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7073985A1 -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 Google Patents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3985A1
WO2017073985A1 PCT/KR2016/012021 KR2016012021W WO2017073985A1 WO 2017073985 A1 WO2017073985 A1 WO 2017073985A1 KR 2016012021 W KR2016012021 W KR 2016012021W WO 2017073985 A1 WO2017073985 A1 WO 20170739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cover
implant assembly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0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이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12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99498B1/ko
Application filed by 이민정 filed Critical 이민정
Publication of WO20170739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39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type implant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type implant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be safely and simply perform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bone diameter, width,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which can be easily and safely treated by reinforcing the alveolar bone without deleting the alveolar bone and covering the alveolar bone.
  • Implant means the implantation of artificial artificial teeth into human alveolar bone.
  • the dental implant is a method of restoring the function of the tooth by restoring the tooth root made of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which is not rejected to the human body to replace the lost tooth root, in the alveolar bone in the toothless tooth, and then fixing the artificial tooth. to be.
  •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do not damag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have the same function or shape as the natural teeth and do not cause tooth decay. It is widely practiced.
  • the implant procedure is performed by drilling the alveolar bone using a dedicated drill, placing a fixture into the procedure ball, fusion fusion to the alveolar bone, and then attach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and then covering the abutment with the final prosthesis. Is completed.
  • Figure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jaw 11 and the lower jaw 13, the implant 40 is to be treated.
  • the maxillary sinus 12 is formed on both sides.
  • the maxillary sinus 12 is one of the sinus cavities formed in the human skull above the maxillary posterior region, and is a pair of cavities. Since the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bone 21 is in contact with the maxillary sinus 12,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210 is thin and the density is low.
  • the fixture 41 of the implant 40 is not firmly supported and the alveolar bone 21 is broken,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dure of the implant 40.
  • the implant 40 when the implant 40 is applied to the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bone 21, the implant 40 may be detached and disappeared into the maxillary sinus 12.
  • the implant 40 When the implant 40 is separated into the maxillary sinus 12, the implant 40 must be removed through surgery, resulting in great discomfort and pain to the patient.
  • the maxillary sinus 12 and the membrane 12a that form it are struck down so that there is not enough space for planting the implant 40 between the maxillary sinus 12 and the alveolar bone 21. , Filling the bone in the space of the maxillary sinus (12) is to perform maxillary sinus surgery to enable implant placement.
  • the maxillary sinus surgery lifts the membrane 12a forming the maxillary sinus 12 using a mechanism penetrating the lower side of the gum and filling the bone graft material 30, and the implant 40. ) Is a method of implanting.
  • the maxillary cohabitation surgery is difficult because the surgery itself is difficult to perform the maxillary cohabitation surgery, there are side effects such as excessive bleeding, bone or gum damage, pain, inflammation, etc., even when undergoing the surgery.
  • the lower jaw 13 of the face as shown in Figure 1, the lower extremity neural tube 15 is present.
  • Hachizo neural tube (15) is in close proximity to or attached to the wisdom teeth to extract the wisdom teeth or implant procedures should be careful. If the lower extremity neural tube 15 is damaged at the time of implant 40, paralysis of skin tissues may occur and paralysis may occur to the lips.
  • conventional implants have the form of a root-type implant that is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alveolar bone. Since these root implants are used to perforate the alveolar bone 21 and insert the fixture 41 for the procedure,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maxillary cohabitation and care must be taken not to touch the lower alveolar neural tube 15. There is difficul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 cover-type implant assembly that can be performed without perforation to the alveolar bone anyone can safely implant the implant regardless of the bone size and siz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er-type implant assembly that can be fused with the existing alveolar bon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alveolar bone and protect the alveolar bon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the holding area by improving the bonding area with the alveolar bon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that can be fused with existing alveolar bone to reinforce the alveolar bone and protect the alveolar bon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er-type implant assembly that is simple and easy to manage because it is manufactured in three dimension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capped implant assembly.
  • Cover typ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veolar bone cover is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facing the mouth area; A cover engaging shaft extending toward the oral cavity from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An abutment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It includes a dental prosthesis coupled to the end of the abutment,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formed by a three-dimensional printer.
  • the alveolar bone cover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vering the outer surface toward the oral cavity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alveolar bone.
  •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provided to have a concave-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alveolar bone, o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urface is uniform regardles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alveolar bone.
  •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n the surface.
  • a fixing member for coupling the alveolar bone cover and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coupling hole may be inserted.
  • the cover coupling shaf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it can be molded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by the three-dimensional printer.
  • the cover coupling shaf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it can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through the coupling hole.
  • the abutment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ak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alveolar bone; Designing a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 th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designed alveolar bone cover using a three-dimensional printer, wherein the alveolar bone cover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cover a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Can be achieved by
  • the cover coupling shaft may be integrally designed on the alveolar bone cover.
  • Alveolar bone strengthening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veolar bone cover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facing the oral cavity; It includes an abutmen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wherein the alveolar bone cover is formed to have an inner wal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alveolar bon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alveolar b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structure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is formed.
  • the alveolar bone cover is provid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toward the oral cavity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alveolar bone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Supported insertion shaft may be provided.
  • the concave-convex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shape of a hemispherical shape, cross shape, donut shape, polygonal shape, step shape.
  •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hook connection portion which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coupled to the orthodontic means of the gum.
  • the abutment may be integrally provided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 the alveolar bone cover and the inner cover disposed on the alveolar bone side;
  • the inner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outer periphery includes an outer cover fixedly coupled with the inner cover, the inner cov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network.
  • the outer cov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network
  • the network structure may also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provided with an alveolar bone cover frame formed in a grid form.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the main horizontal fram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 the main horizontal frame may include one or more vertical fram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ver both sides of the alveolar bone.
  • the vertical frame may be coupled to the main horizontal frame in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shape from left to right in the form of ribs.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the grid fram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in a polygonal or circular form; It may include one or more inclined frame extending from the grid frame covering both sides of the alveolar bone.
  • the main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grid frame and the inclined frame is coupled between the auxiliary frame to the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main horizontal frame, the vertical frame, the grid frame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frame extending from the one of the inclined frame into the alveolar bon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may be formed segmentally.
  •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gum support protrusion to prevent the gum from being pushed.
  • a blocking cov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to shield the gum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 the abutment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by a frame coupling member,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may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 it may further include a dental prosthesis coupled to the end of the abutment.
  • the alveolar bone cover and the abutment and the dental prosthesis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or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formed by surface treatment.
  • the surface roughness is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titanium plasma spray (TPS) method, hydroxyapatite coating, acid corrosion method, blast method, acid corrosion and blast combination method, anodizing surface method, fluorine treatment surface method It may be formed by any one of the zirconium oxide coating method.
  • the alveolar bone cover is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bone fusion by filling the bone graft material is fixed position.
  • the procedure of drilling the alveolar bone to drill holes and inserting fixtures in order to perform the conventional implant can be omitted.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area with the alveolar bone.
  • the coupling retaining force between the implant assembly and the alveolar bone may be improved.
  • the alveolar bone cover may be combined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bone density, bone size, bone height, and the lik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maxillary sinus elevation, which is a large risk, and there is no risk of touching the inferior alveolar neural tube.
  • the procedure since there is no process of drilling using a drill, the procedure does not have much bleeding, so the pain of the patient is small and management after the procedure may be easy. In the same context, the practitioner can perform the procedure more safely and without risk.
  • lid-typ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condition of the alveolar bone, it may provide more people with the opportunity to be treated with the implant.
  • the cover-typ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in the alveolar bone cover with a three-dimensional print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obtained through three-dimensional imaging, it is provided in a form customized to the person.
  • the alveolar bone cover is mold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mplant.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insertion support shaft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alveolar bone to improve the bone adhes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alveolar bone cover, and obtain a mechanical holding force, Induction of alveolar bone and gum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gum position.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mitted a process of drilling the alveolar bone to drill holes and insert the fixture in order to perform the conventional implant. Since the process of puncturing the alveolar bone is omitted,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may be tasted by combining the alveolar bone cover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bone density, bone size, bone height, and the lik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maxillary sinus elevation, which is a large risk, and there is no risk of touching the lower alveolar neural tube.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alveolar bone cover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CAD / CAM or casting metho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obtained through three-dimensional imaging, Is provided.
  • CAD / CAM three-dimensional printing
  • Is three-dimensional imaging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can combine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coupled to a plurality of frames to the alveolar bone to perform the implant.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 to each other.
  • a wide margin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and thus the ready-made implant can be implanted in addition to the cover coupling shaft and the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ne graft material of various sizes can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wide margin space.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t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In addition, i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in some cases.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prevents detachment of the alveolar bone,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frames may be coupled to ensure stable coupling with the alveolar bone.
