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1565A1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4171565A1 WO2014171565A1 PCT/KR2013/003193 KR2013003193W WO2014171565A1 WO 2014171565 A1 WO2014171565 A1 WO 2014171565A1 KR 2013003193 W KR2013003193 W KR 2013003193W WO 2014171565 A1 WO2014171565 A1 WO 2014171565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ole
- driving mode
- tire
- assembly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1—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characterised by coupling or locking means between rim and suppo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run-flat assembly and a safety wheel including the run-fla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un-flat assembly including the run-flat assembly and the run-flat assembly to enable the vehicle to run when the tire is damaged while driving. It is about a safety wheel.
- an automobile travels by rotating a wheel equipped with a tire having an appropriate pneumatic pressure.
- the run-flat tir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wall of the tire is reinforced, or may have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ire between the tire and the wheel.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n-flat assembly for automobiles that can be safely running even tire damag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wheel comprising the runplate assembly.
- An automotive run-flat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ods sequentially dispos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wheel body of a vehicle, and neighboring It includes a plurality of rings connecting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 Each of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are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 the first bar and the second bar are farther from each other than the normal driving mode.
- the rings may comprise a first ring and a second ring. Based on one said first or second bar, a first ring is connected with a neighboring bar and a second ring is connected with a neighboring bar opposite to a bar connected by said first ring, so that said first ring And second ring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zigzag.
-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the re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in the safe driving mode. Can be.
- the first rod includes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facing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has a different polarity, the electrical Depending on the control, the polarity may change.
- the second rod may include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facing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polarity may change according to electrical control. .
- the second pole of the first rod and the first pole of the second rod may face each other.
- the run-flat assembly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second pole of the first bar and the first pole of the second bar has a different polarity, in the safe driving mode,
- the second pole of the first bar and the first pole of the second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trolling to have the same polarity.
-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ars, respectively.
- An automobile run-flat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and a second member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body of the automobile.
-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arther from each other than the normal travel mode.
- the firs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to both si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protruding to both si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member may be located between neighboring first protrusions of the first member.
- guid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member, and guide protrusions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member. Can be.
- a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protrusions and a first pole may be disposed in the valley.
- a second pole facing the first pole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in the normal driving mode, may be applied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In the safe driving mod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may be repulsive with each other.
-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may be changed in polarity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trol.
- the runplate assembly is electrically connected such that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have different polarities, and in the safe driving mod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have the same polarity.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 Safety wheel is a wheel body includ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im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tire fixed to the wheel body by the rim, and the And a runplate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 the runplate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and a second member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succession.
-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runplate assembly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arther from each other than the normal travel mode, so that the runplate assembly contact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ire.
- the first member includes a first pole whose polarity is changed by electrical control
- the second member is a second polarity that is changed by electrical control and faces the first pole. It can include two poles.
- the safety wheel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has a different polarity, in the safe driving mode,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polarities to have the same polarity.
- the vehicle runplate assembly may enable safe driving even when the tire is punctured.
- the height of the runplate assembly is lower than the rim of the wheel body may facilitate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tire.
- the run plate assembly may be detected at an appropriate time by detecting a puncture of a tire.
- run-flat assembly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not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safe driving.
- runplate assembly is operated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two opposite poles, it is easy to switch between the normal driving mode and the safe driving mode.
-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and 2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of FIG. 1.
- 3A and 3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runplate assembl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and 4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un-fla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runplate assembly of FIGS. 5A and 5B.
-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fety wheel includes a wheel body 100, a tire 10 coupled to the wheel body 100, a runplate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wheel body 100 and the tire 10 ( 200).
- the wheel body 100 may be a general automobile wheel. Therefore, the runplate assembly 200 may be installed on the wheel for the general vehicle, and the tire 10 may be combined to be used as a safety wheel for the vehicle.
- the wheel body 100 includes a circumferential surface 110 and a rim 130.
- the runplate assembly 200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the rim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the rim 130 constitutes a protrusion for fixing the tire 10.
- the tire 10 may be mounted on the wheel body 100 in a state in which the runplate assembly 200 is installed on the wheel body 100.
