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5913A1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4115913A1 WO2014115913A1 PCT/KR2013/000613 KR2013000613W WO2014115913A1 WO 2014115913 A1 WO2014115913 A1 WO 2014115913A1 KR 2013000613 W KR2013000613 W KR 2013000613W WO 2014115913 A1 WO2014115913 A1 WO 2014115913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lm
- microstructured optical
- marks
- present
- ma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in which an optically readable pattern is formed on a surface of an electronic pen.
- Touch-type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electroluminescent displays, plasma displays, and the like, and can be used in large or small image display devices.
- LCDs liquid crystal displays
- Many applications use input / output devices such as touch panels or graphic panels with electronic displays.
- touch panels are widely used in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or smart phones.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 smartphone a user performs an input / output operation by directly touching an image display surface with a finger or a pen.
- transparency of the entir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is reduced due to light reflection by fingerprint marks or the like on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 the sharpness of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is reduced.
- the periphery of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is reflected in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so that the sharpness is reduced.
- a pattern of bumps or dips has been provided on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to prevent a reduction in sharpness of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 microstructured optical films have been filed and registered in addition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7023278 (name of the invention: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ereinafter 'prior invention').
- the surface reflection distribution region 20 is a transparent sheet by arranging transparent microstructures (preferably prismatic microstructures) whose shape, height, and distribution density are controlled.
- transparent microstructures preferably prismatic microstructures
- a reflective layer formed on the shaped substrate 10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can be reflec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surface of the microstructure and prevents strong mirror reflec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a flat surface coul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which forms an encoding pattern for optical reading on the surface of the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so that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surface can be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do.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encoding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in the optical device, which is a plurality of marks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urface And a region other than the mark, each of the plurality of mark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icrostructures and reflects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device.
- the micro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hemispherical, square pyramid, cylindrical, box, wedge-shaped.
- the mark has any on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rk valu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rk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formed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 the microstructure formed in the optical film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sharpness of the touch input / output surface, by using a plurality of marks to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rface in the optical field such as an electronic pen do.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ptical film 110 fine structure
- a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tical film') 100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s follows.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s the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100 to detect the encoding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in the optical device to determine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marks 120 representing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surface, wherein the plurality of marks comprises a plurality of microstructures 110.
-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100 may be form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display, or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surface.
- the optical device generally has a pen shape, and includes an illumination unit and a detection unit, and an illumination unit of the optical device radiates light such as infrared rays or radiation to the optical film 100, and the detection unit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to the optical film ( The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at 100 may be detected to recognize a pattern of a plurality of marks 120 formed on the surface.
- the optical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or scatters the light irradiated with the plurality of marks 120, and the light is not reflected in the areas other than the marks 120, or the reflected light is more than the marks 120. It is lower than a certain standard so that the optical device determines that there is no reflected light.
- the plurality of marks 120 of the optical fil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cognized as white with light reflected from the optical device, and the area outside the marks 120 is recognized as black without relatively reflected light. It can be said.
- the microstructure 110 has a size that is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and the light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0 is reflect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surface of the microstructure 110.
- the microstructure 11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 square pyramid shape, a cylinder shape, a box shape, a wedge shape, or any shape. Therefore, even if a light source such as illumination or the sun is present by the plurality of microstructures 110, or a stain such as a fingerprint of a user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0, the stain is hardly noticeable, and thus a decrease in display performance is suppressed. Sharpness is improved.
- the mark 120 includes a microstructure 110 so that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detected by the optical devic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ark 120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an intersection point of a virtual grid line. do. Each mark 120 has a mark value, and the mark value is at least two different number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ark 1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 straight line, and one type of the mark 120 may be used for one optical film 100.
- the mark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mark 120 is formed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s.
- the optical device detects the plurality of marks 120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 the virtual grid lines are invisible reference lines on the optical film 100 and are form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 the distance between the lattice lines is preferably about 250 ⁇ m to 300 ⁇ m.
