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세서】
【발명의 명칭】
근접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기술분야】 '
[1] 본 발명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배경기슬】
[2] 근접 서비스 (Proximity Service; ProSe)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장치 (device)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ProSe는 서로 근접한 장치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탐색 (discover)하고, 궁극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상업,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ProSe가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3] ProSe는 장치-대 -장치 (Device— to-Device; D2D) 통신이라고 칭하여질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장치 (예를 들어, 단말 (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를 장치 간에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ProSe 통신은 단말 -대—단말 (UE-to-UE) 통신, 피어-대 -피어 (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roSe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 MTC(Machine Type Co画 unicat 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 ProSe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또한, ProSe를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ProSe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4] 이와 같이 ProSe의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ProSe를 지원 및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5] 본 발명은 ProSe 특징 지원 정보 및 /또는 근접성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ProSe 동작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올 기술적 과제로 한다.
[6]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해결 방법】
[7]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근접 서비스 (Proximity Service; ProSe)를 수행하는 방법은, ProSe 특징 (feature) 지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ProSe 동작의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ProSe 동작이 가능한 경우, 근접성 기준 (proximity criteria)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ProSe 동작의 수행에 관련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의 결과가 상기 근접성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roSe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ᅳ
[8]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Proximity Service; ProSe)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송수신모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ProSe 특징 (feature) 지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ProSe 동작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ProSe 동작이 가능한 경우, 근접성 기준 (proximity criteria)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ProSe 동작의 수행에 관련된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평가의 결과가 상기 근접성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roSe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9]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의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10] 상기 ProSe 특징 지원 관련 정보는, 소정의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상기 ProSe 특징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소정의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상기 ProSe 특징을 사용하는 것이 허가 (authorize)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의 네트워크에서 상기 ProSe 특징이
인에이블 (enable)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1] 상기 소정의 범위의 네트워크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단위 TA(Tracking Area) 단위, TAL(Tracking Area List) 단위, 셀 (Cell) 단위, eNodeB의 서비스 지역 (service area) 단위, 醒 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서비스 지역 단위, 지리적 위치 (geographic location) 단위, 행정 구역 단위, 또는 집합 장소 단위 증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수 있다.
[12] 상기 ProSe 특징 지원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에게 미리 설정되는 방식, 상기 단말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또는 상기 ProSe 특징 지원 관련 정보 변경시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제공되는 방식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13]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醒 E, eNodeB,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또는 ProSe서버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14] 상기 ProSe 특징 지원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15] 상기 ProSe 특징은, ProSe 탐색 (Discovery) 또는 Prose 통신 (com匪 nick ion)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6]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 또는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7] 상기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탐색 범위, 무선 범위, 지리적 범위, 또는 신호 세기 증의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8] 상기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통신 범위, 무선 범위, 지리적 범위, 채널 조건, 달성가능한 QoS(Quality of Service), 달성가능한 스투풋, 패킷 지연 허용값, 패킷 에러 손실를, 또는 신호 세기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수 있다.
[19]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주기 또는 시점에 대한 정보가 상기 단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20]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는 ProSe 통신 유형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21]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또는 상대방 단말의 위치, 상기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또는 상대방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미디어 종류 APN(Access Point Name) , QCKQoS Class Identifier), 베어러 종류, 애플리케이션 종류, 서비스 종류, 목적지 도메인 Γ통신 피어 식별자 중의 하나 이상의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22]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는, 丽 E, SGSN( 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HSS, Prose 서버, AAA 서버, ANDSF, 게이트웨이, eNodeB 증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23]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는, 상기 단말의 근접성 기준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 변경시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게 제공되는 방식 , 다른 ProSe 관련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방식, 상기 단말의 ProSe 탐색 요청에 대한 웅답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상기 단말의 ProSe 통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상기 단말의 ProSe 통신 요청을 포함하는 ProSe 탐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또는 상기 단말의 ProSe 관련 등톡 요청 또는 인증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방식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24] 상기 ProSe 동작은, ProSe 탐색 동작, 새로운 플로우를 ProSe 통신을 통해 개시하는 동작, 인프라스트력쳐 데이터 경로를 통해서 통신하던 플로우를 ProSe 통신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 ProSe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풀로우를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를 로컬-라우팅 방식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 또는 로컬-라우팅 방식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를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 증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5]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유리한 효과】
[26] 본 발명에 따르면 ProSe 특징 지원 정보 및 /또는 근접성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ProSe 동작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27]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28]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슬적 사상을 설명한다 .
[29] 도 1은 EPCX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0]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PC에 연결된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1]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 (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 (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2]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3]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34] 도 6은 EPS에서 두 UE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 (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5] 도 7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6] 도 8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 (locally— 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7] 도 9는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의 설정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8] 도 10은 UE가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9]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근접성 기준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0]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근접성 기준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1] 도 13은 탐색자와 피탐색자가 로밍 상태가 아니고 동일한 PLMN에 등록한 경우를 가정한, 시간 원도우를 이용하는 EPC-레벨 ProSe 탐색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42] 도 14는 ProSe 통신 요청을 포함하는 EPC-레벨 ProSe 탐색 요청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3]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44]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ᅳ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 /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45]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몌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46]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올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특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사용하여 설명한다.
[4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계열 시스템, 3GPP 시스 3GPP LTE 및 LTE-A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증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48] 이하의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49]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50]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隱 unicat 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瞧 unicat ion) 기반의 3 세대 (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51] - EPS (Evolved Packet System): IP 기반의 packet switched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IJE, UTRAN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52]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샐 (macro cell) 규모이다.
[53] - eNodeB: LTE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 (macro cell) 규모이다.
[54] - UEC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단말 (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 (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X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UE는 LTE와 같은 3GPP
스펙트럼 (spectrum) 및 /또는 WiFi, 공공 안전 (Public Safety) 용 스펙트럼과 같은 비 -3GPP스펙트럼으로 통신이 가능한 UE이다.
[55]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56] -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 ion function):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 Advanced) 등)에 추가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비 -3GPP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무선랜 (WLAN (또는 WiFO), Wimax 등)를 발견하고, 해당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는 데에 필요한 규칙 (rule), 정책 (policy)을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개체. A DSF는 사업자 (operator)의 설정에 따라서, 시스템-간 이동성 정책 (Inter— System Mobility Policy; ISMP), 시스템-간 라우팅 정책 (Inter- System Routing Pol icy; ISRP) , 또는 탐색 정보 (Discovery Information) 등을 UE에게 제공할 수 있다ᅳ
[57] - 근접 서비스 (Proximity Services 또는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물리적으로 근접한 장치 사이의 탐색 (discovery), 및 상호 직접적인 통신 /기지국을 통한 통신 /제 3의 장치를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ᅳ 이때 사용자 평면 데이터 (user plane data)는 3GPP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EPC)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경로 (direct data path 또는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통해 교환된다. D2D(Device-to-Device) 서비스라고도 지칭된다.
[58] - 근접성 (Proximity): 어떤 UE가 다른 UE와 근접한 것인지 여부는 소정의 근접성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근접성 기준은 ProSe 탐색 (discovery) 및 ProSe 통신 (co隱 unication)에 대해서 상이하게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근접성 기준은 사업자의 제어 대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59] - 근접 서비스 -가능 UE(ProSe-enabled UE):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E. 이하에서 UE로 지칭된다.
[60] - 근접 서비스-가능 네트워크 (ProSe-enabled Network):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이하에서 네트워크로 지칭된다.
[61] - 근접 서비스 통신 (ProSe Co隱 unicat ion): 근접 서비스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근접한 2 개 이상의 근접 서비스 -가능 UE들 간의 통신. 명시적으로 다르게 설명하지 않는 한, "근접 서비스 통신"이란 다음의 형태의 통신들 증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¾다: 오직 2 개의 근 ¾ 서비스 -가능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E-UTRA 통신; 공공 안전 근접 서비스 -가능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그룹 통신 또는 근접 서비스 방송 통신; 또는 근접 서비스 -보조 WLAN 직접 통신.
[62] - 근접 서비스 E-UTRA 통신 (ProSe E-UTRA Communication): ProSe E-UTRA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ProSe 통신.
[63] - 근접 서비스 방송 통신 (ProSe Broadcast Communication): 인증된 공공 안전 근접 서비스 -가능 UE들 간의 일-대 -전부 ProSe E-UTRA 통신. 이들 UE들 간에 수립된 (established) 공통 ProSe E-UTRA통신 경로를 이용할 수 있음.
[64] - 근접 서비스 그룹 통신 (ProSe Group Co画 unicat ion): 근접한 둘 이상의 근접 서비스—가능 UE들간의 일-대-다 ProSe 통신. 이들 UE들 간에 수립된 공통 통신 경로를 이용할수 있음.
[65] - 근접 서비스 -보조 WLAN 직접 통신 (ProSe-assisted WLAN direct communication): 근접 서비스 -보조 WLAN 직접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ProSe 통신.