- the height of the runplate assembly 20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im 130, so that the tire 10 is moved to the wheel body 100. ) Can be easily mounted.
- FIG. 2A and 2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of FIG. 1.
- FIG. 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normal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general.
- FIG. 2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safe driving mode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is punctured;
-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normal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general.
- FIG. 2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safe driving mode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is punctured;
- the runplate assembly 200 includes a first rod 202, a second rod 204, a third rod 206, and a plurality of first rings 212 connecting the rods. And a second ring 214.
- the first rod 202,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 Each of the first to third rods 202, 204, and 206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a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of the wheel body (see 130 in FIG. 1). Therefore,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un-flat assembly 200 conta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and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im, so that the tire is easily mounted and detached.
- the first rod 202 and the second rod 204 are connected by the first ring 212.
- the first rod 202 and the second rod 204 are disposed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ring 212, so that the first ring 212 i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Normal driving is possible in contact with the phase (Fig. 2a). Meanwhile, the first rod 202 and the second rod 204 are relatively far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ing 212.
- the runlet assembly 200 When the runlet assembly 200 has a larger diameter, it may be converted to the safe driving mode (FIG. 2B).
- the first rod 202 and the second rod 204 may generate a force that repels each other.
- the first rod 202 and the second rod 20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normal driving mode, and may be converted to the safe driving mode by being repulsed away from each other when a current flows.
- the first ring 212 may be formed of a nonconductor made of a hard material.
-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are connected by the second ring 214. That is, the first ring 212 and the second ring 214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are disposed closer to each oth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ing 214, so that the second ring 214 i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2a) Meanwhile,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are relatively far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ing 214.
- the runlet assembly 200 When the runlet assembly 200 has a larger diameter, it may be converted to the safe driving mode (FIG. 2B).
-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may generate a force that repels each other.
- the second rod 204 and the third rod 20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normal driving mode, and may be converted to the safe driving mode by being repulsed away from each other when a current flows.
- the second ring 214 may be formed of a nonconductor made of a hard material.
- a plurality of rods and rings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to constitute the runplate assembly 2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 the run-flat assembly 200 is arranged to conta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in the normal driving mode, it is possible to run us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 the outer surface of the run-flat assembly 200 when the tire is punctured in the safe driving mode, the outer surface of the run-flat assembly 2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rings 212 and 214 may contact an inner surface of the tire. Therefore, even if the tire is flat, safe driving is possible.
- 3A and 3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runplate assembl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normal driving mode in which a vehicle is traveling in general.
- 3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safe driving mode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is punctured.
- the runflat assembly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runflat assembly shown in FIGS. 1 and 2B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a control unit 250 and a connection unit 252.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 the control unit 250 senses a pressure inside the tire, and controls the outer diameter of the run-flat assembly 200 to increase when the pressure falls below a specific pressure due to a tire puncture, and thus the run-flat assembly 200 Mak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tire. That is,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first to third rods 202, 204, and 206 to have repulsive forces in the safe driving mode.
- the controller 25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ds 202, 204, and 206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252.
- the controller 250 supplies an electrical signal or voltage to the rods 202, 204, and 206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52, so that the rods 202, 204, and 206 react with each other. To have the power to do so.
- the controller 250 may detect a shock and control the first to third rods 202, 204, and 206 to have a repulsive force when a shock having a specific strength or more is detected due to a tire puncture. have.
- 4A and 4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un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normal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general.
- 4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safe driving mode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is punctured.
- the runplate assembly 300 includes a first rod 302, a second rod 304, and a plurality of rings 312 connecting the rods.
- the first rod 302 and the second rod 304 are disposed alternately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ds 302, 304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a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im of the wheel body (see 130 in FIG. 1). Therefore,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un-flat assembly 300 contact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and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im, so that the tire is easily mounted and detached.
- the first rod 302 and the second rod 304 are connected by the ring 312.
- the first rod 302 includes a first pole 302a and a second pole 302b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the first pole 302a and the second pole 302b may form a pole of an electromagnet whose po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electrical control, and may have different poles.