- Marks 1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tersections of the virtual grid lines, preferably 1/4 to 1/8 of the distance between the grid lines, and may be formed in four directions on the grid lines around the intersections of the grid lines. have.
- One mark 120 may be associated with each intersection of the grid lines,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mark 120 and the intersection of the grid lines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1/4 and 1/8, and two or more points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grid lines. May be associated with the mark 120.
-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using a location where the mark 120 is formed based on a virtual grid line using the plurality of marks 120. For example, when the optical apparatus detects an encoding pattern having a size of 6 ⁇ 6, 36 marks 120 of 6 pieces in width and width have respective mark values, and the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optical apparatus using the respective mark values. can do.
- Existing optical film 100 has a disadvantage that the microstructure 110 is repeatedly formed to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of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100 due to excessive high density, blurring the display, but only the mark 120 is fine In the case of forming the structure 11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effect of blurring the display.
- Optical film 10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lastic film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oriented polypropylene, polycarbonate, triacetate, and the like as a transparent material. Do not.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the optical film 100 may be used in various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layer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100, a specific use, and the like.
- the optical film 100 further includes an infrared reflecting layer 130 that transmits visible light at the bottom and reflects only infrared light, as shown in FIG. 5, to reflect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device to the optical film 100 to provide optical Efficiently reach the image sensor of the device.
- an infrared reflecting layer 130 that transmits visible light at the bottom and reflects only infrared light, as shown in FIG. 5, to reflect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device to the optical film 100 to provide optical Efficiently reach the image sensor of the device.
- the optical film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or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 the optical film 100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200 at the bottom of the optical film 100 to attach to the surface of a monitor, a screen, or the like. It may 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표면에 광학 판독용 인코딩 패턴을 형성하여 전자펜에서 표면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학 장치에서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있어서, 표면상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다수의 미세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펜에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패턴을 표면에 형성한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며 대형 또는 소형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분야에서 전자식 디스플레이를 갖는 터치 패널 또는 그래픽 패널과 같은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은 PDA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에 널리 사용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펜으로 화상 디스플레이 표면을 직접 접촉하여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으로 터치 입/출력 표면을 접촉하여 다양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터치 입/출력 표면 전체의 투명도가 터치 입/출력 표면 상의 지문 자국 등에 의한 광 반사로 인해 감소되므로, 터치 입/출력 표면의 선명도가 감소된다. 더욱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터치 입/출력 표면 중에 터치 입/출력 표면의 주변부가 비치므로, 선명도가 감소된다.
통상적으로, 터치 입/출력 표면의 선명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터치 입/출력 표면에 융기부(bump) 또는 함몰부(dip)의 패턴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미세구조화 광학필름에 대해서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5-7023278호(발명의 명칭 : 미세구조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이하 '선행발명')외에 다수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
선행발명은 도 1 내지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학 필름에서 표면 반사 분배 영역(20)은 형태, 높이, 및 분포 밀도가 조절되는 투명 미세구조(바람직하게는 프리즘형 미세구조)를 배치함으로써 투명 시트-형 기판(10)상에 형성된 반사층 상에 제공되어, 광학 필름의 표면상에 입사된 빛이 미세구조의 표면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며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의 강한 거울 반사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 결과로서, 실내의 조명이나 실외 태양광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반사에 의한 선명도 저하가 발생되지 않으며, 심지어 지문과 같은 얼룩이 광학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더라도 얼룩은 거의 눈에 띄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고 선명도가 개선되었다.
