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법(technique) 및 장치,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CDMA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technology)에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i.e., GERAN) 등과 같은 무선 기술에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802-20, E-UTRA(evolved-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에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이용하는 E-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A를 채택하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를 채택하고 있다. LTE-A(LTE-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형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3GPP LTE/LTE-A에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기초로 설명되더라도, 3GPP LTE/LTE-A에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3GPP LTE/LTE-A 시스템과 같이 eNB가 UE에게 하향링크/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고 UE가 eNB의 할당에 따라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비-경쟁 기반(non-contention based) 통신뿐만 아니라, WiFi와 같은 경쟁 기반(contention based)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경쟁 기반 통신 기법은 접속 포인트(access point, AP) 혹은 상기 접속 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node)가 UE와 상기 AP 사이의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함에 반해 경쟁 기반 통신 기법은 AP에 접속하고자 하는 다수의 UE들 사이의 경쟁을 통해 통신 자원이 점유된다. 경쟁 기반 통신 기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경쟁 기반 통신 기법의 일종으로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이 있는데, CSMA는 노드 혹은 통신 기기가 주파수 대역(band)와 같은, 공유 전송 매체(shared transmission medium)(공유 채널이라고도 함) 상에서 트래픽(traffic)을 전송하기 전에 동일한 공유 전송 매체 상에 다른 트래픽이 없음을 확인하는 확률적(probabilistic) 매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protocol)을 말한다. CSMA에서 전송 장치는 수신 장치에 트래픽을 보내는 것을 시도하기 전에 다른 전송이 진행 중인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전송 장치는 전송을 시도하기 전에 다른 전송 장치로부터의 반송파(carrier)의 존재를 검출(detect)하는 것을 시도한다. 반송파가 감지되면 전송 장치는 자신의 전송을 개시하기 전에 진행 중인 다른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이 완료(finish)되기를 기다린다. 결국, CSMA는 "sense before transmit" 혹은 "listen before talk" 원리를 기반으로 한 통신 기법이라 할 수 있다. CSMA를 이용하는 경쟁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장치들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기법으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및/또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가 사용된다. CSMA/CD는 유선 랜 환경에서 충돌 검출 기법으로서 이더넷(ethernet) 환경에서 통신을 하고자 하는 PC(Personal Computer)나 서버(server)가 먼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한 후, 다른 장치(device)가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상에서 실어 보내고 있으면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보낸다. 즉 2명 이상의 사용자(예, PC, UE 등)가 동시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경우, 상기 동시 전송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데, CSMA/CD는 상기 충돌을 감시하여 유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CSMA/CD를 사용하는 전송 장치는 특정 규칙을 이용하여 다른 전송 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감지하여 자신의 데이터 전송을 조절한다. CSMA/CA는 IEEE 802.11 표준에 명시되어 있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이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WLAN 시스템은 IEEE 802.3 표준에서 사용되던 CSMA/CD를 사용하지 않고 CA, 즉, 충돌을 회피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송 장치들은 항상 네트워크의 반송파를 감지하고 있다가, 네트워크가 비어있을 때 목록에 등재된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만큼의 시간을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보낸다. 목록 내에서 전송 장치들 간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를 재설정(reconfiguration)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된다. IEEE 802.11 표준의 일부 버전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충돌 감지 절차가 수행된다. CSMA/CA를 사용하는 전송 장치는 특정 규칙을 이용하여 다른 전송 장치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자신의 데이터 전송 사이의 충돌을 회피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가정한다"는 표현은 채널을 전송하는 주체가 해당 "가정"에 부합하도록 상기 채널을 전송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을 수신하는 주체는 상기 채널이 해당 "가정"에 부합하도록 전송되었다는 전제 하에, 해당 "가정"에 부합하는 형태로 상기 채널을 수신 혹은 복호하는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정 자원에서 채널이 펑처링된다고 함은 상기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 상기 채널의 신호가 상기 특정 자원에 매핑은 되지만 상기 채널이 전송될 때 상기 펑처링되는 자원에 매핑된 신호 부분은 제외된 채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펑처링되는 특정 자원은 해당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 상기 해당 채널의 자원으로 카운트되기는 하지만, 상기 해당 채널의 신호들 중 상기 특정 자원에 매핑된 신호는 실제로는 전송되지 않는다. 상기 해당 채널의 수신 장치는 펑처링된 특정 자원에 매핑된 신호 부분은 전송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상기 해당 채널을 수신 혹은 복조 혹은 복호한다. 이에 반해 특정 자원에서 채널이 레이트-매칭된다고 함은 상기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 상기 채널이 상기 특정 자원에 아예 매핑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레이트-매칭되는 특정 자원은 해당 채널의 자원 매핑 과정에서 아예 상기 해당 채널의 자원으로 카운트되지 않는다. 상기 해당 채널의 수신 장치는 레이트-매칭된 특정 자원이 아예 상기 해당 채널의 매핑 및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상기 해당 채널을 수신 혹은 복조 혹은 복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U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지국(base station, BS)과 통신하여 사용자데이터 및/또는 각종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각종 기기들이 이에 속한다. UE는 (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BS는 일반적으로 UE 및/또는 다른 BS와 통신하는 고정국(fixed station)을 말하며, UE 및 타 BS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BS는 ABS(Advanced Base Station), NB(Node-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접속 포인트(Access Point), PS(Processing Server)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는, BS를 eNB로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 노드(node)라 함은 UE와 통신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할 수 있는 고정된 지점(point)을 말한다. 다양한 형태의 eNB 들이 그 명칭에 관계없이 노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 NB, eNB, 피코-셀 eNB(PeNB), 홈 eNB(HeNB), 릴레이(relay), 리피터(repeater) 등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eNB 가 아니어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리모트 헤드(radio remote head, RRH), 무선 리모트 유닛(radio remote unit, RRU)가 될 수 있다. RRH, RRU 등은 일반적으로 eNB의 전력 레벨(power level) 더욱 낮은 전력 레벨을 갖는다. RRH 혹은 RRU 이하, RRH/RRU)는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 등의 전용 회선(dedicated line)으로 eNB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선 회선으로 연결된 eNB 들에 의한 협력 통신에 비해, RRH/RRU 와 eNB에 의한 협력 통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노드에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가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는 물리 안테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안테나 포트, 가상 안테나, 또는 안테나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노드는 포인트(point)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셀(cell)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노드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정 지리적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특정 셀과 통신한다고 함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eNB 혹은 노드와 통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셀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는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eNB 혹은 노드로부터의/로의 하향링크/상향링크 신호를 의미한다. UE에게 상/하향링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특히 서빙 셀(serving cell)이라고 한다. 또한, 특정 셀의 채널 상태/품질은 상기 특정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eNB 혹은 노드와 UE 사이에 형성된 채널 혹은 통신 링크의 채널 상태/품질을 의미한다. LTE/LTE-A 기반의 시스템에서, UE는 특정 노드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상기 특정 노드의 안테나 포트(들)이 상기 특정 노드에 할당된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자원 상에서 전송되는 CRS(들) 및/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자원 상에서 전송하는 CSI-RS(들)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3GPP LTE/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무선 자원과 연관된 셀(cell)은 지리적 영역의 셀(cell)과 구분된다.
지리적 영역의 "셀"은 노드가 반송파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커버리지(coverage)라고 이해될 수 있으며, 무선 자원의 "셀"은 상기 반송파에 의해 설정(configure)되는 주파수 범위인 대역폭(bandwidth, BW)와 연관된다. 노드가 유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범위인 하향링크 커버리지와 UE로부터 유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상향링크 커버리지는 해당 신호를 나르는 반송파에 의해 의존하므로 노드의 커버리지는 상기 노드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의 "셀"의 커버리지와 연관되기도 한다. 따라서 "셀"이라는 용어는 때로는 노드에 의한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때로는 무선 자원을, 때로는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한 신호가 유효한 세기로 도달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3GPP LTE-A 표준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한다. 무선 자원과 연관된 "셀"이라 함은 하향링크 자원(DL resources)와 상향링크 자원(UL resources)의 조합, 즉, DL 컴포턴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와 UL CC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셀은 DL 자원 단독, 또는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으로 설정될(configured) 수 있다. 반송파 집성이 지원되는 경우, DL 자원(또는, DL CC)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와 UL 자원(또는, UL CC)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2, SIB2) 링키지(linkage)에 의해서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라 함은 각 셀 혹은 CC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1차 주파수(primary frequency)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1차 셀(primary cell, Pcell) 혹은 PCC로 지칭하고, 2차 주파수(Secondary frequency)(또는 S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2차 셀(secondary cell, Scell) 혹은 SCC로 칭한다. 하향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반송파는 하향링크 1차 CC(DL PCC)라고 하며, 상향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반송파는 UL 1차 CC(DL PCC)라고 한다. Scell이라 함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개설(connection establishment)이 이루어진 이후에 설정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셀을 의미한다. UE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Scell이 Pcell과 함께, 상기 UE를 위한 서빙 셀의 모음(set)을 형성할 수 있다. 하향링크에서 Scell에 대응하는 반송파는 DL 2차 CC(DL SCC)라 하며, 상향링크에서 상기 Scell에 대응하는 반송파는 UL 2차 CC(UL SCC)라 한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반송파 집성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지 않는 UE의 경우, Pcell로만 설정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3GPP LTE/LTE-A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된다. 예를 들어,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들이 하향링크 물리 채널들로서 정의되어 있으며, 참조 신호와 동기 신호가 하향링크 물리 신호들로서 정의되어 있다. 파일럿(pilot)이라고도 지칭되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는 eNB와 UE가 서로 알고 있는 기정의된 특별한 파형의 신호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셀 특정적 RS(cell specific RS), UE-특정적 RS(UE-specific RS, UE-RS), 포지셔닝 RS(positioning RS, PRS) 및 채널 상태 정보 RS(channel state information RS, CSI-RS)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로서 정의된다. 3GPP LTE/LTE-A 표준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한 정보를 나르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채널들과, 물리 계층에 의해 사용되나 상위 계층으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나르지 않는 자원 요소들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물리 신호들을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가 상향링크 물리 채널로서 정의되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신호를 위한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상향링크 채널 측정에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Indicator CHannel)/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은 각각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CFI(Control Format Indicator)/하향링크 ACK/NACK(ACKnowlegement/Negative ACK)/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는 각각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나르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혹은 자원요소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에 할당되거나 이에 속한 시간-주파수 자원 혹은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각각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 RE 또는 PDCCH/PCFICH/PHICH/PDSCH/PUCCH/PUSCH/PRACH 자원이라고 칭한다. 이하에서 사용자기기가 PUCCH/PUSCH/PRA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각각, PUSCH/PUCCH/PRACH 상에서 혹은 통해서 상향링크 제어정보/상향링크 데이터/랜덤 엑세스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eNB 가 PDCCH/PCFICH/PHICH/PDSCH를 전송한다는 표현은, 각각, PDCCH/PCFICH/PHICH/PDSCH 상에서 혹은 통해서 하향링크 데이터/제어정보를 전송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CRS/DMRS/CSI-RS/SRS/UE-RS가 할당된 혹은 설정된(configured) OFDM 심볼/부반송파/RE를 CRS/DMRS/CSI-RS/SRS/UE-RS 심볼/반송파/부반송파/RE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트랙킹 RS(tracking RS, TRS)가 할당된 혹은 설정된 OFDM 심볼은 TRS 심볼이라고 칭하며, TRS가 할당된 혹은 설정된 부반송파는 TRS 부반송파라 칭하며, TRS가 할당된 혹은 설정된 RE 는 TRS RE라고 칭한다. 또한, TRS 전송을 위해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을 TRS 서브프레임이라 칭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서브프레임 혹은 PBCH 서브프레임이라 칭하며, 동기 신호(예를 들어, PSS 및/또는 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동기 신호 서브프레임 혹은 PSS/SSS 서브프레임이라고 칭한다. PSS/SSS가 할당된 혹은 설정된(configured) OFDM 심볼/부반송파/RE를 각각 PSS/SSS 심볼/부반송파/RE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 CRS 포트, UE-RS 포트, CSI-RS 포트, TRS 포트라 함은 각각 C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안테나 포트, UE-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안테나 포트, CSI-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안테나 포트, T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안테나 포트를 의미한다. CRS들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안테나 포트들은 CRS 포트들에 따라 CRS가 점유하는 RE들의 위치에 의해 상호 구분될 수 있으며, UE-RS들을 전송하도록 설정된(configured) 안테나 포트들은 UE-RS 포트들에 따라 UE-RS가 점유하는 RE들의 위치에 의해 상호 구분될 수 있으며, CSI-RS들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안테나 포트들은 CSI-RS 포트들에 따라 CSI-RS가 점유하는 RE들의 위치에 의해 상호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CRS/UE-RS/CSI-RS/TRS 포트라는 용어가 일정 자원 영역 내에서 CRS/UE-RS/CSI-RS/TRS가 점유하는 RE들의 패턴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기술 중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용어 및 기술에 대해서는 3GPP LTE/LTE-A 표준 문서, 예를 들어, 3GPP TS 36.211, 3GPP TS 36.212, 3GPP TS 36.213, 3GPP TS 36.321 및 3GPP TS 36.331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LTE/LTE-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a)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분할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용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분할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용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프레임은 10ms(30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 10개의 서브프레임에는 각각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2048*15kHz)로 표시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일 무선프레임 내에서 20개의 슬롯들은 0부터 19까지 순차적으로 넘버링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의 길이를 가진다. 일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로 정의된다. 시간 자원은 무선 프레임 번호(혹은 무선 프레임 인덱스라고도 함)와 서브프레임 번호(혹은 서브프레임 번호라고도 함), 슬롯 번호(혹은 슬롯 인덱스)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TTI라 함은 데이터가 스케줄링될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LTE/LTE-A 시스템에서 UL 그랜트 혹은 DL 그랜트의 전송 기회는 1ms마다 존재하고, 1ms보다 짧은 시간 내에 UL/DL 그랜트 기회가 여러 번 존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현재 LTE/LTE-A 시스템에서 TTI는 1ms이다.
무선 프레임은 듀플렉스(duplex)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configur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모드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은 주파수에 의해 구분되므로, 무선 프레임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하나만을 포함한다. TDD 모드에서 하향링크 전송 및 상향링크 전송은 시간에 의해 구분되므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무선 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LTE/LTE-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상향링크(uplink, UL) 슬롯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 복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일 심볼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N
DL
/
UL
RB*N
RB
sc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N
DL
/
UL
symb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격자(resource grid)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N
DL
RB은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나타내고, N
UL
RB은 UL 슬롯에서의 RB 의 개수를 나타낸다. N
DL
RB와 N
UL
RB은 DL 전송 대역폭과 UL 전송 대역폭에 각각 의존한다. N
DL
symb은 하향링크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내며, N
UL
symb은 UL 슬롯 내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N
RB
sc는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 심볼, SC-FDM(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normal)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슬롯이 7개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개수의 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OFDM 심볼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N
DL
/
UL
RB*N
RB
sc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부반송파의 유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부반송파,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전송 위한 참조신호 부반송파, 보호 밴드(guard band) 또는 직류(Direct Current, DC) 성분을 위한 널(null) 부반송파로 나뉠 수 있다. DC 성분은 OFDM 신호 생성 과정 혹은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 f
0)로 맵핑(mapping)된다. 반송파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f
c)라고도 한다.