  • a gum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gum from being pushed, and a blocking cover may be coupled to prevent the gum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lveolar bone structure of the face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the maxillary cohabitation of the maxilla and implants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i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axilla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when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 the maxilla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ver typ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lid-typ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treating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in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that the mandible,
  • 15 to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coupling shaft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example of the cover coupling shaft and the abutment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9 and 20 are illustrativ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abutment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and the dental prosthesis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formed;
  • Figure 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blocking cover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of the alveolar bone strengthening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ea where the tooth is extracted.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ructure of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mplant assembly 100 has been performed.
  • Cover type implant assembly 100 by drilling the alveolar bone 21 where the teeth are to be removed and the implant should be fix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without fixing the fixture (41 in Fig. 2) Combining as if wrapped, the dental prosthesis 140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complete the procedure.
  •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fely operated. I can receive it.
  • the implant when comparing the conventional FIG. 2 and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ant can be performed using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without having to perform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so that both the operator and the patient can safely operate without risk. There is an advantage.
  • Cover type implant assembly 100 is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coupled to cover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ortion to be implanted, and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 An abutment 130 inserted in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nd a dental prosthesis 140 coupled to an end of the abutment 130.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a cover body 111 coupled to cover the portion facing the oral cavity of the alveolar bone like a saddle of the hors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3 formed in the cover body 111, the coupling hole And a fixing member 115 inserted into the 113.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coupl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alveolar bone 21 in the case of the upper jaw, and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alveolar bone 21 in the case of the lower jaw.
  • Cover body 111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cover as necessary fo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ince the cover body 111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the cover-type implant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eakens the strength of the alveolar bone wh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implant of the alveolar bone 21. Rather, it serves to protect the alveolar bone. As a result, after the conventional implants, the gums may be lowered or the bones melted due to poor management. However, when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more stably.
  • the alveolar bone 21 forming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are formed with different thicknesses as shown in FIG. 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iameters of the respective regions are formed differ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or a recessed area (d1 ⁇ d2 ⁇ d3).
  • the cover body 111 can form the shape so that the cover-type implant 100 is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o create a more aesthetic dental prosthesis. .
  • the cover body 111 when the cover body 111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is bumpy but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cover body 111 is coupled may be smoothly formed.
  • the cover body 111 in the separation space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cover body 111 may be filled with the bone graft material 30, as shown in Figure 5, the cover body 111 as much as that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eliminate the separation space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 the bone graft material 30 filled in the separation space is filled in the separation space so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lveolar bone 21 are fused and fixed to each other.
  • the cover body 1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3 are formed.
  • the fixing member 115 may b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13.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covered with the alveolar bone 21, and then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introduc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13.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115 is inserted to assist the 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21, the bone graft material 30 and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be fixed.
  • the fixing member 115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13 or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 the inn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may be a surface treatment to promote bone fusion.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not smooth, and the surface is roughly processed to a certain range to allow bone cells of the bone graft material 30 to stick together more easil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can be treated so that the gum (23 of Figure 3) is well coupled.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connect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each other.
  • Cover 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manufactured by molding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hrough a three-dimensional printer.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ral cavity,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the inner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 An internal thread 121a is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insertion hole 121 to be screwed with the abutment 130.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puncturing the fixture to the alveolar bone during the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ly the loc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density, heigh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lid implant assembly 100 irrespective of the thickness and the like.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butment 130 is coupled.
  •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nd then secures the dental prosthesis 140.
  • the abutment 130 and the dental prosthesis 140 may be a known form.
  • the abutment 130 may be screwed in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s shown, or may be coupled in other ways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 abutment 1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ver 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as formed in the form having a relatively constant diameter alveolar bone cover 110,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cover-type implan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110a has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gap between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cover body 111a is uniformly formed, and the bone graft material 30 filled therein is also filled with a uniform amount.
  • the alveolar bone cover 110a is provided to separate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is provided to be screwed to the shaft insertion hole 117 of the cover body 111a.
  • cover coupling shaft 120a is molded by the 3d printer, and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is separately manufactured.
  • the operator combines the alveolar bone cover 110a to the alveolar bone 21 and fills the bone graft material 30 through the coupling hole 113 to fix the alveolar bone cover 110a and the alveolar bone 21 by bone fusion.
  • the shaft 120a is screwed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117 to fix the position.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117 to fill the bone graft material 30 so as to be fused with the bone to fix the position.
  • the lid-shaped implant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nufacture the lid-shaped implant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o tak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atient (S110).
  •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atient is photographed using three-dimensional imaging means such as CT.
  • the 3D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at the position where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is to be treated is designed using the 3D shape design tool (S111).
  • the designer may desig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or may desig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n a form having a constant curvature regardless of the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cover coupling shaft 120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determine whether to be fixed integrally or independently detachable coupling. Then,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designed as determined.
  • the design of the designed alveolar bone cover 110 to form the alveolar bone cover 110 with a 3d printer (S113).
  • the type and shape method of the 3d print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whether the cover coupling shaft is integrally formed).
  • the abutment 130 and the dental prosthesis 140 corresponding thereto are manufactured.
  • the operator dissecting the gum of the patient, and places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n the alveolar bone 21 (S115). Then, the bone grafting material 30 is put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lveolar bone 21 to fusion (S117). At this time, in some cases, the fixing member 115 is inserted to assist in fixing the position.
  • the fixing member 115 is separated.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s shown in FIG. 4, the abutment 130 is directly fix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S119) and the abutment.
  • the dental prosthesis 140 is coupled to the cement 130.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When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is separated from the alveolar bone cover 110a as shown in FIG. 6,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is coupled to the shaft insertion hole 117. Then, the abutment 130 is fixed to the coupling shaft 120a (S119), and the dental prosthesis 140 is coupled to the abutment 130.
  • the implanta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may be comple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110 covers the alveolar bone 21.
  • FIG.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is performed on the upper jaw, and when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is performed on the lower jaw,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21. do.
  •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cov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bone fused and the position is fixed.
  • the procedure of drilling the alveolar bone 21 to drill a hole and inserting the fixture 41 to perform the conventional implant 40 may be omitted.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may be combined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alveolar bone 21, the bone size, the bone height, and the like. .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maxillary sinus elevation, which is a large risk, and there is no risk of touching the lower extremity neural tube 15 neural tube.
  • the procedure since there is no process of drilling using a drill, the procedure does not have much bleeding, so the pain of the patient is small and management after the procedure may be easy. In the same context, the practitioner can perform the procedure more safely and without risk.
  • lid-type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condition of the alveolar bone, it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more people to be treated.
  • the lid-type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tailored to the person, since the alveolar bone cover is molded in a three-dimensional pri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obtain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maging.
  • the alveolar bone cover is mold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mplant.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ince the cover body 111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alveolar bone 21,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weakens the strength of the alveolar bone wh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implant of the alveolar bone 21. Rather than making a role to protect the alveolar bone. Thereby, after performing the conventional implant, the gum may go down or the bone melts due to poor management,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ore stably. .
  • the alveolar bone 21 forming the upper and lower jaw is formed in a different thickness as shown in Figure 8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iameters of the respective regions are formed differ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or a recessed area (d1 ⁇ d2 ⁇ d3).
  • Cover body 111 can form the shape so that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100b) can be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21 to create a more aesthetic dental prosthesis have.
  • the cover body 111 when the cover body 111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is bumpy but the outer surface to which the cover body 111 is coupled may be smoothly formed.
  • the cover body 111 i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it may be formed so that there is no space for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injected between the alveolar bone (21). In addition, the cover body 111 is manufactured so that a predetermined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alveolar bone 21, it is possible to add the bone graft material 30 to the space.
  • the bone graft material 30 filled in the separation space is filled in the separation space so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lveolar bone 21 are fused and fixed to each other.
  • the contact protrusion 112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body 111 to contact and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Since the close contact 112 forms an inner wall surface and an uneven structure of the cover body 111, the contact area with the alveolar bone 21 is increased.
  • the protruding height (l1) from which the close protrusion 112 protrudes toward the alveolar bone 21 may be differently form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body 111. That is,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12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and shape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alveolar bone 21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hape of the contact protrusion 112 may be provided in a hemispherical shape, it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cross shape, polygonal shape, donut shape and the like.
  • the contact protrusion 112a may be provided in a stepped form. Since the stepped contact protrusion 112a has a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formed repeatedly, the horizontal support force and the vertical support force can be realized together with the hemispherical contact protrusion 112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epped contact protrusion (112a) can implement a more stable support force than the hemispherical contact protrusion (112).
  • the horizontal width l2 and the height h1 of the stepped contact protrusion 112a may be vari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in contact.
  • the contact protrusion 112 may not be formed in only one shape over the cover body 111, but may have a combination of structures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That is, hemispherical, stepped, cross, etc. may be formed by mixing.
  •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3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body 111.
