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3108995A1 -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08995A1
WO2013108995A1 PCT/KR2012/011039 KR2012011039W WO2013108995A1 WO 2013108995 A1 WO2013108995 A1 WO 2013108995A1 KR 2012011039 W KR2012011039 W KR 2012011039W WO 2013108995 A1 WO2013108995 A1 WO 20131089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shoe
elastic member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10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진영
Original Assignee
Chang Jin You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Chang Jin Young filed Critical Chang Jin Young
Priority to CN201280066009.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039189B/zh
Priority to US14/371,979 priority patent/US20140352176A1/en
Publication of WO20131089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089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for shoes and a shock absorbing shoe having the same.
  • the shoe insole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serves as a cushion while supporting the sole of the wearer.
  • the conventional shoe insole is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whose shape is close to a fla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insole has moisture.
  • the fibrous sheets are bonded to absorb and prevent slipp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for a shoe that can implement a more sufficient cushioning function by using a structural elastic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ompression / recovery ability of the material itself, and a shock-absorbing shoe having the same.
  •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 a cushion disposed above the sole; And an upper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ushion, wherein the cushion comprises: a rigid frame partitioning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t least a part of a wearer's foot;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frame and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to support the wearer's foot,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sole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securing a deformation space of the elastic member.
  • Relief shoes are provided.
  • a cushion for a shoe comprising: a rigid frame partitioning an inn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t least a part of a wearer's foot; A cushion is provided,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to support the wearer's foot.
  •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elastic layer and a second elastic lay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up and down,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transverse to the inner reg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It may include a rubber band wound around the frame.
  • the rubber band may be hollow.
  • 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t this time, the slits may be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contact area of the wearer's foot.
  • a portion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foot arch of the wearer may protrude upward, and the frame may b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urved upwar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hock-absorbing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cush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sho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ck-absorbing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ttom surface 14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cushion 130 disposed above the sole 140; And an upper 110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ushion 130.
  •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140, the groove 145 for securing the deformation space of the elastic member 134 is formed.
  •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rease the feeling of cushioning by utilizing elastic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simply compressing / recovering the member that performs the cushion function. That is, due to the deformation space secured by the groove 145 formed in the sole 140, the elastic member 134 supporting the wearer's foo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up and down, and as a result, as if the dumpling rides (tre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using a polyline, and the cushioning feeling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it can help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wearer.
  • the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ing sho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sole 14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and serves to generate friction with the ground for safe and quick walking.
  • protrusions (not shown) or trenches (not shown) of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140.
  • a groove 145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ole 140, and a space for allowing the elastic member 134 of the cushion 130 to be described below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groove 145. do.
  • Frame 132 is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approximately the shape of the wearer's foot) of the cushion 130, it is preferable to have a sufficient rigidity and made of a light material as possible.
  • the frame 132 may have a closed curve shape, as shown in FIG.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134 is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A defined by the closed curve to support the wearer's foot.
  • the frame 132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40, and part or all of the elastic member 134 may have the same vertical space as the groove 145 formed in the sole 140. It is located in the phase.
  • the elastic member 134 is supported by the frame 132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wearer's foot.
  • the elastic member 134 is deform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wearer.
  • the elastic member 134 can be sufficiently elastically deformed.
  • the elastic member 13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elastic member 134 may include a first elastic layer 134a and a second elastic layer 134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uch, when the elastic member 134 is divided into a first elastic layer 134a and a second elastic layer 134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lastic member 134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astic layer 134a and the second elastic layer 134b. By the space 135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ushioning by the elastic member 134 more. A method of forming the first elastic layer 134a and the second elastic layer 134b, and attaching a separate plate-shaped elastic body (not shown)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13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method of repeatedly winding the rubber ba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32. Using such a method, the rubber band has a shape that crosses the inner region A partitioned by the frame 132, and more easily implements the elastic member 134 having a two-layer structure.
  • a plurality of slits S may be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13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32.
