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02722A2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한 단말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한 단말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2002722A2 WO2012002722A2 PCT/KR2011/004742 KR2011004742W WO2012002722A2 WO 2012002722 A2 WO2012002722 A2 WO 2012002722A2 KR 2011004742 W KR2011004742 W KR 2011004742W WO 2012002722 A2 WO2012002722 A2 WO 2012002722A2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group
- cooperation
- information
- cooperati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Definitions
- the base station may use group control information to allocate and configure resources to one or more terminals belonging to one group.
- the group control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advanced map or an A-MAP.
- A-MAP For User Specific Control Information for a single user or group of users, Multiple Information Elements are individually coded in the A-MAP.
- the A-MAP is transmitted by CRC masking (ID) of the terminal (eg, STID, broadcast STID, and / or multicast STID of a specific terminal).
- ID CRC masking
- a method for performing client cooperation transmission through a group resource allocation (GRA) method in a wireless access system includes a group configuration message including terminal group information.
- the group configuration message further includes client cooperation enable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group is a terminal group for terminal cooperative transmission; Determin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terminal cooperation through the terminal co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terminal cooperation to the base station.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terminal group for the terminal cooperative transmission from the base station.
- the cooperative participating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participates in cooperative transmission but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base station.
- the terminal that has accepted the cooperation request may be referred to as a cooperation acceptance terminal.
- the cooperative acceptance terminal is a term that includes both the cooperative transmission terminal (or cooperative terminal) or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terminal.
- FIG. 6 shows an example of a group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ing a bitmap.
- S810 to S860 and S880 are the same as S710 to S760 and S780 of FIG. 7,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feeds back)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pair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econd terminal is the second terminal.
- the second terminal can feed back the user bitmap index of the paired first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통해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룹자원할당(GRA: Group Resource Allocation)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룹 자원 할당(GRA: Group Resource Allocation) 방식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한 그룹에 속한 여러 명의 유저들(즉,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GRA 방법을 이용하면,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개별적으로 자원을 할당할 때 단말들에게 알려주는 제어정보를 그룹단위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의 그룹에 속한 하나 이상의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고 구성하기 위해 그룹 제어 정보(Group Control Inform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그룹 제어 정보를 발전된 맵(Advanced MAP) 또는 에이맵(A-MAP)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단일 유저 또는 유저 그룹에 대한 사용자 특정 제어 정보(User Specific Control Information)에 대해서, 다중 정보 요소(Multiple Information Element)들은 A-MAP에 개별적으로 코딩된다. 또한, A-MAP은 단말의 아이디(예를 들어, 특정 단말의 STID, 방송 STID 및/또는 멀티캐스트 STID)가 CRC 마스킹(masking)되어서 전송된다.
A-MAP이 개별적으로 인코딩 및 STID와 마스킹되어서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A-MAP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MAP이 전송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한다. 이때,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STID, 방송 STID 및/또는 멀티캐스트 STID(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Group ID), 지속적 식별자(Persistent ID), 수면/유휴 식별자(Sleep/Idle mode ID) 또는 MBS ID, 등)를 사용하여 A-MAP을 검출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맵 크기(MAP Size)를 기반으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 MAP 크기 및 타입을 일정 크기 및 일정 타입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및/또는 단말은 A-MAP 정보요소(IE)의 크기를 56(or 64), 96 또는 144비트등 세가지 크기로 제한하거나, 56(or 64) 또는 96등의 두 가지 크기로 제한할 수 있다.