  • the fixing member 115 for fixing the cover body 111 to the alveolar bone 21 may be inserted.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covered with the alveolar bone 21, and then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other than the coupling hole 113 or the alveolar bone cover 110.
  • the fixing member 115 may be inserted to assist the positions of the alveolar bone 21, the bone graft material 30, and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be fixed.
  • the fixing member 115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13 or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 the coupling hole 113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115 may be utilized as a space for filling the bone graft material, it may be used as a space for the placement of the teeth adjustment site or other structures.
  • the cover body 111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support shaft 114 as shown in (a) of FIG.
  • the insertion support shaft 114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alveolar bone 21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body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area 21a of the alveolar bone 21 so that the cover body 111 is the alveolar bone 21. It serves as a support shaft to be coupled to.
  • Insertion support shaft 114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area (21a)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body 111, as shown in (b) of FIG.
  • the length of the insertion support shaft 1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the number of the insertion support shaft 114 formed on the cover body 111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It can be formed differently.
  • the end of the insertion support shaft 114 is formed to be bent hook ring (114a) to be fixed in the alveolar bone (21).
  • the catching ring 114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hape and "T”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Figure 12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c) of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lveolar bone cover 110c has an inner cover 111a contacting the alveolar bone 21 and an outer cover 111b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over 111a as shown in FIG. Formed separately.
  • the inner cover 111a and the outer cover 111b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n edge area, and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remaining areas.
  • the inner cover 111a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network structure so that bone cells of the bone graft material can be more easily attached. That is, it may be formed in a honeycomb-shaped network structure.
  • the separation space 111c between the outer cover 111b and the inner cover 111a is formed to be empty to act as a space to fill the bone graft material.
  • the filler 111d may be filled between the outer cover 111b and the inner cover 111a.
  • the filling material 111d is formed in a network shape having a honeycomb-like structure to form a structure to which bone graft material can adhere. As a result,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alveolar bone cover 110 can be coupled more quickly.
  • the outer cover 111b may also be formed in a mesh network to form a structure to which the bone graft material may be attached.
  • Hook connection portion 117 may be provided with a hook connection portion 117 on the outsid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c).
  • Hook connection portion 117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gum and coupled to the hook or button formed on the gum or orthodontic (not shown) may help in orthodontics.
  • Hook connection portion 117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penetrate the gu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c).
  • the end of the hook connection portion 117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117a) coupled to the hook or button.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ing of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atient. That is,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based on the 3D imag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cover body 111, the contact protrusion 112 is designed together. And, in some cases, the insertion support shaft 114, the coupling hole 113, the hook connecting portion 117 and the like are integrally designed.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is custom-made to fit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it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o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he pain of the patient can be reduced during the procedure, and the risk can be reduced.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connect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each other.
  •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hat is,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manufactured by molding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hrough a three-dimensional printer.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ral cavity,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the inner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 An internal thread 121a is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insertion hole 121 to be screwed with the abutment 130.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puncturing the fixture to the alveolar bone during the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accordingly the location and density of the alveolar bone, bone,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can be treat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 Cover coupling shaft 1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butment 130 is coupled.
  • the abutment 130 is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nd then secures the dental prosthesis 140.
  • the abutment 130 and the dental prosthesis 140 may be a known form.
  • the abutment 130 may be screwed in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s shown, or may be coupled in other ways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 abutment 1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abutment 130 is screw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which is just one example and in Figure 12 (a)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a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directly coupled with the dental prosthesis 140. That is, the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cover coupling shaft 120a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ental prosthesis 140.
  • cover coupling shaft 120b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s shown in FIG. 13.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b may have a coupling surface 125 inserted into the coupling window 116 of the cover body 111. At this time, the coupling surface 125 may be fixed to the coupling window 116 by a fixing means.
  •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ver bodies 111 ′ and 111 ′′ as shown in FIG. 14.
  • the alveolar bone cover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ver bodies 111 ′ and 111 ′′ divided by diagonal lines X.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positioned on either side.
  •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atient is taken.
  •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of the patient is photographed using three-dimensional imaging means such as CT.
  •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at the position where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is to be treated is designed using a three-dimensional shape design tool.
  • the designer may desig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or may desig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n a form having a constant curvature regardless of the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12 are designed and arrang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body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cover coupling shaft 120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determine whether to be fixed integrally or independently detachable coupling. Then,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is designed as determined.
  • the design of the designed alveolar bone cover 110 to form the alveolar bone cover 110 with a 3d printer.
  • the type and shape method of the 3d printer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110 (whether the cover coupling shaft is integrally formed).
  • the abutment 130 and the dental prosthesis 140 corresponding thereto are manufactured.
  • the operator cuts the gum of the patient and places the alveolar bone cover 110 on the alveolar bone 2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12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 FIG. 9 (b) is injected into the bone graft material 30 in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nd the alveolar bone 21 to fusion.
  •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filled between the contact bone 112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cover body 111. Accordingly, the bonding area of the bone graft material 30 and the cover body 111 and the alveolar bone 21 may be improved, and thus the holding force may be improved.
  • the fixing member 115 is inserted to assist in fixing the position.
  • the fixing member 115 is separated.
  •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as shown in FIG. 8, the abutment 130 is directly fix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nd the abutment 130 is provided. Combine the prosthesis 140 to).
  • the treatment of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is completed in the alveolar bone 21 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of the implant may be completed in the form in whic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covers the alveolar bone 21.
  • Figures 15 to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urface shape in which the alveolar bone cover 11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like a saddle.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
  • Figure 15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has a main horizontal frame 211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two sides of the alveolar bone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butment 2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abutment 230 is coupled to the dental prosthesis 240 (see FIG. 12B).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is formed by combining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rthogonally, so as not to partially cover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As a result, a plurality of margin spaces 216 are formed between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 the bone graft material 30 may be added into the alveolar bone 21 through the margin space 216.
  •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filled between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nd the alveolar bone 21 through the margin space so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nd the alveolar bone 21 are fused and fixed to each other.
  • the size of the margin space 216 is lar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vary the size of the bone graft material (30) to be implanted.
  • margin space 216 may be used to perform a ready-made implant that is being sold.
  • the thickness of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length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gum height and alveolar bone height of the patient.
  • the close protrusions 11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 Fixing member coupling holes 217 are provided at ends of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Fixing member (115 of FIG. 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coupling hole 217 may assist to fix the 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nd the alveolar bone 21 and bone graft material (30). The fixing member 115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coupling hole 217 after the bone graft material 30 is fixed.
  • the fixing member coupling hole 217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to fix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shape, height, bone loss, etc.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fixing member coupling hole 217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o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region.
  •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may be formed through the plate surface,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ure 16 (a) of the fixing member coupling end 218 may be formed separately. have.
  • the number to which the fixing member 115 is coupled may also be modified in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 various means known in addition to the fixing member 115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a means for coupling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to the alveolar bone 21.
  • auxiliary frames 215 may be coupled between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 the auxiliary frame 215 is located where bone loss is concerned to prevent external loss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auxiliary frame 215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some cases and diagonally in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 the auxiliary frame 215 may be formed to the same thickness as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or may be formed relatively thin.
  •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the main vertical frame 213, and the auxiliary frame 21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fashion.
  • the auxiliary frame 2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by plurally arranged in a portion where the alveolar bone is concerned, or the gum loss due to the periodontitis.
  • a plurality of main vertical frames 213a may be coupled to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s ribs.
  • the plurality of main vertical frames 213a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main horizontal frame 211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r alternately as illustrated.
  • the main vertical frame 213a may be disposed in an irregular shape.
  • the auxiliary frame 215 may be regularly or irregularly coupled to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the surface curvature or depression.
  • FIGS. 16A and 16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yet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s 210b and 210c.
  • the above-described alveolar bone cover frames 210 and 210a have a form in which the main vertical frame 213 and the auxiliary frame 215 are coupled to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b shown in (a) of FIG. 16 includes a figure frame 212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and a variable vertical frame 213a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figure frame 212. It includes.
  • the figure frame 2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nd a rhombus.
  • the figure frame 212 penetrates inside to form a margin space 216.
  • the variable vertical frame 213a extends at both ends of the figure frame 212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main vertical frame 213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but the variable vertical frame 213a is formed in a "s" shape.
  • the main frame 213 may be coupled to the figure frame 212.
  • the fixed member coupling hole 217 and the fixed member coupling end 218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variable vertical frame 213a and the figure frame 212.
  • an auxiliary frame 215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gure frame 212, between the figure frame 212 and the variable vertical frame 213a.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c illustrated in FIG. 16B is provided with a figure plate 212a instead of a figure frame 212.
  • a graph plate 212a such as a circle, a rectangle, and a pentagon,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main vertical frame 213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graph plate 212a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1. .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s 210b and 210c are formed in an articulated manner. That is, when the implant is to be performed on all of the plurality of neighboring teeth, it may be provided to be used by segment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 one figure frame 212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s 210b and 210c, or the figure plate 212a is formed continuously.