도 3은 LTE/LTE-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특히, 도 3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서 동기 신호 및 PBCH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정규 CP(normal cyclic prefix)로써 설정된(configured) 무선 프레임에서 SS 및 PBCH의 전송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확장 CP(extended CP)로써 설정된 무선 프레임에서 SS 및 PBCH의 전송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UE 는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셀과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셀의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layer 셀 IDentity) N
cell
ID를 검출(detect)하는 등의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과정(procedure)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UE 는 eNB로부터 동기신호, 예를 들어, 1차 동기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및 2차 동기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를 수신하여 eNB와 동기를 맞추고, 셀 식별자(identity,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SS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S는 PSS와 SSS로 구분된다. PSS는 OFDM 심볼 동기, 슬롯 동기 등의 시간 도메인 동기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동기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SSS는 프레임 동기, 셀 그룹 ID 및/또는 셀의 CP 설정(configuration)(즉, 일반 CP 또는 확장 CP 의 사용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PSS와 SSS는 매 무선 프레임의 2개의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SS는 인터-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측정의 용이함을 위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프레임 길이인 4.6 ms를 고려하여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에서 각각 전송된다. 특히 PSS는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볼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되고, SSS는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OFDM 심볼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된다. 해당 무선 프레임의 경계는 SSS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PSS는 해당 슬롯의 맨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SSS는 PSS 바로 앞 OFDM 심볼에서 전송된다. SS의 전송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은 단일 안테나 포트(single antenna port)만을 사용하며 표준에서는 따로 정의하고 있지 않다.
PSS는 5ms마다 전송되므로 UE는 PSS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와 서브프레임 5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으나,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와 서브프레임 5 중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UE는 PSS만으로는 무선 프레임의 경계를 인지하지 못한다. 즉, PSS만으로는 프레임 동기가 획득될 수 없다. UE는 일 무선 프레임 내에서 두 번 전송되되 서로 다른 시퀀스로서 전송되는 SSS를 검출하여 무선 프레임의 경계를 검출한다.
PSS/SSS를 이용한 셀(cell) 탐색 과정을 수행하여 DL 신호의 복조(demodulation) 및 UL 신호의 전송을 정확한 시점에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및 주파수 파라미터를 결정한 UE는, 또한, 상기 eNB로부터 상기 UE의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해야 상기 eNB와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마스터정보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및 시스템정보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들에 의해 설정된다(configured). 각 시스템정보블록은 기능적으로 연관된 파라미터들의 모음을 포함하며,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정보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및 시스템정보블록타입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 시스템정보블록타입 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2, SIB2), SIB3∼SIB17로 구분될 수 있다.
MIB는 UE가 eNB의 네트워크(network)에 초기 접속(initial access)하는 데 필수적인, 가장 자주 전송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UE는 MIB를 브로드캐스트 채널(예, PBCH)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MIB에는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dl-Bandwidth, DL BW), PHICH 설정(configuration), 시스템 프레임 넘버(SFN)가 포함된다. 따라서, UE는 PBCH를 수신함으로써 명시적(explicit)으로 DL BW, SFN, PHICH 설정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한편, PBCH를 수신을 통해 UE가 암묵적(implicit)으로 알 수 있는 정보로는 eNB의 전송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있다. eNB의 전송 안테나 개수에 대한 정보는 PBCH의 에러 검출에 사용되는 16-비트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전송 안테나 개수에 대응되는 시퀀스를 마스킹(예, XOR 연산)하여 암묵적으로 시그널링된다.
SIB1은 다른 SIB들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셀이 셀 선택에 적합한 셀인지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SIB1은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혹은 전용(dedicated) 시그널링을 통해 UE에게 수신된다.
DL 반송파 주파수와 해당 시스템 대역폭은 PBCH가 나르는 MIB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UL 반송파 주파수 및 해당 시스템 대역폭은 DL 신호인 시스템 정보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MIB를 수신한 UE는 해당 셀에 대해 저장된 유효한 시스템 정보가 없으면,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2(SystemInformationBlockType2, SIB2)가 수신될 때까지, MIB 내 DL BW의 값을 UL-대역폭(UL BW)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UE는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2(SystemInformationBlockType2, SIB2)를 획득하여, 상기 SIB2 내 UL-반송파 주파수 및 UL-대역폭 정보를 통해 자신이 UL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UL 시스템 대역을 파악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PSS/SSS 및 PBCH는 실제 시스템 대역폭과 관계없이 해당 OFDM 심볼 내에서 DC 부반송파를 중심으로 좌우 3개씩 총 6개의 RB, 즉 총 72개의 부반송파들 내에서만 전송된다. 따라서, UE는 상기 UE에게 설정된(configured)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과 관계없이 SS 및 PBCH를 검출(detect) 혹은 복호(decode)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configured).
초기 셀 탐색을 마친 UE는 eNB로의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UE는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 PDCCH 및 PDSCH을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경쟁 기반 임의 접속(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의 경우 추가적인 PRACH의 전송, 그리고 PDCCH 및 상기 PDCCH에 대응하는 PDSCH와 같은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UE는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 및 PUSCH/PUC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임의 접속 과정은 임의 접속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과정으로도 지칭된다. 임의 접속 과정은 초기 접속, 임의 접속 과정은 초기 접속, 상향링크 동기 조정, 자원 할당, 핸드오버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임의 접속 과정은 경쟁-기반(contention-based) 과정과, 전용(dedicated)(즉, 비-경쟁-기반) 과정으로 분류된다. 경쟁-기반 임의 접속 과정은 초기 접속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전용 임의 접속 과정을 핸드오버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경쟁-기반 임의 접속 과정에서 UE는 RACH 프리앰블 시퀀스를 임의로(randomly) 선택한다. 따라서, 복수의 UE들이 동시에 동일한 RACH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이후 경쟁 해소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전용 임의 접속 과정에서 UE는 eNB가 해당 UE에게 유일하게 할당한 RACH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다른 UE와의 충돌없이 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경쟁-기반 임의 접속 과정은 다음의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단계 1~4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각각 메시지 1~4(Msg1 ~ Msg4)로 지칭될 수 있다.
- 단계 1: RACH 프리앰블(via PRACH)(UE to eNB)
- 단계 2: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via PDCCH 및 PDSCH)(eNB to UE)
- 단계 3: 레이어 2 / 레이어 3 메시지(via PUSCH)(UE to eNB)
- 단계 4: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eNB to UE)
전용 임의 접속 과정은 다음의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단계 0~2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각각 메시지 0~2(Msg0 ~ Msg2)로 지칭될 수 있다. 임의 접속 과정의 일부로 RAR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전송(즉, 단계 3)도 수행될 수 있다. 전용 임의 접속 과정은 기지국이 RACH 프리앰블 전송을 명령하는 용도의 PDCCH(이하, PDCCH 오더(order))를 이용하여 트리거링될 수 있다.
- 단계 0: 전용 시그널링을 통한 RACH 프리앰블 할당(eNB to UE)
- 단계 1: RACH 프리앰블(via PRACH)(UE to eNB)
- 단계 2: 임의 접속 응답(RAR)(via PDCCH 및 PDSCH)(eNB to UE)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한 뒤, UE는 미리-설정된 시간 윈도우 내에서 임의 접속 응답(RAR) 수신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UE는 시간 윈도우 내에서 RA-RNTI(Random Access RNTI)를 갖는 PDCCH(이하, RA-RNTI PDCCH)(예, PDCCH에서 CRC가 RA-RNTI로 마스킹됨)의 검출을 시도한다. RA-RNTI PDCCH 검출 시, UE는 RA-RNTI PDCCH에 대응하는 PDSCH 내에 자신을 위한 RAR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RAR은 UL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오프셋 정보를 나타내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정보, UL 자원 할당 정보(UL 그랜트 정보), 임시 단말 식별자(예, temporary cell-RNTI, TC-RNTI) 등을 포함한다. UE는 RAR 내의 자원 할당 정보 및 TA 값에 따라 UL 전송(예, Msg3)을 수행할 수 있다. RAR에 대응하는 UL 전송에는 HARQ가 적용된다. 따라서, UE는 Msg3 전송한 후, Msg3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정보(예, PHICH)를 수신할 수 있다.
임의 접속 프리앰블, 즉, RACH 프리앰블은 물리 계층에서 길이 T
CP의 순환 전치(cyclic prefix) 및 길이 T
SEQ의 시퀀스 부분으로 구성된다. T
CP의 T
SEQ는 프레임 구조와 임의 접속 설정(configuration)에 의존한다. 프리앰블 포맷은 상위 계층에 의해 제어된다. PACH 프리앰블은 UL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은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에 제한(restrict)된다. 이러한 자원들을 PRACH 자원들이라고 하며, PRACH 자원들은, 인덱스 0가 무선 프레임에서 낮은 번호의 PRB 및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무선 프레임 내 서브프레임 번호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PRB들의 증가 순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임의 접속 자원들이 PRACH 설정 인덱스에 따라 정의된다(3GPP TS 36.211 표준 문서 참조). PRACH 설정 인덱스는 (eNB에 의해 전송되는) 상위 계층 신호에 의해 주어진다.
도 4는 LTE/LTE-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downlink, DL)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L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에서 제어 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 영역(data region)으로 구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혹은 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에 대응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CCH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 영역(resource region)을 PDCCH 영역이라 칭한다.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이 아닌 남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에 해당한다. 이하, DL 서브프레임에서 PDSCH 전송에 이용 가능한 자원 영역을 PDSCH 영역이라 칭한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DL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지칭한다. DCI는 UE 또는 UE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DL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Transmit Format) 및 자원 할당 정보는 DL 스케줄링 정보 혹은 DL 그랜트(DL grant)라고도 불리며, UL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는 UL 스케줄링 정보 혹은 UL 그랜트(UL grant)라고도 불린다. 일 PDCCH가 나르는 DCI는 DCI 포맷에 따라서 그 크기와 용도가 다르며, 코딩 레이트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3GPP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용으로 포맷 0 및 4, 하향링크용으로 포맷 1, 1A, 1B, 1C, 1D, 2, 2A, 2B, 2C, 3, 3A 등의 다양한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 각각의 용도에 맞게, 호핑 플래그, RB 할당(RB allocation),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순환 천이 DMRS(cyclic shif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UL 인덱스,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요청, DL 할당 인덱스(DL assignment index), HARQ 프로세스 넘버, TPMI(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정보 등의 제어정보가 취사 선택된 조합이 하향링크 제어정보로서 UE에게 전송된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적인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성(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각 CCE는 9개 REG를 포함하고, 상기 9개 REG는 다이버시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인터리빙을 통해 첫 1/2/3개(1.4 MHz를 위해 필요하다면 4개) OFDM 심볼들 및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 하나의 REG는 4개의 RE에 대응한다. 4개의 QPSK 심볼이 각각의 REG에 매핑된다. 참조신호(RS)에 의해 점유된 자원요소(RE)는 REG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OFDM 심볼 내에서 REG의 개수는 RS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REG 개념은 다른 하향링크 제어채널(즉, PCFICH 및 PHICH)에도 사용된다.
도 5는 LTE/LTE-A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향링크(uplink, UL)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L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나르기 위해, 상기 제어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여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기 위해, UL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 할당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에서는 DC(Direct Current) 부반송파를 기준으로 거리가 먼 부반송파들이 제어 영역으로 활용된다. 다시 말해, UL 전송 대역폭의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부반송파들이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에 할당된다. DC 부반송파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성분으로서, 주파수 상향변환 과정에서 반송파 주파수 f
0로 매핑된다. 일 UE에 대한 PUCCH는 일 서브프레임에서, 일 반송파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자원들에 속한 RB 쌍에 할당되며, 상기 RB 쌍에 속한 RB들은 두 개의 슬롯에서 각각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할당되는 PUCCH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된다고 표현한다. 다만, 주파수 호핑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RB 쌍이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최근,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이 중요한 통신 표준화 이슈들 중 하나로서 대두되고 있다. MTC라 함은 주로 사람의 개입 없이 혹은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한 채 기계(machine)와 eNB 사이에서 수행되는 정보 교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TC는 계량기검침, 수위측정, 감시카메라의 활용, 자판기의 재고 보고 등과 같은 측정/감지/보고 등의 데이터 통신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소정 특성을 공유하는 복수의 UE들에 대한 자동 어플리케이션 혹은 펌웨어의 갱신 과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MTC의 경우, 전송 데이터 양이 적고, 상/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이하 전송/수신)이 가끔씩 발생한다. 이러한 MTC의 특성 때문에 MTC를 위한 UE(이하 MTC UE)의 경우, 낮은 데이터 전송률에 맞춰 UE 제작 단가를 낮추고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이러한 MTC UE는 이동성이 적고, 따라서 채널 환경이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MTC UE가 계랑, 검침, 감시 등에 사용될 경우, MTC UE는 통상의 eNB의 커버리지가 미치지 못하는 위치, 예를 들어, 지하나 창고, 산간 등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MTC UE의 용도를 고려하면 MTC UE를 위한 신호는 기존 UE(이하 레거시 UE)를 위한 신호에 비해 넓은 커버리지를 지니는 것이 좋다.
MTC UE의 용도를 고려하면 MTC UE는 레거시 UE에 비해 넓은 커버리지의 신호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eNB가 레거시 UE에게 전송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PDCCH, PDSCH 등을 MTC UE에게 전송하면 MTC UE는 이를 수신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MTC UE가 유효하게 eNB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eNB는 커버리지 문제(coverage issue)가 존재하는 MTC UE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서브프레임 반복(신호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반복), 서브프레임 번들링 등과 같은 커버리지 강화(coverage enhancement)를 위한 기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문제가 존재하는 MTC UE에게는 PDCCH 및/또는 PDSCH가 복수(예, 약 10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GPP LTE/LTE-A 시스템 외에도 새(new)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massive) MTC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아울러 신뢰성(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UE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진보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통신, 매시브 MTC,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RAT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을 새 RAT라고 칭한다.
LTE-A의 차기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패킷 데이터 지연은 (속도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판매자(vendor)들, 오퍼레이터(operator)들 및 최종-사용자(end-user)들이 규칙적으로 측정하는 성능 메트릭(performance metric)들 중 하나이다. 지연 측정은 무선 접속 네트워크 시스템 일생(lifetime)의 모든 국면(phase)들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 릴리즈 또는 시스템 컴포넌트를 검증(verify)할 때, 시스템을 배치(deploy)할 때 및 시스템이 상업적 운용 중에 있을 때, 행해진다.
3GPP RAT들의 이전 세대들보다 더 나은 지연은 LTE의 설계를 이끌었던 하나의 성능 메트릭이었다. LTE는 인터넷으로의 더 빠른 접속과 모바일 무선 기술들의 이전 세대들보다 낮은 데이터 지연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 현재 최종-사용자들에 의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내 딜레이들을 특별히 타겟팅하는 개선(improvement)들은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패킷 데이터 지연은 시스템의 감지된(perceived) 민감성(responsiveness)을 위해서뿐 아니라, 처리량(throughput)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다. HTTP/TCP는 지배적인 어플리케이션이고 오늘날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레이어 프로토콜 묶음(suite)이다. HTTP 아카이브(http://httparchive.org/trends.php)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서의 HTTP-기반 거래(transaction)들은 키로바이트(Kbyte)들의 10분의 몇(a few 10's)으로부터 1 메가바이트까지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크기 범위 내에서, TCP 느린(slow) 시작 기간(period)은 패킷 스트림의 총 트랜스포트 기간 중 상당 부분이다. TCP 느린 시작 동안 성능은 지연에 의해 제약된다. 그러므로 개선된 지연이 이러한 타입의 TCP-기반 데이터 거래를 위한 평균 처리량을 개선하는 데 용이하게 제시될 수 있다. 또한, (Gbps의 범위로) 정말 높은 비트 레이트를 이루기 위해, UE L2 버퍼들이 대응하여(correspondingly) 만들어질(dimensioned) 필요가 있다. RTT(round trip time)가 길어질수록 버퍼들이 더 커질 필요가 있다. UE 및 eNB 내에서 버퍼 요구사항(requirement)들을 줄이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지연을 줄이는 것이다.
무선 자원 효율성(efficiency)도 지연 감소에 의해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낮은 데이터 패킷 지연은 일정(certain) 딜레이 바운드 내에서 가능한 전송 시도(attempt)들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자원을 풀어주면서(free up)도 나쁜 무선 조건들 하의 사용자기기를 위한 강인성(robustness)의 레벨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더 높은 BLER(block error ratio) 타겟들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BLER 타겟을 유지하면, 일정 딜레이 바운드 내에서 증가된 개수의 가능한 전송은 실-시간(real-time) 데이터 스트림(예, VoLTE)의 더 강인한(robust)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VoLTE 음성 시스템 용량(capacity)를 개선할 것이다.