- the second rod 304 includes a first pole 304a and a second pole 304b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the first pole 304a and the second pole 304b may form a pole of an electromagnet whose po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electrical control, and may have different poles.
- poles facing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rods may have opposite types of poles. That is, the second pole 302b of the first rod 302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pole 304a of the second rod 304 are different poles, for example, the first rod ( The second pole 302b of 302 may be the N pole, and the first pole 304a of the second rod 304 may be the S pole or vice versa.
- the second pole 302b of 302 may be the N pole
- the first pole 304a of the second rod 304 may be the S pole or vice versa.
-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rod 302 and the second rod 304, and the diameter of the entire runplate assembly 300 is reduced to conta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un-flat assembly 300 may be lower than the rim of the wheel body, it is possible to general driving by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 the poles facing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rods may have the same kind of poles. That is, the second pole 302b of the first rod 302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pole 304a of the second rod 304 are the same pole, for example, the first rod ( The second pole 302b of 302 and the first pole 304a of the second rod 304 may both be N poles or all S poles. Accordingly, a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rod 302 and the second rod 304, and the diameter of the entire run-flat assembly 300 increases,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and the ti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erefore, even when air pressure is lost due to the puncture of the tire, and the normal running is difficult, the run-flat assembly 300 supports the tire to allow safe driving.
- a plurality of rods and rings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to form the runplate assembly 3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 FIG.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un-fla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normal driving mode when the vehicle is driving in a general manner.
-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nplate assembly in a safe driving mode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is punctured.
-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f the runplate assembly of FIGS. 5A and 5B.
- the runplate assembly 4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410 and a second member 420 that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of the wheel body.
- the first member 4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12 protruding to both si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Guide grooves 414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412.
- the guide groove 414 accommodates and guides the guide protrusion 4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determine a diameter change range of the runplate assembly 400 in the normal driving mode and the safe driving mode.
- a first pole 416 is formed in a groove formed between two neighboring first protrusions 412.
- the first pole 416 may be a pole of an electromagnet whose polarity changes according to electrical control.
- the second memb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422 protruding to both si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 Guide protrusions 424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422.
- the guide protrusion 424 is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414 of the first protrusion 412 of the first member 410.
- a second pole 42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422.
- the second pole 426 may be a pole of an electromagnet whose polarity changes according to electrical control.
- the second pole 426 faces the first pole 416.
- the first pole 416 and the second pole 422 may have different poles.
- the first pole 416 may be an N pole
- the second pole 422 may be an S pole or vice versa.
-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pole 416 and the second pole 422, and the diameter of the entire runplate assembly 400 decreases to conta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un-flat assembly 400 may be lower than the rim of the wheel body, it is possible to general driving by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 the first pole 416 and the second pole 422 may have the same type of pole.
- both the first pole 416 and the second pole 422 may be N poles or all S poles. Accordingly, the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pole 416 and the second pole 422, the diameter of the entire run-flat assembly 400 increases,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110, the ti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erefore, even when air pressure is lost due to the puncture of the tire, and the normal running is difficult, the run-flat assembly 400 supports the tire to enable safe driving.
- the vehicle runplate assembly may enable safe driving even when the tire is punctured.
- the height of the runplate assembly is lower than the rim of the wheel body may facilitate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tire.
- the run plate assembly may be detected at an appropriate time by detecting a puncture of a tire.
- run-flat assembly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not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safe driving.