  •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by mixing the figure frame 212 and the figure plate 212a in some cases.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c is formed in an articulated or integral manner, and when a plurality of teeth are extracted together, a plurality of dental prosthes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c. 240 is coupled.
  • the plurality of dental prostheses 240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ridge 241 as shown in the figure.
  • Figure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ver coupling shaft 220 and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 Cover coupling shaft 2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or may be manufactured and coupled separate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Cover coupling shaft 22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top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In addition, it may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through the coupling plate 225 as shown in FIG.
  • the coupling plate 22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rgin space 216 or may be coupled to the main horizontal frame 211 or the main vertical frame 213 forming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upling plate 225 may be fix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 the cover coupling shaft 220 may extend through the coupling plate 225 to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ly and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21.
  • FIGS. 18A and 18B illustrate modifications of the cover coupling shafts 220a and 220b.
  • a screw thread 221 is formed outside the cover coupling shaft 220a and may be screwed with the abutment 230.
  • the abutment 230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 231a corresponding to the thread 221 of the cover coupling shaft 220a.
  • the cover coupling shaft 220b is formed in the form of a smooth shaf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as shown in Figure 18 (b) can be fitted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231b) of the abutment 230b.
  • the abutment 230b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and the dental prosthesis 24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over coupling shaft 220b.
  • 19 and 2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modified examples of the abutment.
  • the abutments 130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110 through the cover coupling shaft 120 as shown in FIG.
  • the abutment 230c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without a cover coupling shaft.
  • the prosthesis 240 may be coupled to the abutment 230c formed as shown in FIG. 19B.
  • the gum support protrusion 250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gum may be formed to protrude.
  • the gum support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inted protrusion as shown, or may be stepped in the form of a step. In addition, the gum support protrusion 25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support the gum.
  • the low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frame 260 extending toward the alveolar bone 21 vertically or inclined.
  • the reinforcement frame 260 may b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21 to serve as a support shaft such that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 the reinforcement frame 26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21 so that the state of the alveolar bone 21 is stably maintained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the reinforcement frame 260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angles, thickness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21.
  • the abutment 230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by the frame coupling member 235 as shown in FIG. 20A.
  • a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233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abutment 230d, and the abutment coupling hole 216b is formed in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230d is inserted into the abutment coupling hole 216b, and the frame coupling member 235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insertion hole 233.
  • the frame coupling member 235 is screw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coupling hole 216b through the abutment 230d.
  • the abutment 230d and the frame coupling member 235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s shown in FIG. 20A, and FIG. 20B. As shown in the through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may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h) toward the alveolar bone 21 side.
  • the dental prosthesis 240a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the dental prosthesis 240a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without the cover coupling shaft 220 and the abutment 230.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200 has a large area of the margin space 216 on the surface by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At this time, since the growth rate of the alveolar bone 21 and the growth rate of the gum are different, the gum may flow into the alveolar bone 21 through the margin space 216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a blocking cover 27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to cover the margin space 216 to block the gum from entering the alveolar bone 21.
  • the blocking cover 270 may be formed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absorbed over time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removed.
  • the blocking cover 270 may be formed of a non-absorbent material and may be removed by cutting the gum after a predetermined time.
  • the cover coupling member 271 couples the blocking cover 270 to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Figure 2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alveolar bone strengthening impla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place where the tooth is extracted. If the second tooth (C) located between the first tooth (A) and the third tooth (D) is extracted as shown in (a) of FIG. 23, the tooth is extracted as shown in (b) of FIG. 21. Part m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low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may be reinforced.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215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or the reinforcement frame 260 to reinforce the gum and the alveolar bone 21.
  • the auxiliary frame 215 and the reinforcing frame 260 is formed in a honeycomb shape, or pine cone-shaped to help the transplantation of the bone graft material 30, i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21. .
  •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urface treatment.
  • the surface of the alveolar cover frame 210 may form a surface roughness by an acid corrosion method or a blasting method. Surface roughnes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to activate the bone cell response to induce the coupling of the alveolar bone and bone graft.
  • Acid corrosion method is to corrode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with hydrochloric acid or sulfuric acid, it is possible to make small depressions with a relatively even arrangement, there is an advantage of less residue.
  • the blasting method is a method of sprinkling the surface by spraying SiC, Al 2 O 3 , glass, TiO 2 particles having a solid strength on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the surface roughness may be formed by any one of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titanium plasma spray (TPS), hydroxyapatite coating, combination of acid corrosion and blast, anodic oxidation surface, and fluorine treatment surface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method.
  •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is a method of shaping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by a machine to form a surface roughness
  • TPS Titanium plasma spray
  • HA coating hydroxyapatite coating
  • Anodized surface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roughness by electrochemically oxidizing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 fluorine-treated surface is a method of fluorine treatment of the surface sprayed with titanium oxide particles
  • zirconium oxide coating method is zirconium oxide
  • coating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210 is made of zirconium oxide as a whole.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cover to cov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the bone fusion by filling the bone graft material and the position is fixed.
  • the coupling retaining force between the implant assembly and the alveolar bone may be improved.
  • an insertion support shaf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alveolar bone to improve bone adhes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alveolar bone cover, to obtain a mechanical holding force, and to induce the coupling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gum to stabilize the position of the gum. Can increase.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mitted a process of drilling the alveolar bone to drill holes and insert the fixture in order to perform the conventional implant. Since the process of puncturing the alveolar bone is omitted, the alveolar bone reinforced implant assembly may be tasted by combining the alveolar bone cover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bone density, bone size, bone height, and the lik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maxillary sinus elevation, which is a large risk, and there is no risk of touching the lower alveolar neural tube.
  • the alveolar bone-reinforced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ailoring the alveolar bone cover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and CAD / CAM or casting metho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obtained through three-dimensional imaging, Is provided.
  • the alveolar bone cover is mold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mplant.
  • the alveolar bone reinforcement implant assembly can combine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coupled to a plurality of frames to the alveolar bone to perform the implant.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 to each other.
  • a wide margin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and thus the ready-made implant can be implanted in addition to the cover coupling shaft and the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ne graft material of various sizes can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wide margin space.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t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In addition, i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lveolar bone cover in some cases.
  • the alveolar bone cover frame prevents detachment of the alveolar bone,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frames may be coupled to ensure stable coupling with the alveolar bone.
  • a gum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gum from being pushed, and a blocking cover may be coupled to prevent the gum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ental related medical indu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일정면적 덮도록 결합되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표면으로부터 구강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덮개 결합축과; 상기 덮개 결합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3차원 프린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본 발명은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치조골의 위치와 골질, 폭경 등에 관계 없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치조골을 삭제하지 않고 치조골을 보강하며, 치조골을 덮는 구조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인공치아를 사람의 치조골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의 금속재료로 만든 치근을 치아가 없는 잇몸 속의 치조골에 심은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고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널리 시술되고 있다.
임플란트 시술 과정은 전용의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천공한 후 시술공에 픽스쳐(fixture)를 식립하여 치조골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킨 후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공개특허 제10-2014-0079380호 "뼈 조직의 천공을 충진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의 사용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도 1은 임플란트(40)가 시술되는 상악(11)과 하악(1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11)에는 상악동(12)이 양쪽으로 형성된다. 상악동(12)은 상악 구치부 상방의 인체 두개골에 형성된 부비강의 하나로 한 쌍의 공동(空洞)이다. 상악 구치부 치조골(21)은 상악동(12)과 맞닿아 있으므로 치조골(210)의 두께가 얇고 밀도가 낮다.
임플란트(40)가 시술되는 치조골의 두께가 얇고 밀도가 낮으면 임플란트(40)의 픽스쳐(41)가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고 치조골(21)이 깨지게 되므로 임플란트(40)를 시술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치조골의 두께가 얇은데도 불구하고 임플란트(40)를 상악 구치부 치조골(21)에 시술하는 경우, 임플란트(40)가 상악동(12) 내부로 이탈되어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임플란트(40)가 상악동(12) 내부로 이탈되면 수술을 통해 이탈된 임플란트(40)를 제거해야 하므로 환자에게 큰 불편과 고통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도 2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동(12)과 이를 형성하는 막(12a)이 너무 아래로 쳐져 있어 상악동(12)과 치조골(21) 사이에 임플란트(40)를 심을만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악동(12)의 공간에 뼈를 채워 넣어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하도록 상악동거상술을 행하게 된다.
상악동거상술은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의 아래를 뚫고 들어가 기구를 이용하여 상악동(12)을 형성하는 막(12a)을 들어올린 후, 골이식재(30)를 충진하고, 임플란트(40)를 식립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상악동거상술은 수술 자체가 까다로워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는 치과가 많지 않고, 수술을 받더라도 출혈과다, 뼈나 잇몸손상, 통증, 염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 환자에게도 위험 부담이 있다.
