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가 제1결합부재(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 거더 또는 기둥 등 박스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진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강재에 직접 뿜칠하여 내화 피복을 형성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내화 공법과 달리 내화 패널(2)을 철골 부재(1)의 외부에 쉽게 결합하여 마감재로 이용한다.
상기 철골 부재(1)는 강판으로 구성 가능한 것으로,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박스형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되어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모두 발현할 수 있는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철골 부재(1)는 외측면에 복수의 제1결합부재(3)가 고정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3)는 금속재로 구성하여 철골 부재(1)에 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화 패널(2)은 철골 부재(1)의 외부에 결합된다.
상기 내화 패널(2)은 내화 뿜칠 대신 철골 부재(1)의 외부를 감싸도록 철골 부재(1)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내화 패널(2)은 내측면에 복수의 제2결합부재(4)가 고정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4)는 내화 패널(2)의 내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고정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4)와 대응되는 위치의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 제1결합부재(3)가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재(4)가 제1결합부재(3)에 결합되어 내화 패널(2)을 철골 부재(1)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결합부재(4)는 제1결합부재(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건식에 의해 내화 패널(2)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철골 부재(1)와 내화 패널(2)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제1결합부재(3)와 제2결합부재(4)를 고정하고 제1, 2결합부재(3, 4)를 상호 결합하기만 하면 충분히 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기성 내화 패널(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철골 부재(1)의 외부에 내화 패널(2)을 결합하므로, 종래 내화재를 뿜칠 시공하는 경우와 달리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내화재의 부착력이 유지된다. 또한, 습기로 인한 내화 패널(2)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화재의 비산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철골 부재(1)에 내화 패널(2)을 미리 부착하는 경우 고공 작업으로 인한 안전 문제의 우려가 없다.
도 4는 제1결합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결합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일실시예에 의한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3)의 일측에는 하면이 철골 부재(1)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4)의 일측 하부에는 내화 패널(2) 내측면과의 사이에 결합공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의 결합플레이트(31)가 제2결합부재(4)의 결합공간부(42)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와 제2결합부재(4)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금속재의 평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3)는 용접에 의해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부재(3)는 일측에 결합플레이트(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1)는 하면, 즉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 면하는 일면이 철골 부재(1)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4)는 일측에 결합공간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부(42)는 제2결합부재(4)의 하부, 즉 내화 패널(2)에 면하는 일면과 내화 패널(2)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1결합부재(3)의 결합플레이트(31)는 제2결합부재(4)의 결합공간부(42) 내에 삽입되어 철골 부재(1)와 내화 패널(2)이 결합된다.
즉, 내화 패널(2)과 철골 부재(1)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동시켜 내화 패널(2)과 철골 부재(1)를 밀착한 후(도 7의 (a)), 내화 패널(2)을 철골 부재(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도 7의 (b)) 제1결합부재(3)가 제2결합부재(4)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도 7의 (c)).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3)의 결합플레이트(31)는 제2결합부재(4)의 두께만큼 철골 부재(1)의 외측면과 이격되고, 제2결합부재(4)의 결합공간부(42) 높이는 제1결합부의 결합플레이트(31) 이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간부(42)의 폭은 결합플레이트(31)의 폭 이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31)는 측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제2결합부재(4)의 결합공간부(42)로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재(4)에는 내화 패널(2) 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44)가 내화 패널(2)에 박혀 내화 패널(2)을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는 철골 부재(1)에 결합되므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철골 부재(1)에 접합된다.
그러나 내화 패널(2)은 통상 비금속재로 구성되므로, 제2결합부재(4)를 용접으로 내화 패널(2)에 접합하기 어렵다.