하나의 최소 A-MAP 논리적 자원 유닛(MLRU: Minimum A-MAP Logical Resourece Unit)이 48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두개의 MLRU가 96 데이터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며, A-MAP IE의 크기가 56 또는 96으로 결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인코딩 방법(예를 들어, TBCC(Tail-biting convolutional code) 또는 펑춰링(puncturing) 방식)을 사용하여, 56 비트 A-MAP IE는 1 MLRU에 매핑하고, 96 비트 A-MAP IE는 2 MLRU에 맵핑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단말에게 그룹 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그룹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 협력 그룹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이링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이 단말 협력 그룹에 할당되는 자원을 수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통해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는 ACK 또는 NAC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그룹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협력 그룹 내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제 1 단말 및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pairing)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User Bitmap Index) 또는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Client Cooperation User Bitm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은 단말 협력 그룹 내 존재하는 단말들의 개수 만큼의 크기를 가지되,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위치의 비트 값이 '1' 또는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가 상기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단말 페어링에서 상기 제 1 단말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시 정보는 비트맵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그룹자원할당 에이 맵 정보 요소(GRA A-MAP IE) 또는 단말 협력 그룹자원할당 에이 맵 정보 요소(CC_GRA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그룹 ID 및 마스킹 값(masking value)으로 CRC 마스킹되며, 상기 마스킹 값은 1 비트의 마스킹 프리픽스(masking prefix)와 3 비트의 메시지 타입 지시자(message type indica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 값(masking value)은 '0010' 내지 '0111' 중 어느 하나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그룹인 경우,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협력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협력 전송 참여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임을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에 대한 응답은 ACK 또는 NAC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 내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제 1 단말 및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pairing)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 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통해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들에게 단말 협력 그룹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말 간 협력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 협력 그룹에 할당되는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A-MAP IE를 새롭게 정의한 값으로 CRC 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단말과 기지국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 협력 전송의 일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들의 협력 클러스터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5는 일반적인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비트맵을 이용한 그룹자원할당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자원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a) 및 (b)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IEEE 802.16m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Mobile station, MS)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 시스템이 단말 협력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10)은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단말 협력 요청 단말,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단말 협력 수락 단말, 단말 협력에 참여하는 협력 참여 단말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단말 협력 통신과 관련하여서는 이하 도 3 내지 4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과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전송기에서 데이터는 IFFT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수신기에서 수신신호에 대해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전송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고,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수신기는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또한, 슬롯(slot)은 최소한의 가능한 데이터 할당 유닛으로, 시간과 서브채널(subchannel)로 정의된다. 상향링크에서 서브채널은 다수의 타일(tile)로 구성될 수 있다(construct). 서브 채널은 6 타일로 구성되고, 상향링크에서 하나의 버스트는 3 OFDM 심벌과 1 서브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s) 순열(permutation)에 있어서, 각 타일은 3 OFDM 심벌 상에서 4 인접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 타일은 3 OFDM 심벌 상에서 3 인접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빈(bin)은 OFDM 심벌 상에서 9 인접하는(contiguous)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밴드(band)는 빈의 4 행(row)의 그룹을 말하고,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서브채널은 동일한 밴드에서 6 인접하는 빈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단말과 기지국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단말(10)은 제어부(11), 메모리(12) 및 무선통신(RF)부(13)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등도 포함한다.
제어부(1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제어부(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는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이나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즉, 단말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RF부(13)는 제어부(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20)은 제어부(21), 메모리(22) 및 무선통신(RF)부(radio frequency unit)(23)을 포함한다.
제어부(2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제어부(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는 제어부(21)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이나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RF부(23)는 제어부(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제어부(11, 21)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22)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3,23)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22)에 저장되고, 제어부(11, 2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22)는 제어부(11, 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11, 2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 협력 전송의 일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20)과 단말들이 나타나 있다. 이때, 예컨대 채널 상황이 좋지 않거나, 충분한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단말(10a)은 다른 단말(10b)과의 협력을 요청하고, 다른 단말(10b)은 그 협력 요청에 응하여, 상기 단말(10a)의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력 요청을 하는 단말을 협력 요청 단말이라고 나타내었고, 상기 협력에 응하는 단말을 협력 단말이라고 표시하였다.
상기 협력 요청 단말은 협력 주체 단말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협력 단말은 협력 전송 단말 또는 피-협력 단말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상기 협력에 응하여, 단말(10a)의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협력 단말(10b)의 개수는 1개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협력 단말(10b)의 개수를 1개로 제한하게 되면, 처리 시간 지연(Processing Delay)이 줄게 되고, 구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단말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결합이득이 작아지게 되고, 또한 협력하는 다른 단말(10b)와 기지국(20) 간의 링크(Link) 또는 채널의 상태(또는 Quality)가 좋지 않을 수도 있어, 전송 성공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도 3 (a)에서는, 협력을 요청하는 단말(10a)이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10b)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도 전송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아울러, 상기 다른 단말(10b)이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에서는 추가적으로 결합 이득(Combining Gain)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도 3 (b)에서는 협력을 요청하는 단말(10a)이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다른 단말(10b)로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는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 다른 일 예로, 채널 상황이 좋지 않거나, 충분한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단말(10a)은 다른 단말(10b)에 협력을 요청하고, 상기 다른 단말(10b)은 또 다른 단말로 협력을 요청하고, 상기 또 다른 단말은 별도 다른 단말로 협력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여러 단말들 중 한 개의 단말만이 그 협력 요청에 응하여, 상기 단말(10a)의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단말이 협력 요청에 응하여, 상기 협력 요청 단말(10a)의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협력 요청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들은 협력 참여 단말에 해당하며, 상기 협력에 참여하여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은 협력 전송 단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협력 요청 단말도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협력 전송 단말도 상기 협력 요청 단말의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들의 협력 클러스터의 개념을 나타낸다.