한편, 안면의 하악(13)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치조신경관(15)이 존재한다. 하치조신경관(15)은 사랑니와 근접해 있거나 붙어 있어 사랑니를 발치하거나 임플란트 시술을 할 때 조심해야 한다. 하치조신경관(15)이 임플란트(40) 시술시에 손상을 입게 되면 피부조직의 마비가 오고, 입술까지 마비가 오게 될 수 있다.
이에 종래 임플란트의 시술을 위해 치조골(21)을 천공하고 픽스쳐(41)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해야하는 어려움과 하치조신경관(15)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임플란트들은 치조골 내부를 뚫고 들어가 시술을 하게 되는 치근형 임플란트의 형태를 갖는다. 이런 치근형 임플란트들은 시술을 위해 치조골(21)을 천공하고 픽스쳐(41)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해야하는 어려움과 하치조신경관(15)을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골질이 나쁘거나 골의 폭경이나 높이가 부족한 경우에도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워 임플란트가 아닌 틀니를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조골에 천공을 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어 골질과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안전하게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치조골과 융합되어 치조골의 강도를 보강하고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켜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치조골과 융합되어 치조골의 강도를 보강하고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되게 입체적으로 제조되므로 시술이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한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일정면적 덮도록 결합되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표면으로부터 구강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덮개 결합축과; 상기 덮개 결합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3차원 프린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단면형상에서 상기 구강을 향하는 외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과의 사이에 일정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이 있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치조골의 외주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이 균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표면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 결합축은 상기 치조골덮개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3차원 프린터에 의해 상기 치조골덮개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 결합축은 상기 치조골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치조골덮개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덮개 결합축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되는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된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해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치조골의 단면형상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치조골덮개에 덮개 결합축을 일체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덮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벽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결합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단면형상에서 상기 구강을 향하는 외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축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구조는 반구형상, 십자형상, 도넛형상, 다각형 형상, 계단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의 외벽면에는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잇몸의 치아교정수단에 결합되는 후크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 측에 배치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주연은 상기 내부덮개와 고정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외부덮개 사이의 이격공간에도 망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상기 치조골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갈비뼈 형태로 좌우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치조골의 상면에 배치되는 격자프레임과; 상기 격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경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 상기 격자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치조골의 외부 이탈을 보조프레임과;상기 메인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 중 어느하나로부터 상기 치조골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분절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에는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잇몸지지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외면에 결합되어 잇몸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단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프레임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치조골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하부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어버트먼트 및 상기 치아보철물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조골덮개 또는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은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거칠기는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방식, 블래스트방식,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덮개가 치조골의 상면 또는 하면을 감싸게 결합되고, 골이식재를 충진하여 골융합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밀착돌기를 구비하여,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킨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조립체와 치조골과의 결합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를 결합하여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시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드릴을 이용해 천공하는 과정이 없으므로 시술이 출혈이 많지 않아 환자의 고통이 적고 시술 후 관리도 용이해질 수 있다. 동일한 맥락에서 시술을 하는 시술자도 보다 안전하고 위험부담없이 시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의 상태와 관계없이 시술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에게 임플란트를 시술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 등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또한, 내벽면에 삽입지지축을 구비하여, 함몰된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여 치조골과 치조골덮개 사이의 골유착을 향상시키고, 기계적인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치조골과 잇몸의 결합을 유도하여 잇몸의 위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를 결합하여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시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나 CAD/CAM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을 치조골에 결합시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외면에는 여백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외에 기성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여백공간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골이식재를 치조골에 식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치조골 덮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치조골의 이탈을 방지하고, 치조골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보조프레임과 복수개의 보강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잇몸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잇몸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덮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은 안면의 치조골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상악에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하고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상악에 시술한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가 상악에 시술된 경우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를 상악에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가 하악에 시술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15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덮개결합축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1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의 결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어버트먼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덮개 프레임과 치아보철물이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에 차단덮개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3는 치아가 발치된 영역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치조골 덮개 프레임이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아가 빠지고 임플란트를 시술해야할 곳의 치조골(21)을 천공하여 픽스쳐(도 2의 41)를 고정하지 않고 치조골덮개(110)를 치조골(21)에 감싸듯이 결합하고, 치조골덮개(110)에 치아보철물(140)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상악동 근처의 상악부분이나, 하치조 신경관(15)신경관 근처의 하악부분, 골질이 나쁘거나 골의 폭경이나 높이가 부족한 경우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채용하여 안전하게 시술받을 수 있다.
특히, 종래 도 2와 본 발명의 도 3을 비교할 때,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 없이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이용해 임플란트를 시술받을 수 있으므로 시술자와 환자 모두 위험 부담 없이 안전하게 수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임플란트를 시술해야하는 부분의 치조골(21)을 덮도록 결합되는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덮개(110)에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덮개 결합축(120)과, 덮개 결합축(120)에 삽입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어버트먼트(1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140)을 포함한다.
치조골덮개(110)는 치조골(21)의 구강을 향하는 부분을 말의 안장과 같이 덮도록 결합된 덮개본체(111)와, 덮개본체(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113)과, 결합공(113)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15)를 포함한다. 치조골덮개(110)는 상악의 경우에는 치조골(21)의 하부영역에 결합되고, 하악의 경우에는 치조골(21)의 상부영역에 결합된다.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단면형상에 대해 필요한 만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치조골덮개(11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종래 치조골(21)을 천공하는 방식의 임플란트와 비교할 때 치조골의 강도를 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치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한 후,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잇몸이 내려가거나 뼈가 녹아내리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악과 하악을 형성하는 치조골(21)은 길이방향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각 영역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21)의 표면은 돌출된 부분이 있거나, 움푹 파인 함몰 영역이 있을 수 있다(d1≠d2≠d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두께에 상관없이 덮개형 임플란트(100)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보다 심미적인 치아 보철물을 만들 수 있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에 결합될 경우, 치조골(21)의 표면은 울퉁불퉁 하지만 덮개본체(111)가 결합된 외부면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조골(21)과 덮개본체(111) 사이의 직경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이격공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이식재(30)를 충진할 수도 있고, 그 부분만큼 덮개본체(111)의 두께를 증가시켜 이격공간을 없앨 수도 있다. 이격공간에 충진된 골이식재(30)는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서로 융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덮개본체(111)는 복수개의 결합공(113)이 관통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공(113)을 통해 고정부재(115)가 삽입될 수 있다. 치조골덮개(110)를 치조골(21)에 덮은 후 결합공(113)을 통해 골이식재(30)를 투입한다. 이 때,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치조골(21), 골이식재(30) 및 치조골덮개(1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하게 된다.
고정부재(115)는 골이식재(30)가 고정된 후에는 결합공(113)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치조골덮개(110)의 내측표면에는 골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표면처리가 될 수 있다. 즉, 치조골덮개(110)의 내측표면을 매끄럽지 않고 일정 범위로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처리하여 골이식재(30)의 뼈세포들이 보다 쉽게 달라붙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치조골덮개(110)의 외측표면은 잇몸(도 3의 23)이 잘 결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덮개결합축(120)은 치조골덮개(110)와 어버트먼트(130)가 서로 결합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덮개결합축(120)은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치조골덮개(11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구강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고,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되는 내부삽입공(121)이 형성된다. 내부삽입공(121)의 내벽면에는 내부나사산(121a)이 형성되어 어버트먼트(130)와 나사결합된다.
덮개결합축(120)이 치조골덮개(1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 임플란트 시술시에 픽스쳐를 치조골에 천공을 하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위치와 골의 밀도, 높이, 두께 등을 상관하지 않고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어버트먼트(130)는 덮개결합축(120) 내에 결합된 후, 치아보철물(140)을 고정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은 공지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120) 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130)가 덮개결합축(12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a)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조골덮개(110)가 치조골(21)의 형상과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한 직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조골덮개(110a)가 치조골(2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치조골(21)의 직경변화와 동일한 형태의 직경 변화가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21)과 덮개본체(111a)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충진되는 골이식재(30)도 균일한 양이 충진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덮개(110a)는 덮개 결합축(120a)이 분리되게 구비된다. 덮개 결합축(120a)은 덮개본체(111a)의 축삽입공(117)에 나사결합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덮개 결합축(120a)만 3d 프린터에 의해 성형되고, 덮개 결합축(120a)은 별도로 제작된다. 시술자는 치조골(21)에 치조골덮개(110a)를 결합시키고, 결합공(113)을 통해 골이식재(30)를 충진하여 골융합에 의해 치조골덮개(110a)와 치조골(21)이 고정되면, 덮개 결합축(120a)을 축삽입공(117)에 나사결합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경우에 따라 덮개 결합축(120a)을 축삽입공(117) 내부에 삽입하여 골이식재(30)를 충진하여 함께 골융합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제작과정과 시술과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제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조골(21)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다(S110). CT 등의 3차원 촬영 수단을 이용해 환자의 치조골(21)의 입체적 형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를 시술할 위치의 치조골(21)에 결합될 치조골덮개(110)의 3차원 형상을 3차원 형상 설계 툴을 이용하여 설계한다(S111). 여기서, 설계자는 치조골(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치조골덮개(110)를 설계하거나, 치조골(21)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로 치조골 덮개(110)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치조골덮개(110)에 덮개 결합축(120)을 일체로 고정시킬지,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바에 따라 치조골덮개(110)의 형상을 설계한다.
