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3019010A2 -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19010A2
WO2013019010A2 PCT/KR2012/005885 KR2012005885W WO2013019010A2 WO 2013019010 A2 WO2013019010 A2 WO 2013019010A2 KR 2012005885 W KR2012005885 W KR 2012005885W WO 2013019010 A2 WO2013019010 A2 WO 201301901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esent
handle
tablet
grip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58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19010A3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Kim Yong S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903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09386B1/ko
Application filed by Kim Yong Sun filed Critical Kim Yong Sun
Priority to JP201452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27335A/ja
Priority to US14/233,884 priority patent/US20140159403A1/en
Priority to CN201280034875.2A priority patent/CN103688229A/zh
Publication of WO201301901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10A2/ko
Publication of WO201301901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1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25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s, tablets or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Definitions

  • a handle structur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ixing portion 5 is fixed to the corner of the back; and a punching portion (1) in the center form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5)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insert (3).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te-shaped handle on the back of the tablet fish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te-shaped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12 of the tablet fish body 10, and the plate-shaped handle has a shap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5, which is fastened to four corners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2, wraps around the corners ('or' ⁇ 'shape). Shape), a circular perforated part 1 is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body (finger) insertion part 3, which is a side connecting the fixed part and the fixed part, is formed in a gentle curve (curvature) toward the perforated part. It is treated to induce smooth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테블릿피시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한 판형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블릿피시 배면의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5);와 중앙에 천공부(1);와 상기 고정부(5,5') 사이에 형성된 신체삽입부(3)를 포함하되, 상기 신체삽입부(3)는 손가락 등이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천공부쪽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하고 상기 천공부(1)는 원형인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재질로는 가죽 또는 직물지를 사용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한 판형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아이폰과 같은 이른바 테블릿피시(PC)는 배터리와 메모리 등의 성능발달로 경량화되면서 휴대가 용이함에 따라 점차 더 넓은 화면의 휴대용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 넓어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기기의 폭이 넓어질 수밖에 없어 손이 작은 사용자들에게는 한 손만으로 기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어려워져 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기의 두께 등 외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들도 한 손만으로 기기를 쉽게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띠형(벨트형) 손잡이 구조를 개발하여 출원(출원번호 제10-2011-0056477호, 2011.5.6.출원, 발명자; 김영선)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띠형 손잡이는 스마트폰보다 큰 테블릿피시를 파지하는 데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크기가 크고 무게가 더 나가는 테블릿피시에는 여러 개의 손가락 또는 손 자체가 다양한 방식으로 파지될 수 있어야 하는데 단방향의 띠는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이 좁고, 파지방식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테블릿피시의 배면에 판형 손잡이 즉, 손잡이 판을 부착하되, 더욱 편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상을 일정하게 고안함으로써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단말기 특히 테블릿피시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손잡이를 제공하되, 손잡이의 구조가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손잡이를 제공하되, 손잡이 기능과 아울러 기기를 보호하는 기능도 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는 손잡이 구조로서, 상기 배면의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5);와 중앙에 천공부(1);와 상기 고정부(5) 사이에 형성된 신체삽입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체삽입부(3)는 손가락 등이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천공부쪽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공부(1)는 원형인 것을 바람직하며, 손잡이 재질은 가죽 또는 직물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도 3부터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지가 견고하면서도 어떤 방향에서나 파지가 가능하고 또한 자유로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천연가죽이나 촉감이 좋은 직물지 등을 사용하면 사용상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기가 낙하하였을 때 기기를 보호하는 완충의 역할을 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기 손잡이가 장착된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기기 커버의 안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세로 파레트식 잡기 사용상태도
도 5는 세로 중앙끼워잡기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세로 측면잡기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가로 측면잡기 사용상태도
도 10은 가로 중앙끼워잡기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사상을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휴대용단말기'는 이른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 PDA, PMP, 전자책리더기 등을 총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배면'은 기기 본체 케이스 뒷부분의 덮개면을 지칭하거나 또는 단말기(이하 '기기'라고도 한다) 본체 케이스 뒷부분에 장착되는 별도의 보호커버의 표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테블릿피시의 배면에 판형 손잡이를 구현한 것의 사시도이다. 테블릿피시 본체(10)의 배면(12)에 본 발명인 판형 손잡이가 설치된 것으로서, 판형손잡이는 본체 배면(12)의 모서리 4곳에 결착되는 고정부(5)가 모서리를 감싸는 모양(「 또는 ¬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원형의 천공부(1)가 형성되며, 고정부와 고정부를 잇는 변인 신체(손가락)삽입부(3)는 천공부쪽으로 완만한 곡선(만곡)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삽입이 부드럽게 유도되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손잡이는 테블릿피시 등의 본체 자체의 배면이나, 보호커버의 배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은 고정부(5)를 기기 본체 배면 커버(12)의 모서리에 접착을 하거나, 배면 커버가 몸체(14)와 결합되는 부분에 구조적으로 물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5)를 배면 커버(12) 안쪽에 접착한 뒤 도 1과 같이 몸체(14)와 구조적으로 물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그러나 고정방법은 이같은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와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기기의 특성 또는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 곳의 고정부(5)와 고정부 사이의 신체삽입부(3)가 적당한 크기로 배열되어, 고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즉, 측면 신체삽입부(3)와 중앙의 천공부(1) 모두 본체의 배면과 약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손이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잡이의 재질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이나 합성수지제 직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데, 모든 방향에서 모든 부분이 사용(접촉)되므로 중앙의 천공부의 모양도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형인 경우 모든 방향에서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면서 경사면을 따라 손가락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유도되고, 모양도 안정적이어서 바람직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신체접촉부(53)(손가락 끼움부)의 만곡 형상은 사용시 벨트 안쪽으로 끼워진 손가락의 등과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 착용감이 좋고, 사용시 필요에 따라 기기의 방향을 전환할 때 저항이 적으며, 반복된 사용에 의해 벨트의 중앙부가 말리는(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도 4에서부터 10까지의 사용상태도를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세로로 사용하면서 가로로 방향전환을 하기 쉬운 자세이며, 도 5역시 그림을 그릴 때 물감빠렛트를 잡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로 세로 방향전환이 쉬운 방법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것이다.
도 7은 세로로 세워서 잡는 방법이며, 도 8는 도 7을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9는 테블릿피시를 가로방향으로 사용할 때 잡는 방법이다. 이같은 방법은 배워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신체의 본능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렇게 잡게 되어 있다. 도 10 역시 가로방향으로서 손가락이나 손목이 힘이 약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어느 방향에서나 어떠한 자세로든 자유롭게 잡고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테블릿피시나 전자도서(e-Book)리더기 등에 매우 유용한 액세서리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개념 위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에서 보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는 판형 손잡이 구조로서, 상기 배면의 모서리 4곳에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고정부(5);와 중앙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1);와 상기 고정부(5)를 잇는 4변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 신체삽입부(3)가 상하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체삽입부(3)는 천공부쪽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천공부(1)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그 재질이 가죽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PCT/KR2012/005885 2011-07-29 2012-07-24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WO2013019010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22746A JP2014527335A (ja) 2011-07-29 2012-07-24 携帯用端末機の持ち手構造
US14/233,884 US20140159403A1 (en) 2011-07-29 2012-07-24 Grip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CN201280034875.2A CN103688229A (zh) 2011-07-29 2012-07-24 便携式终端的把手构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21 2011-07-29
KR20110006921 2011-07-29
KR1020110090325A KR101209386B1 (ko) 2011-07-29 2011-09-06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10-2011-0090325 2011-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10A2 true WO2013019010A2 (ko) 2013-02-07
WO2013019010A3 WO2013019010A3 (ko) 2013-06-13