[66] - 근접 서비스 통신 경로 (ProSe Co讓 unicat ion path): 근접 서비스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경로. ProSe E-UTRA 통신의 통신 경로 (즉, ProSe E-UTRA 통신 경로)는, 예를 들어, E-UTRA를 이용하여 ProSe-가능 UE들 간에 직접 수립될 수도 있고, 또는 로컬 eNB (들)를 통해서 라우팅될 수도 있다.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의 통신 경로 (즉,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 경로)는 WLAN을 이용하여
ProSe-가능 UE들 간에 직접 수립될 수도 있다.
[67] - EPC 경 S(EPC Path)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 ( infrastructure data path): EPC를 통한사용자 평면 (user plane) 통신.
[68] - 근접 서비스 탐색 (ProSe Discovery): E-UTRA를 사용하여 어떤 ProSe- 가능 UE가 다른 ProSe-가능 UE에 근접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ProSe 탐색은 ProSe 직접 탐색 및 /또는 EPC-레벨 ProSe 탐색올 의미할 수 있다.
[69] - 근접 서비스 직접 탐색 (ProSe direct discovery): 한 ProSe-가능 UE가 주변의 다른 ProSe-가능 UE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과정. 이 과정은
릴리즈 -12 E-UTRA 기술에 따른 두 UE들의 캐퍼빌리티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ProSe 직접 탐색은 개방형 (open) ProSe 직접 탐색 및 /또는 제한된 (restricted) ProSe 직접 탐색을 포함할 수 있다.
[70] "ᅳ ! ^^ΐ^^^" 벡^ " 7책 TEPC^e TTFSS ^ai^T^ᅳ EPC7「두—ᅳᅳ ProSe-가능 UE들의 근접성을 결정하고 이들에게 이들의 근접성에 대해서 알려주는 과정 . EPC-레벨 ProSe 탐색은 개방형 EPC-레벨 ProSe 탐색 및 /또는 제한된 EPC-레벨 ProSe'탐색을 포함할수 있다.
[71] - 개방형 근접 서비스 탐색 (Open ProSe Discovery): 탐색되는 ProSe-가능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락 (explicit permission) 없이 수행되는 ProSe 탐색.
[72] - 제한된 근접 서비스 탐색 (Restricted ProSe Discovery): 탐색되는 ProSe-가능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락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ProSe 탐색.
[73] - 근접 서비스 UE-to-Network 중계 (ProSe UE-to-Network Relay).: 근접 서비스 -가능 공공 안전용 단말 (public safety UE)이며, 근접 서비스 -가능 공공 안전용 단말 (public safety UE)과 E-UTRA를 이용하는 근접 서비스 -가능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 릴레이로서 동작하는 릴레이의 형태.
[74] - 근접 서비스 UE-to-UE 중계 (ProSe UE-to-UE Relay): 근접 서비스 -가능 공공 안전용 단말 (public safety UE)이며, 근접 서비스 -가능 공공 안전용 단말 (public safety UE)들 간의 근접 서비스 통신 릴레이로서 동작하는 릴레이의 형태.
[75] EPC(Evolved Packet Core)
[76]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7] 도 1은 EPCXEvolved Packet Core)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8]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 -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9]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Core Net work)이며, 패킷 -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 (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 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 -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능력 (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과 단말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 (예를 들어, eNodeB( 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 (예를 들어, IMS)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 (end-to- end) IP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80]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 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 1 ity Management Entity), SGSN( Serving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 ePDG( 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81]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 (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올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이 eNodeB에 의해서 서빙 (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 (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 UTRAN (3GPP 릴리즈 -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 (3GPP 릴리즈 -8 전에 정의되는 画,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隱 unicat 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82] PDN 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 (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 (policy enforcement features) , 패킷 필터링 (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 (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 _3GPP(non-3GPP)
네트워크 (예를 들에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83]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 (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 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84] 画 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 (tracking), 페이징 (paging), 로밍 (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匪 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 기능들을 제어한다. 匪 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올 위한 시그널링올 수행한다. 또한, 應 E는 보안 과정 (Security Procedures), 단말-대- 네트워크 세션 핸들링 (Terminal-t으 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 (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85]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 (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86]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 -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 (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87]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올 가지는 단말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 -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 (즉 오퍼레이터 (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수 있다.
[88]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 (예를 들어, SI— U, S1-醒 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 (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 (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89] 【표 1】
[90]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 -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 -3GPP 액세스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91]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PC에 연결된 E-UTRAN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PS (Evolved Packet System)는 기존 UMTS(Uni versa 1 Mobile Telecommu 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P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PS의 기술 규격 (technical sped f icat 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92] 도 2를 참조하면, EPS는 단말 (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 (eNode B;
eNB, 네트워크 (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 (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ᅳ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증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
[93]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샐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 (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 /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 (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 (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톡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 Tracld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94] 무선 통신 기술은 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95] 최근 3GPP는 LTE에 대한 후속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ᅳ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기술올 'LTE-A'라고 지칭한다. LTE-A 시스템은 최대 100MHz의 광대역을 지원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반송파 병합 (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CA는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주파수 블록올 하나의 커다란 논리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하도록 한다ᅳ 각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블록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 블록은 콤포넌트 캐리어 (CC) 또는 샐 (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96]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 (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 (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 (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97] 제 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 (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 (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 (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0FDMA(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C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98] 제 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 (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불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계층의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99] 제 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 (Radio Bearer)들의 설정 (Configuration), 재설정 (Re-conf igurat ion) 및 해제 (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위해제 2계층에 의해-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 (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 (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 (Idle Mode)에 있게 된다. 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충은 세션 관리 (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 (Mobility Management )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100] 기지국 (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샐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101]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QK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 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lK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 CCCH( Common Control Channel) ,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l Mult 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102] 도 4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3]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샐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샐 서치 (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S3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샐 m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 (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샐 서치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 (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104] 초기 셀 서치를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2).
[105]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 (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전송하고 (S303 및 S3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웅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304 및 S3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 (Content 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106]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 /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 (S3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 (S3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107]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PMKPrecoding Matrix Index), RKRank Indicator) 둥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 /또는 PU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108]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109]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 (radio frame)은 10ms (327200 X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둥한 크기의 서브프레임 (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 (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x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l/(15kHzX2048)=3.2552xi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 (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 X7(또는 6)개의 0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ΤΉ (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0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10] 정규 CKnormal cyclic prefix)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0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처음 1 내지 3개의 0FDM 심볼은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3 내지 11개의 0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C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Ill]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0FDM 심볼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 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 (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 Paging channel) 및 DL-SCH(Down 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전송 및 수신한다.
[112]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 (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라는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 (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 (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DCI 포맷 즉, 전송 형식 정보 (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ᅳ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 즉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와 " '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113] 또한, 상향링크 서브프레빔은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PUCCH 상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HARQ에 사용되는 ACK/NACK,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M1M0를 위한 R I (Rank Indicator),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 ing Request) 등이 있다.
[114] 근접 서비스 (ProSe)
[115] 본 발명에서는 3GPP EPS (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ProSe) 또는 D2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116] 최근 SNSCSocial Network Service) 등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증가로 인해,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사용자들 /장치들 사이의 검출 (detect)/탐색 (discovery)및 특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즉, 근접성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ProSe에 대한 가능한 용례 (use case) 및 시나리오와, 가능한 서비스 요건 (service requirement)에 대한 논의가 진행증이다.
[117] ProSe의 가능한 용례는 상업적 /소셜 서비스, 네트워크 오프로드, 공공 안전 (Public Safety), 기존 인프라스트럭쳐 ( infrastructure) 서비스의 통합 (이는 도달성 (reachability) 및 이동성 (mobi 1 ity) 측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ᅳ 위'함이다 Γ등홀 들 수 있다. 또한, E-UTRAN 커버리자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공공 안전 (이 경우, 특정 지역의 규제 및 사업자 정책에 부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공공-안전을 위해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 및 특정 단말들로 제한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에 대한 용례들 및 가능한 요건이 논의 중이다.
[118] 특히 3GPP에서 진행중인 ProSe에 대한 논의의 범위는, 근접성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LTE 또는 WLAN을 경유하여 제공되고, 사업자 /네트워크의 제어를 받아서 장치들 간의 탐색 및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119] 도 6은 EPS에서 두 I 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 (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은 UE— 1과 UE-2 사이의 ProSe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의 UE— 1과 UE— 2 간의 데이터 경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기본적인 경로는 기지국 (즉,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 (즉, EPC 또는 사업자 망)를 거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과 UE-2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 UE-1으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 1, S-GW/P-GW, eNodeB-2를 거쳐서 UE-2에게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UE- 2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2, S-GW/P-GW, eNodeB-1을 거쳐 UE— 1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UE-1과 UE-2가 서로 다른 eNodeB에 ¾프-온 (camp-on) 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동일한 eNodeB에 캠프-온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두 UE가 동일한 S-GW 및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다양한 조합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동일한 S-GW 그리고 서로 다른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S— GW 그리고 동일한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GW 그리고 서로 다른 P- 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120]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력쳐 데이터 경로 (즉, infrastructure path 또는 infrastructure data path 또는 infrastructure co隱 unication path)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프라스트릭쳐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인프라스트럭쳐 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121] 도 7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 a a— ^7¥ᅳ 내는 도 ^Γ^Γᅳ5 M¾~¾ " ᅳ경" ^ᅳ기 Γ국!:즉":
5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 (즉, EPC)를 거치지 않는다.