설계된 치조골덮개(110)의 설계도를 입력하여, 3d 프린터로 치조골덮개(110)를 성형한다(S113). 이 때, 치조골덮개(110)의 재질과 형상(덮개 결합축 일체 성형 여부)을 고려하여 3d 프린터의 종류와 형상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3d 프린터에서 치조골덮개(1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을 제조한다.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시술을 위해, 시술자는 환자의 잇몸을 절개하고, 해당 치조골(21)에 치조골덮개(110)를 배치한다(S115). 그리고,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 사이의 이격공간에 골이식재(30)를 투입하여 골융합시킨다(S117). 이 때, 경우에 따라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을 보조한다.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고정되면, 고정부재(115)를 분리한다. 덮개 결합축(12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바로 어버트먼트(130)를 덮개결합축(120)에 고정하고(S119), 어버트먼트(130)에 치아 보철물(140)을 결합한다.
덮개 결합축(120a)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a)와 분리되는 경우 축삽입공(117)에 덮개 결합축(120a)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어버트먼트(130)를 결합축(120a)에 고정하고(S119), 어버트먼트(130)에 치아 보철물(140)을 결합한다.
이렇게 치조골(21)에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시술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가 치조골(21)을 덮는 형태로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도 6은 상악에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시술된 경우를 예시한 경우이며, 하악에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가 시술되는 경우에는 치조골(21)의 상부에 치조골덮개(110)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는 치조골덮개(110)가 치조골(21)의 상면 또는 하면을 감싸게 결합되고, 골이식재(30)를 충진하여 골융합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임플란트(40)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21)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41)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치조골(21)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21)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110)를 결합하여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100)의 시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15)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드릴을 이용해 천공하는 과정이 없으므로 시술이 출혈이 많지 않아 환자의 고통이 적고 시술 후 관리도 용이해질 수 있다. 동일한 맥락에서 시술을 하는 시술자도 보다 안전하고 위험부담없이 시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의 상태와 관계없이 시술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이 시술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치조골덮개(11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는 종래 치조골(21)을 천공하는 방식의 임플란트와 비교할 때 치조골의 강도를 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치조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한 후, 관리를 제대로 못해서 잇몸이 내려가거나 뼈가 녹아내리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를 시술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악과 하악을 형성하는 치조골(21)은 길이방향을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각 영역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21)의 표면은 돌출된 부분이 있거나, 움푹 파인 함몰 영역이 있을 수 있다(d1≠d2≠d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두께에 상관없이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100b)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보다 심미적인 치아 보철물을 만들 수 있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에 결합될 경우, 치조골(21)의 표면은 울퉁불퉁 하지만 덮개본체(111)가 결합된 외부면은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의 형상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치조골(21)과의 사이에 골이식재(30)가 주입될 공간이 없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111)는 치조골(21)과의 사이에 일정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제조되어, 이격공간에 골이식재(30)를 첨가할 수 있다. 이격공간에 충진된 골이식재(30)는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서로 융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치조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게 된다.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과 요철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치조골(2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게 되면, 요철구조에 의해 비어있는 영역이 생긴다. 이렇게 비어있는 영역에 골이식재(30)를 충진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과 골이식재(30)가 밀착돌기(112)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어 덮개본체(111)와 치조골(21) 사이의 결합력과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높이(ℓ1)는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밀착돌기(112)는 접촉지지되는 치조골(21)의 외경의 형상에 대응되게 돌출높이와 형상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돌기(112)의 형상은 반구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십자형상, 다각형 형상, 도넛 형상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돌기(112a)는 계단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계단식 밀착돌기(112a)는 수평면과 수직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므로 앞서 설명한 반구형상의 밀착돌기(112)와 비교할 때 수평방향 지지력과 수직방향 지지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단식 밀착돌기(112a)가 반구형 밀착돌기(112)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단식 밀착돌기(112a)의 수평방향 폭(ℓ2)와 높이(h1)는 접촉되는 치조골(21)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게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돌기(112)는 덮개본체(111)에 걸쳐 하나의 형상만으로 형성되지 않고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구조가 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반구형, 계단식, 십자형 등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본체(111)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1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13)을 통해서는 덮개본체(111)를 치조골(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5)가 삽입될 수 있다. 치조골덮개(110)를 치조골(21)에 덮은 후 결합공(113)이나 치조골덮개(110)외 다른 구멍을 통해 골이식재(30)를 투입한다. 이 때,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치조골(21), 골이식재(30) 및 치조골덮개(1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고정부재(115)는 골이식재(30)가 고정된 후에는 결합공(113)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115)가 분리된 결합공(113)은 골이식재가 충진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치조정부위나 다른 구조물의 식립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덮개본체(111)에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지지축(114)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지지축(114)은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서 치조골(21)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치조골(21)의 함몰영역(21a)에 삽입되어 덮개본체(111)가 치조골(21)에 결합되도록 지지축 역할을 한다.
삽입지지축(114)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으로부터 함몰영역(21a)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삽입지지축(114)의 길이는 치조골(21)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본체(111)에 형성되는 삽입지지축(114)의 개수는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지지축(114)의 단부에는 치조골(2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고리(114a)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걸림고리(114a)는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ㄱ"자 형상, "T"자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의 치조골덮개(110c)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치조골덮개(110c)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21)과 접촉되는 내부덮개(111a)와, 내부덮개(111a)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외부덮개(111b)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내부덮개(111a)와 외부덮개(111b)는 테두리영역은 서로 결합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덮개(111a)는 골이식재의 뼈세포들이 보다 쉽게 달아붙을 수 있도록 다각형의 망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벌집모양 형태의 망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덮개(111b)와 내부덮개(111a) 사이의 이격공간(111c)은 비어있게 형성되어 골이식재를 채울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덮개(111b)와 내부덮개(111a) 사이에는 충진재(111d)가 채워질 수 있다. 충진재(111d)는 벌집과 같은 구조를 갖는 망상형태로 형성되어 골이식재가 달라 붙을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치조골(21)과 치조골덮개(110)가 보다 빠르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외부덮개(111b)도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어 골이식재가 달아붙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c)의 외부에는 후크연결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연결부(117)는 잇몸 밖으로 연장되어 잇몸 또는 치아교정물(미도시)에 형성된 후크나 버튼 등에 결합되어 치아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후크연결부(117)는 치조골덮개(110c)의 외측 표면에서 잇몸을 뚫고 나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후크연결부(117)의 단부에는 후크나 버튼 등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17a)가 구비된다.
여기서, 치조골덮개(110)는 환자의 치조골(21)을 3차원 영상촬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조된다. 즉, 치조골덮개(110)는 치조골(21)을 3차원 촬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치조골(21)의 외부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설계된다.
설계과정에서, 덮개본체(111), 밀착돌기(112)가 함께 설계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삽입지지축(114), 결합공(113), 후크연결부(117) 등이 일체로 설계된다.
이렇게 환자의 치조골 형상에 맞게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가 맞춤 제작되므로 환자의 치조골에 보다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고, 시술시 환자의 고통도 줄일 수 있으며 위험부담도 줄일 수 있다.
덮개결합축(120)은 치조골덮개(110)와 어버트먼트(130)가 서로 결합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는 치조골덮개(110)에 덮개결합축(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덮개결합축(120)은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치조골덮개(11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구강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고,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되는 내부삽입공(121)이 형성된다. 내부삽입공(121)의 내벽면에는 내부나사산(121a)이 형성되어 어버트먼트(130)와 나사결합된다.