  • the individual regions separated by the slit S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cush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 as a whole. You can expect the effect to be.
  • Such a slit S may be formed evenly over the elastic member 134, but as shown in FIG. 6, the slit S may b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contact area of the wearer.
  • the portion 132c of the frame 132 corresponding to the sole arch of the wearer may protrude upward.
  • the frame 132 has a front (132a) and a rear ( At least a portion of 132b may be upwardly curved. Through this, despite the presence of the frame 132, the natural gait of the wearer can be maintained.
  • Upper 110 wraps the wearer's foot, and serves to protect the wearer's ankle and instep.
  • the upper 110 may be formed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leather, synthetic resin, textile paper,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hoe 100 may be bound by a variety of means such as straps or velcro so as not to peel off.
  • a separate insole 1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shion 130, of course.
  • the above-described cushion 130 is produced and sold separately from the shoe and various It may be applied to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한 충격완화 신발이 개시된다. 상기 충격완화 신발은, 하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상측에 마련되는 갑피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쿠션은,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본 발명은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내부 바닥에 삽입되는 신발깔창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함과 아울러 쿠션역할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신발깔창은 그 형상이 평판에 가까운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섬유시트가 접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어느 한도를 넘어서는 중량이 가해지게 되면 깔창 재료 자체의 탄성 범위를 넘어서게 되어 더 이상 쿠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11-0043175호 (2011. 04. 27.)
본 발명은 재료 자체의 압축/회복 능력 외에 구조적인 탄성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충분한 쿠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상측에 마련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로서, 상기 쿠션은,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신발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쿠션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탄성층과 제2 탄성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프레임에 감긴 고무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줄은 속이 비어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슬릿은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상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은 상향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의 적어도 일부가 상향 만곡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의 밑창에 탄성부재의 변형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충분한 충격흡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을 나타내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100: 충격완화 신발
110: 갑피
120: 안창
130: 쿠션
132: 프레임
134: 탄성부재
140: 밑창
145: 홈
S: 슬릿
A: 내부영역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1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140); 상기 밑창(1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130); 및 상기 쿠션(130)의 상측에 마련되는 갑피(110)를 포함한다. 이 때, 쿠션(130)은,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A)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132)과; 상기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A)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밑창(140)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34)의 변형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홈(1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단순히 쿠션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의 압축/회복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활용함으로써, 쿠션감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밑창(140)에 형성되는 홈(145)에 의해 확보되는 변현공간으로 인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34)가 상하로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마치 덤블링 놀이기구(트렘폴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쿠션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근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 신발(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밑창(140)은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서, 안전하고 신속한 보행을 위해 지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면과의 마찰력 발생을 위해 밑창(140)의 하면에는 다양한 패턴의 돌기(미도시) 또는 트렌치(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밑창(140)의 상부에는 홈(14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홈(145)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할 쿠션(130)의 탄성부재(134)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확보된다.