- runplate assembly is operated by using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two opposite poles, it is easy to switch between the normal driving mode and the safe driving mo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applied to wheels for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휠 몸체의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막대 및 제2 막대,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는 상기 원주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타이어 펑크 시에도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안전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중 타이어가 손상 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및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안전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적정 공기압을 갖는 타이어가 장착된 휠이 회전하여 주행한다. 주행 중 상기 타이어 펑크 시, 상기 자동차의 정상적인 주행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타이어 펑크 시에도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런플렛(run-flat) 타이어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런플렛(run-flat) 타이어는 타이어의 사이드 월이 강화된 구조를 갖거나, 타이어와 휠 사이에 타이어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구조를 갖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런플렛 타이어의 경우, 2차 적인 타이어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타이어가 크게 손상 시에는 정상적인 자동차의 주행이 불가능하다. 또한, 타이어와 휠 사이에 위치하는 별도의 지지 구조 때문에, 휠에 타이어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 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손상에도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안전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휠 몸체의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막대 및 제2 막대,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리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는 상기 원주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리들은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제1 또는 제2 막대를 기준으로, 제1 고리는 이웃하는 막대와 연결되고, 제2 고리는 상기 제1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막대의 반대편 이웃하는 막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고리 및 제2 고리가 번갈아서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와 상기 제2 막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와 상기 제2 막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막대는 상기 원주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막대는 상기 원주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 및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과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과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주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휠 몸체의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원주면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원주면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의 이웃하는 제1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제2 부재의 제2 돌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골(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골에 제1 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극과 마주보는 제2 극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은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은 서로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휠은 원주면 및 상기 원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림을 포함하는 휠 몸체, 상기 림에 의해 상기 휠 몸체에 고정되는 타이어, 및 상기 원주면 및 상기 타이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런플렛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상기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가 상기 원주면 상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져,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가 상기 타이어의 상기 내측면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극성이 변화하는 제1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극성이 변화하고 상기 제1 극과 마주보는 제2 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전 휠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타이어 펑크 시에도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높이는 휠 몸체의 림보다 낮아 상기 타이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타이어의 펑크를 감지하여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를 적절한 시기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이 아닌 단단한 재질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마주보는 두개의 극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어, 일반 주행 모드와 안전 주행 모드의 전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휠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런플렛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5a 및 5b의 런플렛 어셈블리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휠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 휠은 휠 몸체(100), 상기 휠 몸체(100)에 결합되는 타이어(10), 상기 휠 몸체(100)와 상기 타이어(10) 사이에 배치되는 런플렛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상기 휠 몸체(100)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휠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를 상기 일반적인 자동차용 휠에 설치하고, 상기 타이어(10)를 결합하여 자동차용 안전 휠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휠 몸체(100)는 원주면(110) 및 림(130)을 포함한다.
상기 원주면(110) 상에는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가 배치된다.
상기 원주면(110)의 양측에는 상기 림(130)이 형성된다. 상기 림(130)은 타이어(10)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성한다.