그런데, 선행발명은 필름하단의 터치스크린에 의한 정전식 방식에 의하여 동작하였기 때문에 손 이외에 부도체로 정확한 위치를 선택하기 어려웠다. 또한, 필름에 필름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부호가 없어서 전자펜에서 광학적으로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표면에 광학 판독용 인코딩 패턴을 형성하여 전자펜에서 표면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학 장치에서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을 제공하며, 이는 표면상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마크와 마크 이외 영역을 포함하고, 다수의 마크 각각은 다수의 미세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학 장치가 감지하는 광 반사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구조는 반구형, 사각뿔형, 원기둥형, 박스형, 쇄기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마크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마크값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마크값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필름에 형성된 미세구조를 이용하여 터치 입/출력 표면의 선명도 감소를 방지하고, 다수의 마크를 이용하여 전자펜 등 광학 장에서 표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종래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종래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을 포함하는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 기판 20 : 반사 분배 영역
100 : 광학 필름 110 : 미세구조
120 : 마크 130 : 반사층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이하, '광학 필름')(100) 및 그 방법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장치에서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100)으로서, 표면상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마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마크는 다수의 미세구조(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100)은 디스플레이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표면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참고로, 광학 장치는 일반적으로 펜의 형태를 가지고 조명부와 감지부를 포함하여 광학 장치의 조명부가 광학 필름(100)에 적외선 또는 방사선 등의 빛을 조사하고, 감지부는 조명부가 조사한 빛을 광학 필름(100)에서 반사 또는 산란시킨 빛을 감지하여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마크(120)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필름(100)은 다수개의 마크(120)가 조사된 빛을 반사 또는 산란하며 마크(120)들 이외의 영역에서는 빛이 반사되지 않거나 마크(120)들보다 반사된 빛이 일정 기준 보다 낮아서 광학 장치가 반사된 빛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 필름(100)의 다수의 마크(120)는 광학장치에서 반사된 빛이 있는 흰색으로 인식되고, 마크(120) 외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반사된 빛이 없는 검은색으로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미세구조(110)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크기를 가지며 광학 필름(100)의 표면 상에 입사된 빛이 미세구조(110)의 표면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또한, 미세구조(110)는 반구형, 사각뿔형, 원기둥형, 박스형, 쇄기형 또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미세구조(110)에 의해 조명이나 태양 등 광원이 존재하거나, 사용자의 지문과 같은 얼룩이 광학 필름(100)의 표면에 부착되더라도 얼룩은 거의 눈에 띄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고 선명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크(120)는 미세구조(110)를 포함하여 위치 정보를 광학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각각의 마크(120)는 마크값을 가지고, 마크값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수이다. 그리고, 마크(120)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직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광학 필름(100)에는 한 종류의 마크(1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크(120)가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마크값이 결정된다. 광학 장치는 이러한 다수의 마크(120)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가상의 격자선은 광학 필름(100) 상에 눈에 보이지 않는 기준선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다. 격자선사이의 거리는 대략 25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크(120)가 형성되는데 격자선사이의 거리의 1/4 내지 1/8이 바람직하고,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격자선상의 4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자선의 교점마다 하나의 마크(120)를 연관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마크(120)와 격자선의 교점과의 거리를 1/4와 1/8로 두가지로 분류하여 하나의 격자선의 교점에 두 개 이상의 마크(120)와 연관시킬 수도 있다.
광학 장치에서 다수의 마크(120)를 이용하여 가상의 격자선을 기준으로 마크(120)가 형성된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광학 장치에서 6x6 크기의 인코딩 패턴을 감지한 경우 가로세로 6개씩 36개의 마크(120)는 각각의 마크값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마크값을 이용하여 절대 위치정보를 광학 장치에서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광학 필름(100)은 미세구조(110)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지나친 고밀도로 인하여 광학 필름(100) 하단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저하시키고, 디스플레이를 흐릿하게 보이는 단점이 있었으나 마크(120)만 미세구조(110)로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흐릿하게 보이는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학 필름(100)은 투명한 재질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필름, 유리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광학 필름(100)은 광학 필름(100)의 층 구조, 특정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10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만 반사시키는 적외선 반사층(130)을 더 포함하여 광학장치에서 광학필름(100)으로 방출한 적외선을 반사하여 광학장치의 이미지센서에 효율적으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층 혹은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광학 필름(100) 하단에 접착층(200)을 더 포함하여 모니터, 스크린 등의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 광학 장치에서 표면에 형성된 인코딩 패턴을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에 있어서,표면상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마크와 마크 이외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다수의 마크 각각은 다수의 미세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학 장치가 감지하는 광 반사를 하는 것인,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미세구조는 반구형, 사각뿔형, 원기둥형, 박스형, 쇄기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크는,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마크값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마크값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화 광학 필름.