[122] 도 7(a)는 UE-1과 UE-2가 각각 다른 eNodeB (즉, eNodeB- 1 및 eNodeB-2)에 캠프-온 (camp-on) 하고 있으면서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b)는 동일한 eNodeB (즉, eNodeB-1)에 캠프-은 하고 있는 UE-1과 UE-2가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10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23] 한편,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이나 게이트웨이 노드를 거치지 않고 UE 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지만, 제어 평면 경로는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 평면 경로를 통하여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세션 관리,
15 인증 (authentication), 권한검증 (authorization) , 보안, 과금 등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도 7(a)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이한 eNodeB들에 의해 서빙되는 -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UE-1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 (예를 들어, 讀 E)와 교환될 수 있고,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2를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 (예를 들어, 匪 E)와 교환될
20 수 있다. 도 7(b)의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 (예를 들어, 丽 E)와 교환될 수 있다.
[124] 도 8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 (locally-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예시에서와 같이 25 UE-1과 UE-2 간의 ProSe 통신 데이터 경로는 eNodeB-1을 거쳐서 형성되지만, 사업자가 운영하는 게이트웨이 노드 (즉, EPC)를 거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 평면 경로는, 도 8와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 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 (예를 들어, 醒 E)와 교환될 수 있다ᅳ
[125]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통신 경로를 직접 데이터 경로, ProSe를 위한 데이터 경로, ProSe 기반 데이터 경로, 또는 ProSe 통신 경로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접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직접 통신, ProSe 통신, 또는 ProSe 기반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126] 근접 서비스 지원 (ProSe Support) .
[127] UE가 ProS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ProSe 특징 (feature) 또는 ProSe 기능 (function)을 제공하는지 알아야 한다. 표준화 과정에서도 UE와 네트워크가 ProSe 캐퍼빌리티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어떻게 교환하도톡 할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3GPP TR 23.703 νθ.3.0 문서의 5.3절 Key Issue #3: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Handling for ProSe 참조).
[128] 또한, TS 22.278 vl2.2.0 문서의 7A.1절 General Requirements for Proximity Services에서는, 사업자가 ProSe 탐색 특징 (Discovery feature)을 지원하더라도 자신의 네트워크 내에서 이를 인에이블 (enable) 또는 디스에이블 (disable)할 수 있어야 하고, 사업자는 특정 PLMN으로부터 자신의 네트워크로 로밍해 은 모든 UE (즉, 상기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VPLMN(Visited PLMN)에서 동작하는 모든 UE)에 대해서 ProSe 통신 사용 여부를 켜거나 끌 (turn on or off) 수도 있어야 할 것을 요구사항으로 정의하고 있다.
[129] 그러나, 현재 논의중인 ProSe 기술에서는 ProSe 특징 또는 ProSe 캐버빌리티를 제공하는지 여부 또는 인에이블링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 /획득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 정의하는 바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서 제안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을 ProSe 특징 지원 관리 방안이라고 칭한다.
[130] 본 문서에서 ProSe 특징 (feature)라는 용어는, ProSe 캐퍼빌리티, ProSe 기능 (function) 등의 용어를 대표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131] ProSe 특징은 아래의 예시적인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아래의 예시적인 특징들의 하나 이상으로 세분화 (classify)되어 정의될 수도 있다.
[132] ProSe 탐색 (Discovery)은, 예를 들어, 개방형 ProSe 탐색과 제한된 ProSe 탐색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대신에, ProSe 탐색은 ProSe 직접 탐색과 EPC-레벨 ProSe 탐색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방형 ProSe
탐색은 개방형 ProSe 직접 탐색과 개방형 EPC-레밸 ProSe 탐색으로 더 세분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한된 ProSe 탐색은 제한된 ProSe 직접 탐색과 제한된 EPC-레벨 ProSe 탐색으로 더 세분화될 수도 있다.
[ 133] ProSe . 통신 ( commun i cat i on)은, 예를ᅳ^ ^ᅳ ᅳ 7 r~PT^S키디 들 사이만의 ProSe E-UTRA 통신 (ProSe E-UTRA Co隱 unication between only two ProSe— enabled UEs) , ProSe 그룹 통신 (ProSe Group Commu i cat ion) , ProSe 방송 통신 (ProSe Broadcast Communication),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 (ProSe- assisted WLAN direct co讓 unicat ion)으로 세분화 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대신에, ProSe 통신은 ProSe E-UTRA 통신과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대신에, ProSe 통신은 공공 안전 (public safety) ProSe 통신과 비 -공공 안전 (non-publ ic safety) ProSe 통신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134] 위와 같은 ProSe 특징의 세분화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작은 단위 (granularity) 또는 보다 큰 단위로 세분화될 수도 있고, 위에서 예시하지 않은 새로운 기준에 따라서 세분화될 수도 있으며, 여러 가지 세분화된 단위의 조합 (예를 들어, 제한된 ProSe 탐색을 지원하는 ProSe 그룹 통신)의 형태로 ProSe 특징이 정의 및 관리될 수도 있다.
[135] 위와 같이 다양한 ProSe 특징이 정의될 수 있는데, 해당 ProSe 특징에 대한 네트워크의 지원 또는 인에이블 여부에 대한 정보 (이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는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136] - 네트워크가 해당 ProSe 특징을 지원 (support)하는지 여부
[137] - 네트워크에서 해당 ProSe 특징이 인에이블되어 있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있는지 여부
[138] - UE가 네트워크에서 해당 ProSe 특징을 사용하는 것이 인증 (authenticate) 또는 허가 (author ize)되는지 여부
[139] - UE가 네트워크에서 해당 ProSe 특징을 사용하는 것이 제한 (restrict) 또는 금지 (forbid)되는지 여부
[140] 상기 예시에서 어떤 ProSe 특징에 대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인에이블 /디스에이블 여부에 대한 정보는 조합된 형태로 관리 (또는 정의 또는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oSe 그룹 통신에 대한 특징을 네트워크에서 지원하기는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디스에이블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도 있다.
[141] 또한, 상기 예시들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는 특정 시점에서 (예를 들어, 현재) UE가 등특된 PLMN 또는 등록된 EPL丽 (Equivalent PLM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만약 UE가 로밍 상태인 경우에는 VPL删으로, 로밍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HPLMN Home PLMN)으로 간주될 수 있다.
[142]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는 각각의 ProSe 특징 별로 또는 모든 ProSe 특징이 지원되는 네트워크 범위를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대신에,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는 각각의 ProSe 특징 별로 또는 모든 ProSe 특징이 인에이블된 네트워크 범위를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는 각각의 ProSe 특징 별로 또는 모든 ProSe 특징의 지원 /인에이블 여부에 대한 네트워크 범위를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143]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범위는, PL顧 단위, TACTracking Area) 단위, TAL(Tracking Area List) 단위, 셀 (Cell) 단위, eNodeB의 서비스 지역 (service area) 단위 丽 E의 서비스 지역 (service area) 단위, 지리적 위치 (geographic location) 단위, 행정 구역 단위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서울시 또는 서울시 서초구 등), 집합 장소 단위 (예를 들어 , 공항, 쇼핑몰 등)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roSe 특징을 ProSe 탐색 (Discovery) 특징과 ProSe 통신 (Communication) 특징으로 세분화하여 정의하는 것을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각각의 ProSe 특징에 대한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144] 예 1) PLMN#l: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画 uni cat ion 지원; PLMN#2: ProSe Discovery지원, ProSe Co画 unication 지원하지 않음.
[145] 예 2) PLMN#l: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mmunication 지원; TAI#2 및 TAI#3: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誦 unication 지원 (TAI는 Tracking Area Identity를 의미함).
[146] 예 3) PLMN#1: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mmunication 지원하지 않음; TAI#2 및 TAI#3: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隱 unicat ion 지원; ECGI#1, ECGI#2 및 ECGI#3: ProSe Discovery 지원, ProSe Communication 지원 (ECGI는 E-UTRAN Cell Global Identity를 의미하며, PUN Identity 및 Cell Identity의 조합에 의해 특정됨).
[147] 위와 같이 정의되는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UE는 다음의 예시들 증 하나의 방법 또는 둘 이상의 조합된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1) UE에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설정 (configure);
(2) UE가 네트워크 노드에게 요청하여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 또는 (3) 네트워크 노드가 필요 시 또는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가 변경 시 UE에게 전송.
[148] 상기 (2) 또는 (3)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丽 E, eNodeB, ProSe 서버 (ProSe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개체 또는 ProSe Function), ANDSF 등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149] 또한, 특정 네트워크 노드가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UE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UE가 로밍 상태이면 UE는 HPL顧에 있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 노드 및 /또는 VPL丽에 있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roSe 서버가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로밍 UE는 HPLMN에 있는 ProSe 서버 및 /또는 VPLMN에 있는 ProSe 서버로부터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NDSF가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로밍 UE는 H-ANDSF 및 /또는 V-ANDSF로부터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150] 여기서, HPL顧의 네트워크 노드와 VPLMN의 네트워크 노드 모두로부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에, HPL删의 정보와 VPL顺의 정보 중에 어떤 것을 우선시 (prioritize)하여 사용할 지는, UE에게
설정된 정책 (policy)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151] UE가 네트워크에게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요청에는 UE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구성 또는 제공할 수 있다.