물론 접착제로 내화 패널(2)과 제2결합부재(4)를 접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화재에 취약하여 열에 의한 탈락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결합부재(4)에 결합돌기(44)를 형성하여 결합돌기(44)를 내화 패널(2)에 박아 제2결합부재(4)를 내화 패널(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합돌기(44)는 제2결합부재(4)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4)는 내화 패널(2)에 박히기 쉽도록 단부가 뾰족한 삼각형의 쐐기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제2결합부재(4)의 양단을 톱니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돌기(44)를 형성함으로써, 제2결합부재(4)가 내화 패널(2)에 결합한 후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44)는 판재인 제2결합부재(4)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자재 없이 제2결합부재(4)를 내화 패널(2)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2결합부재(4)는 내측 일부를 절취한 후 수직으로 절곡하여 보조결합돌기(4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결합돌기(45)는 제2결합부재(4)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4)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제2결합부재(4)를 내화 패널(2)에 양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2결합부재(4)는 피스 등으로 내화 패널(2)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의 결합 상세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재(4)의 일측에는 하면이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3)의 일측 하부에는 철골 부재(1)와의 사이에 결합공간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의 결합플레이트(41)가 제1결합부재(3)의 결합공간부(32)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결합플레이트(41)가 내화 패널(2) 측에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내화 패널(2)의 운반 편의성을 고려할 때, 제2결합부재(4)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8과 같이 결합플레이트(41)를 내화 패널(2)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에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재(4)는 일측에 결합플레이트(4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41)는 하면, 즉 내화 패널(2)의 내측면에 면하는 일면이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3)는 일측에 결합공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부(32)는 제1결합부재(3)의 하부, 즉 철골 부재(1)에 면하는 일면과 철골 부재(1)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2결합부재(4)의 결합플레이트(41)는 제1결합부재(3)의 결합공간부(32) 내에 삽입되어 철골 부재(1)와 내화 패널(2)이 결합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3) 및 제2결합부재(4)는 결합플레이트(31, 41) 또는 결합공간부(32, 42)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가 내측으로 180° 절곡된 간격유지부(33, 43)가 구비되어 각각 철골 부재(1)의 외측면 및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 또는 제2결합부재(4) 자체를 일부 절곡하여 간격유지부(33, 43)를 형성하면,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제1결합부재(3) 또는 제2결합부재(4)의 두께만큼 철골 부재(1) 또는 내화 패널(2)의 결합면과 이격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그 두께만큼 결합공간부(32, 4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재(3)의 결합플레이트(31)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를 내측으로 180° 절곡하여 간격유지부(33)를 형성하면, 철골 부재(1)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결합부재(4)는 결합공간부(42)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를 내측으로 180° 절곡하여 간격유지부(43)를 형성하면,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3)는 철골 부재(1)와의 용접을 위해 제1결합부재(3) 일부를 절곡하여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합부재(4) 역시 내화 패널(2)과 밀착하기 위해 일부 면을 절곡할 수도 있으나, 제2결합부재(4)는 내화 패널(2)과 용접 결합되는 것은 아니므로 절곡하여 밀착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철골 부재와 내화 패널에 각각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를 고정한 후 제2결합부재를 제1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로 간단한 공정으로 시공 가능하고, 내화 패널로 철골 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부착하여 내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 철골 부재(1)의 외부에 결합되는 내화 패널(2)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상기 철골 부재(1)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3)가 고정되고, 상기 내화 패널(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2결합부재(4)가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가 제1결합부재(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제1항에서,상기 제1결합부재(3)의 일측에는 하면이 철골 부재(1)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4)의 일측 하부에는 내화 패널(2) 내측면과의 사이에 결합공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의 결합플레이트(31)가 제2결합부재(4)의 결합공간부(42)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제1항에서,상기 제2결합부재(4)의 일측에는 하면이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결합플레이트(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3)의 일측 하부에는 철골 부재(1)와의 사이에 결합공간부(3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의 결합플레이트(41)가 제1결합부재(3)의 결합공간부(32) 내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 제2항 또는 제3항에서,상기 제1결합부재(3) 및 제2결합부재(4)는 결합플레이트(31, 41) 또는 결합공간부(32, 42)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가 내측으로 180° 절곡된 간격유지부(33, 43)가 구비되어 각각 철골 부재(1)의 외측면 및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제2항 또는 제3항에서,상기 제1결합부재(3) 및 제2결합부재(4)는 결합플레이트(31, 41) 또는 결합공간부(32, 42)가 구비된 일측의 일부가 내측으로 180° 절곡된 간격유지부(33, 43)가 구비되어 각각 철골 부재(1)의 외측면 및 내화 패널(2)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0546 | 2017-06-26 | ||