예를 들어 게임하는 것(gaming), VoLTE/OTT VoIP와 같은 실-시간 어플리케이션들 그리고 화상(video) 통화(telephony)/회의(conferencing)와 같은: 감지되는 경험의 질의 면에서 감소된 지연에 의해 긍정적 영향을 받을 기존(existing) 어플리케이션들이 매우 많다.
미래에는 딜레이 극복이 중요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많아질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 또는 중대한(critical) 통신뿐 아니라 낮은 지연을 요구하는 특정 기계(machine) 통신들에서의 증강(augmented) 현실(reality) 어플리케이션들, 차량(vehicle)들의 리모트 제어/드라이빙 등에게 딜레이는 중대한 요소일 수 있다.
도 6은 짧은(short) TTI의 예시와 짧은 TTI 내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의 전송 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U-plane) 지연을 1ms으로 줄이기 위해, 1ms보다 짧은 다른 길이의 sTTI가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규 CP의 경우, 2개 OFDM 심볼들로 구성된 sTTI, 4개 OFDM 심볼들로 구성된 sTTI 및/또는 7개 OFDM 심볼들로 구성된 sTTI가 있을 수 있다.
디폴트 TTI의 주파수 대역 내 일부 또는 전체 주파수 자원 상에서 상기 TTI를 구성하는 전체 OFDM 심볼들이 시간 도메인에서 둘 이상의 sTTI로 분할 또는 상기 TTI의 PDCCH 영역이 점유하는 OFDM 심볼들을 제외한 나머지 OFDM 심볼들이 둘 이상의 sTTI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폴트(default) 혹은 주요(main) TTI를 TTI 혹은 서브프레임이라 칭하고, 상기 시스템의 디폴트/주요 TTI가 아닌 이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sTTI로 칭한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의 LTE/LTE-A 시스템처럼 1ms의 TTI가 디폴트 TTI로 사용되는 시스템에서는 1ms보다 짧은 시간 길이를 갖는 TTI가 sTTI로 칭해질 수 있다. TTI와 sTTI에서의 신호 전송/수신 방법은 현재 LTE/LTE-A 뉴머롤러지에 따른 시스템뿐만 아니라 새로운 RAT 환경에 따른 뉴머롤러지에 따른 시스템의 디폴트/주요 TTI와 sTTI에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환경에서는 이러한 sTTI 내에서 데이터의 전송/스케줄링을 위한 PDCCH를(즉, sPDCCH)와 sTTI 내에서 전송이 이루어지는 PDSCH(즉, s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복수 개의 sTTI가 서로 다른 OFDM 심볼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내 OFDM 심볼들이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sTTI들로 분할될 수 있다. sTTI를 구성하는 OFDM 심볼들은 레거시 제어 채널들이 전송되는 선두 OFDM 심볼들을 제외하여 구성될 수 있다. sTTI 내에서 sPDCCH와 sPDSCH의 전송은 서로 다른 OFDM 심볼 영역을 사용하여 TDM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sTTI 내에서 sPDCCH와 sPDSCH의 전송은 서로 다른 PRB(들) 영역/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FDM된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OFDM 뉴머롤로지>
새로운 RAT 시스템은 OFDM 전송 방식 또는 이와 유사한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RAT 시스템은 다음 표에 정의된 OFDM 파라미터들을 따를 수 있다.
Parameter |
Value |
Subcarrier-spacing (△f) |
75kHz |
OFDM symbol length |
13.33us |
Cyclic Prefix(CP) length |
1.04us/0/94us |
System BW |
100MHz |
No. of available subcarriers |
1200 |
Subframe length |
0.2ms |
Number of OFDM symbol per Subframe |
14 symbols |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밀리미터 파장(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 개의 안테나 요소(element)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1cm의 정도의 파장을 갖는 30GHz 대역에서 5 by 5cm의 패널(panel)에 0.5λ (파장) 간격으로 2-차원(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100개의 안테나 요소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 개의 안테나 요소를 사용하여 빔포밍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이는 것이 고려된다.
안테나 요소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트랜시버 유닛(transceiver unit, TXRU)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 개의 안테나 요소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 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 개의 안테나 요소를 매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체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빔포밍(beamforming, BF)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 BF와 아날로그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요소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hybrid) BF가 고려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BF의 경우,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요소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빔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도 7은 아날로그 빔포밍의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간에 따라 빔의 방향을 바꿔가면서 신호가 전송/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빔포밍의 특성으로 인해서 mmWave에서 달라지게 되는 초기 접속 과정을 기술하고, 그에 따른 UE와 eNB동작, 그리고 UE와 eNB 사이에 전송되어야 하는 시그널링 정보/방식에 대해서 제안한다.
<자족적(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
도 8은 자족적 서브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5세대 새로운 RAT에서는 자족적 서브프레임 구조가 고려되고 있다.
도 8에서 빗금 친 영역은 DCI를 나르는 DL 제어 채널(예, PDCCH)의 전송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UCI를 나르는 UL 제어 채널(예, PUCCH)의 전송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DCI는 eNB가 UE에게 전달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DCI는 상기 UE가 알아야 하는 셀 설정(configuration)에 관한 정보, DL 스케줄링 등의 DL 특정적(specific) 정보, 그리고 UL 그랜트 등과 같은 UL 특정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CI는 UE가 eNB에게 전달하는 제어 정보이며, 상기 UCI는 DL 데이터에 대한 HARQ ACK/NACK 보고, DL 채널 상태에 대한 CSI 보고, 그리고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 S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심볼 인덱스 1부터 심볼 인덱스 12까지의 심볼들 영역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물리 채널(예, PDSCH)의 전송에 사용될 수도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를 나르는 물리 채널(예, PUSCH)의 전송에 사용될 수도 있다. 자족적 서브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1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DL 전송과 UL 전송의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DL 데이터의 전송/수신과 상기 DL 데이터에 대한 UL ACK/NACK의 수신/전송이 상기 1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자족적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eNB과 UE가 전송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의 전환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위한 시간 갭(time gap)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송 모드와 수신 모드 간 전환 과정을 위하여 자족적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가드 기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광대역 상에서 DL 제어 채널이 DL 데이터 혹은 UL 데이터와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되어 전송될 수 있다. eNB에서는 상기 eNB가 DL 제어 채널(들)을 전 대역에 걸쳐 전송할 수 있겠지만, 하나의 UE 관점에서는 상기 UE가 전체 대역이 아닌 일부 특정 대역 내에서 자신의 DL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DL 제어 채널이라 함은 eNB가 UE에게 전달하는 제어 정보로서 DL 스케줄링 등의 DL 특정적 정보뿐 아니라 UE가 알아야 하는 셀 설정(configuration)에 관한 정보뿐 아니라 UL 그랜트 등과 같은 UL 특정적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mmWave 및 5G로 지칭되는 새로운 RAT에서는 매우 넓은 크기의 시스템 대역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5MHz, 10MHz, 40MHz, 80MHz 등이 최소 시스템 대역폭으로서 지원되어야 할 수 있다. 최소 시스템 대역은 시스템의 기본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인 경우 최소 시스템 대역은 5MHz, 기본 부반송파 간격이 30khz인 경우 최소 시스템 대역은 10MHz, 기본 부반송파 간격이 120khz인 경우 최소 시스템 대역은 40MHz, 기본 부반송파 간격이 240kHz인 경우 최소 시스템 대역은 80MHz일 수 있다. 새로운 RAT는 6GHz 이하 대역 및 6GHz 이상의 대역을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되고, 다양한 시나리오와 사용 사례(use case) 지원을 위하여 한 시스템 내에서 복수 개의 부반송파를 지원하도록 디자인된다. 부반송파 길이가 달라짐으로 인해서, 서브프레임 길이 또한 그에 따라서 축소/확장된다. 예를 들어, 한 서브프레임은ms0.5ms, 0.25ms, 0.125ms 등의 짧은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새로운 RAT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 대역(예, 6GHz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반송파 간격(spacing)은 기존 LTE 시스템이 15kHz였던 것에 반해서 넓은 크기의 부반송파 간격이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 간격을 60kHz로 가정하면, 하나의 자원 유닛(resource unit, RU)이 주파수 축으로는 12개의 부반송파, 시간 축으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UE가 특정 시스템에 연관(association)을 해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동작은 해당 시스템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를 수신하고, 상향링크로의 상향링크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일반적으로 초기 접속 과정(initial access procedure)이라고 한다. 초기 접속 과정은 일반적으로 동기화 과정(synchronization procedure)과 RACH 과정(즉, 임의 접속 과정)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앞서 설명된 LTE 시스템에서의 동기화 과정을 다시 간략하게 기술한다.
> PSS: 심볼 타이밍 획득, 주파수 동기화, 셀 ID 그룹 내 셀 ID 검출(detection) (3가지 전제(hypotheses)).
> SSS: 셀 ID 그룹 검출(168가지 전제), 10ms 프레임 경계(boundary) 검출, CP 검출(2가지 전제).
> PBCH 복호(decoding): 안테나 설정(configuration), 40ms 타이밍 검출, 시스템 정보, 시스템 대역폭 등.
즉, UE는 PSS와 SSS를 통해서 OFDM 심볼 타이밍 및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하고 더불어 셀 ID를 획득하고, 셀 ID를 이용하여 PBCH를 디스크램블링 및 복호하여 해당 시스템에서의 중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mmWave 혹은 새로운 RAT(이하, mmWave/new RAT) 시스템에서도 기본적인 동기화 과정은 유사하지만 PSS/SSS를 전송/수신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도 9는 새로운 시스템에서 PSS/SSS/PBCH이 전송되는 시점 및 자원 영역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9(a)는 PSS/SSS/PBCH 전송 구간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PSS/SSS/ESS/PBCH 전송 구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14개의 OFDM 심볼이 존재할 경우, 각 OFDM 심볼마다 서로 다른 빔 방향의 PSS/SSS/PBCH가 전송될 수 있다. 빔 방향의 수는 1개에서 N개까지 가능할 수 있다. 빔 (방향)의 개수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셀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동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PSS를 검출한 UE는 심볼 동기를 획득하고, 물리 셀 ID를 획득할 수 있다. 혹은 PSS와 SSS 검출을 통해서 셀 ID를 획득할 수 있다.
LTE/LTE-A 시스템에서 PSS/SSS는 전-방위적(omni-directional)으로 전송되는 것에 반해서, mmWave를 적용하는 eNB가 빔 방향을 전-방위적으로 돌려가면서 PSS/SSS/PBCH 등의 신호를 빔포밍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빔 방향을 돌려가면서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것을 빔 스위핑(beam sweeping) 혹은 빔 스캐닝이라 한다. 예를 들어 eNB가 최대 N개의 빔 방향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하면, N개의 빔 방향에 대해서 각각 PSS/SSS/PBCH 등의 신호를 전송한다. 즉 eNB는 자신이 가질 수 있는 혹은 지원하고자 하는 방향들을 스위핑하면서 각각의 방향에 대해서 PSS/SSS/PBCH 등의 동기 신호들을 전송한다. 혹은 eNB가 N개의 빔을 형성할 수 있는 경우, 몇 개씩의 빔들이 묶여 하나의 빔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빔 그룹별로 PSS/SSS/PBCH를 전송/수신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빔 그룹은 하나 이상의 빔을 포함한다.
<새로운 시스템의 동기화 과정>
이하에서는 새로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의 구조가 제안된다. 빔 스캐닝 방식의 PSS/SSS/PBCH가 전송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UE는 시스템 타이밍을 획득(acquire)할 수 있다.
* 심볼/서브프레임 타이밍 및 셀 ID 획득(acquisition)
UE는 고정된 위치(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여 6개 PRB 혹은 x개 PRB) 혹은 가변 위치에서 전송되는 PSS를 먼저 검출해서 심볼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UE는 이미 아는 위치에 전송되는, 즉, PSS 전송 자원으로부터 상대적인 위치에서 전송되는 SSS를 검출해서 서브프레임 타이밍 및/또는 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으며, PSS와 SSS의 조합으로부터 셀 ID를 획득할 수 있다. SSS로 전송되는 신호 및 전제(hypothesis)가 너무 많아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서브프레임 타이밍은 eNB가 전송하는 별도의 추가적인 동기 신호(예, 확장(extended) 동기 신호(ESS)을 검출함으로써 획득할 수도 있다.
* 빔 RS 포트의 개수
각 빔 방향 별로 PSS/SSS/PBCH 그리고 ESS가 전송될 경우, 각 빔 방향 별 링크 품질 측정을 위해서 빔 참조 신호(bean reference signal, BRS)가 전송될 수 있다. 즉, BRS는 RSRP/RRM/RLM 측정 등의 목적을 위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웃 셀 측정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BRS는 UE로 하여금 전체 대역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체 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RS는 PSS/SSS가 전송되는 해당 아날로그 빔 방향에 대해서 전체 대역에 걸쳐 각 안테나 포트 별로 전송되는 RS일 수 있다. 이 경우, UE는 BRS의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의 개수 및 각 포트 별로 BRS가 전송되는 자원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아야 한다. BRS의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의 개수, 즉, UE가 해당 시점에서 측정해야 하는 BRS 포트의 개수는 ESS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BRS 포트의 개수가 8개라면, eNB는 UE에게 {1, 2, 4, 8} 또는 {2, 4, 6, 8} 혹은 다른 값을 갖는 조합 내의 하나의 값을 ESS를 통해서 알려 줄 수 있다. 여기서, UE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대한 복수 개의 전제에 대해서 UE가 ESS에서 검출을 시도해야 의미할 수 있다. BRS 포트의 개수를 알려주는 다른 방식으로는 PBCH에서 상기 PBCH가 전송되는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송되는 BRS에 대한 포트의 개수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BSR 포트에 대한 정보가 PBCH에서 전송되는 경우, UE는 이웃 셀 측정을 위해서 이웃 셀의 PBCH를 복호한 후 상기 이웃 셀의 BRS를 측정해야 할 수 있다.
* 확장 동기 신호/시퀀스(extended synchronization signal/sequence, ESS)
전술한 바와 같이 ESS는 PSS/SSS가 전송되는 동일 심볼 내 상기 PSS/SSS와는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셀 ID와 심볼 타이밍을 획득한 UE가 ESS를 통해서 서브프레임 타이밍 및 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한다고 함은, 서브프레임이 시작되는 위치, 즉 UE가 검출한 심볼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몇 번째 심볼에 위치하는 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 타이밍은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주기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UE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나서 이후 동일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해당 시간 구간 내에서 특정 서브프레임이 몇 번째 서브프레임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ESS에서 BRS 포트 개수가 지시될 수 있다. 또한 PBCH의 DM-RS 포트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의해 ESS에 지시될 수도 있다. 단순하게는 PBCH가 SFBC와 같은 전송 다이버시티 방식(transmit diversity scheme)으로 전송된다는 가정하에 PBCH DM-RS 포트가 2개로 한정될 수 있다. 혹은 PBCH DM-RS 포트가 몇 개인지(예를 들어, 1, 2, 4, 8) 가 ESS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ESS에서 시스템 대역폭 또는 BRS 전송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PBCH의 복호를 수행하지 않고도, RSRP 측정을 위해, BRS가 전송되는 자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시퀀스 생성
> ESS: ESS 검출을 통해서 UE가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므로, ESS가 있는 심볼이 서브프레임 내에서 몇 번째 심볼인지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도록 ESS 시퀀스가 설계(design)되어야 한다. 따라서 ESS 시퀀스는 셀 ID, 해당 ESS가 전송되는 OFDM 심볼 인덱스의 함수여야 한다.