[152] UE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 요청에 UE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노드는 유추된 UE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구성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정보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UE의 위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153] 예를 들어, 상기 (3)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UE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정보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UE의 위치 '정보를 유추하고, 유추된 UE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구성 또는 제공할 수 있다.
[154] UE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TAI, ECGI, eNodeB 관련 정보 (예를 들어, eNodeB ID또는 global eNodeB ID 등), 좌표 정보, 지리적 위치 정보, UE의 이동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속도 (velocity)), UE가 공유 네트워크 (shared network)에 캠프-온 (camp-on)한 경우 공유 네트워크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PUN (들)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특정될 수 있다.
[155]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 가입자 정보: UE로부터 획득한 정보,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획득한 정보, 또는 사업자 정책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156] 이와 같이 UE가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하면, 이에 기반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ProSe 관련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UE의 현재 위치는, UE가 등록된 PLMN, TAI, UE가
캠프 -온한 셀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가 구성 또는 설정되는 네트워크 범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157] 또한, UE는 상기 네트워크의 ProSe 특정 지원/인에이블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PL丽 재선택 deselection), 셀 재선택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 ProSe 특징이 지원되지 않거나 인에이블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ProSe 특징이 지원되거나 인에이블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이동할 수도 있다.
[158] UE의 상기 ProSe 관련 동작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동작올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UE가 ProSe 관련하여 수행하는 다른 동작, 프로세스 (process) 또는 상호작용 ( interact ion)을 포함할 수 있다.
[159] - ProSe와 관련한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 동작 또는 ProSe와 관련한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
[160] - 종래의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ProSe 관련 정보를 포함시키거나지시 (indicate)하는 동작
[161] - ProSe 관련한 다른 UE와의 상호작용 동작
[162] - UE 내에서 ProSe 관련하여 무선 자원 (radio resource)을 사용하는 동작 (예를 들어, ProSe 탐색 수행을 위해 다른 UE에게 탐색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UE가보낸 탐색 신호를 청취 (listen)하는 동작 등)
[163] 상기 ProSe와 관련한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 동작 또는 ProSe와 관련한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동작은 다음의 예시들 증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64] - ProSe를 위해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동작 또는 인증 요청하는 동작
[165] - ProSe를 위한 자원 (예를 들어, 무선 자원) 및 /또는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identities)) 등을 네트워크에게 요청하는 동작
[166] - ProSe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등록하는 동작
[167] - ProSe 탐색의 사용을 또는 인증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동작
[168] - ProSe 탐색을 위한 자원 (예를 들어, 무선 자원) 및 /또는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identities)) 둥올 네트워크에게 요청하는 동작
[169] - ProSe 통신의 사용을 또는 인증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동작
[170] - ProSe 통신을 위한 자원 (예를 들어, 무선 자원) 및 /또는 정보 (예를 들어, 식별 정보 (identities)) 등을 네트워크에게 요청하는 동작
[171] 본 문서에서 UE에 대해서 네트워크가 ProSe 특징을 지원 (support)한다는 의미는, 네트워크가 UE의 ProSe 특징 사용을 허가 (author ize) 또는 인증 (authenticate)하거나, UE가 둥특한 네트워크에서 상기 UE가 ProSe 특징을 사용하는 것을 허가 또는 인증하거나, 또는 UE가 등록한 네트워크에서 상기 UE가 ProSe특징을사용하도록 인에이블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72]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리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대한 원리는 UE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리 방안 (예를 들어, ProSe 특징의 세분화 정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의 정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가 적용되는 단위,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의 적용의 우선순위 ,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이용하는 UE의 동작 등)에 대해서도 확장 적용될 수 있다.
[173] 이하에서는 전술한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리 방안이 적용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74] 근접 서비스 지원 - 실시예 1
[175]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의 설정 (conf igurat ion)에 대한 것이다.
[176] ProSe-가능 UE의 HPL丽은 어떤 PLMN (들)이 해당 UE의 어떤 ProSe 특징을 지원하는지를 UE에게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3GPP TS 22.278 문서에서 ProSe-가능 네트워크가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즉, ProSe 탐색 또는 ProSe 통신 중의 어느 하나만 지원하거나 또는 양자 모두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라고 정의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ProSe 특징은 ProSe 탐색 및 ProSe 통신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의 설정은 도 9와 같이 구조화될 수 있다.
[177] 도 9는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의 설정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78] 도 9의 트리 (tree) 구조에서 말단인 리프 (leaf)는,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X>는 풀레이스홀더 (placeholder)이며, 계층적인 확장으로서 이해될 수 ― 있다. 즉, 도 9에서 :다타대는—파라미터들은 ProSeFeature에 대한 —것이며,— 그 중에서도 PL丽에 대한 것이며, 세부적인 파라미터들은 PLMN, Suppor t Pr oSeD i scovery 및 SupportProSeCommunicat i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79] 도 9에서 PLMN 리프는 PLMN 코드를 지시 (indicate)한다. Suppor tProSeDi scovery 리프는 0 또는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해당 PLMN이 ProSe 탐색 특징올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지원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SupportProSeCommunication 리프는 0 또는 1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해당 PL丽이 ProSe 통신 특징을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지원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HPLMN은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다른 PL匪들 증의 어떤 것이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설정할수 있다.
[180] 또한, ProSe-가능 UE의 HPL丽은 어떤 VPLMN (들)에서 해당 UE가 ProSe 특징을 사용하도록 허가되는지에 대해서 설정하여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9의 예시에서 PLMN 리프는 VPL丽 코드를 지시할 수 있다. Suppor tProSeDi scovery 리프는 해당 UE가 상기 VPLMN에서 ProSe 탐색 특징을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SupportProSeCommunication 리프는 해당 UE가 상기 VPLMN에서 ProSe 통신 특징을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HPLMN은 자신의 가입자의 UE가 어떤 VPLMN (들)에서 ProSe 탐색 특징 및 /또는 ProSe 통신 특징올사용하는 것이 허가되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181] 도 9의 ProSe 특징 지원의 설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82]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에 대한 설정은, ProSe-가능 UE에 정적으로 저장 (statically stored)될 수 있고, 이와 함께 또는 대신에 ProSe-가능 UE에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UE의 HPL丽에 의한 OMA DMC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또는 SIM(Subscr iber Identity Module)/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OTACOver The Air) 과정을 통해서).
[183]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7ᅵ원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ProSe-가능 UE는 등록된 PL觀에서 ProSe 관련 동작을 개시 (initiate)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84] 근접 서비스 지원 - 실시예 2
[185] 도 10은 UE가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86] 도 10의 단계 1에서 UE-1은 어태치 과정 (attach procedure)을 통해서 PLMN#1에 어태치할 수 있다.
[187] 도 10의 단계 2에서, UE-1은 PUN#1에 있는 ProSe 서버에게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UE-1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188] 도 10의 단계 3에서, ProSe 서버는 UE— 1에게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ᅳ 이 때,
ProSe 서버는 UE-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불 관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189] 전술한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리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이 필요한 (또는 요구하는 또는 허용되는)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특정 위치 (또는 지역 또는 장소)에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자가 PLMN 전체에서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지는 못하고, 무선 자원 사용의 효율성이나 네트워크 배치 (deployment)와 관련된 기존 설비의 교체 또는 업그레이드에 따른 효용성 등을 고려하여, 일부 위치 (또는 지역 또는 장소)에서만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쇼핑몰, 공항, 대학 캠퍼스 둥과 같이 특정 위치 (또는 지역 또는 장소)에서만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을 수행하는 것올 선호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190]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리 방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네트워크 범위 (예를 들어, TA 단위, Cell 단위 등)에
대해서 ProSe 특징 (예를 들어, ProSe 탐색 특징 및 /또는 ProSe 통신 특징)의 지원 /인에이블 여부를 UE에게 알려주거나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ProSe 탐색 및 /또는 ProSe 통신이 불필요하거나 허용되지 않는 위치 (또는 지역 또는 장소)에서는 UE가 불필요하게 ProSe 관련 동작을 개시 (또는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UE와 네트워크 간의 불필요한 시그널링 교환 (즉, 무선 자원 점유) 등을 방지함으로서,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91] 근접성 기준 (Proximity Criteria)
[192] 3GPP TS 22.278 vl2.2.0 문서의 7A.1 절에서는, 사업자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proximity criteria) (예를 들어, 무선 범위 (radio range) 및 지리적 범위 (geographic range))를 동적으로 제어 (dynamical ly control)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사업자는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예를 들어, 범위 (range), 채널 조건 (channel conditions), 달성가능한 QoS( achievable Quality of Service)) 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
[193] 전술한 바와 같은 ProSe를 위한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르면, ProSe 탐색 및 ProSe 통신에 대해서 사업자는 근접성에 대한 기준 (criteria)을 동적 (dynamic)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 정의하는 바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서 제안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올 근접성 기준 제어 (proximity criteria control) 방안이라고 칭한다.