밑창(140)의 상측에는 쿠션(130)이 배치된다. 쿠션(130)은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A)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132)과; 상기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
프레임(132)은 쿠션(130)의 전체적인 외형(대략적으로 착용자의 발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가급적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프레임(1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때 폐곡선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영역(A)에 탄성부재(134)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2)은 밑창(14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34)의 일부 또는 전부는 밑창(140)에 형성된 홈(145)과 동일한 수직공간 상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부재(134)는 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며,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신발(100)을 착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탄성부재(134)는 아래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 때, 탄성부재(134)의 아래 쪽에는 밑창(140)에 형성된 홈(145)에 의해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34)는 충분히 탄성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 후 탄성부재(134)에 대한 하중이 제거되면(반대발로 바꿔 걸으면), 탄성부재(134)는 원위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이 반복됨으로써 신발을 통해 트렘폴린과 유사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13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탄성층(134a)과 제2 탄성층(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34)를 서로 이격되는 제1 탄성층(134a)과 제2 탄성층(134b)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게 되면, 제1 탄성층(134a)과 제2 탄성층(134b) 사이의 공간(135)에 의해 탄성부재(134)에 의한 쿠션감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탄성층(134a)과 제2 탄성층(134b)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프레임(13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별도의 판재 형상의 탄성체(미도시)를 부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3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무줄을 반복적으로 감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고무줄이 프레임(132)에 의해 구획된 내부영역(A)을 가로지르는 형상을 갖게 되며, 보다 수월하게 2층 구조의 탄성부재(134)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구조의 고무줄을 이용하게 되면, 그 내부공간(134c)에 의해 고무줄 자체가 실질적으로 2층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쿠션감의 극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4)에는 프레임(132)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S)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34)에 슬릿(S)을 형성하게 되면, 슬릿(S)에 의해 구분되는 개별 영역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변형을 할 수 있게 되어, 쿠션(130)이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발에 밀착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릿(S)은 탄성부재(134)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32)에 고무줄을 반복하여 감는 것만으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슬릿(S)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상응하는 프레임(132)의 일부분(132c)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대해서도 충분한 지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착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32)의 리지드한 성질로 인해 착용자의 걸음걸이에 불편함이 생길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32)은 길이방향으로 전방(132a)과 후방(132b)의 적어도 일부가 상향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32)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자연스러움 걸음걸이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갑피(110)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 착용자의 발목 부분과 발등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갑피(110)는 신발(100)의 종류에 따라 가죽, 합성수지, 직물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벗겨지지 않도록 끈이나 벨크로 등 다양한 수단으로 결속될 수도 있다.
한편, 쿠션(130)의 상측에 별도의 안창(12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프레임(132)과 탄성부재(134)를 포함하는 쿠션(130)을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쿠션(130)은 신발과 별도로 분리되어 생산, 판매되어 다양한 신발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Claims (16)

  1. 하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상측에 마련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로서,
    상기 쿠션은,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밑창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탄성층과 제2 탄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프레임에 감긴 고무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은 속이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상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은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의 적어도 일부가 상향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신발.
  9. 신발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
    착용자의 발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내부영역을 구획하는 리지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부영역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쿠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제1 탄성층과 제2 탄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프레임에 감긴 고무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은 속이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5. 제9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바닥 아치부에 상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은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의 적어도 일부가 상향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쿠션.
PCT/KR2012/011039 2012-01-16 2012-12-18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WO20131089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66009.1A CN104039189B (zh) 2012-01-16 2012-12-18 鞋垫和包括该鞋垫的吸震鞋