도 10은 새로운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eNB가 모든 빔들에 대한 동기 신호들 한 서브프레임 내에 전송하기에 시간 자원이 부족한 경우, 이들 동기 신호들을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동기화(synchronization)을 위해 eNB가 전송하는 PSS/SSS/SSS 등의 신호를 의미한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가 전송되는 주기가 P개 서브프레임이고, 하나의 eNB가 B개의 빔들을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상기 eNB는 상기 B개의 빔들 각각의 방향으로 자신의 SS를 모두 전송하는 데까지 B개의 서브프레임이 필요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10은 B=2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SS가 각 빔 방향별로 모두 전송되는 데 2개의 서브프레임이 필요한 경우, P개 서브프레임의 한 주기 내에서 2개의 SS 서브프레임 중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SS를 SS1,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SS를 SS2라 지칭한다. SS1과 SS2는 다수의 빔 방향을 갖는 SS의 집합의 일부를 나타내고,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SS의 일부를 지칭한다. SS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SS1과 또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SS2로 나누어 전송될 수 있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1과 SS2는 특정 시간 간격(interval)을 가지고 전송될 수도 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eNB가 SS1과 SS2를 모두 전송하고 다음 SS1과 SS2를 전송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로 정의될 수 있다. 즉, eNB가 가지는 모든 빔 방향에 대한 동기 신호가 다 전송되고, 이후 동일한 빔 방향에 신호가 다시 전송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이 동기 신호의 주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2T개 서브프레임이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가 될 수 있다. 만약 동기 신호가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 나누어져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산될 때 몇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동기 신호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동기 신호가 쪼개져 전송될 때 해당 ESS 시퀀스가 자신이 몇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ESS인지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ESS 시퀀스가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들 중 혹은 동기 신호 주기의 서브프레임들 중 몇 번째 서브프레임인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ESS 시퀀스가 서브프레임 인덱스의 함수로 생성될 수 있다.
> BRS 시퀀스
BRS은 심볼마다 다른 빔 방향으로 전송되는 RS이므로, BRS 시퀀스는 셀 ID와 더불어 심볼 인덱스 및/또는 빔 인덱스의 함수로 생성된다. BRS는 추가적으로 BRS 안테나 포트 번호, BRS 전송 서브프레임 번호의 함수로 생성된다.
> PBCH DM-RS 시퀀스
PBCH DM-RS 시퀀스는 셀 ID, 심볼 인덱스, PBCH 전송 서브프레임 번호, DM-RS 포트 번호의 함수로 생성된다.
> PBCH 정보 컨텐츠
PBCH에는 기본적인 시스템 정보, 시스템 프레임 번호, 안테나 포트의 개수, 시스템 대역폭 등의 정보가 실릴 수 있다. PBCH에는 추가적으로, PRACH 설정,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즉, SI)의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혹은 SIB 전송 주기 등), 페이징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자원 주파수 자원 등에 관한 정보가 실릴 수 있다. PRACH 설정 정보는 SIB(즉, SI)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SIB 및 페이징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는 빔 방향별로(예, 빔 인덱스별로) 독립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SIB 및 페이징의 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UE는 SIB 및 페이징 수신을 위해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해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PDCCH의 검출을 위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한다. SIB/페이징의 전송 자원에 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해당하므로 UE에게 UE 특정적 탐색 공간(UE specific search space, USS)와 공통 탐색 공간(common search space)가 설정된 경우, UE는 SIB/페이징을 위한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채널이 전송될 것으로 기대하고 USS와 더불어 CSS 상에서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한다. UE는 SIB/페이징을 위한 서브프레임 외의 다른 서브프레임에서는 CSS에 대한 BD를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CSS라 함은 셀 전체의 모든 UE를 위한 탐색 공간일 수 있다. 또는 셀 전체 UE에 공통된 탐색 공간이라기 보다는 복수의 UE들에게 공통으로 해당되는 일종의 그룹 특정적 탐색 공간(group specific search space, GSS)일 수 있다. UE가 읽어야 하는 그룹 RNTI 혹은 그룹 ID는 상기 UE가 성공적으로 수신한 PSS/SSS의 심볼과 같은 심볼 혹은 상기 UE가 성공적으로 수신한 PSS/SSS와 같은 빔 방향에 대한 빔 ID와 셀 ID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룹 ID에 대한 설정이 UE에게 별도로 주어지지 않더라도, 이러한 그룹 ID는 UE가 빔 ID와 셀 ID를 검출한 후에 결정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UE는 그룹 ID를 기반으로 각 그룹 공통 데이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수신에 사용되는 RNTI 값을 설정받거나(예, 해당 RNTI 값이 상기 UE에게 시그널링), 상기 그룹 ID를 스크램블링, DM-RS 스크램블링 ID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주문형(on-demand) SI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수신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모든 적용 가능한(applicable)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는 해당 셀의 물리적 자원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된다. SI들은 상이한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방송된다. 예를 들어, MIB는 주기가 40ms인 BCH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SIB1는 80ms의 주기를 갖는 DL-SCH를 사용하여 전송되며, 다른 적용 가능한 SIB들은 PDCCH 상의 SI-RNTI에 의한 시간-주파수 도메인 스케줄링으로(with) DL-SCH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상기 다른 적용 가능한 SIB들은 각각이 설정 가능한(configurable) 주기성을 가지고 시간 윈도우 내에 위치한다. 시스템 정보는 반송파 집성(aggregation) 및/또는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로써 설정된 UE에 대한 (P)SCell을 위한 무선 접속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과정(procedure)의 일부로서 전용(dedicated)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SI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접근법(approach)은 주로 매크로 셀 배치(deployment)에 주로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의 단점은, 예를 들어, 셀 상에 캠핑 중인, 시스템에 접속 및/또는 특정 타입의 SIB들에 관심이 있는, UE가 소수이거나 없는 경우,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의 다른 단점은 UE가 초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때, SI의 주기적 브로드캐스팅의 특성에 의해 유발되는 지연(latency)이다. 일부 SIB들에 대해서, UE는 관련 SIB(들)이 전송될 때까지 다음 기간(period)을 기다려야 하며, 설정된 기간(period)의 절반에 해당하는 평균(average) 지연이 UE가 해당 시스템의 특성(feature)이 접속 가능한 지를 결정할 수 있기 전에 통상(typically) 필요하다. 또 다른 단점은 시스템이 발전하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의 확장성의 영향(impact)이다. 시스템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을 위해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새로운 정보 메시지들이 추가됨에 따라, 각각이 새로운 시간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UE가 더 자주 깨어나야 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 UE의 전력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이 새로운 RAT에 적용될 경우, 추가적인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새로운 RAT는 고주파 대역(예, 6GHz 이상)에 배치될 경우, 적절한 커버리지의 제공을 위해 다수의 빔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와 유사한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이 사용되는 것, 즉, 다수의 빔 각각이 SI를 전송하는 것은 부적절하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새로운 RAT 배치는 매크로 배치 및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고밀도의 셀들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셀들의 경우, 모든 적용 가능한 시스템 정보를 위한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이 시스템 접속, 캠핑, 이동성(mobility)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셀들의 경우, 매크로 셀과 유사한 특징(feature)들 및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어진 시간에 셀의 영역 내에 소수의 UE들만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 셀은 전용 전송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새로운 RAT 시스템에서 짧은 TTI가 지원되면, UE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를 기다리는 것보다 전용 신호를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 이는 URLLC 서비스들을 적절히 지원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아울러 브로드캐스팅 접근법은 고 밀도 배치에서 간섭 레벨을 증가시키고 네트워크 전력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로드캐스팅되는 SI의 양을 줄이기 위해 주문형(on-demand) SI를 제안한다. 주문형 SI는 UE의 요청이 있을 때 제공될 수 있다. 새로운 RAT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가 주문형 SI가 될 수 있다. 즉, 새로운 RAT가 적용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SI가 전부 주문형으로, 혹은 일부는 상시형(always-on)으로 브로드캐스트되고, 일부는 주문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시형 SI는 해당 셀의 모든 빔-방향, 모든 UE에 공통된 S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접속에 필수적인 SI가 상시형 SI로서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되는 최소한의 SI를 제외한 나머지 SI가 주문형 SI가 될 수 있다. 주문형 SI는 특정 빔-방향, UE 혹은 UE 그룹에 특정적인 SI일 수 있다.
SI 태그는 해당 SI 메시지들에 변화(change)가 있는지를 나타낸다. 주문형 SIB 혹은 PBCH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PBCH 혹은 ESS에서 SI 태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UE는 SI 태그가 변경된 경우, RACH 과정을 통해 SIB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1130). 이러한 주문형 SI 접근법에 의하면, 네트워크가 SIB(즉, SI)를 갱신(update)했더라도 UE가 필요하지 않으면 일정한 사이클 내에서 SIB를 읽지 않아도 됨을 의미한다. RACH 과정을 통해 SI 전송을 요청할 경우, UE는 갱신된 SI를 얻기 전이므로, 상기 갱신된 SI를 얻기 위해서는 낡은(out-of-date) SI를 기반으로 RACH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 UE가 낡은 SIB를 기반으로 RACH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UE가 사용할 수 있는 RACH 자원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S1110). 예를 들어, 시스템에서 특정 시간/주파수 혹은 시간/주파수/프리앰블이 SI 요청의 용도로 미리 지정될 수 있다.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경우) SI 요청을 위한 RACH 자원은 셀의 모든 UE에게 공통된 것일 수 있다.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이 적용되는 경우, 빔 방향 별, 즉, SS 블록별로 SI 요청용 RACH 자원이 지정될 수도 있다. 상기 UE가 해당 RACH 자원을 통한 PRACH 전송을 수행하면(S1130) eNB는 SIB 전송을 임의 접속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전송 후 혹은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S1150). 또한 SI 태그가 변하는 경우, 모든 SIB가 전송되는 대신 갱신된 SIB만 전송될 수 있다. eNB가 SI 요청용 RACH 자원 상에서 SI 요청을 검출하면, 해당 셀에서 (해당 빔 방향으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해당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한 RAR에서 해당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혹은, SI 요청이 있는 해당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SI 요청에 대한 RAR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주문형 SIB 혹은 PBCH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 UE가 RACH를 전송하는 경우, UE는 eNB에게 해당 PRACH의 전송 목적이 SIB를 요청하는 것임을 해당 PRACH가 나르는 메시지 내에서 지시할 수 있다. 즉, UE는 상향링크로의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PRACH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향링크로의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PRACH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히,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것임을 명시적으로 PRACH 상에서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명시적인 지시는 상기 PRACH가 나르는 메시지 내 필드에 특정 값을 세팅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PRACH 상에서 특정 시퀀스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주문형 SIB 혹은 PBCH 전송의 요청을 위한 별도의 PRACH 자원 혹은 시퀀스가 (eNB에 의해 특정 UE 혹은 빔 방향을 위해) 예약(reserve)될 수 있다(S1110). 이러한 지시는 RACH 과정의 msg1 혹은 msg3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는 UL 타이밍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PRACH 전송을 시도하고, msg3를 통해 SI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 빔 인덱스 획득(acquisition) 및 RACH 자원 선택 기준(criteria)
도 12는 셀 혹은 반송파 상에서 빔 방향별로 SS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는 SS 블록들, 즉, 복수의 빔들에 대한 해당 복수의 SS 블록들이 연속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셀/반송파 상의 한 세트의 빔들을 위한 SS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eNB가 N개의 빔 방향을 가질 수 있고, N개의 빔 방향 각각으로 PSS/SSS를 전송한다면, UE가 PSS/SSS를 검출할 때 각 방향별로 신호의 세기가 다르게 관측될 수 있다. UE는 PSS/SS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하, PSS/SSS 서브프레임)에서 심볼별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전송되는 PSS/SSS에 대한 PSS/SSS 검출을 수행한다. PSS/SSS 뿐 아니라, ESS나 PBCH, 그리고 PBCH를 복호하기 위한 RS(이하, PBCH DM-RS) 역시 PSS/SSS와 마찬가지로 빔포밍되어 전송될 것이다. 따라서, UE는 이러한 신호들을 통해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즉 가장 좋은 채널 품질로 신호가 수신되는 빔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최적의 빔 방향에 대해 혹은 가장 좋은 채널 품질을 갖는 PSS/SSS/PBCH가 있는 자원에 대해 eNB에게 보고함으로써, 이후에 최적 빔으로 전송된 PDCCH/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가 보내는 PUSCH/PUCCH에 대해서도 eNB로 하여금 적합하게 수신(reception, RX)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빔 방향을 식별(identify)하기 위해서 빔별(즉, 빔 방향별로) 혹은 빔 그룹별로 인덱스 혹은 ID가 부여될 수 있다. 빔 인덱스가 PSS/SSS/PBCH 및 BRS가 전송되는 심볼 인덱스에 타이(tie)되어 암묵적(implicit)으로 eNB와 UE 간에 약속될/정의될 수도 있다. 혹은 빔 인덱스가 PSS/SSS/PBCH 및 BRS가 전송되는 심볼 인덱스 및 해당 심볼에서 가장 좋은 품질로 수신되는 BRS 포트 번호와 타이되어 eNB와 UE 간에 약속될/정의될 수 있다.
동일 빔 방향으로 전송되는 PSS/SSS/PBCH 등의 신호가 전송되는 단위가 하나의 SS 블록(block)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SS 블록들이 존재하는 경우, SS 블록들끼리의 구분을 위해 SS 블록 인덱스가 별도로 있을 수 있다. 특정 SS 블록은 PSS/SSS/PBCH 등의 DL 신호/채널의 전송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여, 한 시스템에서 10개의 빔 방향으로 PSS/SSS/PBCH가 전송되는 경우, 동일 방향으로의 PSS/SSS/PBCH가 하나의 SS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시스템에서는 10개의 SS 블록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S 블록과 빔 방향이 일대일로 대응하므로, 빔 인덱스는 SS 블록 인덱스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셀 ID와 서브프레임 타이밍 및 심볼 타이밍을 검출한 후, 해당 셀 ID에 해당하는 PSS/SSS가 전송되는 심볼 인덱스 및 해당 심볼에서 가장 좋은 품질로 수신되는 BRS 포트 인덱스에 의해 특정 빔에 대한 인덱스가 암묵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혹은 PSS/SSS가 전송되는 주기가 P(예, P개 서브프레임)이고 한 eNB가 자신의 빔들을 모두 전송하는 데까지 B개의 서브프레임이 필요하다면, 단순 셀 ID 및 심볼 인덱스만으로는 빔 인덱스가 식별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셀 ID, 심볼 인덱스와 해당 PSS/SSS를 검출한 서브프레임(예, PSS/SSS가 있는 서브프레임들 중 몇 번째 서브프레임)인지에 관한 정보까지 조합해서 빔 인덱스가 식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빔 인덱스가 SSS, ESS, BRS(beam RS), 혹은 PBCH에 의해 eNB와 UE 간에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BRS는 각 심볼마다 전송되는 빔 방향에 대한 추정(estimation)을 위해서 전 대역으로 전송되는 RS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빔 인덱스라 함은, 빔 방향에 대해 명시적 번호 혹은 순서(order)가 있는 인덱스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에서 빔 인덱스가 특정 빔 방향에 대한 명시적 번호 혹은 인덱스가 아니라, PSS/SSS가 전송되는 심볼에서의 특정 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에서 빔 인덱스는 PSS/SSS가 전송되는 심볼에서의 eNB가 전송하는 특정 빔 방향 중에서 가장 최적으로 수신되는 BRS 포트에 의해 전송되는 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빔 인덱스는 복수 개의 빔 방향을 포함하는 빔 그룹의 인덱스일 수 있으며, 복수의 빔 방향을 갖는 그룹화된 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에서 빔 인덱스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S 블록의 인덱스일 수 있다. UE에게 가장 최적으로 수신되는 빔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명시적으로 빔 인덱스를 보고하지 않더라도, UE가 eNB로 하여금 어떤 빔 방향이 해당 UE에게 최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별도의 빔 인덱스에 대한 시그널링없이 PSS/SSS/PBCH 등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들이 전송되는 방향별로 각각의 RACH 자원을 연결하여 설정함으로써, UE가 이를 알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E가 특정 RACH 자원을 이용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했다면, 상기 UE에 의해 가장 최적으로 수신되는 빔 방향은 상기 특정 RACH 자원과 연결되어 있는 PSS/SSS/PBCH 등의 빔 방향인 것으로 eNB에게 알려질 수 있다. UE가 PRACH 프리앰블 전송에 사용한 RACH 자원을 통해서, eNB는 상기 eNB의 빔 인덱스들 중에서 해당 UE에 의해 최적으로 수신된 빔 인덱스, 즉, SS 블록 인덱스를 유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UE가 자신에게 적합한 혹은 선호하는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대안(alternative)들이 있을 수 있다. 이 중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조합을 통해서 UE는 자신이 선호하는 빔들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빔들과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RACH 자원 후보들을 리스트 업할 수 있다.