[194] 이하에서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및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을 제어하는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근접성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과, UE가 근접성 기준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방안의 측면에서 설명하며, 이들 다양한 방안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195] 먼저,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196] 근접성 기준 정보는, 특정 값 또는 임계치 값과 같이 기준이 되는 하나의 값 (Z)으로 정의 또는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oSe와 관련하여 평가 (evaluate)되는 정보의 값 (또는 어떤 정보에 대해서 측정된 (또는 산출된 또는 유추된) 값)이 Z 초과인 경우 (^는 이상인 경우)에 평가를 만족하고, 평가되는 정보의 값이 Z 이하인 경우 (또는 미만인 경우)에 평가를 만족하지 못한다고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평가되는 정보의 값이 Z 초과 (또는 이상)인 경우에 평가를 만족하지 못하고, Z 이하 (또는 미만)인 경우에 평가를 만족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197] 또는, 근접성 기준 정보는 소정의 범위로 (즉, 최소값 00 와 최대값 (Y)으로) 정의 또는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oSe와 관련하여 평가되는 정보의 값 (a)이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하면 (예를 들어, X < a < Υ, X <= a < Υ, X < a <= Y, 또는 X <= a <= Y) 평가를 만족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평가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평가되는 정보의 값 (a)이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평가를 만족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속하면 (예를 들어, X < a < Υ, X <= a < Υ, X < a <= Y, 또는 X <= a <= Υ) 평가를 만족하는 것으로 정와될 수도 있다.
[198] 그 외에도, 근접성 기준 정보는 미리 정의된 조건에 따른 클래스 (class)들 중에서 평가되는 정보의 값은 어떤 클래스에 해당하는지 또는 해당하지 않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근접성 기준 정보는 정보의 종류, 정보의 기준값 (또는 범위값), 평가를 만족한다고 판단하는 방식 등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199]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제공하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다음 증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200] - 탐색 범위 (Discovery range) 정보: 이는 거리 정보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범위 클래스 정보 (예를 들어, 짧은 범위, 중간 범위, 최대 범위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탐색 범위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01] - 무선 범위 (Radio range) 정보: 이는 거리 정보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범위 클래스 정보 (예를 들어, 짧은 범위, 중간 범위, 최대 범위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무선 범위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02] -지리적 범위 (Geographic range) 정보ᅳ
[203] - 신호세기 관련 정보: 신호 수신 전력 정보, 신호 수신 품질 정보, 또는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 정보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04]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제공하는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다음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205] - 통신 범위 (Co隱 uni cat ion range) 정보: 이는 거리 정보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범위 클래스 정보 (예를 들어, 짧은 범위, 중간 범위, 최대 범위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통신 범위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06] - 무선 범위 (Radio range) 정보: 이는 거리 정보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범위 클래스 정보 (예를 들어, 짧은 범위, 중간 범위, 최대 범위 등)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무선 범위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07] -지리적 범위 (Geographic range) 정보
[208] - 채널 조건 (Channel condition) 정보
[209] - 달성가능한 QoS (Achievable QoS) 정보
[210] - 달성가능한 스루풋 (Achievable throughput) 정보: 상향링크에서 달성가능한 스루풋에 대한 정보와 하향링크에서 달성가능한 스루풋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스루풋 정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211] - 패킷 지연 허용값 (Packet delay budget) 정보: 이는 패킷 전송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상향링크 패킷 지연 허용값 정보와 하향링크 패킷 지연 허용값 정보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패킷 지연 허용값 정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212] - 패킷 에러 손실률 (Packet error loss rate) 정보: 이는 패킷 전송 중 손실률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상향링크 패킷 에러 손실률 정보와 하향링크 패킷 에러 손실률 정보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중의 하나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패킷 에러 손실률 정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213] - 신호세기 관련 장보: 신호 수신 전력 (Signal Received Power) 정보, 신호 수신 품질 (Signal Received Quality) 정보, 또는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정보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신호 세기 관련 정보가 정의 및 이용될 수 있다.
[214] 네트워크 노드가 근접성 기준 정보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UE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다음 중에서 하나 이상올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근접성 기준 관련 추가 정보는, 근접성 기준 정보와 함께 또는 별도로 UE에게 제공될 수 있다).
[215] - 근접성 기준 정보의 평가 주기 및 /또는 시점에 대한 정보. 이는 근접성 기준 정보마다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216] -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또는 현재 상태를 결정 (또는 측정 또는 추정)하는 주기 및 /또는 시점에 대한 정보. 이는 근접성 기준 정보마다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217] UE는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 관련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또는 현재 상태를 결정 (또는 측정 또는 추정 )하고 , 결정된 결과에 기반하여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평가하는 동작을 수행하 수 있다.
[218] 또한, 상기의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ProSe E-UTRA 통신과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의 각각에 적용되는 정보일 수도 있고, 둘 모두에 적용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즉, ProSe E-UTRA 통신과 ProSe-보조 WLAN 직접 통신에 대해서 각각 다른 종류의 근접성 기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고, 공통된 종류의 근접성 기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219] 또한, 전술한 다양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세분화된 ProSe 통신 유형에 따라서 별도로 정의 또는 제공될 수도 있다. ProSe 통신 유형은, 일-대-일 ProSe
통신, 그룹 ProSe 통신, 방송 ProSe 통신, UE-to-Network 중계 통신에서 증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UE-t으 Network 중계 통신에서 중계된 신호를 받는 경우, UE-to-UE 중계 통신에서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및 UE-to-UE 증계 통신에서 중계된 신호를 받는ᅭ경우 둥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220] 또한, 전술한 다양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단위 (granularity)로 정의.또는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의 예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21] - 근접성 기준 정보가 제공되는 UE의 위치 및 /또는 ProSe 탐색 /ProSe 통신의 상대 UE (들)의 위치
[222] - 근접성 기준 정보가 제공되는 UE가 위치한 네트워크 및 /또는 ProSe 탐색 /ProSe 통신의 상대 UE (들)이 위치한 네트워크
[223] - 미디어의 종류 또는 컨텐츠 종류 (예를 들어, 음성,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
[224] - APN(Access Point Name)
[225] - QCKQoS Class Identifier) -
[226] - 베어러의 종류 또는 연결 (connect ion)의 종류 (예를 들어, 긴급 베어러 (emergency bearer), LIPA(Local IP Access), SIPT0( Selected IP Traffic Offload) 등)
[227] -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228] - 서비스의 종류 (예를 들어 , 인스턴트 메시징 (instant messaging) 서비스, 파일 공유 (file sharing) 서비스, 공공 안전 (public safety) 서비스, 채팅 (chatting)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social networking) 서비스 등)
[229] -목적지 도메인 (Destination domain)
[230] - 통신 피어 (peer)의 ID, 특정 컨택트 리스트 (contact list), 또는 특정 그룹
[231] UE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醒£, SGSN 등), 가입자 정보 관리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HSSCHome Subscriber Server) 등), ProSe 서버 (예를 들어, ProSe를 제공하기 위해 ProSe 관련 정보의 관리, ProSe 관련 결정 수행,
UE에게 ProSe 관련 정보 제공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ProSe Function), 인증 관련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AA Authent icat 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 또는 AAA 프록시), 정책 관련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A 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 ion Function) 개체), 게이트웨이 노드 (예를 들에 P-GW) , 또는 eNodeB 증의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232] 또한, 본 문서에서 ProSe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ProSe 특징 지원 /인에이블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노드)도 상기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 증의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233] 네트워크 노드가 근접성 기준 정보를 UE에게 제공하는 방안의 예시들에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ProSe 탐색에 대한 근접성 기준 정보와,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는 별도로 UE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조합된 형태 (또는 동일한 정보의 형태)로 UE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예시들은 제한적이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 근접성 기준 정보가 UE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234] 1) UE가 네트워크 노드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를 명시적으로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
[235] 2) 근접성 기준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업데이트 된 정보를 제공.
[236] 3) UE에게 ProSe 관련 정보 (예를 돌어, ProSe 관련 ID 정보, 무선 자원 정보, 다른 UE와 근접 관계에 있음을 알리는 경보 (alert) 정보 등)를 제공할 때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함께 제공.
[237] 4) UE가 네트워크 노드에게 ProSe 탐색을 요청 (또는 근접성 정보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때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
[238] 5) UE가 네트워크 노드에게 ProSe 통신을 요청 (또는 ProSe 통신을 수행함을 알리거나, 또는 ProSe 통신의 허가를 요청)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 웅답을 전송할 때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
[239] 6) UE가 네트워크 노드에게 ProSe 탐색과 ProSe 통신을 함께 요청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응답을 전송할 때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제공.
[240] 7) UE가 네트워크 노드로 ProSe 관련 등록 과정올 수행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웅답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
[241] 8) UE가 네트워크 노드로 ProSe 관련 인증을 요청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 응답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
[242] 9) UE가 네트워크 노드로 UE-to-Network 중계 통신 또는 UE-to-UE 중계 통신에 관련된 메시지 (예컨대, 중계 통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이에 대한 응답에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
[243] 10)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종래의 메시지 (예컨대, 어태치 수락 (Attach Accept), TAU 수락 (Tracking Area Update Accept), RRC 관련 메시지 등)를 보낼 때, 근접성 기준 정보를 포함시켜서 제공.