덮개결합축(120)이 치조골덮개(1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 임플란트 시술시에 픽스쳐를 치조골에 천공을 하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치조골의 위치와 골의 밀도, 높이, 두께 등을 상관하지 않고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를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덮개결합축(120)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어버트먼트(130)는 덮개결합축(120) 내에 결합된 후, 치아보철물(140)을 고정한다. 여기서,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은 공지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120) 내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130)가 덮개결합축(12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는 덮개결합축(120)에 어버트먼트(130)가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120a)이 직접 치아보철물(140)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덮개결합축(120a)의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치아보철물(140)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덮개결합축(120b)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덮개결합축(120b)은 덮개본체(111)의 결합창(116)에 결합면(125)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면(125)은 결합창(116)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f)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가 복수개의 덮개본체(111',111")로 분할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치조골(21)의 다양한 형상을 고려할 때, 언더컷의 형상에 의해 치조골덮개(110)가 한번에 치조골(21)에 덮혀지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를 사선(X)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덮개본체(111',111")로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덮개본체(111',111")를 분할할 때, 덮개결합축(120)은 어느 한 쪽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의 제작과정과 시술과정을 도 9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를 제조하기 위해, 환자의 치조골(21)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다. CT 등의 3차원 촬영 수단을 이용해 환자의 치조골(21)의 입체적 형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를 시술할 위치의 치조골(21)에 결합될 치조골덮개(110)의 3차원 형상을 3차원 형상 설계 툴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여기서, 설계자는 치조골(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치조골덮개(110)를 설계하거나, 치조골(21)의 곡면 형상과 상관없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형태로 치조골 덮개(110)를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덮개본체(111)의 내벽면에 복수개의 밀착돌기(112)의 형상을 설계하여 배치한다.
또한, 치조골덮개(110)에 덮개 결합축(120)을 일체로 고정시킬지,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바에 따라 치조골덮개(110)의 형상을 설계한다.
설계된 치조골덮개(110)의 설계도를 입력하여, 3d 프린터로 치조골덮개(110)를 성형한다. 이 때, 치조골덮개(110)의 재질과 형상(덮개 결합축 일체 성형 여부)을 고려하여 3d 프린터의 종류와 형상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3d 프린터에서 치조골덮개(110)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130)와 치아보철물(140)을 제조한다.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의 시술을 위해, 시술자는 환자의 잇몸을 절개하고, 해당 치조골(21)에 치조골덮개(110)를 배치한다. 이 때, 복수개의 밀착돌기(112)가 치조골(21)의 외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 사이의 이격공간에 골이식재(30)를 투입하여 골융합시킨다. 골이식재(30)들은 치조골(21)과 덮개본체(111)의 밀착돌기(112) 사이에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골이식재(30)와 덮개본체(111) 및 치조골(21)의 결합면적이 향상되어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 고정부재(115)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을 보조한다.
치조골덮개(110)와 치조골(21)이 고정되면, 고정부재(115)를 분리한다. 덮개 결합축(12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바로 어버트먼트(130)를 덮개결합축(120)에 고정하고, 어버트먼트(130)에 치아 보철물(140)을 결합한다.
이렇게 치조골(21)에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의 시술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110)가 치조골(21)을 덮는 형태로 임플란트의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100b)는 치조골덮개(110)가 말안장처럼 치조골(21)의 상면을 덮는 면형태로 형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는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으로 형성된다.
도 15의 (a)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은 치조골(2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가로프레임(211)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치조골(21)의 양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을 포함한다.
이 때, 메인가로프레임(211)의 상면에는 어버트먼트(230)가 결합되고, 어버트먼트(230)에는 치아보철물(240, 도12의 (b) 참조)이 결합된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은 일정 두께를 갖는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치조골(21)의 외면 전체를 덮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덮게 된다. 이에 의해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사이에는 복수개의 여백공간(216)이 형성된다.
이 여백공간(216)을 통해 골이식재(30)을 치조골(21) 내부로 첨가할 수 있다. 골이식재(30)는 여백공간을 통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 사이로 충진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이 서로 융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여백공간(216)의 크기가 크므로 식립되는 골이식재(30)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여백공간(216)은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기성 임플란트를 시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는 환자의 잇몸 높이와 치조골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내벽면에는 밀착돌기(11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단부에는 고정부재결합공(217)이 구비된다. 고정부재(도 8의 115)는 고정부재결합공(217)에 삽입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치조골(21) 및 골이식재(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고정부재(115)는 골이식재(30)가 고정된 후에 고정부재결합공(21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재결합공(217)은 치조골(21)의 표면형상, 높이, 골손실여부 등을 고려하여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결합공(217)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가운데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의 판면에 관통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결합단(218)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115)가 결합되는 개수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치조골(21)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고정부재(115) 외에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215)은 골 손실이 우려되는 곳에 위치되어 치조골(21)의 외부손실을 방지한다. 보조프레임(215)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경우에 따라 사선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215)은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과 동일한 굵기로 형성되거나, 상대적으로 굵기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 및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된 형태는 상하 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보조프레임(215)은 치조골 손실이 우려되거나, 치주염에 의해 잇몸 손실이 있는 부분 등에 집중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의 (b)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a)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a)는 메인가로프레임(211)에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a)이 갈비뼈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중앙의 메인가로프레임(211)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메인세로프레임(213a)들은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한 형태로 메인세로프레임(213a)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보조프레임(215)은 치조골(21)의 형상, 표면의 굴곡, 함몰여부 등에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메인가로프레임(211)과 메인세로프레임(213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a)와 도 16의 (b)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210a)는 치조골(2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211)을 중심으로 메인세로프레임(213)과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되는 형태이다.
반면, 도 16의 (a)에 도시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은 치조골(21)의 상면에 위치되는 도형프레임(212)과, 도형프레임(212)의 양측에 연장되는 가변세로프레임(213a)을 포함한다.
도형프레임(212)은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형프레임(212)은 내부가 관통되어 여백공간(216)을 형성한다. 가변세로프레임(213a)은 도형프레임(212)의 양단에 연장되어 치조골(21)의 양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메인세로프레임(213)은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나, 가변세로프레임(213a)은 "ㅅ"자 형태로 형성된다. 도형프레임(212)에는 가변세로프레임(213a) 외에도 메인세로프레임(213)이 결합될 수도 있다.
가변세로프레임(213a)과 도형프레임(212)에는 고정부재결합공(217)과 고정부재결합단(218)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형프레임(212)의 내부, 도형프레임(212)과 가변세로프레임(213a) 사이에는 보조프레임(215)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c)은 도형프레임(212) 대신 도형판(212a)이 구비된다.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도형판(212a)이 치조골(21)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메인세로프레임(213)이 도형판(212a)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치조골(21)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16의 (a)와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은 분절식으로 형성된다. 즉, 이웃하는 복수개의 치아에 모두 임플란트를 시술해야 하는 경우, 해당되는 치아의 개수에 맞게 분절하여 사용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b,210c)에 하나의 도형프레임(212)이 연속되게 형성되거나, 도형판(212a)이 연속되게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도형프레임(212)과 도형판(212a)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c)이 분절식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치아가 함께 발치되는 경우, 치조골덮개프레임(210c)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된다. 이 때, 복수개의 치아보철물(240)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24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덮개결합축(220)과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덮개결합축(22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과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덮개결합축(22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판(22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판(225)은 여백공간(216)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메인가로프레임(211) 또는 메인세로프레임(21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판(225)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결합축(220)은 결합판(225)을 관통하여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치조골(21)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의 (a)와 (b)는 덮개결합축(220a,220b)의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결합축(220a)의 외부에는 나사산(221)이 형성되고, 어버트먼트(2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230) 내부에는 덮개결합축(220a)의 나사산(221)에 대응되는 나사산(23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결합축(220b)는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의 외면이 매끈한 축의 형태로 형성되고, 어버트먼트(230b)의 축삽입공(231b)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 어버트먼트(230b)가 생략되고, 덮개결합축(220b)에 직접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9와 도 20은 어버트먼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어버트먼트(130)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덮개(110)에 덮개결합축(120)을 통해 결합된다.
그러나,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30c)는 덮개결합축 없이 직접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어버트먼트(230c)에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보철물(24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는 잇몸 내부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이 삽입될 때, 잇몸이 밀리지 않도록 잇몸을 접촉 지지하는 잇몸지지돌기(250)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잇몸지지돌기(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돌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잇몸지지돌기(250)는 잇몸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또는 경사지게 치조골(21)을 향해 연장된 보강프레임(26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이 치조골(21)에 결합되도록 지지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안정적으로 치조골(21)에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치조골(21) 내부에 삽입된다.
보강프레임(260)은 치조골(2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각도, 두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30d)는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프레임결합부재(23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30d)의 내부에는 체결부재삽입공(233)이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는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이 관통형성된다.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에 어버트먼트(230d)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고, 체결부재삽입공(233)을 통해 프레임결합부재(235)가 삽입된다. 프레임결합부재(235)는 어버트먼트(230d)를 관통하여 어버트먼트결합공(216b)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어버트먼트(230d)와 프레임결합부재(235)는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내부에 수용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치조골(21) 측으로 일정 길이(h) 돌출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보철물(240a)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결합축(220)과 어버트먼트(230) 없이 치아보철물(240a)가 직접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200)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형상에 의해 표면에 넓은 면적의 여백공간(216)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치조골(21)이 자라는 속도와 잇몸이 자라는 속도가 상이하므로, 잇몸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여백공간(216)을 통해 치조골(21)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여백공간(216)을 커버하여 잇몸이 치조골(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덮개(270)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덮개(270)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되어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구비될 수도 있고, 비흡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잇몸을 절개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차단덮개(270)가 비흡수성 재질일 경우, 덮개결합부재(271)이 차단덮개(270)를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에 결합시킨다.