단말들은 동작 및 역할에 따라, 비-협력 단말(Non-cooperative Terminal), 협력 가능 단말(Cooperation-capable Terminal), 협력 참여 단말, 협력 전송 단말(Cooperative transmission Terminal), 협력 요청 단말(Cooperation Request Terminal)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비-협력 단말은 단일 전송 단말(Single Transmission Terminal)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협력 가능 단말은 협력 후보 단말(Cooperative Terminal Candidate)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협력 요청 단말은 협력 주체 단말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협력 전송 단말은 협력 단말 또는 피-협력 단말로 불릴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협력 참여 단말은 협력 전송에 참여하지만,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지는 않는 단말을 말한다. 이때, 상기 협력 요청에 수락한 단말을 협력 수락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협력 수락 단말은 상기 협력 전송 단말(또는 협력 단말) 또는 협력 참여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상기 협력 가능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 클러스터(Cooperative Cluster, 10')라는 가상적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여기서, 협력 클러스터(10')는 단말 협력 연결(Client Cooperation Connection), 단말 페어링 등과 같은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협력 클러스터(10')는 협력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도 4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적 정보(Geometry)에 기반하여 협력 가능한 단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협력 클러스터(10')는 단말이 기지국에 진입(소위, Network Entry라고 한다)하면, 상기 기지국이 생성할 수도 있고, 혹은 단말과 단말 사이에 직접적으로 협력 관계를 맺음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만약, 기지국에서 상기 협력 클러스터(10')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협력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혹은 단말의 요청시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만약, 단말들이 스스로 상기 협력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협력 클러스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들이 혹은 임의 단말이 유니캐스트하거나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협력 전송에서 하나의 기지국의 셀에 속한 단말들에 대해서만 협력 클러스터를 생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5는 일반적인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그룹 제어 정보는 한 사용자 그룹 내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혹은 단말)에 대해 자원을 구성하고 할당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이다. 그룹 스케줄링은 2가지의 동작이 요구된다.
먼저, 기지국은 한 사용자를 한 그룹 내에 할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에서 한 그룹에 한 사용자를 추가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그룹 구성 MAC 관리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AC Management Message) 또는 그룹 구성 MAC 제어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한 그룹 내의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 그룹 내의 한 명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자원을 할당해 주기 위해서, 기지국은 하향링크/상향링크 그룹자원할당(GRA: Group Resource Allocation) A-MAP IE를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하향링크/상향링크 그룹 자원 할당 A-MAP IE는 A-MAP 영역 내에 사용자-특정 자원 할당(user-specific resource assignment)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그룹 자원 할당 A-MAP IE는 스케줄링된 사용자들을 나타내거나 자원 할당,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또는 자원 크기를 시그널링하는 비트맵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일정 기준에 따라 비슷한 속성을 지닌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하는 그룹핑(grouping) 동작을 수행한다(S510). 예를 들어, MCS 레벨이 동일한 단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나 상향링크에서 이미 형성된 그룹에 새로운 단말을 추가하거나 그룹에서 특정 단말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룹핑에 따라 생성되는 복수의 그룹은 각각 하나의 MIMO 모드 세트 및 HARQ 버스트 크기 세트를 이용하게 되며,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다수의 단말들은 해당 그룹에서 사용하는 MIMO 모드 세트 및 HARQ 버스트 크기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룹이 형성되면,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이 형성된 그룹 중 해당 그룹에 추가하거나 또는 단말이 속한 현재의 그룹에서 삭제하기 위해 해당 단말에 그룹 구성 메시지를 전송한다(S520).
그룹 구성 메시지는 기지국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그룹 자원 할당을 이용할 때, 그룹 관리를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로, 그룹 구성 MAC control message의 형태로 유니케스트 전송된다. 그룹 구성 메시지는 단말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해당 그룹의 식별정보(Group ID) 및 사용자 또는 단말의 비트맵 인덱스(User Bitmap Index)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을 새로운 그룹에 추가하기 위해 그룹 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그룹 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기지국에 그룹 구성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수신확인 ACK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은 그룹 구성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해당 그룹에 할당된다(S530).