- 제 1 항에 있어서,하단부에 가시광선은 투과시키지만 적외선은 반사시키는 적외선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구조화 광학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0613 WO2014115913A1 (ko) | 2013-01-25 | 2013-01-25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0613 WO2014115913A1 (ko) | 2013-01-25 | 2013-01-25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15913A1 true WO2014115913A1 (ko) | 2014-07-31 |
Family
ID=5122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3/000613 WO2014115913A1 (ko) | 2013-01-25 | 2013-01-25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WO (1) | WO2014115913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6137A (ja) * | 2002-02-28 | 2003-09-10 | Kokuyo Co Ltd | ディスプレイ、透明シート |
KR20040047819A (ko) * | 2002-09-26 | 2004-06-05 | 요시다 켄지 |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재생, 입출력방법, 정보재생장치,휴대정보 입출력 장치 및 전자완구 |
JP2006011763A (ja) * | 2004-06-25 | 2006-01-12 | Citizen Watch Co Ltd | 入力装置 |
KR20060014436A (ko) * | 2003-06-06 | 2006-02-1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00052526A (ko) * | 2007-08-09 | 2010-05-19 | 켄지 요시다 |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및 캘리브레이션 방법 |
-
2013
- 2013-01-25 WO PCT/KR2013/000613 patent/WO201411591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6137A (ja) * | 2002-02-28 | 2003-09-10 | Kokuyo Co Ltd | ディスプレイ、透明シート |
KR20040047819A (ko) * | 2002-09-26 | 2004-06-05 | 요시다 켄지 |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재생, 입출력방법, 정보재생장치,휴대정보 입출력 장치 및 전자완구 |
KR20060014436A (ko) * | 2003-06-06 | 2006-02-15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JP2006011763A (ja) * | 2004-06-25 | 2006-01-12 | Citizen Watch Co Ltd | 入力装置 |
KR20100052526A (ko) * | 2007-08-09 | 2010-05-19 | 켄지 요시다 | 정보 입력 보조 시트,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입력 보조 시트를 이용한 인쇄 관련 출력 시스템 및 캘리브레이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678255B (zh) | 一种光学式指纹识别显示屏及显示装置 | |
US10922519B2 (en) | Textu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 texture using the same | |
CN106773273B (zh) |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驱动方法 | |
CN203838678U (zh) | 光学式触控面板以及触控显示面板 | |
US1036576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input | |
US20140055418A1 (en) | Touch display panel and optical touch panel thereof | |
KR20100121257A (ko) | 멀티 인식 터치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EP2555094A2 (en) | Touch control panel structure having a dummy pattern | |
JP6141432B2 (ja) |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デジタルペンシステム | |
KR101252243B1 (ko)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
CN102778976B (zh) | 一种触摸屏上触摸点位置的确定方法和触摸屏 | |
WO2013035991A2 (ko)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
WO2014115913A1 (ko) | 미세구조화 광학 필름 | |
WO2015102137A1 (ko) |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펜 시스템 | |
CN102253515B (zh) | 光学式触控显示装置与光学操作装置 | |
KR20140086061A (ko) |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펜 시스템 | |
CN101581847A (zh) | 触控式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器 | |
WO2017030397A1 (ko) | 광학식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1916151B (zh) | 光学板结构、包含其的触控式显示面板及触控式液晶显示器 | |
CN102122221B (zh) | 光学式触摸屏、显示装置 | |
KR101536759B1 (ko) | 광 흡수부가 구비된 터치펜 | |
CN101907955A (zh) | 光学式触控面板 | |
US20120223915A1 (en) | Touch module and touch display using the same | |
JP5957611B1 (ja) | 非接触入力装置及び方法 | |
CN119596612A (zh) | 电子墨水屏幕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38731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38731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