[244] 또한, UE가 로밍 상태인 경우, UE에게 제공하는 근접성 기준 정보를 생성 또는 가공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HPL丽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도 있고, UE가 위치하는 VPL丽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도 있다. 또한, HPL删의 네트워크 노드와 VPLMN의 네트워크 노드가 상호동작 (intenvorking)을 통해서, UE에게 제공하는 근접성 기준 정보가 생성 또는 가공될 수 있다.
[245] 또는, 근접성 기준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제공하는 대신, UE에 미리 설정 (configure)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UE에 설정되어 있는 근접성 기준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가 업데이트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따라서 UE에게 제공함으로써, UE에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246] 전술한 바와 같이 UE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가 설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UE에게 근접성 기준 정보가 제공되면, UE가 이러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하여 ProSe동작을 수행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247] UE는 다음의 동작들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의 다양한 예시들 중의 하나 이상을사용할 수 있다.
[248] 1) ProSe 탐색 수행 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UE가 다른 UE (들)이 탐색된 것인지 (또는 근접성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ProSe 탐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UE (들)이 탐색되었다고 (또는 근접성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또는 ProSe 탐색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49] 2) 새로운 플로우 (flow) (또는 세션 (session) 또는 연¾(∞ ion))을 ProSe 통신을 통해 개시할 지 (또는 ProSe 통신 경로를 사용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새로운 풀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ProSe 통신을 통해서 개시하는 것으로 (또는 ProSe 통신 경로를 사용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50] 3) EPC 경로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ProSe 통신 경로로 스위칭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EPC 경로 (또는 인프라스트릭쳐 데이터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폴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ProSe 통신 경로로 스위칭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51] 4) ProSe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EPC 경로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ProSe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EPC 경로 (또는 인프라스트릭쳐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52] 5)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풀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로컬-라우팅 방식 경로 (locally-routed path)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로¾-라우팅 방식 경로로 스위칭할 것으로 결정할수 있다.
[253] 6) 로컬-라우팅 방식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로컬-라우팅 방식 경로를 통해 통신하던 플로우 (또는 세션 또는 연결)을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54] 7) UE-t으 Network 증계 통신 및 UE-to-UE 중계 통신 상황에서, 중계받고자 하는 UE가 중계기 역할을 할 UE를 결정하기 위해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받고자 하는 UE는 중계기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다른 UE에 대해서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55] 8) UE-to-Network 중계 통신 및 UE-to-UE 중계 통신 상황에서, 중계기 역할을 하도록 요청 받은 (또는 중계기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 UE가 중계를 요청한 UE (또는 중계받을 UE)와 증계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기 역할을 하도톡 요청 받은 (또는 중계기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 UE는 중계를 요청한 다른 UE (또는 증계받을 UE)에 대해서,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56] 9) UE-to-Network 중계 통신 및 UE-to— UE 중계 통신을 수행하고 있던 중에, 중계받고 있는 UE가 중계기 역할을 해주는 UE로부터 더 이상 중계받을 수 없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또는 중계받고 있는 UE가 새로운 중계기 UE를 선택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받고 있는 UE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 중인 다른 UE에 대해서,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역할을 수행 중인 UE로부터 더 이상 중계받을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257] 10) UE-to-Network 중계 통신 및 UE-to-UE 중계 통신을 수행하고 있던 중에, 중계기 역할을 수행 중인 UE가 중계받고 있는 UE에게 더 이상 중계해 줄 수 없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또는 새로운 중계기 UE를 선택하도록 알려주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기 역할을 수행 중인 UE가 중계받고 있는 UE에 대해서, 평가한
정보 (들)과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중계기 역할을 더 이상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258] 전술한 동작들에 있어서 근접성 기준 정보는, ProSe 기준 정보 (ProSe 탐색 기준 정보, ProSe 통신 기준 정보, ProSe 관련 기준 정보 ^ )7근접성 정책 정보, ProSe 정책 정보, ProSe 라우팅 규칙 (rule) 정보, ProSe 관련 조건 (conditions) 정보 등을포함할 수 있다.
[259] 근접성 기준 - 실시예 1
[260]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근접성 기준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61] 도 11의 단계 1에서 UE— 1은 근접성 요청 (proximity request) 메시지를 ProSe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성 요청 메시지는 UE-1이 다른 UE (예를 들어, LE-2)와의 근접 여부를 문의하는 (또는 근접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와 함께, UE-1은 상기 근접성 요청 메시지에 ProSe 탐색 요청 및 /또는 UE-2와의 ProSe 통신을 수행하고자 함올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262] 도 11의 단계 2에서 ProSe 서버는 UE-1과 UE-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63] 도 11의 단계 3에서는 ProSe 서버는 근접성 웅답 (proximity response) 메시지를 UE-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성 응답 메시지는 UE-1과 UE-2의 근접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는 근접성 응답 메시지에 UE-1과 UE-2가 근접한 것을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함께, pr0se 서버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 및 /또는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상기 근접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264] 도 11의 단계 4에서 UE-1과 UE-2가 서로를 탐색 (discover )할 수 있다. UE-1은 UE-2가 ProSe 탐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단계 3에서 수신한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사용할 수 있다.
[265] 도 11의 단계 5에서 UE-1은 UE-2와 ProS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 UE-1은 상기 단계 3에서 수신한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접성
기준 정보를 이용한 평가 결과, UE-2가통신 범위의 기준값 내에 있고, UE-2와의 신호세기가 기준값 보다 크다면 ProSe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66] 도 11의 단계 6에서 UE-1은 ProSe 통신 개시 (initiate)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 동작은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eNodeB, MME, ProSe 서버 등)로의 ProSe 통신 개시 관련 요청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시 동작은 UE-2와의 메시지 교환 동작을 포함할수도 있다.
[267] 도 11의 예시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ProSe 서버는 ProSe 탐색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 및 /또는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UE- 2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2도 UE-1을 탐색하고, UE-1과의 ProSe 통신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둥을 수행함에 있어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할수 있다.
[268] 근접성 기준 - 실시예 2
[269]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근접성 기준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70] 도 12의 단계 1에서 UE-1과 UE-2가 ProSe 통신 경로를 통해서 통신 중이라고 가정한다. 이는 상기 도 11의 예시의 결과에 따라 개시된 ProSe 통신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개시된 UE-1 및 UE-2 간의 ProSe 통신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2의 단계 1의 이전에 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도 11의 예시에서와 같이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가 UE-1에게 (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별도로 UE-2에게) 제공되어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271] 도 12의 단계 2에서 UE-1은 UE-2와의 ProSe 통신 증에 주기적으로 ProSe 통신을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ProSe 통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ProSe 통신 증에 근접성 기준에 따른 평가해야 수행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는, 근접성 기준 정보와 함께 제공되거나 또는 UE-1에게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는 상기 평가 결과 현재 ProSe 통신이 소정의 근접성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되고, 이에 따라 UE-1은 ProSe 통신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이 달성가능한 스루풋을 측정 /계산 /결정한 결과, 그 값이 근접성 기준
정보에 따라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 경로 스위칭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72] 도 12의 단계 3에서 UE-1은 ProSe 통신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스위칭 동작은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eNodeB, MME, ProSe 서버 등)로의 경로 스위칭 관련 요청 동작을 포함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로 스위칭 동작은 UE-2와의 메시지 교환 동작을 포함할수도 있다.
[273] 도 12의 예시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UE-2가 ProSe 통신올 위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도 12의 예시에서의 UE-1의 동작과 유사하게, 근접성 기준 정보에 따른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경로 스위칭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274] 근접성 기준 -실시예 3
[275] 이하에서는 EPC-레벨 ProSe 탐색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76] ProSe 서버는 EPC-레벨 ProSe 탐색 과정에 관여하는 개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ProSe 서버는 EPC 내에 존재하고, 다음의 기능들을 가지는 개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277] - EPC-레벨 ProSe 탐색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서 UE와상호작용하는 기능;
[278] - UE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HSS와상호작용하는 기능;
[279] - 탐색자 (discoverer) UE 와 피탐색자 (discoveree) UE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
[280] - 인바운드 로밍중인 사용자 (inbound roamer)의 홈 ProSe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인바운드 로밍증인 사용자의 UE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281] - 탐색자 UE와 피탐색자 UE가 서로 상이한 PL匪들에 등톡되어 있는 경우에, EPC-레벨 ProSe 탐색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른 PL讓들의 ProSe 서버 피어들과통신하는 기능.
[282] 탐색자 UE는 ProSe 서버에게 ProSe 탐색을 요청하기 전에, 자신이 등록된 PL丽에 존재하는 ProSe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탐색자 UE가 로밍 상태가 아니라면 홈 ProSe 서버에 등특하고, 로밍 상태라면 방문 (visited) ProSe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
[283] 다음으로, ProSe 탐색에 대한 시간 왼도우 (time window)에 대해서 설명한다.