다음으로, 해당 단말이 특정 그룹에 할당되면, 기지국은 그룹 단위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그룹 내 속한 단말에 그룹 단위로 할당되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자원 할당 메시지를 전송한다(S540). 그룹 자원 할당 메시지는 그룹 자원 할당 A-MAP IE(Group Resource Allocation A-MAP IE)의 형태로 전송되며, 그룹 구성 메시지를 통해 해당 그룹으로 스케줄링된 단말들에 대한 비트맵 정보 및 해당 그룹에서 사용하는 MIMO 모드, 버스트 크기 및 자원 할당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이후,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한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을 통해 단말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550).
도 5에 도시된 그룹 자원 할당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그룹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버스트 크기로 구성되는 버스트 크기 세트 중 어느 하나의 버스트 크기와 해당 그룹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리소스 크기로 구성되는 리소스 크기 세트 중 어느 하나의 리소스 크기를 스케쥴링된 단말 별로 선택하여 전송한다.
도 6은 비트맵을 이용한 그룹자원할당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소정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자원 할당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비트맵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첫 번째 비트 맵인 유저 비트맵(User Bitmap)은 해당 그룹에서 어떤 단말이 해당 시점에서 스케줄 되는지를 나타낸다.유저 비트맵의 각 비트는 그룹에 속한 단말들과 일 대 일 대응된다. 이때, 하나의 그룹에는 6명의 유저까지 포함될 수 있고, 비트맵의 각 비트가 '1'로 설정되면 해당 단말이 현재 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된 유저(즉, 자원을 할당 받은 유저)임을 지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n(Frame n)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유저가 스케줄된 것 확인할 수 있으며, 프레임 n+p(Frame n+p)에서는 두 번째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이 스케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은 그룹에 추가될 때 기지국으로부터 유저 비트맵(user bitmap) 내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원 할당 비트맵(Resource allocation bitmap)은 스케쥴된 유저들의 자원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자원 할당 정보에는 변조 및 부호화 기법(MCS) 및 할당되는 자원의 크기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한 단말에 대한 정보는 3 비트로 표현될 수 있으며, n번 프레임에서 총 4개의 단말이 스케쥴되기 때문에 자원할당비트맵(Resource Allocation Bitmap)의 크기는 12 비트(3X4)가 된다. n+p번째 프레임(Frame n+p)에서는 5개의 단말이 스케쥴되기 때문에 총 15비트 크기의 자원 할당 비트맵이 형성된다. 이때, 자원할당 비트맵은 스케줄된 단말의 MCS 정보와 할당된 자원할당크기정보(예를 들어, LRU의 개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그룹자원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 협력 전송(또는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a) 및 (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자원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기지국은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CC)을 위해서 CC 그룹을 형성한다(S710). 즉, 기지국은 CC에 참여를 원하는 단말 또는 CC에 참여시키고 싶은 단말을 CC 그룹에 포함시킨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형성된 CC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한다(S720). 여기서,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제 1 단말 및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제 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단말을 제 1 단말, 상기 단말 협력에 응하는 (또는 수락하는) 단말을 제 2 단말로 나타내기로 한다. 도 3 내지 4에서도 살핀 것처럼, 제 1 단말은 단말 협력 요청 단말, 단말 협력 주체 단말, 소스 단말(Source-MS:S-MS) 등으로, 제 2 단말은 단말 협력 수락 단말, 협력 단말(Cooperation-MS:C-MS), 협력 전송 단말, 피-협력 단말, 단말 협력 객체 단말 등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통신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 또는 일반적인 GRA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또는 필드)를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가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는 CC 그룹을, '0'으로 설정된 경우 일반적인 GRA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일반적인 GRA 그룹 정보 및 CC 그룹 정보 둘 다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를 디코딩한 후(S730),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ACK'을 전송한다(S740).
또는,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단말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그룹이 CC 그룹임을 확인한 경우, 단말 협력 통신에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S750). 즉, 단말은 단말의 상태에 따라(일 예로, 사용자 설정에 의한 CC disable, 배터리 상태 등) CC 참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후, 단말은 상기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60). 즉, 단말은 CC에 참여를 원하는 경우 기지국으로 'ACK'을, CC에 참여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 'NACK'을 전송한다.
단말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대한 디코딩을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ACK'을 전송한다(S740).