> Alt1. UE는 PSS/SSS 혹은 ESS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PSS/SSS의 수신 SINR이 특정 임계치(threshold) 이상인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한다.
> Alt2. PBCH 복조를 위해서 사용되는 PBCH DM-RS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UE는 PBCH 복조 이전에 PBCH DM-RS의 수신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빔 방향(예,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한다.
> Alt3. UE는 상기 UE가 PSS/SSS 검출 및 PBCH 복호에 성공한 빔들 중에서 전체 대역 혹은 일부 대역으로 전송되는 BRS의 수신 RSRP가 특정 임계치 이상인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 선택한다.
> Alt4: Alt1, Alt2 혹은 Alt3와 더불어 ESS 혹은 PBCH를 통해 부하(load) 혹은 우선순위(priority) 정보들이 전송된다고 가정할 때, 이러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UE는 수신 신호의 임계치를 넘는 빔들 중 부하가 낮거나 우선순위가 높은 빔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하거나, 수신 신호 품질(quality)와 부하/우선순위 정보를 조합하여 빔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Alt4는, 예를 들어, 하향링크/상향링크 및 RACH 자원이 일정한 빔 방향에 과도하게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고, 빔 방향들에 하향링크/상향링크 부하를 분산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 Alt5: UE는 여러 개의 선택 혹은 검출된 빔들(예, SS 블록들)에 관한 정보(예, 빔 인덱스들 혹은 SS 블록 인덱스들)을 PRACH msg3에 해당하는 첫 번째 상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송하여,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UE를 위한 빔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Alt1, Alt2, Alt3, Alt4 및 Alt5 각각에 대해, UE가 최적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eNB에 보고함에 있어서, 해당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 정보와 함께 이를 선택하게 된 가정/근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수신 신호 품질 등을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와 함께 보고할 수 있다. Alt1인 경우에는 PSS/SSS의 수신 SINR 정보와 해당 빔 인덱스가, Alt2의 경우에는 PBCH DM-RS 수신 RSRP 정보와 해당 빔 인덱스가, Alt3 혹은 Alt4에서 BRS를 근거로 빔 혹은 SS 블록을 선택된 경우에는 BRS RSRP와 같은 정보와 해당 빔 인덱스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별도의 빔 인덱스를 보고하지 않고, 최적의 빔 방향과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을 선택하여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 UE는 RACH 메시지 3(msg3) 이후의 UL 전송 시에 해당 빔 방향으로의 DL 수신 신호의 품질을 보고할 수 있다.
UE는 수신 신호 품질이 일정 임계치가 넘는 복수 개의 최적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DL 빔 방향과 각 빔 방향에 대한 DL 수신 신호 품질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으며, RACH msg3 혹은 그 이후 UL 데이터 전송 시에 해당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빔 방향으로 SS 블록을 전송하고 SS 블록과 RACH 자원과의 맵핑을 설명한 상기의 내용은, UE와 전송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사이의 전송/수신 빔 방향을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상호관계(reciprocity)가 성립한다는 전제 하에 기술되었다. 그런데, 다중-빔 환경에서 TRP(예, eNB) 혹은 UE의 TX/RX 상호(reciprocal) 능력(capability)에 따라서 PRACH 프리앰블의 반복 혹은 빔 스위핑이 고려될 수 있다. TX/RX 상호 능력은 TRP 및 UE에서의 TX/RX 빔 대응성(correspondence)라고도 한다. 다중-빔 환경에서 TRP 및 UE에서 TX/RX 상호 능력이 유지되지 않으면 UE는 자신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빔 방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쏘지 못할 수 있다. UL의 최적 경로와 DL의 최적 경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TRP에서의 TX/RX 빔 대응성은 TRP가 TRP의 하나 이상의 TX 빔들에 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TRP R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및/또는 TRP가 TRP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관한 TRP'의 상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TRP T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유지된다(hold). UE에서의 TX/RX 빔 대응성은 UE가 UE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UE R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및/또는 UE가 UE의 하나 이상의 TX 빔들에 관한 상향링크 측정을 기반으로 한 TRP의 지시(indication)를 기초로 해당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UE T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유지된다(hold).
* PRACH 자원 설정
본 발명에서 PSS/SSS는 빔포밍되어 전송되므로 UE가 상향링크로 임의 접속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PRACH 자원 역시 eNB에서 PSS/SSS가 전송되는 방향에 맞추어 RX 빔포밍을 해야만 PRA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PSS/SSS 방향별로, 즉, 빔 인덱스(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PRACH 자원도 할당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PSS/SSS 및 PBCH 가 전송되는 SS 블록 인덱스 별로 RACH 자원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RACH 자원은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PSS/SSS를 성공적으로 검출하고 최선(best) N개의 빔을 선택한 UE는 해당 빔 인덱스별 혹은 SS 블록 인덱스 별 PRACH 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PRACH 자원은 기본적으로 UE가 PRACH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하며, PRACH 시퀀스, 루트 시퀀스, PRACH 전송 전력, 최대(maximum) 재전송 횟수, 반복 횟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PRACH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고 상기 UE가 사용하는 PRACH 프리앰블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UE는 특정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선호도를 네트워크로 알려줄 수 있다.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으로는 해당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PRACH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번호(혹은 서브프레임을 지칭할 수 있는 그에 상응하는 값), 해당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심볼 번호와 심볼의 개수, 주파수 축에서의 PRB 인덱스(혹은 주파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그에 상응하는 값), 및/또는 주파수 축 대역폭(bandwidth) 등의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PRACH 자원은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될 수 있다. 하나의 빔에 대한 eNB의 RACH 수신을 위한 RX 빔 스캐닝을 가정하면, 해당 심볼 혹은 빔 스캐닝 지속기간(duration) 동안은 RACH 전송의 유무와 관계없이 해당 빔 방향으로의 예약(reservation)이 가정된다. 다시 말해, UE는 임의로 RACH 자원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해당 RACH 자원은 항상 예약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구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을 최대한 사용하여 많은 수의 UE를 하나의 구간에 다중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PRACH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도 설정될 수 있으며,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이 지원되거나, CDM 대신에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을 통한 혹은 CDM 및 FDM 둘을 이용하여 UE들이 구분될 수 있다. 즉, UE들이 동일 시간-주파수 RACH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UE들이 서로 다른 코드(예,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SS 블록 인덱스를 해당 UE가 선호함을, 혹은 해당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이 좋다는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PRACH 자원은 모든 빔 인덱스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UE가 PRACH를 전송할 수 있는, 그리고 eNB는 임의의 UE로부터의 PRACH가 전송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모든 빔 방향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혹은 특정 빔 인덱스 그룹당 하나의 시간-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PRACH 자원이 복수의 빔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설정되면 지연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PRACH 자원이 복수 혹은 모든 빔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하나의 시간-주파수 자원 내에서 복수 개의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가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최적 빔 방향을 갖는 UE들의 PRACH 전송 시간-주파수 자원이 복수의 UE간, 복수의 빔 인덱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혹은 셀-공통적으로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PRACH 자원의 경우, UE가 특정한 빔을 사용하지 않고 PRACH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며, eNB가 RX 빔포밍을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성능 열화는 PRACH의 반복 전송 등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 혹은 공통 PRACH 자원을 선택할지 RX 빔을 가정한 PRACH 자원을 선택할 지가 UE의 지연 요건(latency requirement), 전력 제한(power constraint), RSRP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각 RACH 자원 선택에 따른 UE의 PRACH 전송 방식은 서로 조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RX 빔을 가정하지 않은 전송의 경우, 네트워크가 UE에게 최적화된 빔 방향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RAR 등 이어지는(subsequent) 전송 채널이 TX 빔을 이용하지 못하고 전송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통 RACH 자원의 장점은 빔 방향에 따라 RACH 자원이 고정되어 예약되는 경우, 해당 무선 자원이 다른 빔 방향의 UE에 의해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이러한 공통 RACH 자원과 빔 방향에 따른 RACH 자원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일반적으로, TX 빔/RX 빔을 통한 전송 자원과, 커버리지는 낮을 수 있으나 와이드 빔 혹은 전-방위적 전송을 위한 자원을 나눌 수 있다. eNB는 전-방위적 전송 자원인지 혹은 RX 빔 자원인지에 따라 UE의 전력을 다르게 설정하거나 반복 정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동적으로 자원(예, PUSCH 자원)의 타입을 UE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eNB는 수신기(receiver) 이득에 대한 정보를 준-정적 혹은 동적으로 알려주어, UE로 하여금 UE 전력 결정 및 반복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UE와 eNB 사이의 전송/수신 빔 방향이 상대적으로 잘 맞추어지도록 상호 약속된 RACH 전송 자원과, eNB가 수신 빔 방향을 돌려가면서 PRACH 프리앱블의 수신에 사용하는 RACH 전송 자원이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UE와 eNB 사이의 전송/수신 빔 방향이 상대적으로 잘 맞추어지도록 상호 약속된 RACH 전송 자원과, eNB는 수신 방향을 고정하지만 UE가 전송 방향을 돌려가면서 PRACH 프래앰블의 전송에 사용하는 RACH 전송 자원이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의 PRACH 자원 사용시 RAR 전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eNB는 RAR이 전송되는 빔 방향을 RACH 자원과 함께 설정해 줄 수 있으며, 설정된 RAR 빔 방향이 지원되지 않는 UE의 경우, 해당 RACH 자원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PRACH 자원은 모든 방향의 UE들에 의해 공유(share)될 수 있으나, RAR 전송의 TX 빔 방향에 따라 PRACH 자원이 세분될 수 있고, 각 UE는 RAR 전송 빔 방향에 따라 세분화된 PRACH 자원들 중 자신의 PRACH 자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는 eNB로 하여금 TX 빔을 사용하지만, RX 빔 스캐닝을 하지 않고 RACH 수신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혹은, RACH 자원이, 특정 수신 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eNB가 수신 빔 스캐닝을 하도록 하는 자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RACH 자원이 복수의 SS 블록 인덱스에 의해 공유되는 방식은 eNB 혹은 TRP의 빔 대응성이 맞지 않는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RP의 빔 대응성이 맞지 않는 경우, UE는 PRACH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할 수 있으며, TRP는 PRACH 프리앰블의 수신을 위해서 수신 빔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UE가 사용하는 프리앰블 인덱스는 특정 SS 블록 인덱스에 연결되어 있는 인덱스 집합의 일부일 수 있다. 즉, 복수의 SS 블록 인덱스가 공유하는 시간-주파수 RACH 자원에서 UE가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되, 상기 UE는 SS 블록 인덱스 특정적인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SS 블록 인덱스를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PRACH 자원 설정 정보에는 UE가 PRACH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 PRACH 전송 프리앰블 인덱스, 프리앰블 전송 전력, PRACH 전송 시에 사용되는 RA-RNTI 정보 등이 포함된다.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PRACH 자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PRACH 설정에 포함되는 정보들도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프리앰블 인덱스, 프리앰블 전송 전력, RA-RNTI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PRACH 설정에 포함되는 정보 모두 빔 인덱스-특정적일 수 있고, 혹은 일부 정보만이 빔 인덱스-특정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ACH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복수의 빔 인덱스 혹은 모든 빔 인덱스에 의해 공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PRACH 설정에서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은 특정 빔 인덱스 그룹에 속한 빔 인덱스들에 대해 혹은 모든 빔 인덱스들에 대해 공통일 수 있다. 그러나 빔 인덱스별로 각각의 정보가 전송되기는 해야 한다. PRACH 설정에 추가적으로 RAR 윈도우 크기 및 RAR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이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별로 각각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다. 혹은 RAR 윈도우 및/또는 RAR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도 복수의 빔 인덱스 간에 공통일 수 있다.
PRACH 전송이 성공적이었을 경우 이에 대한 RAR을 eNB가 전송하게 된다. RACH 설정 정보에 RAR에 대한 설정 정보도 포함되어 UE(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RAR 설정 정보에는, 대표적으로, RAR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세한 사항은 추후 기술한다. 이러한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자원 설정에 대한 정보가 해당 PRACH 자원과 동일 빔 인덱스의 PSS/SSS가 있는 심볼에서 전송되는 다른 채널에 전송될 수 있다. PRACH 설정을 전송할 수 있는 채널들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 옵션 1. PBCH가 PRACH 설정을 나른다: PSS/SSS와 동일한 심볼에 동일한 방향으로(즉, 동일한 빔 인덱스를 가지면서) 전송되는 PBCH를 통해 PRACH 설정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PBCH에서는 시스템의 셀-가장자리(cell-edge) UE까지 성공적으로 복호해야 하는 필수적(essential) 정보가 전송되어야 하므로, PBCH가 PRACH 설정을 나르면 PBCH에서 전송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PRACH 설정을 PBCH에 전송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PBCH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이 넉넉한 경우라면, PBCH에서 PRACH 정보가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 옵션 2. SIB가 PRACH 설정을 나른다: PSS/SSS와 동일한 심볼에 동일한 방향으로(동일한 빔 인덱스를 가지면서) PRACH 설정을 주된 정보로 가지는 SIB가 전송될 수 있다. 혹은 PBCH에서 SIB의 전송 자원 위치가 지시될 수 있으며, 해당 전송 자원 위치에서 SIB를 수신함으로써 UE는 해당 빔 인덱스의 PRACH 설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 PRACH 전송 및 최선(best) N개 빔 인덱스 보고
UE가 선호하는(prefer) 혹은 가장 좋은 품질로 수신되는 빔 방향에 대해서 복수 개의 빔 인덱스/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UE는 각 빔 인덱스별 혹은 빔 방향별 PRACH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eNB가 각 빔 인덱스별로 PRACH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중-빔(multi-beam) 환경에서는 복수 개의 SS 블록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SS 블록 각각은 자신의 고유한 DL 전송 빔 방향으로 전송될 있다. 또한, 각 SS 방향별로 RACH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UE는 SS 블록 내의 신호/채널을 수신하고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SS 블록 인덱스와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을 선택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E가 선택할 수 있는 SS 블록 인덱스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각 SS 블록별로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에서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UE가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방식이 다음과 같이 제안된다.
> 옵션 1. 순차적(sequential) PRACH 전송: UE는 선호하는 최선 N개의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빔 인덱스(즉,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PRACH 전송을 시도한다. 최선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자원에서 PRACH를 전송한다. 특정 PRACH 자원으로부터 PRACH 메시지1(msg1)을 수신한 eNB는 해당 UE가 해당 PRACH 자원에 해당하는 빔을 선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PRACH에 대한 RAR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빔 인덱스(즉, 해당 빔 방향을)를 UE가 사용하는 것을 승인(confirm)해 줄 수 있다. RAR은 사전에 정의된 RAR 자원에서 전송된다. 해당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자원에서 전송한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UE는 그 다음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PRACH 자원에서 PRACH를 전송하고 RAR을 기다린다. 단순히 특정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를 전송하는 그 자체로 UE는 자신의 선호(preferred) 빔 인덱스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eNB가 해당 PRACH에 대한 RAR을 보냄으로써 해당 빔 인덱스의 사용을 승인할 수도 있고 RAR을 보내지 않음으로써 해당 빔 인덱스의 사용을 승인하지 않을 있다. 기전송한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UE는 다른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PRACH 자원을 이용해서 PRACH 전송을 시도하고 RAR을 기다린다.