[284] 피탐색자가 근접하는지를 소정의 시간 원도우 동안에 알림을 받기 위해서 탐색자는 ProSe 서버에게 ProSe 탐색을 요청할 때에 상기 시간 원도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ProSe 서버에게 ProSe 탐색 요청이 얼마 동안 유효한지를 지시 (indicate)하여 줄 수 있다. 탐색자에게 근접성에 대한 알림을 주기 위해서, 근접성이 검출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 원도우 동안, ProSe 서버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게 위치 보고 제 를 수행하여 탐색자 또는 피탐색자의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보고를 받을 수 있다. 위치 보고 기간 동안에, 어떤 UE (탐색자 또는 피탐색자)가 유휴 (idle) 모드에 있는 경우, 醒 E는 해당 UE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 UE를 페이징하지 않는다. 그 대신 MME는 UE가 TAU 과정 또는 서비스 요청 과정을 수행할 때까지 대기한다.
[285] 다음으로 ProSe 통신 요청을 포함하는 EPC-레벨 ProSe 탐색 요청에 대해서 설명한다.
[286] ProSe 탐색 결과 탐색자 및 피탐색자가 근접한 경우에, 탐색자가 피탐색자와 pr0Se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려면 탐색자는 ProSe 서버에게 ProSe 통신도 요청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ProSe 탐색을 요청해야 한다 (즉, ProSe 탐색 요청에 ProSe 통신 요청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roSe 서버가 ProSe 통신 요청을 포함하는 ProSe 탐색 요청을 탐색자로부터 수신한 경우, ProSe 서버는 탐색자에게 피탐색자의 숀접성에 대해서 알려줄 때에 ProSe 통신 관련 정보를 해당 탐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87] 상기 ProSe 통신 관련 정보는 UE가 고려해야 하는 기준 /조건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통신 범위, 채널 조건, 달성가능한 Qo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UE는 다음과 같은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288] - ProSe 통신 경로를 수립할 것인지 여부;
[289] - UE가 ProSe 통신 경로를 이미 수립한 경우에는 서비스 연속성 (service continuity)을 위해서, 사용자 트래픽을 ProSe 통신 경로로부터 EPC 경로로 스위칭하는 것을 트리거할지 여부.
[290] 이하에서는 EPC-레벨 ProSe 탐색 동작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291] 도 13은 탐색자와 피탐색자가 로밍 상태가 아니고 동일한 PLMN에 등록한 경우를 가정한, 시간 원도우를 이용하는 EPC-레벨 ProSe 탐색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292] 도 13의 예시에서는— U = 厂 —의ᅳ ᅵ ᅳ원— 우 동 ᅵᅳ UE 와ᅳ근접ᅩ하게- 되는 경우 알림을 받기 위해서, UE-A가 네트워크에게 ProSe 탐색을 요청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UE-A는 탐색자에 해당하고 UE-B는 피탐색자에 해당한다. 또한, UE-A 및 UE-B는 모두 동일한 PLMN에 등록한 상태이고, 모두 로밍 상태가 아닌 것을 가정한다. 또한, UE-A 및 UE-B는 a두 동일한 ProSe 서버에 등록한 것으로 가정한다.
[293] 또한, 도 13의 예시에서 UE-A 및 UE-B는 사용자 기기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각각 pr0Se-가능 UE— A 상의 애풀리케이션 및 ProSe 가능 UE-B 상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294] 도 13의 단계 1에서 UE-A는 ProSe 서버에게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는 UE-A가 소정의 시간 원도우 동안에 UE-B와 근접하게 되는 경우 ProSe 서버가 이를 알려달라는 요청일 수 있다. 이를 위해, UE-A는 시간 원도우 정보 (예를 들어, Time_X)를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 요청이 얼마 동안 유효한 것인지를 ProSe 서버에게 지시 (indicate)하는 정보일 수 있다.
[295] 도 13의 단계 2에서 ProSe 서버는 UE-A로부터의 ProSe 탐색 요청을 허가 (authorize)하고, UE-A (또는 UE-A의 사용자인 user— A)가 UE-B (또는 user- B)를 탐색하는 것이 허용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UE-A (또는 user-A)가 UE- B (또는 user-B)를 탐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16이 수행된다.
[296] 도 13의 단계 3a 내지 14a는 UE-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297] 도 13의 단계 3a에서 ProSe 서버는 UE-A에 대해서 TimeJ( 값에 따른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298] 도 13의 단계 4a에서 ProSe 서버는 위치 보고 요청 (Location Reporting Request)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함으로써, UE-A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시작할 것을 HSS에게 요청할 수 있다.
[299] 도 13의 단계 5a에서 HSS는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MME에게 전달하여, MME가 UE-A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300] 도 13의 단계 6a에서 MME는 HSS에게 위치 보고 요청 Ack 메시지를 응답으 S서 전송할 수 '있다.
[301] 도 13의 단계 7a에서 HSS는 ProSe 서버에게 위치 보고 요청 Ack 메시지를 응답으로서 전송할수 있다.
[302] 도 13의 단계 8a에서 UE-A가 컨넥티드 모드 (connected mode)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MME는 UE-A의 가장 최근의 (most up-to-date) 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위치 보고 제어 (Location Reporting Control) 메시지를 eNode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MME는 eNodeB에게, UE— A가 서빙 셀을 상기 eNodeB에 속한 다른 샐로 변경할 때마다 UE-A의 현재 위치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위치 보고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303] 도 13의 단계 9a에서 eNodeB는 위치 보고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함으로써
UE-A의 가장 최근의 셀 정보를 MME에게 리턴해 줄 수 있다.
[304] 도 13의 단계 10a에서 醒 E는 UE-A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Location Notification)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할 수 있다.
[305] 도 13의 단계 11a에서 HSS는 UE-A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메시지를 ProSe 서버에게 전송할수 있다.
[306] 도 13의 단계 12a에서 ProSe 서버는 위치 통지 Ack 메시지를 HSS에게 웅답으로서 전송할수 있다.
[307] 도 13의 단계 13a에서 HSS는 위치 통지 Ack 메시지를 MME에게 웅답으로서 전송할 수 있다.
[308] 도 13의 단계 14a에서, 상기 단계 9a 이후에, eNodeB는 UE-A가 서빙 셀을 상기 eNodeB에 속한 다른 샐로 변경할 때마다 위치 보고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0a 내지 1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는廳 E로부터 ProSe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309] 도 13의 단계 3b 내지 14b는 UE-B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310] 도 13의 단계 3b에서 ProSe 서버는 UE-B에 대해서 Time_X 값에 따른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311] 도 13의 단계 4b에서 ProSe 서버는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함으로써, UE-B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시작할 것올 HSS에게 요청할 수 있다.
[312] 도 13의 단계 5b에서 HSS는 위치 보고 요청 메시지를 函 E에게 전달하여, 丽가 IE二 B께ᅳ ¾ -련된—위 -치—보"고를ᅳ지-작ᅭ하도록—할ᅳ수ᅳ았다.
[313] 도 13의 단계 6b에서 MME는 HSS에게 위치 보고 요청 Ack 메시지를 응답으로서 전송할수 있다.
[314] 도 13의 단계 7b에서 HSS는 ProSe 서버에게 위치 보고 요청 Ack 메시지를 응답으로서 전송할 수 있다.
[315] 도 13의 단계 8b에서 UE-B가 유휴 모드 (idle mode)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ME는, UE-B가 TAU 과정, UE 트리거링된 서비스 요청 과정, 또는 네트워크 트리거링된 서비스 요청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ᅳ MME가 대기 중인 임의의 시점에서 UE— B는 TAU 과정 또는 서비스 요청 과정을 수행할수 있다. 이에 따라, MME는 UE-B의 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16] 도 13의 단계 9b에서 匿 E는 UE-B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메시지를 HSS에게 전송할 수 있다.
[317] 도 13의 단계 10b에서 HSS는 UE-B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통지 메시지를 ProSe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318] 도 13의 단계 lib에서 ProSe 서버는 위치 통지 Ack 메시지를 HSS에게 응답으로서 전송할 수 있다.
[319] 도 13의 단계 12b에서 HSS는 위치 통지 Ack 메시지를 MME에게 웅답으로서 전송할수 있다.
[320] 도 13의 단계 13b에서, 상기 단계 8b 이후에 , 상기 단계 8b의 동작을 수행함으로 인해 UE-B가 컨넥티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MME는 상기 단계 8a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eNodeB에 대해서 위치 보고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ME는 UE-B의 가장 최근의 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위치 보고 제어 메시지를 eNodeB로 전송할 수 있으며 , UE-A가 서빙 셀을 상기 eNodeB에 속한 다른 샐로 변경할 때마다 UE-A의 현재 위치를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상기 위치 보고 제어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321] 도 13의 단계 14b에서, eNodeB는 UE-B가 서빙 샐을 상기 eNodeB에 속한 다른 샐로 변경할 때마다 위치 보고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계 9b 내지 1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는 MME로부터 ProSe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322] 도 13의 단계 15에서 ProSe 서버는 상기 단계 11a에서의 위치 통지 메시지 및 상기 단계 10b에서의 위치 통지 메시지를 모두 수신하면, UE-A 및 UE- B의 위치 정보 및 근접성 기준 정보에 기초하여 UE-A와 UE-B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ProSe 서버가 UE-A 및 UE-B가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계 16이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ProSe 서버는 새로운 위치 통지 메시지가 HSS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근접성 체크를 수행한다. 만약 ProSe 서버가 UE-A 및 UE-B가 근접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단계 3a에서 시작된 타이머 및 /또는 상기 단계 3b에서 시작된 타이머가 만료 (expire)되면, 단계 16이 수행된다.