상기 휠 몸체(100)상에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10)를 상기 휠 몸체(10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가 작동하지 않는 일반 주행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의 높이가 상기 림(130)의 높이 보다 낮으므로, 상기 타이어(10)를 상기 휠 몸체(10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 도 2a는 자동차가 일반적인 주행할 경우인 일반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인 안전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는 제1 막대(202), 제2 막대(204), 제3 막대(206) 및 상기 막대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고리(212) 및 제2 고리(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막대(202), 상기 제2 막대(204) 및 상기 제3 막대(206)는 휠 몸체의 원주면(110)상에 연속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3 막대(202, 204, 206)는 상기 원주면(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휠 몸체의 림과 림 사이(도 1의 130 참조)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는 상기 휠 몸체의 원주면(110) 상에 접촉하고, 상기 림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타이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상기 제1 막대(202)와 상기 제2 막대(204)는 상기 제1 고리(21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202)와 상기 제2 막대(204)가 상기 제1 고리(212)의 길이 보다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고리(212)가 상기 원주면(110)상에 접촉한 상태로 일반적인 주행이 가능하다.(도2a) 한편, 상기 제1 막대(202)와 상기 제2 막대(204)가 상대적으로 서로 멀어져 상기 제1 고리(212)의 양 끝에 위치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의 직경이 커지며, 상기 안전 주행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도2b)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막대(202) 및 상기 제2 막대(204)는 서로 반발하는 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막대(202) 및 상기 제2 막대(204)는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다가, 전류를 흘려주면 서로 반발하여 멀어짐으로써 상기 안전 주행 모드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리(212)는 단단한 재질의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막대(204)와 상기 제3 막대(206)는 상기 제2 고리(214)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고리(212) 및 상기 제2 고리(214)는 지그재그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2 막대(204)와 상기 제3 막대(206)가 상기 제2 고리(214)의 길이 보다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고리(214)가 상기 원주면(110)상에 접촉한 상태로 일반적인 주행이 가능하다.(도2a) 한편, 상기 제2 막대(204)와 상기 제3 막대(206)가 상대적으로 서로 멀어져 상기 제2 고리(214)의 양 끝에 위치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의 직경이 커지며, 상기 안전 주행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도2b)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2 막대(204) 및 상기 제3 막대(206)는 서로 반발하는 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막대(204) 및 상기 제3 막대(206)는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다가, 전류를 흘려주면 서로 반발하여 멀어짐으로써 상기 안전 주행 모드로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제2 고리(214)는 단단한 재질의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막대들과 고리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는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휠 몸체의 원주면(110)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는 상기 안전 주행 모드, 즉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에는,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의 외측면이 상기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고리들(212, 214)의 외측면이 상기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가 펑크 나더라도,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런플렛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3a는 자동차가 일반적인 주행할 경우인 일반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b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인 안전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는 제어부(250) 및 연결부(2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도 1 내지 2b에 나타난 런플렛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타이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타이어 펑크로 인해 상기 압력이 특정 압력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의 외경이 커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200)가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안전 주행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막대들(202, 204, 206)이 서로 반발하는 힘을 갖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50)는 휠 몸체의 원주면(110)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연결부(252)를 통해 각각의 막대들(202, 204, 2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타이어가 펑크 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연결부(252)를 통해 상기 막대들(202, 204, 206)에 전기 신호 또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막대들(202, 204, 206)이 서로 반발하는 힘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50)는 충격을 감지하여, 타이어 펑크로 인해 특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막대들(202, 204, 206)이 서로 반발하는 힘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들이다. 도 4a는 자동차가 일반적인 주행할 경우인 일반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4b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인 안전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는 제1 막대(302), 제2 막대(304), 및 상기 막대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고리(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막대(302) 및 상기 제2 막대(304)는 휠 몸체의 원주면(110)상에 번갈아 가며 연속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막대(302, 304)는 상기 원주면(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휠 몸체의 림과 림 사이(도 1의 130 참조)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는 상기 휠 몸체의 원주면(110) 상에 접촉하고, 상기 림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타이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상기 제1 막대(302)와 상기 제2 막대(304)는 상기 고리(31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막대(302)는 상기 원주면(110) 방향으로 서로 대향(opposite)하는 제1 극(302a) 및 제2 극(30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극(302a) 및 상기 제2 극(302b)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의 극을 이룰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막대(304)는 상기 원주면(110)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극(304a) 및 제2 극(30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극(304a) 및 상기 제2 극(304b)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의 극을 이룰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이웃하는 막대들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극은 반대 종류의 극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는(facing) 상기 제1 막대(302)의 제2 극(302b)과 상기 제2 막대(304)의 제1 극(304a)은 서로 다른 극, 예를 들면 상기 제1 막대(302)의 제2 극(302b)은 N극, 상기 제2 막대(304)의 제1 극(304a)은 S극 또는 반대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막대(302)와 상기 제2 막대(30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며,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 전체의 지름이 작아져, 상기 원주면(110) 상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의 높이는 상기 휠 몸체의 상기 림 보다 낮을 수 있으며, 타이어의 공기압에 의한 일반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이웃하는 막대들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극은 같은 종류의 극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는(facing) 