US14/371,979 US20140352176A1 (en) 2012-01-16 2012-12-18 Shoe cushion and shock absorbing sho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4934A KR101149489B1 (ko) 2012-01-16 2012-01-16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KR10-2012-0004934 2012-0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8995A1 true WO2013108995A1 (ko) 2013-07-25

Family

ID=4627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1039 WO2013108995A1 (ko) 2012-01-16 2012-12-18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52176A1 (ko)
KR (1) KR101149489B1 (ko)
CN (1) CN104039189B (ko)
WO (1) WO2013108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74A (ko) 2014-12-22 2016-06-30 기 상 정 충전식 캐비티백 장화 제조방법
US9370221B1 (en) * 2015-08-26 2016-06-21 Ming-Wen Hsu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footwear
EP3975786A1 (en) * 2019-05-30 2022-04-06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32Y1 (ko) * 1985-11-11 1988-10-12 조명석 완충성 신발창
JP2002165608A (ja) * 2000-11-29 2002-06-11 Tanabe Satoshi
KR100485758B1 (ko) * 2004-07-29 2005-04-27 안정래 신발
KR20110094942A (ko) * 2010-02-18 2011-08-24 유효상 덤블링 슈즈 및 덤블링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5519A (en) * 1932-11-25 1933-11-14 Gilbert F Quinn Tread mem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48104554U (ko) 1972-03-14 1973-12-06
JPS5940802Y2 (ja) 1981-12-15 1984-11-21 株式会社 リンザイ 履物用底材
US4597196A (en) * 1984-08-24 1986-07-01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ies, Inc. Orthotic insert and method or making of the same
US4803747A (en) * 1986-03-07 1989-02-14 Brown Dennis N Orthotic and method of making of the same
US4718179A (en) * 1986-03-07 1988-01-12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ies, Inc. Orthotic and method of making of the same
US4962593A (en) * 1986-03-07 1990-10-16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y, Inc. Orthotic and method of making of the same
CA1338369C (en) * 1988-02-24 1996-06-11 Jean-Pierre Vermeulen Shock absorbing system for footwear application
GB2221378A (en) * 1988-08-02 1990-02-07 Far East Athletics Limited Sole with the compressible shock absorbers
US5502901A (en) * 1991-05-07 1996-04-02 Brown; Jeffrey W. Shock reducing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25270U (zh) * 1992-06-04 1992-12-23 余自强 弹性鞋垫及鞋底
US5224278A (en) * 1992-09-18 1993-07-06 Jeon Pil D Midsole having a shock absorbing air bag
US5544431A (en) * 1995-06-16 1996-08-13 Dixon; Roy Shock absorbing shoe with adjustable insert
US5680714A (en) * 1996-07-08 1997-10-28 Lopez; Randy Gerald Trampoline effect athletic shoe having elastic sole return strips
US6405456B1 (en) * 2000-04-11 2002-06-18 Gregg R. Nichelson Shock reducing innersole
US6408543B1 (en) * 2000-05-18 2002-06-25 Acushnet Company Footbed system with variable sized heel cups
CN2540113Y (zh) * 2002-05-05 2003-03-19 周明强 助力运动鞋
US20040154191A1 (en) * 2003-02-07 2004-08-12 Chul-Soo Park Shock absorbing shoe
US20100058616A1 (en) * 2006-05-23 2010-03-11 Hyun-Wook Ryoo Shoe having an elastic body
US7958653B2 (en) * 2006-09-21 2011-06-14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Cushioned orthotic
CN201101175Y (zh) * 2007-11-15 2008-08-20 石狮蚂蚁城鞋服有限公司 一种减震鞋
CN201718591U (zh) * 2010-07-16 2011-01-26 龙文 一种弹簧鞋垫的弹簧装置及具有该弹簧装置的弹力鞋
CN101933689B (zh) * 2010-09-13 2011-12-14 中澳(福建)体育用品有限公司 具有高防护功能的儿童护足健步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32Y1 (ko) * 1985-11-11 1988-10-12 조명석 완충성 신발창
JP2002165608A (ja) * 2000-11-29 2002-06-11 Tanabe Satoshi
KR100485758B1 (ko) * 2004-07-29 2005-04-27 안정래 신발
KR20110094942A (ko) * 2010-02-18 2011-08-24 유효상 덤블링 슈즈 및 덤블링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39189A (zh) 2014-09-10
KR101149489B1 (ko) 2012-05-24
US20140352176A1 (en) 2014-12-04
CN104039189B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5741B2 (en) Multilayered footwear
WO2010140732A1 (ko) 신발용 인솔
WO2013028036A2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WO2012005419A1 (ko) 에어백을 갖는 신발 안창
WO2012115343A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WO2011043507A1 (ko) 삼단 쿠션신발창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WO2013032164A2 (ko) 충격 흡수성과 분산성 및 유연성이 강화된 신발창
WO2010077033A2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WO2013108995A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WO2014042380A1 (ko) 기능성 깔창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ITMI962479A1 (it)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WO2020166919A1 (ko)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WO2014061862A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WO2012141375A1 (en) Cushion member and a shoe insole comprising the same
WO2011115357A2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WO2018088768A1 (ko)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신발
KR20170006620A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2670412B1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WO2013169065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1136531A2 (en) Sole for absorbing shock and mitigating foot pressure concentration and diabetic shoe having the same
WO2012060557A2 (ko) 탄성 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66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7197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660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