> 옵션 2. 다중(multiple) PRACH 전송: UE가 선호하는 최선 N개의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설정 정보를 다 획득했다면, 상기 UE는 자신이 선호하는 복수 개의 PRACH 설정들에 대해서 각각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eNB는 각각의 빔 인덱스에 대해서 RAR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E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별로 별도의 RACH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옵션2는 하나의 UE가 복수 개의 PRACH 자원을 점유하여 PRACH를 전송하는 동작이므로 PRACH 자원에서 UE들간 충돌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 옵션에 의하면, 서로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해서 UE는 기전송한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복수 개의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특정 UE가 전송한 복수의 PRACH들에 대해, 주어진 RAR 윈도우 내에 하나의 RAR로 응답할 수 있고, 이 때 특정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RAR을 보내면서 해당 빔 인덱스의 사용을 승인해 줄 수 있다. 상기 eNB는 특정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RAR 자원에서 RAR을 전송함으로써, 혹은 특정 RAR 자원에서 상기 특정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RA-RNTI 혹은 시퀀스를 사용하여 RAR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한 사용을 승인(confirm)할 수 있다.
> 옵션 3. 선호(preferred) 프리앰블 시퀀스 전송: UE가 선호하는 최선 N개의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하고 특정 빔에 대한 PRACH를 전송하면서 가장 선호하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를 eNB로 보고할 수 있다. UE는 선택적으로 가장 빠른 시간 위치 혹은 가정 선호하는 PRACH 자원을 선택하여 PRACH를 전송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프리앰블 인덱스는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설정에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UE가 전송하는 PRACH 프리앰블은 사실상 해당 PRACH가 전송되는 PRACH 자원의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와는 관계가 없을 수 있다. 다시 말해, UE는 eNB가 PRACH 수신을 위해서 어떤 방향으로 RX 빔포밍을 하는 지 알고 있는 특정 PRACH 자원에서 PRACH를 해당 방향으로 전송하되, PRACH 전송 시 사용하는 프리앰블 인덱스는, 해당 자원과 연결된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와 관계없는, 다른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와 연결된 프리앰블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eNB는 해당 UE가 해당 프리앰블 인덱스에 해당하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방향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PRACH 프리앰블의 전송에 사용된 자원에 해당하는 빔 인덱스(즉, 빔 방향)에 대해서도 해당 UE 로부터의/로의 전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 옵션 4. 선호 RA-RNTI로 PRACH 전송(PRACH transmission with preferred RA-RNTI): 앞서 설명한 옵션 3과 유사하게 UE가 자신에게 적합한 최선 N 개의 빔 방향 중에서, 임의의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자원에 PRACH를 전송하되 RA-RNTI는 다른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옵션 3과 유사하게, UE는 PRACH를 전송하는 자원에 대해서도 선호하며, RN-RNTI를 다른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서 선택함으로써 해당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서도 채널 환경이 좋음을 eNB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RA-RNTI는 PRACH 전송 시간 자원 인덱스(예, 서브프레임 번호 혹은 심볼 인덱스), 주파수 자원 인덱스(예, PRB 인덱스 혹은 절대(absolute) 주파수) 및 빔 인덱스의 함수이다.
> 옵션 5. 공통(common) PRACH 자원 상에서 PRACH 전송: 상기 나열한 옵션들은 PRACH 자원이 각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별로 할당/시그널링된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나, PRACH 전송 시간-주파수 자원이 모든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할당된 경우, 혹은 복수 개의 빔 인덱스 그룹이 공유하도록 할당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가 빔별(즉, SS 블록 인덱스별)로 혹은 빔 그룹별로 PRACH 설정을 전송하는데, 각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혹은 빔 그룹별 PRACH 설정 중 일부 정보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 공통 정보일 수 있으며, 일부 정보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특정적 정보일 수 있다. 특별히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이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 공통 정보일 수 있다. UE는 시그널링된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PRACH를 전송하되 특정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인덱스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이 선호하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eNB에 알릴 수 있다. 즉, PRACH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복수의 UE가 PRACH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UE가 선호하는 수신 빔 방향(즉, eNB의 전송 빔 방향)은 각각 다를 수 있다. UE는 PRACH를 전송하면서 선호하는 빔 방향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설정 내의 프리앰블 인덱스 혹은 RA-RNTI를 사용하여 선호하는 빔 방향을 eNB에게 전송할 수 있다.
> 옵션 6. 가장 빠른 타이밍 우선(earliest timing first): UE는 후보 빔들에 대한 PRACH 자원들 중 혹은 이용 가능한 PRACH 자원들 중 가장 빠른 PRACH 자원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RAR, Msg3, msg4 등의 타이밍이 PRACH 설정과 더불어 사용된다면, UE는 전체 프로세스 시간이 가장 줄어들 수 있는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옵션 1 내지 옵션 6 외에 다른 방식으로는 UE가 가장 자원의 양이 많은 빔 혹은 SS 블록에 해당하는 PRACH 자원을 선택하거나, 앞에서 언급된 대로 부하 등을 고려하여 PRACH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SS 블록 인덱스별 RACH 설정(configuration) 정보로 부하(load)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부하 정보는 특정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RACH 시도, 즉, 특정 RACH 자원에서의 임의 접속 시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SS 블록 인덱스별 RACH 설정 정보로 전송 전력 오프셋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각 빔별(즉, SS 블록별) 수신 신호 레벨을 측정할 때, 시그널링된 전력 오프셋만큼을 더하거나 감하여 실제 수신 신호 레벨을 도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오프셋은 UE가 특정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하고 해당 SS블록과 연관된 RACH 자원을 통해 RACH 과정을 시도하도록, 혹은 특정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RAR 설정(configuration) 및 RAR 전송
LTE 시스템에서 RAR로 전송되는 메시지에는 eNB가 검출한 RACH 프리앰블 시퀀스 인덱스와 UE의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보정하기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명령(command),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전력 램핑(ramping) 정보, 메시지3(msg3) 전송을 위한 UL 그랜트, 임시(temporary) ID 등이 포함된다.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통상 RAR의 전송은 UE에 의한 RACH 전송이 성공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셀/반송파 상에서 전송한 RACH 프리앰블에 대한 RAR을 수신한 UE는 해당 셀/반송파 상의 무선 링크가 끊어지거나 PDCCH 오더 등에 의해 RACH 과정이 다시 트리거되지 않는 한, 다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RAR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RAR에는 해당 빔 방향에서의 네트워크의 부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부하가 높은지 낮은지의 여부를 시그널링함으로써, eNB는 해당 프리앰블을 보낸 UE로 하여금 다른 빔에 대해 RACH 시도를 하도록 할 수 있다. PRACH를 전송한 빔 방향에 대해 부하가 높다는 RAR을 수신한 UE는 해당 빔 방향에 대응하는 PRACH 전송에 대한 RAR을 수신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셀/반송파 상에서 다른 빔 방향에 대해 다시 RACH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RAR 내 부하 정보는 빔 스위칭 커맨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빔 스위칭을 위한 별도의 프리앰블을 RAR 메시지에서 지정해줄 수도 있다. 이 경우, RAR을 통해 빔 스위칭을 지시하는 경우, eNB는 다른 빔 방향에 대한 프리앰블을 위한 전송 전력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빔 스위칭을 지시하는 RAR에서 전송 전력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는 경우 UE는 다른 빔 방향에 대한 PRACH 전송을 PRACH 재전송으로 간주하여 같이 전력을 램핑 업해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부하 지시가 시그널링된 빔 방향을 제외한 다른 빔 방향들 중에서 수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빔 방향에 대해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특정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설정에 대한 RAR 전송/수신 시, 각 PRACH 설정별 RAR 설정이 독립적으로 혹은 통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PRACH를 전송한 UE는 전송 시점 이후 k번째 서브프레임부터 혹은 특정 시간 이후부터 특정 윈도우 내에 RAR이 전송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즉, UE는 PRACH 전송 이후 k번째 서브프레임(혹은 특정 시간)부터 일정 시간 구간(즉, 시간 윈도우)내에 RAR이 전송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에서 PRACH를 전송한 UE는 서브프레임 k부터 특정 시간 구간(즉, RAR 도달 윈도우) 내에 상기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할 것을 기대한다. 여기서 k값 및 RAR 도달 윈도우는 PRACH 설정별로 시그널링/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며 이 두 값이 빔 인덱스별로 시그널링/정의될 수 있다. 혹은 k값 및 RAR 도달 윈도우는 모든 PRACH 설정에 대해서 공통인 값으로 시그널링 혹은 정의될 수 있다. 빔 방향에 따른 PRACH 자원은 달라도 동일 빔-그룹에 속한 여러 RACH들이 동일한 RAR 윈도우를 공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eNB가 모든 빔 방향에 대해 SS/PBCH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하향링크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시간 구간 내에서 복수의 빔 방향들에 대한 PRACH 프리앰블들이 서로 다른 시간 자원에서 전송되더라도 UE는 동일 시간 자원 내에서 상기 PRACH 프리앰블들에 대한 RAR(들)을 수신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 접속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예시한 것이다.
UE가 빔 인덱스 A에 대한 RACH 자원에서 프리앰블1을 전송하고, (동일/다른) UE가 빔 인덱스 B에 대한 RACH 자원에서 프리앰블2를 전송한다고 하자. 상기 프리앰블1에 대한 RAR과 상기 프리앰블2에 대한 RAR이 동일 윈도우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특별히 복수 개의 PRACH에 대한 응답들이 하나의 RAR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빔 인덱스들 혹은 SS 블록들에 대한 PRACH 전송에 대한 응답들이 하나의 RAR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RAR 메시지 내의 각 PRACH 응답에 대해서 어떤 빔 인덱스에 대한 응답인지가 함께 시그널링된다. 특히 eNB의 빔 대응성이 잘 맞지 않아서 복수의 빔 인덱스 혹은 SS 블록 인덱스가 하나의 RACH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하나의 RAR 메시지에 복수의 빔 인덱스에 연관된 RACH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응답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a)를 참조하면, 하나의 RAR 메시지 내에서 각각의 PRACH 응답에 대한 빔 인덱스가 시그널링된다.
혹은 각각의 빔 인덱스별로 RAR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RAR 메시지당 해당하는 빔 인덱스가 시그널링된다. 해당 RAR 메시지 내서는 해당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PRACH 응답들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를 참조하면, 빔 방향 A에 대해 전송된 프리앰블1에 대한 RAR1과 프리앰블2에 대한 RAR2가 빔 인덱스 A와 함께 하나의 RAR 메시지로 전송되고, 빔 방향 B에 대해 전송된 프리앰블1에 대한 RAR1과 프리앰블2에 대한 RAR2가 빔 인덱스 B와 함께 다른 RAR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K개의 빔 인덱스에 대응되는 PRACH 전송 시간 유닛이 N개가 연속적 혹은 등간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N개의 PRACH 신호에 대응되는 RAR 메시지 수신 시간 유닛 M개가 연속적 혹은 등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M은 N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N은 K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RAR이 PRACH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므로 RAR이 어떤 빔에 대한 것인지 자동적으로 식별된다. 이러한 M개의 RAR 시간 유닛들의 집합을 편의상 RAR 윈도우라고 하면, UE는 먼저 자신이 선호하는 빔 인덱스에 대응되는 PRACH 시간 유닛을 통해 PRACH 신호 전송을 수행한 뒤, RAR 윈도우의 최초 RAR 시간 유닛부터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수신된 RAR 내에 포함된 빔 인덱스를 확인하면서, RAR 검출/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E는 수신된 RAR 내에 포함된 빔 인덱스가 자신의 선호 빔 인덱스 혹은 자신이 전송한 PRACH 시간 유닛에 대응되는 빔 인덱스와 일치하는 경우, 및/또는 RAR 내에 포함된 PRACH 프리앰블 ID가 자신이 전송한 PRACH 신호의 것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RAR에 따른 후속 동작(예, Msg3 전송)을 수행할 있으며, 해당 RAR 윈도우 내에서 추가적인 RAR 검출/수신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만약, RAR 윈도우 내의 M개 RAR 시간 유닛 모두에서 수신된 RAR(들)에 포함된 빔 인덱스 (및/또는 PRACH 프리앰블 ID)가 자신이 전송한 PRACH 신호에 대응되지 않았을 경우, UE는 RAR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간주하고 후속 동작(예, PRACH 신호 재전송, PRACH 전력 램핑 및/또는 PRACH 전송 카운트 증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eNB는 실제 수신한 PRACH에 대한 RAR만을 RAR 윈도우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전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RAR 윈도우 내의 최초 일부 심볼/구간만을 RAR 전송에 사용하고 나머지 심볼에는 DL/UL 데이터/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 PRACH 재전송, RACH 자원 선택 및/또는 전력 제어 (방법 1)
3GPP LTE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과정 관련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비-동기 임의 접속 과정(physical non-synchronized random access procedure)의 경우, 물리 계층 관점에서, L1 임의 접속 과정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과 임의 접속 응답을 아우른다(encompass). 남은 메시지들은 공유 데이터 채널 상의 상위 계층에 의한 전송을 위해 스케줄된다. 임의 접속 채널은 일 서브프레임 혹은 임의 접속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연속(consecutive)한 서브프레임들의 세트 내에서 6개의 자원 블록들을 점유한다. eNB는 임의 접속 응답을 위해 예약된 상기 자원 블록들 내에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금지(prohibit)되지는 않는다. 다음 단계들이 L1 임의 접속 과정을 위해 요구된다.
- 계층 1 과정이 상위 계층에 의한 프리앰블 전송의 요청 시에(upon) 트리거된다.
- 프리앰블 인덱스, 타겟 프리앰블 수신 전력(target preamble received power)(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해당 RA-RNTI 및 PRACH 자원이 상기 요청의 일부로서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다.
- 프리앰블 전송 전력 PPRACH는 PPRACH = min{PCMAX,c(i),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c}_[dBm]로서 결정된다. 여기서, PCMAX,c(i)는 서빙 셀 c의 서브프레임 i를 위한, 3GPP TS 36.101에서 정의된, 설정된 UE 전송 전력이고, PLc는 서빙 셀 c를 위해 상기 UE 내에서 계산된 하향링크 경로 손실 추정치(downlink path loss estimate)이다.
- 프리앰블 시퀀스는 상기 프리앰블 인덱스를 사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 단일 프리앰블이 지시된 PRACH 자원 상에서 전송 전력 PPRACH로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 상기 지시된 RA-RNTI로 PDCCH의 검출이 상위 계층에 의해 제어되는 윈도우 동안 시도된다(3GPP TS 36.321의 섹션 5.1.4 참조). 검출되면, 해당 DL-SCH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은 상위 계층으로 패스(pass)된다.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전송 블록을 파스(parse)하고 20-비트 상향링크 그랜트를 물리 계층에 지시한다.
한편,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에서 임의 접속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를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 DELTA_PREAMBLE +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 - 1) * powerRampingStep'에 세팅;
- 상기 UE가 BL(bandwidth limited) UE 혹은 강화된 커버리지 내 UE이면:
- 선택된 커버리지 강화 레벨에 해당하는 선택된 PRACH 자원, 해당 RA-RANTI, 프리앰블 인덱스, 및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을 상기 사용하여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반복의 횟수(즉, numRepetitionPerPreambleAttempt)로 프리앰블을 전송하도록 물리 계층에게 지시(instruct)한다.
- 그 밖에는(else):
- 선택된 PRACH, 해당 RA-RNTI, 프리앰블 인덱스 및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를 사용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하도록 상기 물리 계층에게 지시한다.