상기 제1 막대(302)의 제2 극(302b)과 상기 제2 막대(304)의 제1 극(304a)은 서로 같은 극, 예를 들면 상기 제1 막대(302)의 제2 극(302b) 및 상기 제2 막대(304)의 제1 극(304a)은 모두 N극 또는 모두 S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막대(302)와 상기 제2 막대(30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며,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 전체의 지름이 커져, 상기 원주면(110) 상에서부터 이격되어,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타이어의 펑크 등으로 공기압이 손실되어, 정상적인 주행이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가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막대들과 고리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3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플렛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5a는 자동차가 일반적인 주행할 경우인 일반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인 안전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5b의 런플렛 어셈블리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는 휠 몸체의 원주면(110) 상에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부재(410) 및 제2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410)는 상기 원주면(110)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412)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41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14)은 후술할 가이드 돌기(424)를 수납하여 가이드하며, 상기 일반 주행 모드와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의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의 직경 변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웃하는 두개의 상기 제1 돌출부(412) 사이에 형성되는 골(groove)에는 제1 극(4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극(416)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의 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420)는 상기 원주면(110)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돌출부(422)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4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424)는 상기 제1 부재(410)의 상기 제1 돌출부(412)의 상기 가이드 홈(414)에 수납된다. 상기 제2 돌출부(422)의 끝단에는 제2 극(42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극(426)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되는 전자석의 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극(426)은 상기 제1 극(416)과 마주본다.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극(416) 및 상기 제2 극(422)은 서로 다른 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극(416)은 N극, 상기 제2 극(422)은 S극 또는 반대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극(416)과 상기 제2 극(42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며,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 전체의 지름이 작아져, 상기 원주면(110) 상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의 높이는 상기 휠 몸체의 상기 림 보다 낮을 수 있으며, 타이어의 공기압에 의한 일반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416) 및 상기 제2 극(422)은 서로 같은 종류의 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극(416) 및 상기 제2 극(422)은 모두 N극 또는 모두 S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극(416)과 상기 제2 극(42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며,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 전체의 지름이 커져, 상기 원주면(110) 상에서부터 이격되어,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타이어의 펑크 등으로 공기압이 손실되어, 정상적인 주행이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400)가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타이어 펑크 시에도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의 높이는 휠 몸체의 림보다 낮아 상기 타이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타이어의 펑크를 감지하여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를 적절한 시기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탄성 재질이 아닌 단단한 재질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 마주보는 두개의 극 사이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어, 일반 주행 모드와 안전 주행 모드의 전환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에 적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 자동차의 휠 몸체의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막대 및 제2 막대; 및이웃하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리를 포함하고,각각의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는 상기 원주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 및 상기 제2 막대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지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들은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포함하고,하나의 상기 제1 또는 제2 막대를 기준으로, 제1 고리는 이웃하는 막대와 연결되고, 제2 고리는 상기 제1 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막대의 반대편 이웃하는 막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고리 및 제2 고리가 번갈아서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와 상기 제2 막대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막대와 상기 제2 막대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막대는 상기 원주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고,상기 제2 막대는 상기 원주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극 및 제2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고,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 및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과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막대의 제2 극과 상기 제2 막대의 제1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주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자동차의 휠 몸체의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지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원주면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원주면을 따라 양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부재의 이웃하는 제1 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제2 부재의 제2 돌출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양 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상기 제1 돌출부들 사이에 골(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골에 제1 극이 배치되고,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극과 마주보는 제2 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은 서로 인력이 작용하고,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은 서로 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전기적 제어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고,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플렛 어셈블리.