도 23는 치아가 발치된 자리에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200)가 시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아(A)와 제3치아(D) 사이에 위치된 제2치아(C)가 발치되면,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된 부분(m)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치주염 등에 의해 치아가 발치된 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있거나 깊이가 깊게 형성되는 경우,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을 이용해 잇몸과 치조골(21)의 보강을 위해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하부부분에 복수개의 보조프레임(215)을 결합하거나, 보강프레임(260)을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보조프레임(215)과 보강프레임(260)을 벌집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솔방울 모양으로 형성하여 골이식재(30)의 이식을 돕고, 치조골(21)과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은 산부식방법 또는 블라스팅 방법에 의해 표면거칠기를 형성할 수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형성된 표면거칠기는 골세포 반응을 활성화시켜 치조골과 골이식제의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산부식방법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을 염산이나 황산으로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비교적 고른 배열을 가진 작은 함몰들을 만들 수 있으며, 잔사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블라스팅 방법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에 단단한 강도를 가진 SiC, Al2O3, glass, TiO2 입자 등을 뿌려서 표면을 갉는 방법이다.
한편, 표면거칠기는 상술한 방식 외에도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적표면처리는 기계로 치조골덮개 프레임(210)의 표면을 깍아 표면거칠기를 형성하는 방식이고,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은 티타늄 금속입자를 플라즈마 토치로 녹인 다음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뿌리는 방법이고, 수산화인회석 코팅(HA coating)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에 수산화인회석을 분사시켜 표면거칠기를 만든다.
양극산화표면방식은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시켜 표면거칠기를 형성시키는 방식이고, 불소처리표면은 산화티타늄 입자를 뿌린 표면을 불소 처리하는 방식이고,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은 산화지르코늄으로 코팅하거나 또는 치조골덮개 프레임(210) 전체를 산화지르코늄으로 만드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치조골덮개가 치조골의 상면 또는 하면을 감싸게 결합되고, 골이식재를 충진하여 골융합되며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밀착돌기를 구비하여,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을 향상시킨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 조립체와 치조골과의 결합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벽면에 삽입지지축을 구비하여, 함몰된 치조골 내부로 삽입하여 치조골과 치조골덮개 사이의 골유착을 향상시키고, 기계적인 유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치조골과 잇몸의 결합을 유도하여 잇몸의 위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종래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을 천공하여 구멍을 뚫고 픽스쳐를 삽입하던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치조골을 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치조골의 위치와 골밀도, 골크기, 골 높이 등에 상관없이 치조골덮개를 결합하여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시식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위험부담이 크던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필요도 없고, 하치조 신경관을 건드릴 위험도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3차원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의 치조골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 및 CAD/CAM 방식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덮개를 성형하므로, 본인에게 맞춤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본인의 치조골에 맞는 크기로 치조골덮개가 성형되므로 종래 임플란트에 비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을 치조골에 결합시켜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이 때,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복수개의 바 형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치조골 덮개 프레임의 외면에는 여백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덮개결합축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외에 기성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여백공간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골이식재를 치조골에 식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치조골 덮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치조골의 이탈을 방지하고, 치조골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보조프레임과 복수개의 보강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잇몸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잇몸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덮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치과 관련 의료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일정면적 덮도록 결합되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표면으로부터 구강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덮개 결합축과;
    상기 덮개 결합축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포함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3차원 프린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단면형상에서 상기 구강을 향하는 외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과의 사이에 일정 여유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이 있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치조골의 외주면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이 균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표면에 복수개의 결합공이 관통형성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결합축은 상기 치조골덮개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3차원 프린터에 의해 상기 치조골덮개와 함께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결합축은 상기 치조골덮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치조골덮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덮개 결합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9. 치조골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치조골의 형상에 대응되는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된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해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치조골의 단면형상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의 3차원 형상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치조골덮개에 덮개 결합축을 일체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제조방법.
  11. 구강을 향하는 치조골의 외면을 덮는 치조골덮개와;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내벽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결합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치조골덮개는 환자의 치조골을 3차원 영상촬영한 3차원 입체 형상을 바탕으로 3차원 프린트나 CAD/CAM 또는 주조방식으로 치조골의 외부 곡면 형상에 대응되게 맞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의 단면형상에서 상기 구강을 향하는 외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벽면에는 상기 치조골을 향해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지지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구조는 반구형상, 십자형상, 도넛형상, 다각형 형상, 계단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돌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의 외벽면에는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잇몸의 치아교정수단에 결합되는 후크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상기 치조골 측에 배치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외주연은 상기 내부덮개와 고정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덮개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외부덮개 사이의 이격공간에도 망상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는 격자형태로 형성된 치조골덮개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19. 제18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상기 치조골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메인가로프레임에 갈비뼈 형태로 좌우에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치조골의 상면에 배치되는 격자프레임과;
    상기 격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치조골의 양측면을 덮는 하나 이상의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가로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 상기 격자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치조골의 외부 이탈을 보조프레임과;
    상기 메인가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 상기 격자프레임 및 상기 경사프레임 중 어느하나로부터 상기 치조골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치조골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은 분절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에는 잇몸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잇몸지지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5.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외면에 결합되어 잇몸이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단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프레임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치조골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는 상기 치조골덮개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치아보철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와 상기 어버트먼트 및 상기 치아보철물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29. 제11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덮개 또는 상기 치조골덮개 프레임의 표면은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거칠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거칠기는 기계적표면처리, TPS(titanium plasma spray) 방식, 수산화인회석코팅, 산부식방식, 블래스트방식, 산부식과 블래스트의 조합방식, 양극산화표면방식, 불소처리표면방식, 산화지르코늄 코팅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 조립체.
PCT/KR2016/012021 2015-10-29 2016-10-25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WO201707398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12 2015-10-29
KR1020150151212A KR101699498B1 (ko) 2015-10-29 2015-10-29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0098160 2016-08-01
KR1020160098160 2016-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985A1 true WO2017073985A1 (ko) 2017-05-04

Family

ID=5863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021 WO2017073985A1 (ko) 2015-10-29 2016-10-25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739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901A (zh) * 2018-06-20 2018-11-06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鞍式牙种植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247A (ja) * 1991-07-15 1993-10-05 Inst Straumann Ag 歯補綴物を顎骨に固定するための内移植体
KR20080093497A (ko) * 2007-04-17 2008-10-22 권오달 치과 임플란트용 메쉬 플레이트
KR101161481B1 (ko) * 2007-02-01 2012-07-02 5-7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인공 치경 및 이뿌리를 포함하는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KR20130092855A (ko) * 2012-02-13 2013-08-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거시-미세-나노규모의 삼중 구조를 지니는 임플란트의 골 유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공성 표면과 그 제조 방법
KR20150040777A (ko) *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247A (ja) * 1991-07-15 1993-10-05 Inst Straumann Ag 歯補綴物を顎骨に固定するための内移植体
KR101161481B1 (ko) * 2007-02-01 2012-07-02 5-7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인공 치경 및 이뿌리를 포함하는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KR20080093497A (ko) * 2007-04-17 2008-10-22 권오달 치과 임플란트용 메쉬 플레이트
KR20130092855A (ko) * 2012-02-13 2013-08-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거시-미세-나노규모의 삼중 구조를 지니는 임플란트의 골 유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공성 표면과 그 제조 방법
KR20150040777A (ko) *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2901A (zh) * 2018-06-20 2018-11-06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鞍式牙种植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8593A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3095077A1 (ko) 치과용 멤브레인
WO2019212228A1 (ko) 3차원 구강 모델 분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철물 디자인 방법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6028106A1 (ko) 투명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069599A1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3008962A1 (ko) 각진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WO2020138615A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WO2022131579A1 (ko) 치간 칫솔질 잇솔
WO2017073985A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치조골 강화형 임플란트조립체
WO2016163579A1 (ko) 치과용 임플란트 키트
WO2022080759A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틀니
WO2010036045A2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KR20080027319A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WO2018016696A2 (ko) 치아의 복합 이동 교정장치
WO2019088343A1 (ko) 아크라인에 기초한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시스템
WO2011142632A2 (ko) 레이저 조사기
WO2023121038A1 (ko) 치아 임플란트
WO2010110629A2 (ko)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WO2016148501A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WO2020017924A1 (ko) 생분해 금속을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WO2021049687A1 (ko) Peek와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형틀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정형틀니
KR200426909Y1 (ko)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22244958A1 (ko)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01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01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