LTE/LTE-A 시스템에서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UL 전송 전력에 관한 정보도 RACH 설정에 포함되어 UE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powerRampingStep
,
preambleTransMax 등이 UE 공통한 임의 접속 파라미터들로서 RRC 신호에 의해 UE에게 전달된다(3GPP TS 36.331의 PRACH
-
Config 참조).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는 1부터 시작하여 프리앰블 전송이 시도될 때마다 1만큼씩 증가된다. 프리앰블 전송은 프리앰블 전송의 최대 횟수 preambleTransMax 한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 = preambleTransMax + 1이면, MAC 계층은 상위 계층에 임의 접속 문제(problem)을 지시하거나, 임의 접속 과정이 비성공적으로(unsuccessfully) 완료(complete)된 것으로 간주한다(consider). DELTA_PREAMBLE은 다음과 같이 프리앰블 포맷에 따라 기정의된 값이다(3GPP TS 36.321의 Table 7.6-1 참조).
Preamble Format |
DELTA_PREAMBLE value |
0 |
0 dB |
1 |
0 dB |
2 |
-3 dB |
3 |
-3 dB |
4 |
8 dB |
표 2에서 프리앰블 포맷은 prach
-
ConfigIndex에 의해 주어진다(3GPP TS 36.331의 PRACH-Config 참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LTE/LTE-A 시스템에서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학식 (1): PPRACH = min{PCMAX,c(i),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c}_[dBm].
다중-빔(multi-beam) 환경에서는 복수 개의 SS 블록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SS 블록들이 정의되고, SS 블록은 각각 고유의 DL 전송 빔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 SS 블록별로 RACH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UE는 SS 블록 내의 신호/채널을 수신하고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SS 블록 인덱스와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을 선택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E가 선택할 수 있는 SS 블록 인덱스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각 SS 블록별로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에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UE가 해당 RAR 윈도우 내에서 RAR을 수신하지 못하면 또다시 PRACH 전송을 시도하고, 상기 UE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를 PRACH 재전송이라 한다. UE는 PRACH를 재전송할 때마다 PRACH 전송 전력을 일정 정도 램핑 업한다. UE는 허용된 PRACH 재전송 횟수 만큼을 재전송하고, 재전송할 때마다 전력을 램핑 업하되, 랩핑 업된 전력은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할 수 없다. PRACH 재전송 횟수는 아래 수학식(2)의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 변수에 반영되고, 전력 램핑 업을 하는 양은 powerRampingStep에서 반영된다. 결국 수학식 (1)과 아래의 수학식(2)에 의해서 LTE 시스템에서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이 결정된다.
수학식 (2):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 DELTA_PREAMBLE +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 - 1) * powerRampingStep.
새로운 RAT에서는 PRACH 프리앰블의 재전송 시의 전송 전력에 논의하기 전에 PRACH 재전송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특히 다중-빔 환경에서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혹은 UE의 TX/RX 상호(reciprocal) 능력(capability)에 따라서 PRACH 프리앰블의 반복 혹은 빔 스위핑이 고려될 수 있다. TX/RX 상호 능력은 TRP 및 UE에서의 TX/RX 빔 대응성(correspondence)라고도 한다. 다중-빔 환경에서 TRP 및 UE에서 TX/RX 상호 능력이 유지되지 않으면 UE는 자신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빔 방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쏘지 못할 수 있다. UL의 최적 경로와 DL의 최적 경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TRP에서의 TX/RX 빔 대응성은 TRP가 TRP의 하나 이상의 TX 빔들에 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TRP R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및/또는 TRP가 TRP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관한 TRP'의 상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TRP T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유지된다(hold). UE에서의 TX/RX 빔 대응성은 UE가 UE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을 기초로 해당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UE R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및/또는 UE가 UE의 하나 이상의 TX 빔들에 관한 상향링크 측정을 기반으로 한 TRP의 지시(indication)를 기초로 해당 하향링크 수신에 대한 UE TX 빔을 결정할 수 있으면, 유지된다(hol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PRACH 전송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서는 셀/반송파에 적용되는 한 세트의 빔 방향들에 대한 PRACH 자원들이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4에서는 셀/반송파에서 이용 가능한 상기 한 세트의 빔 방향들에 대한 PRACH 자원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파수 자원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SS가 전송되는 빔 방향 혹은 SS 블록별로 RACH 자원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RACH 자원은 좀더 미세한 레벨의 RACH 기본(basic) 유닛으로 세분될 수 있다. 여기서 RACH 기본 유닛이라 함은 하나의 PRACH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데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인 것으로 정의될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하나의 빔 방향 혹은 하나의 SS 블록에 대해 설정된 하나의 PRACH 자원이 2개의 RACH 기본 유닛으로 세분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하나의 PRACH 자원이 2개의 RACH 기본 유닛으로 나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보다 많은 수의 RACH 기본 유닛으로 나뉠 수도 있다.
한 번의 PRACH 시도라 함은 SS 블록별로 정의된 RACH 자원에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RACH 자원 내에서 프리앰블의 반복 혹은 빔 스위핑이 수행되더라도 한 번의 PRACH 시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동일 RACH 자원에서 RACH 기본 유닛에 따라 빔 방향을 다르게 하여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더라 한 번의 PRACH 시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 RACH 자원 내의 다른 RACH 기본 유닛들을 이용한 복수 개의 PRACH 프리앰블 전송은 재전송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UE가 RACH 프리앰블을 SS 블록 1에 대한 PRACH 프리앰블 자원의 RACH 기본 유닛들에서 (서로 다른 빔 방향으로) 각각 전송하는 경우, 이는 한 번의 RACH 전송 시도로 간주된다. 따라서, 동일 RACH 자원 내에서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 혹은 빔 방향을 바꾸어가면서 전송하는 빔 스위핑 시에는 각각의 프리앰블 전송에 대해서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만, 동일 빔 혹은 SS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RACH 자원이라 하더라도 다음 번 RACH 자원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즉, RAR을 수신하기 위해서 RAR 윈도우만큼 기다린 후, RAR 윈도우 후의 RACH 자원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 혹은 다른 빔/SS 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PRACH 자원을 이용한 PRACH 프리앰블 전송인 경우는 재전송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UE가 SS 블록 1에 연관된 PRACH 프리앰블 자원에서 전송한 RACH 프리앰블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혹은 빔 스위칭을 지시하는 RAR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UE는 SS 블록 1을 위한 다음 번 PRACH 프리앰블 자원 혹은 다른 SS 블록과 연관된 PRACH 프리앰블에서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고, 이 RACH 프리앰블 전송은 이전 RACH 프리앰블 전송과 다른 시도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 수학식 (2)에서 PRACH 프리앰블 재전송 횟수를 나타내는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는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동일 빔 혹은 SS 블록에 대한 RACH 자원을 이용한 RACH 프리앰블 전송이 서로 다른 PRACH 기회(opportunity)에서 일어나면, 혹은 서로 다른 빔 혹은 SS 블록에 연관된 RACH 자원을 이용한 RACH 프리앰블 전송에 대해서, UE는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를 증가시킨다.
램핑 업하는 전력의 양은 빔 인덱스별로 상이할 수 있다. UE가 램핑 업하는 전력의 양은 빔 인덱스간 독립적으로 설정/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재전송 시 전력 증가를 위한 계산은 각 빔 인덱스별로 이루어진다. 다만, 재전송 횟수(PREAMBLE_TRANSMISSION_COUNTER)에 대한 계산은 빔 방향, 즉 RACH 자원이 다르더라도 모든 RACH 자원들에 대해서 통합해서 계산한다. 예를 들어, RACH 자원별 PRACH 프리앰블 전송 횟수를 계산하지 않고 UE별 PRACH 프리앰블 전송 횟수를 계산하여 PRACH 전송 전력이 계산된다. 상태가 좋은 빔들에 대해 RACH 전송을 시도하여 전력을 램핑 업했음에도 불구하고 RACH 전송이 실패한 것이므로, 다음 번 RACH 자원에서 전력을 초기 값으로 설정하면 RACH 전송의 딜레이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만, 빔 방향별로, 즉 SS 블록별로 RS 수신 레벨이 다름으로 인해서 경로 손실(loss)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UE가 PRACH 프리앰블 재전송 시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은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서 사용하는 RACH 자원 별로 경로 손실을 보상한다. 예를 들어, RACH 자원 j가 빔 방향 혹은 SS 블록 인덱스 j에 연관되어 있다고 하자. RACH 자원 j에서의 PRACH 전송 전력 PPRACH
, j는 수학식 (3)과 (4)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3): PPRACH,j = min{PCMAX,c(i),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c,beam(j)}_[dBm].
여기서, PCMAX,c(i)는 서빙 셀 c의 서브프레임 i를 위한 설정된 UE 전송 전력이고, PLc,beam(j)는 서빙 셀 c의 빔 방향 j(혹은 SS 블록 인덱스 j)를 위해 상기 UE 내에서 계산된 하향링크 경로 손실 추정치(downlink path loss estimate)이다.
수학식 (4):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 + DELTA_PREAMBLE + (PREAMBLE_TRANSMISSION_COUNTER - 1) * powerRampingStep(j).
여기서, powerRampingStep이 RACH 자원 공통으로 설정되면, powerRampingStep(j)는 powerRampingStep이다.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와 프리앰블 포맷이 RACH 자원별(즉, 빔 방향별 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설정되면 수학식 (4)에서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는 preambleInitialReceivedTargetPower(j)로, DELTA_PREAMBLE은 DELTA_PREAMBLE(j)가 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UE가 복수 개의 RACH 자원을 이용하여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한 UE가 사용할 수 있는 RACH 자원의 개수를 설정하여 시그널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2개의 RACH 자원에서의 PRACH 프리앰블이 허용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최선(best) 빔과 차선(second best) 빔의 수신 신호 레벨의 오프셋을 설정하고 상기 오프셋을 RACH 설정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2개 이상인 경우에도, 최선 빔, 차선 빔, 차차선(third best) 빔의 수신 신호 레벨의 오프셋이이 시그널링된다. 이는 UE가 최선(best) 빔 이외에 해당 오프셋 내로 들어오는 빔에 대해서만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RACH 재전송, RACH 자원 선택 방식, 및/또는 전력 제어
복수 개의 SS 블록이 전송되는 경우, UE에게 복수 개의 RACH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RACH 자원 중, UE가 임의 접속 과정을 위해서 RACH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특히, 임의 접속 과정, 즉, RACH 과정을 위한 RACH 자원 선택 방식이 PRACH 재전송 방식과 연관되어 기술된다.
> Alt a. 최선 빔 우선(best beam first)- SS 블록 수신 신호 레벨 기준
Alt a는 PRACH를 UE가 전송할 때, 일정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 SS 블록이 복수 개 존재할 때, 다시 말해, 자신이 선호하는 선호(preferred) 빔 인덱스가 복수 개인 경우, UE는 우선적으로 수신 신호 세기 레벨이 가장 좋은 SS 블록 (가장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먼저 전송한다. 주어진 RAR 윈도우 내에 해당 PRACH에 대해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UE는 해당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재전송한다. 다시 말해, UE는 수신 신호 세기 레벨이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에 연관된 RACH 자원을 이용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우선적으로 전송하고, 재전송을 하는 경우에도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에 PRACH 프리앰블을 우선적으로 시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UE의 선호 빔 인덱스가 세 개 있고, 각각의 빔 인덱스를 a, b, c라 한다. 빔 인덱스 a가 가장 좋은 빔에 해당하고, 빔 인덱스 c가 선호 빔들 중 가장 품질이 낮은 빔에 해당한다고 하자. 그리고 각 빔 인덱스 a, b, c에 대한 재전송 횟수는 Ra, Rb, Rc라 한다. 최선 빔 인덱스에 대해서 Ra번(Ra≥1) 의 재전송 이후에도 상기 최선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UE는 다음 번 채널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해서 Rb번(Rb≥1)의 재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Rb번의 PRACH 재전송 시도에도 불구하고 RAR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다음 번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해서 Rc번(Rc≥1)의 재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각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PRACH 프리앰블 재전송 횟수가 각각 정의 혹은 설정될 있으며 UE는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을 우선적으로 시도하고, 재전송 역시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좋은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서 지정된 최대 재전송 횟수만큼 재전송한다. 해당 횟수만큼 재전송을 시도했는데도, 네트워크로부터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혹은 RAR을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경쟁 해결(contention resolution)에 실패하여 RACH 과정을 다 마치지 못한 경우, 상기 UE는 그 다음 번 수신 품질이 좋은 SS 블록에 대한 PRACH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UE는 PRACH를 재전송할 때마다, 상기 UE에게 시그널링된 값(delta) 만큼의 전력을 램핑 업하여 PRACH를 전송한다. 빔 인덱스 a에 대한 PRACH를 전송할 때마다, 전력을 램핑 업하여 전송한다. 빔 인덱스 a에 대한 PRACH는 Ra회 재전송하며, 최대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매 재전송마다 전력을 램핑업하고, 최대 전력에 도달 한 경우에는 해당 빔 인덱스 a에 대한 재전송 시에는 최대 전력으로 전송한다. 빔 인덱스 a에 대한 PRACH를 Ra회 재전송했음에도 RAR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UE는 빔 인덱스 b에 대한 PRACH를 상기 빔 인덱스 b와 연관된 PRACH 자원에서 전송한다. 이 때, 해당 빔 인덱스 b에 대한 PRACH 전송 시 전송 전력은 리셋 혹은 초기화되어야 한다. 즉, 빔 인덱스 a에 대한 PRACH 전송 시 사용되었던 최대 전력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이다. 처음 PRACH를 보내는 것처럼, 초기(initial) 전송 시 사용하는 전력으로 빔 인덱스 b에 대한 PRACH를 전송하고, RAR을 수신하지 못해서 재전송을 할 때는 전력을 램핑 업하여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빔 인덱스 b에 PRACH를 Rb회 재전송했음에도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UE는 그 다음 번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 c에 대한 PRACH를 전송한다. RACH 자원을 변경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방법 1에서 기술된 전력 제어 방식과 같이, UE는 해당 RACH 자원과 연관되어 있는 SS 블록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예, RSRP)를 기준으로 초기 전송 전력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UE가 PRACH 프리앰블 재전송 시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은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서 사용하는 RACH 자원별로 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경로 손실을 보상한다.
UE는 앞서 기술한 동일한 과정으로 PRACH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즉, 자신이 선호하는 모든 선호 빔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상위 계층에 보고하고 셀을 재선택(reselection)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1에서 기술된 전력 제어 방법과 달리, UE는 서로 다름 빔 인덱스에 대한 RACH 재전송에 대해서는 빔 인덱스별 전력 램핑 카운터를 별도로 사용하여, 각 빔 인덱스별 전력 램핑을 시도할 수 있다. 즉, UE가 다른 빔 인덱스(즉,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서 RACH 프리앰블 재전송을 하는 경우, 빔 인덱스들(즉, SS 블록 인덱스들)에 관계없이 재전송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1과 달리, 본 방법에서는 재전송 횟수가 승계되지 않는다.