- 원주면 및 상기 원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림을 포함하는 휠 몸체;상기 림에 의해 상기 휠 몸체에 고정되는 타이어; 및상기 원주면 및 상기 타이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런플렛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는상기 원주면 상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가 상기 원주면 상에 접촉하여 배치되고,타이어가 펑크 난 경우의 안전 주행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 비해 서로 멀어져, 상기 런플렛 어셈블리가 상기 타이어의 상기 내측면에 접촉하는 안전 휠.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극성이 변화하는 제1 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극성이 변화하고 상기 제1 극과 마주보는 제2 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휠.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일반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상기 안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1 극 및 상기 제2 극은 서로 같은 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휠.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3193 WO2014171565A1 (ko) | 2013-04-16 | 2013-04-16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KR1020157032697A KR20160006182A (ko) | 2013-04-16 | 2013-04-16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3193 WO2014171565A1 (ko) | 2013-04-16 | 2013-04-16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71565A1 true WO2014171565A1 (ko) | 2014-10-23 |
Family
ID=5173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3/003193 WO2014171565A1 (ko) | 2013-04-16 | 2013-04-16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6182A (ko) |
WO (1) | WO201417156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1255A (zh) * | 2019-06-04 | 2019-08-27 | 宁波泰科威橡胶科技有限公司 | 一种爆胎应急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58892B (zh) * | 2021-09-18 | 2022-08-09 | 厦门大学 | 一种可兼容胎压传感器和宽度可调节的爆胎应急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0625A (ko) * | 1995-06-05 | 1997-01-21 | 조래승 | 런 플랫 (Run flat) 이 내장된 타이어 |
JP2004142487A (ja) * | 2002-10-22 | 2004-05-20 | Topy Ind Ltd | 挿入性のよいランフラット中子 |
KR200370549Y1 (ko) * | 2004-09-22 | 2004-12-14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펑크시 차량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링 |
KR20060048172A (ko) * | 2004-06-08 | 2006-05-18 |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 내부 핀을 구비한 런플랫 지지 링 |
US20120223569A1 (en) * | 2009-05-07 | 2012-09-06 | Run Flat Systems Limited | Runflat device and a method for fitting the same |
-
2013
- 2013-04-16 KR KR1020157032697A patent/KR20160006182A/ko not_active Abandoned
- 2013-04-16 WO PCT/KR2013/003193 patent/WO201417156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0625A (ko) * | 1995-06-05 | 1997-01-21 | 조래승 | 런 플랫 (Run flat) 이 내장된 타이어 |
JP2004142487A (ja) * | 2002-10-22 | 2004-05-20 | Topy Ind Ltd | 挿入性のよいランフラット中子 |
KR20060048172A (ko) * | 2004-06-08 | 2006-05-18 |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 내부 핀을 구비한 런플랫 지지 링 |
KR200370549Y1 (ko) * | 2004-09-22 | 2004-12-14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펑크시 차량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서포트링 |
US20120223569A1 (en) * | 2009-05-07 | 2012-09-06 | Run Flat Systems Limited | Runflat device and a method for fitt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1255A (zh) * | 2019-06-04 | 2019-08-27 | 宁波泰科威橡胶科技有限公司 | 一种爆胎应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182A (ko) | 2016-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4171565A1 (ko)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
WO2021162464A1 (ko) |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 |
WO2021015591A1 (ko) | 이차전지 제조공정용 직선왕복구동장치 | |
WO2014142563A1 (ko) | 전지팩 방전 장치 및 전지팩 방전 방법 | |
WO2017010776A1 (ko) | 버스 바 구조물 | |
WO2014115917A1 (ko) | 비공기입 휠 일체형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 |
WO2017052010A1 (ko) | 비공기압 바퀴 및 그 제조방법 | |
CN113905913B (zh) | 非充气轮胎、移动体供电装置以及移动体 | |
WO2019103226A1 (ko) |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 |
WO2016032208A1 (ko) | 편심위치에 머물러 있는 액슬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 |
WO2013191377A1 (ko) |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 |
CN110228498A (zh) | 变轨距轮对用锁紧机构的防尘盖及变轨距轮对 | |
WO2018066758A1 (ko) |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 |
WO2014157747A1 (ko) | 자동차용 런플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휠 | |
WO2015099268A1 (ko) | 엔진식 지게차의 전원 이상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 |
WO2019216628A1 (ko) | 철도차량의 통로 연결용 벨로우즈 | |
WO2014168418A1 (ko) | 차량용 브레이크 챔버의 챔버케이스 장치 | |
WO2015093752A1 (ko) | 영구자석형 전자기 제동 실린더 | |
WO2018190515A1 (ko) | 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및 연료절감장치 | |
KR20240020992A (ko) | 차량의 차체 | |
WO2017122927A1 (ko) | 지퍼 체인 | |
WO2015002366A1 (ko) | 진자형 마찰 시스템 | |
WO2012008688A2 (ko) | 형상 변형 바퀴 | |
WO2021085736A1 (ko) | 자동차용 와이퍼 | |
WO2013024965A1 (en) | Stator assembly having bolt c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3882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157032697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3882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