Family

ID=4762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5885 WO2013019010A2 (ko) 2011-07-29 2012-07-24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01901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006A1 (es) * 2013-09-09 2015-03-12 Jordi Galofre Boque Funda para dispositivos electronicos portati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466A (ko) * 2002-11-11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70090762A (ko) * 2006-03-02 2007-09-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 전자기기
KR20100010952U (ko) * 2009-04-29 2010-11-08 (주)금오전자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466A (ko) * 2002-11-11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70090762A (ko) * 2006-03-02 2007-09-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 전자기기
KR20100010952U (ko) * 2009-04-29 2010-11-08 (주)금오전자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3006A1 (es) * 2013-09-09 2015-03-12 Jordi Galofre Boque Funda para dispositivos electronicos portat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10A3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3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WO2012153943A2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US8579112B2 (en) Holding device for phone or other electronic device
US9948120B2 (en) Portable power source device
US20120247991A1 (en) Cradle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
US9320309B2 (en) Glove-mounted electronic device retention apparatus
KR200460676Y1 (ko) 휴대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
US11101837B2 (en) Pouch with viewing windows and access openings
CN202334624U (zh) 具有指环的手机保护套
US20160234364A1 (en) Mobile phone / tablet shell with finger grasping ring
US12048361B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3019010A2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0468949Y1 (ko) 휴대폰용 파지구
US9060579B2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206932281U (zh) 一种内槽式皮筋手机保护壳
CN210353580U (zh) 可调节夹持宽度的运动臂带
CN207766309U (zh) 具有用于平板/手机的握持构件的外壳
JP2012016552A (ja) 二つ折り携帯電話用収納ケース
CN201480240U (zh) 一种免手持多用伞
KR20130004702U (ko) 핸드폰용 손바닥 지갑
CN206932274U (zh) 一种抽拉式皮筋手机壳
CN209134493U (zh) 一种多功能的手机保护套
JP3177393U (ja) 携帯電子機器類ホルダー
CN206948421U (zh) 一种可变张力及自动扣橡皮筋手机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0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3884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27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0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