> Alt b. 빔 인덱스 라운드 로빈
Alt b는 PRACH를 UE가 전송할 때, 일정 신호 세기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 SS 블록이 복수 개 존재할 때, 다시 말해, 자신이 선호하는 선호(preferred) 빔 인덱스가 복수 개인 경우, UE는 우선적으로 수신 신호 세기 레벨이 가장 좋은 SS 블록(즉, 가장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먼저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선호하는 선호 빔 인덱스가 복수 개인 경우, 가장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먼저 전송하고, 주어진 RAR 윈도우 내에 해당 PRACH에 대해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바로 다음 번 수신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도 RAR 윈도우 내에 해당 PRACH에 대해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바로 다음 번 수신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UE가 수신 신호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인 SS 블록 인덱스가 복수 개이면, 상기 UE는 복수 개의 SS 블록 인덱스에 대한 RACH 프리앰블 전송을 SS 블록 수신 품질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PRACH 프리앰블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UE가 너무 많은 RACH 자원에 대한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하는 것은 핑퐁효과로 인하여 오히려 시스템의 성능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UE가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는 PRACH 자원의 개수 및 연관되어 있는 SS 블록 수신 품질의 범위(range)가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RACH 를 시도할 수 있는 최대 SS 블록 개수 혹은 RACH 자원의 개수, 그리고 가장 좋은 SS 블록 수신 신호 세기로부터의 오프셋 값 등을 네트워크가 PRACH 설정(configuration)에 포함시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가장 좋은 SS 블록 수신 신호 세기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SS 블록 인덱스에 대해서만 RACH 프리앰블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UE가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전송하고 RAR을 수신하지 못하여 이후 다음 번 품질이 좋은 PRACH를 전송할 때 UE가 이를 PRACH 재전송으로 생각하고 전력을 램핑 업할 수 있다. 그러나 UE 관점에서는 PRACH를 재전송하는 것이지만,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 전송을 하는 것이므로, 전력이 램핑 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UE가 자신이 선호하는 빔 인덱스 세트 내에서 각각의 PRACH를 전송할 때,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처음 전송하는 경우라면 전력을 램핑 업하지 않는다. 그리고 UE가 선호하는 모든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한 번씩 시도하였음에도 RAR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또 다시 최선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되, 전력을 램핑 업하여 전송한다. 전력 램핑 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UE는, 앞서 설명된 Alt a과 마찬가지로, SS 블록 인덱스(혹은 빔 인덱스)별 전력 램핑 카운터를 별도로 두고, 각 빔 인덱스별 전력 램핑을 시도할 수 있다. 다만, 빔 방향별로, 즉, SS 블록별로 수신 레벨이 다름으로 인해서 경로 손실(loss)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UE가 PRACH 프리앰블 재전송하는 경우, 상기 UE는 해당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은 해당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서 사용하는 RACH 자원별로 혹은 SS 블록 인덱스별로 경로 손실을 보상한다.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UE의 선호 빔 인덱스가 세 개 있고, 각각의 빔 인덱스를 a, b, c라 한다. 빔 인덱스 a가 가장 좋은 빔에 해당하고, 빔 인덱스 c가 선호 빔들 중 가장 품질이 낮은 빔에 해당한다고 하자. 그리고 각 빔 인덱스 a, b, c에 대한 재전송 횟수는 Ra, Rb, Rc라 하자. UE는 빔 인덱스 a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했다면 빔 인덱스 b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빔 인덱스 c에 대한 PRACH를 전송한다. UE가 가진 모든 빔 인덱스에 대해서 RAR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UE는 다시 빔 인덱스 a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되 PRACH 전송 전력을 램핑 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음 번 빔 인덱스인 빔 인덱스 b에 대해서 PRACH를 이미 한 단계 램핑 업된 전력으로, 즉 직전 빔 인덱스 a에 대한 PRACH 전송에 사용했던 전송 전력으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동일한 전력으로 빔 인덱스 c에 대한 PRACH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력을 램핑하면서 UE는 PRACH를 각 빔 인덱스별로 돌아가면서 재전송 할 수 있다.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을 세팅하는 다른 방식으로는, 동일 RACH 자원, 즉, 동일 빔 혹은 동일 SS 블록에 연관된 RACH 자원에서의 재전송에 대해서는 전력을 램핑 업하고, 다른 RACH 자원으로 이동하여 재전송하는 경우에는 PRACH 전송 전력을 리셋 혹은 초기화시키지 않고 이전 재전송의 전력 값을 그대로 승계할 수 있다. 즉, 동일 RACH 자원에서의 재전송에 대해서만 전력을 램핑 업하고, RACH 자원을 변경하여 재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직전의 PRACH 프리앰블 전송 전력을 승계할 수 있다.
> Alt c. 다중 PRACH 프리앰블 전송 방식
Alt c에 따른 UE는 상기 UE에게 일정 신호 세기 레벨 이상으로 수신되는 SS 블록이 복수 개 존재할 때, 다시 말해, UE 자신이 선호하는 선호(preferred) 빔 인덱스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SS 블록에 대하여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즉, UE는 복수의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각각 전송하고 이중 어느 빔 인덱스에 대한 RAR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PRACH를 재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빔 인덱스 a, b, c에 대한 PRACH를 각각 전송하고, 이에 대한 RAR을 동일 윈도우 내에서 혹은 오버랩되는 윈도우 내에서 기다릴 수 있다. 즉, UE는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전송하는 것이다. 빔 인덱스 a, b, c에 대한 PRACH 전송에 대해 RAR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UE는 또다시 빔 인덱스 a, b, c에 대해서 PRACH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각각의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램핑 업해서 전송한다.
UE는 RAR을 수신을 기다리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에 대해서는 RAR 수신을 기다리지 않은 상태에서, 즉 RAR 전송 윈도우가 도달하기 전에 PRACH를 전송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며, UE가 자신이 전송한 PRACH에 대한 RAR 수신을 기다리지 않은 시점에 PRACH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서로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인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UE가 빔 인덱스를 라운드 로빈의 방식으로 돌아가면서 PRACH를 전송을 시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UE가 빔 인덱스에 대한 라운드 로빈을 수행할 때 상기 UE가 PRACH를 전송하는 순서 및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좋은 빔 인덱스를 먼저 시작하는 것이고, UE의 선택에 의해서 특정 빔 인덱스가 일정 품질 이상으로 수신되는 채널이라도 다른 빔 인덱스에 비해서 수신 품질 차이가 큰 경우 UE는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전송을 더 자주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b, c, a, b, c,..]가 아닌 [a, b, a, b, c, a, b, a, b, c,..]와 같이 RACH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램핑에 대한 원칙은 동일 빔 인덱스에 대한 재전송 시에는 전력을 램핑 업하고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해서는 해당 빔 인덱스에 대한 재전송 횟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력을 램핑 업 한다.
전력 램핑을 갖는 후보 자원들 중에서 첫 번째 이용 가능한 PRACH 자원은 이용 가능한 RACH 자원 중 가장 처음 이용 가능한 자원 혹은 전체 딜레이가 가장 줄어드는 자원일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가장 자원의 양이 많은 빔에 해당하는 RACH 자원이 상기 첫 번째 이용 가능한 PRACH 자원으로 선택되거나 앞에서 언급된 대로 부하 등을 고려하여 RACH 자원이 상기 첫 번째 이용 가능한 PRACH 자원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 최대 PRACH 전송 횟수
UE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가 지정되어야 한다. UE가 복수의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전송하는 경우 최대 재전송 횟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 방식 1. 최대 (재)전송 횟수 R이 UE별로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예에서, R=Ra+Rb+Rc일 수 있다. 즉, UE별 PRACH 최대 재전송 횟수 R이 정의되어 시그널링되고, 이 값은 각각의 빔 인덱스별 최대 재전송 횟수의 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각 빔 인덱스별로 최대 재전송 횟수는 같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eNB 혹은 UE는 가장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 재전송 횟수를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예시에서 Ra>Rb>Rc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Ra=Rb=Rc일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Ra+Rb+Rc=R을 만족해야 한다.
> 방식 2. 최대 재전송 횟수 R이 빔 인덱스별로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예에서 R=Ra=Rb=Rc 일수 있다. 즉, 빔 인덱스별로 UE가 PRACH를 재전송할 수 있는 횟수가 정의되어 시그널링되고, 빔 인덱스별로 PRACH 재전송 횟수가 같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일 값으로 그 횟수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러나 PRACH 설정이 빔 인덱스별로 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빔 인덱스별로 최대 재전송 횟수가 각각 설정되면, 해당 값이 각각 시그널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Ra≠Rb≠Rc일 수 있으며, Ra, Rb, Rc가 각각 시그널링된다. UE는 빔 인덱스별로 최대 횟수만큼 PRACH를 재전송하고 다른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시도한다. 각 빔 인덱스별로 최대 재전송 횟수가 정의되었다 하더라도 UE가 빔 인덱스별로 최대 재전송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빔 인덱스 a에 대해서 최대 재전송 횟수가 Ra회라 하더라도 UE는 해당 빔 인덱스 a에 대해서 RX(Rx <Ra )회 만큼의 PRACH를 재전송할 수 있다.
한 UE가 너무 복수의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게 되면, 원하는 빔 인덱스가 많은 경우 해당 UE가 너무 많은 PRACH전송을 해서 자원을 낭비할 소지가 있으므로, UE당 최대 PRACH 재전송 횟수(Rmax)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때, Rmax =<Ra+Rb+Rc 일수 있다.
* UE 커버리지에 의존하는 PRACH 자원 설정
PRACH 자원을 빔별로 설정하는 것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eNB로부터의 거리가 어느 정도 있어서 빔 포밍이 필요한 UE를 위해서는 빔 인덱스별로 PRACH 자원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셀 중심(center)에 있는 UE들의 경우에는 굳이 eNB에서 RX 빔포밍을 해서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UE의 커버리지 클래스에 따라서 PRACH 자원이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공통(common) PRACH 자원을 통해서 UE가 PRACH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자원에서 eNB는 굳이 RX 빔포밍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자원 영역은 특정 빔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PRACH를 전-방위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된 자원에서 PRACH를 전송하는 UE는 주로 셀 중심에 위치한 상대적으로 전파(propagation) 손실이나 블로키지(blockage)가 거의 없는, 혹은 채널 상태가 매우 좋은 UE들이다. 해당 UE들을 위해서 별도의 공통 PRACH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공통 PRACH 자원에서 UE는 빔 인덱스와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거나 빔포밍이 필요한 UE의 경우, 상기 UE는 빔 인덱스 특정적 PRACH 자원을 활용하여 앞서 기술한 방식으로 빔 인덱스 별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순차(sequential) PRACH 전송 방식을 기준으로 기술하면, UE는 최선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고 이에 대해서 주어진 윈도우 내에서 RAR이 전송되지 않으면, 해당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 전송을 재시도 한다. 이러한 재시도를 x(x≥1)회 시도할 수 있으며, x회 시도 후에도 RAR 수신에 성공하지 못하면 그 다음 번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해서 PRACH를 전송하고 주어진 윈도우 내에서 RAR을 수신하기 위해 기다린다. 마찬가지로 해당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를 y(y≥1)회 시도할 수 있으며, y회 시도 이후에도 RAR을 수신하지 못하면 다음 번 품질이 좋은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UE가 PRACH 전송을 시도하는 횟수는 빔 인덱스마다 공통일 수 있다(즉, x=y). 혹은 빔 인덱스별로 별도의 횟수 만큼 시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한 수신 채널 품질이 좋을수록 PRACH 시도 횟수를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 RACH 메시지 3 전송
UE가 특정 빔 인덱스에 대한 PRACH 전송 이후 해당 PRACH에 대한 RAR을 수신하였다면, UE는 가능하다면 자신의 C-RNTI와 더불어 선호하는 빔 인덱스(예, SS 블록 인덱스) 세트를 PUSCH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빔 인덱스에 대한 이러한 보고를 기반으로 하여 eNB는 해당 UE에게 스케줄링할 때, 해당 빔 인덱스 세트 내에서 특정 빔 인덱스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ACH 메시지 3에 UE가 하향링크 빔 RS 측정을 통해서 파악한 선호하는 하나의 빔 인덱스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N개의 빔 인덱스와 해당 빔 인덱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예, RSRP)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 RACH 메시지 4 전송
UE로부터 RACH 메시지 3를 수신한 eNB는 해당 UE로 RACH 메시지 4를 전송하는데, 일반적으로 RACH 메시지 4는 충돌 해결(contention resolution)을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UE가 보고한 최선 N개의 빔 인덱스(빔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eNB가 해당 UE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빔 인덱스기 RACH 메시지 4에서 시그널링한다. eNB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의 빔 인덱스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로써 UE는 시그널링된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PDCCH/PDSCH가 전송될 것으로 기대하고 해당 방향으로의 RX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가 PUSCH를 전송할 때, 시그널링된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PUSCH/PUCCH등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 빔 인덱스 갱신(update)
UE가 자신의 선호 빔 인덱스를 보고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방식은 UE가 선호하는 빔 방향이 변경/추가 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 방식 1: 빔 인덱스별 PRACH 자원 정보를 획득한 UE는 각 빔 인덱스별 PRACH 자원에 각각 PRACH를 전송함으로써, eNB에 해당 UE가 해당 빔 인덱스의 채널 품질이 좋은 것을 알릴 수 있다.
> 방식 2: UE는 각 빔 인덱스별로 RS를 측정해서 RSRP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RSRP 측정을 수행하는 기준 RS는 광대역으로 전송되는 BRS(Beam RS)혹은 PBCH의 복조에 사용되는 PBCH-RS일 수 있다. 혹은 PSS/SSS의 수신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하여 RSRQ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전송장치(10) 및 수신장치(2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송장치(10) 및 수신장치(20)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 메시지 등을 나르는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는 RF(Radio Frequency) 유닛(13, 23)과, 무선통신 시스템 내 통신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 22), 상기 RF 유닛(13, 23) 및 메모리(12, 22) 등의 구성요소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해당 장치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메모리(12, 22) 및/또는 RF 유닛(13, 2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프로세서(11, 21)를 각각 포함한다.
메모리(12, 22)는 프로세서(11, 2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 22)가 버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통상적으로 전송장치 또는 수신장치 내 각종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1, 21)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프로세서(11, 21)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400a, 400b)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1, 21)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2, 2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 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송장치(10)의 프로세서(11)는 상기 프로세서(11) 또는 상기 프로세서(11)와 연결된 스케줄러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RF 유닛(13)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열을 역다중화 및 채널 부호화, 스크램블링, 변조과정 등을 거쳐 K 개의 레이어로 변환한다. 부호화된 데이터 열은 코드워드로 지칭되기도 하며, MAC 계층이 제공하는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과 등가이다. 일 전송블록(transport block, TB)은 일 코드워드로 부호화되며, 각 코드워드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의 형태로 수신장치에 전송되게 된다. 주파수 상향 변환을 위해 RF 유닛(13)은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13)은 N
t 개(N
t 는 1 보다 이상의 양의 정수)의 전송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장치(20)의 신호 처리 과정은 전송장치(10)의 신호 처리 과정의 역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의 제어 하에, 수신장치(20)의 RF 유닛(23)은 전송장치(10)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RF 유닛(23)은 N
r 개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 유닛(23)은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각각을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frequency down-convert) 기저대역 신호로 복원한다. RF 유닛(23)은 주파수 하향 변환을 위해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는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하여, 전송장치(10)가 본래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F 유닛(13, 23)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안테나는, 프로세서(11, 21)의 제어 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F 유닛(13, 23)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RF 유닛(13, 2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는 안테나 포트로 불리기도 한다. 각 안테나는 하나의 물리 안테나에 해당하거나 하나보다 많은 물리 안테나 요소(element)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configured) 수 있다. 각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수신장치(20)에 의해 더는 분해될 수 없다. 해당 안테나에 대응하여 전송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는 수신장치(20)의 관점에서 본 안테나를 정의하며, 채널이 일 물리 안테나로부터의 단일(single) 무선 채널인지 혹은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 요소(element)들로부터의 합성(composite) 채널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수신장치(20)로 하여금 상기 안테나에 대한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즉,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 상의 심볼을 전달하는 채널이 상기 동일 안테나 상의 다른 심볼이 전달되는 상기 채널로부터 도출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기능을 지원하는 RF 유닛의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UE 는 상향링크에서는 전송장치(10)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eNB 는 상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20)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전송장치(10)로 동작한다. 이하, UE 에 구비된 프로세서, RF 유닛 및 메모리를 UE 프로세서, UE RF 유닛 및 UE 메모리라 각각 칭하고, eNB 에 구비된 프로세서, RF 유닛 및 메모리를 eNB 프로세서, eNB RF 유닛 및 eNB 메모리라 각각 칭한다.
본 발명의 eNB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도록 eNB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eNB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UE로부터 RACH를 수신하도록 상기 eNB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eNB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PDCCH/PDSCH를 전송하도록 상기 eNB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eNB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PUSCH/PUCCH를 수신하도록 상기 eNB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E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동기 신호 및 방송 신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UE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E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RACH를 전송하도록 상기 UE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E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PDCCH/PDSCH를 수신하도록 상기 UE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E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 PUSCH/PUCCH를 전송하도록 상기 UE RF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