[323] 도 13의 단계 16에서 ProSe 서버는 ProSe 탐색 응답 메시지를 UE-A에게 전송하면서, UE-A 및 UE-B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UE-A (또는 user-A)가 UE-B (또는 user-B)를 탐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ProSe 탐색 웅답 메시지는 UE-A로부터의 ProSe 탐색 요청이 거절 (reject)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수 있다.
[324] 도 13의 단계 17에서 UE-A 및 UE-B가 근접하는 경우, ProSe 서버는 ProSe 탐색 알림 (ProSe Discovery Alert) 메시지를 UE-B에게 전송하며, UE-A가 UE-B를 탐색하고자 함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UE-A 및 UE-B 상호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325] 도 13의 단계 18에서, ProSe 서버는 HSS에게 UE-A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중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위치 보고 취소는 필요한 경우에 匪 E, eNodeB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
[326] 도 13의 단계 19에서, ProSe 서버는 HSS에게 UE-B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중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위치 보고 취소는 필요한 경우에 MME, eNodeB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
[327] 도 13의 예시에서 UE-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즉, 단계 3a 내지 14a)는 UE-B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즉 단계 3b 내지 14b)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328] 또한, ProSe 서버는 UE-A 및 UE-B를 위한 개별적인 타이머를 시작하는 대신에, UE-A 및 UE-B를 위한 하나의 동일한 타이머 Time_X를 시작할 수도 있다.
[329] 만약 UE-A가 유휴 모드에 있다면,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 단계 8a 내지 14a 대신에 단계 8b 내지 14b의 동작이 UE-A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330] 만약 UE-B가 컨넥티드 모드인 경우에,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 단계 8b 내지 14b 대신에 단계' 8a 내지 14a의 동작이 UE-B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331] 도 13의 예시에서는 UE-A 및 UE-B가 동일한 eNodeB 및 동일한 丽 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것을 가정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UE-A 및 UE-B가 서로 다른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동일한 MM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UE-A 및 UE-B가 동일한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서로 다른 MM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UE-A 및 UE-B가 서로 다른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서로 다른 讓 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등에도 도 13의 예시에서 설명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332] 도 14는 ProSe 통신 요청을 포함하는 EPC—레벨 ProSe 탐색 요청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33] 도 14의 예시에서는 UE-A이 소정의 시간 원도우 동안에 UE-B와 근접하게 되는 경우 알림을 받기 위해서, UE-A가 네트워크에게 ProSe 탐색을 요청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UE-A가 UE-B와의 Pro^e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E-A의 ProSe 탐색 요청에는 ProSe 통신 요청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UE-A는 탐색자에 해당하고 UE-B는 피탐색자에 해당한다. 또한, UE-A 및 UE-B는 모두 동일한 PLMN에 등록한 상태이고, 모두 로밍 상태가 아닌 것을 가정한다. 또한, UE-A 및 UE-B는 모두 동일한 ProSe 서버에 등록한 것으로 가정한다.
[334] 또한, 도 14의 예시에서 UE-A 및 UE-B는 사용자 기기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각각 pr0Se-가능 UE-A 상의 애플리케이션 및 ProSe 가능 UE-B 상의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335] 도 14의 단계 1에서 UE-A는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를 ProSe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는 UE-A가 소정의 시간 읜도우 동안에 UE-B와 근접하게 되는 경우 ProSe 서버가 이를 알려달라는 요청일 수 있다. 이를 ^*H, UK-A^ A|간 ¾도무 ¾보 (예를 들어, Ti X丁!•—PfdS ᅩ탐색ᅳ요청ᅳ메지지-에- 포함시킬 수 있고, 이는 상기 요청이 얼마 동안 유효한 것인지를 ProSe 서버에게 지시 (indicate)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ProSe 탐색 요청 메시지는 UE-A가 UE-B와의 ProSe 통신을 수행하고자 함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ProSe_Comm_Reque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36] 도 14의 단계 2에서 ProSe 서버는 UE-A 및 UE-B가 근접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13의 예시에서의 단계 2 내지 단계 15에 해당하는 동작일 수 있다.
[337] 도 14의 단계 3에서 ProSe 서버는 ProSe 탐색 웅답 메시지를 UE-A에게 전송하면서, UE-A 및 UE-B가 근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UE-A (또는 user-A I" UE-B (또는 user-B)를 탐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ProSe 탐색 웅답 메시지는 UE-A로부터의 ProSe 탐색 요청이 거절 (reject)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UE-A 및 UE-B가 근접한 경우, ProSe 서버는 ProSe 통신 관련 정보 (ProSe_Comm_Info) (예를 들어, 통신 범위 채널 조건, 달성가능한 QoS 등)를 ProSe 탐색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338] 도 14의 단계 4에서, UE-A 및 UE-B가 근접하는 경우, ProSe 서버는 ProSe 탐색 알림 (pr0Se Discovery Alert) 메시지를 UE-B에게 전송하며, UE-A가 UE-B를 탐색하고자 함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UE-A 및 UE-B 상호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ProSe 서버는 ProSe 통신 관련 정보 (ProSe_Comm_Inio) (예를 들어, 통신' 범위, 채널 조건, 달성가능한 QoS 등)를 ProSe 탐색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ProSe 통신 관련 정보는 ProSe 통신 경로 관련해서 UE가 고려할 기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339] 이에 따라, UE-A 및 UE-B는 상호 탐색을 시도할 수 있다. UE-A는 ProSe 서버에 의해서 제공된 pr0Se 통신 경로에 대한 기준 /조건이 UE-B와의 ProSe 통신 경로에 대해서 만족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만약 기준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UE-A는 UE-B와의 ProSe 통신 경로를 수립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UE-A는 UE-B와의 사이에 수립된 ProSe 통신 경로가 상기 ProSe 서버에 의해서 제공된 기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다了 깍— r가ᅳ기-준 72 "건-이ᅳ헉ᅳ쩌ᅩ상ᅳ^
위해서, UE-A는 UE-B와의 사용자 트래픽을 ProSe 통신 경로로부터 EPC 경로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여기서, ProSe 서버가 제공하는 ProSe 통신 관련 정보는 UE가 얼마의 주기마다 ProSe 통신 경로에 대한 기준 /조건 만족 여부를 체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340] 도 14의 단계 5에서, ProSe 서버는 HSS에게 UE-A, UE-B에 관련된 위치 보고를 증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위치 보고 취소는 필요한 경우에 MME, eNodeB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다.
[341] 도 14의 예시에서는 UE-A 및 UE-B가 동일한 eNodeB 및 동일한 醒 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것을 가정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UE-A 및 UE— B가 서로 다른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동일한 M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UE-A 및 UE-B가 동일한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서로 다른 醒 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UE— A 및 UE-B가 서로 다른 eNodeB에 의해서 서빙되고 서로 다른 腿 E에 의해서 서빙되는 경우 둥에도 도 14의 예시에서 설명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342]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증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343] 또한,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 10 내지 14에서 예시하는 모든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0 내지 14에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도 있다.
[344]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45]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100)는, 송수신모들 (110), 프로세서 (120) 및 메모리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들 (1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ᅳ정ᅳ보를—수신하도록ᅳ구—성될 -수 았다 7—단말 장―치 (10
및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단말 장치 (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 (1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1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ᅳ
[346] 단말 장치 (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를 수행하도톡 설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 (100)의 프로세서 (120)는, ProSe 특징 지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ProSe 동작의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20)는, ProSe 동작이 가능한 경우, 근접성 기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ProSe 동작의 수행에 관련된 평가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상기 평가의 결과가 상기 근접성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ProSe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347]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는, 송수신모들 (210), 프로세서 (220) 및 메모리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들 (1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 (220)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2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 노드 동작을 수행하도톡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2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348]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 (100) 및 상대방 단말 장치 (미도시) 간의 근접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의 프로세서 (220)는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 치의ᅳ위치ᅩ를—기반ᅳ으로ᅳ Pr dSe—특—징ᅳ지-원
이를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의 프로세서 (220)는,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 대한 근접성 기준 정보를 결정하여 이를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할수 있다.
[349] 또한,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의 프로세서 (220)는,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 대해서 ProSe 동작의 수행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단말 장치 (100) 및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350] 위와 같은 단말 장치 (100)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 (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방안 및 /또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방안들 및 /또는 실시예들이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351]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352]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CDigi 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C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프로세세 컨트를러, 마이크로 컨트를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353]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들,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354]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ᅳ당업자가 본 할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톡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차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355]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둥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356]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