KR20170080546 | 2017-06-2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04597A1 true WO2019004597A1 (ko) | 2019-01-03 |
Family
ID=6474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05736 WO2019004597A1 (ko) | 2017-06-26 | 2018-05-18 |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WO (1) | WO201900459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5563A (zh) * | 2020-03-30 | 2020-07-10 |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 防火涂料包裹的钢结构表面氟碳金属漆涂层及其施工工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1033A (ja) * | 1996-08-22 | 1998-03-03 | Nichiha Corp |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
KR200384824Y1 (ko) * | 2005-02-26 | 2005-05-19 |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 패널 고정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패널벽 설치구조 |
KR20050101244A (ko) * | 2004-04-16 | 2005-10-21 |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
JP2009299379A (ja) * | 2008-06-16 | 2009-12-24 | Sumitomo Metal Mining Siporex Kk | 耐火被覆パネルの取付け方法 |
KR20110039933A (ko) * | 2009-10-13 | 2011-04-20 | 김성원 |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
-
2018
- 2018-05-18 WO PCT/KR2018/005736 patent/WO201900459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1033A (ja) * | 1996-08-22 | 1998-03-03 | Nichiha Corp |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
KR20050101244A (ko) * | 2004-04-16 | 2005-10-21 |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
KR200384824Y1 (ko) * | 2005-02-26 | 2005-05-19 |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 패널 고정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패널벽 설치구조 |
JP2009299379A (ja) * | 2008-06-16 | 2009-12-24 | Sumitomo Metal Mining Siporex Kk | 耐火被覆パネルの取付け方法 |
KR20110039933A (ko) * | 2009-10-13 | 2011-04-20 | 김성원 |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95563A (zh) * | 2020-03-30 | 2020-07-10 |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 防火涂料包裹的钢结构表面氟碳金属漆涂层及其施工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1056011A2 (ko) |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 |
WO2015068920A1 (ko) | 압착결합구조의 마감커버를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 |
WO2016021811A1 (ko) | 선조립 벽체 유니트 및 프레임 | |
WO2013042826A1 (ko) | 패널조립구조체 | |
WO2015122558A1 (ko) |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 |
WO2019093540A1 (ko) |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 |
WO2017222197A1 (ko) | 줄눈환기형 외벽체 및 이 줄눈환기형 외벽체의 시공방법 | |
WO2016200037A1 (ko) |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 |
WO2020145542A1 (ko) |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 |
WO2017034354A1 (ko)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
WO2014025165A1 (ko) |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 |
WO2011096635A2 (ko) | 건축용 패널과 보강판 | |
WO2019004597A1 (ko) | 철골 부재 내화 패널 고정 구조 | |
WO2019164295A1 (ko) | 금속 내장재 및 내장재 부착 구조물 | |
JP4943317B2 (ja) | プレート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プレート部材で構成した壁面構造 | |
WO2016093527A1 (ko) | 건축용 데크패널 | |
WO2020145541A1 (ko) |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 |
WO2019235677A1 (ko) | 건축용 부재 | |
WO2016117753A1 (ko) |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
WO2019208936A1 (ko) | 선조립 철골조립체의 빔-거더 접합부 | |
WO2019136904A1 (zh) | 具有线性移动机构的沉管隧道管节接头防火结构 | |
AU2022203833A1 (en) | A firestopp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
WO2017111423A1 (ko) |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 |
WO2020251144A1 (ko) | 선조립 벽체 | |
WO2016159637A1 (ko) | 내화 패널 유니트 및 내화 패널 유니트 조립 철골 기둥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8250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8250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