도 7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대한 디코딩 수행 후(도 7 (a)) 또는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한 후(도 7 (b))에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CC 그룹 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770).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는 GRA A-MAP이거나 CC 그룹을 위해 새롭게 정의된 CC_GRA A-MAP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는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페어링된 단말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며, (단말) 협력 클러스터, 단말 협력 연결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는 상기 CC 그룹 내에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CC 그룹 내 다수 개의 단말 페어링이 있는 경우, CC 그룹 내 존재하는 단말 페어링 개수를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는 CC 그룹 내 페어링된 각 단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 또는 비트맵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가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로 표현되는 경우, 기지국은 CC 그룹 내에 존재하는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를 순서대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CC 그룹 내에 단말 페어링(CC-connection)이 1에서 N까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하기와 같이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를 전송한다.
(1) CC-connection #1: (제 1 단말의 User bitmap index, 제 2 단말의 User bitmap index)
(2) CC-connection #2: (제 1 단말의 User bitmap index, 제 2 단말의 User bitmap index)
…
(3) CC-connection #N: (제 1 단말의 User bitmap index, 제 2 단말의 User bitmap index)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가 비트맵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비트맵 인덱스 값은 '1'로 설정되거나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지 않는 비트맵 인덱스 값은 상기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비트맵 인덱스 값과 반대로 설정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에 해당하는 정보를 비트맵 형태로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의 구별을 위해 사용자 비트맵을 단말로 전송한다. 일 예로, 기지국은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의 구별을 위해, 제 1 단말의 bit value는 '1', 제 2 단말의 bit-value는 '0'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C 그룹 내에 단말 페어링이 1에서 N까지 존재하고, 각 단말 페어링에는 16개의 단말들이 페어링 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하기와 같이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을 표시하는 사용자 비트맵 및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을 표시하는 사용자 비트맵을 전송한다.
(1)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을 표시하는 사용자 비트맵
CC-connection #1: 0100000000000100
CC-connection #2: 0000010000001000
…
CC-connection #N: 1000000010000000
(2) 각 CC connection에서의 제 1 단말: 1100010010001100
상기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CC-connection에 포함되는 제 1 단말은 다른 CC-connection의 제 1 단말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1) 및 (2) 형태의 비트맵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각 CC-connection에서의 제 1 단말을 알 수 있게 된다.
이후, 기지국은 그룹 자원 할당 메시지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한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을 통해 단말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780).
또한, 상기 제어 정보가 CC 그룹을 위해 새롭게 정의된 CC_GRA A-MAP 인 경우, 기지국은 일반적인 GRA A-MAP과의 구별을 위해 상기 CC_GRA A-MAP을 CC 그룹 ID와 새롭게 정의되는 4 비트의 마스킹 값(masking value)을 사용하여 CRC 마스킹을 수행한다. 여기서, 새롭게 정의되는 4 비트의 마스킹 값은 일반적인 GRA-A-MAP에서 사용하는 마스킹 값과 다른 값을 사용한다.
상기 4 비트의 마스킹 값은 1 비트의 마스킹 프리픽스(masking prefix)와 3 비트의 메시지 타입 지시자(message type indicator)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GRA A-MAP은 1 비트 마스킹 프리픽스로 '0'을 사용하며, 3 비트의 메시지 타입 지시자로 '001'을 사용한다. 즉, 기지국은 CC_GRA A-MAP을 일반적인 GRA A-MAP과 구분하기 위하여 4 비트의 마스킹 값을 '0010' ~ '0111'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CC_GRA A-MAP에 대해 CRC 마스킹을 수행한다.
도 8 (a) 및 (b)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게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810 내지 S860, S880은 도 7의 S710 내지 S760, S78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단말은 CC 그룹 내 다른 단말들과의 채널 조건(channel condition)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모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채널 조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 협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은 CC 그룹 내 단말들 중에서 단말 협력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과 페어링(pairing)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한다(S801).
이후, 단말은 상기 선택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S802). 상기 단말 페어링 정보는 각 단말 페어링에서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정보를 말한다.
즉, 제 1 단말은 기지국으로 자신이 제 1 단말임을 나타내는 정보 및 페어링된 제 2 단말의 정보를 전송한다(피드백한다). 여기서, 제 1 단말은 페어링된 제 2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은 기지국으로 자신이 제 2 단말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페어링된 제 1 단말의 정보를 전송한다(피드백한다). 여기서, 제 2 단말은 페어링된 제 1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모두 사용자 비트맵을 통해 자신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와 페어링된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에 해당하는 bit value를 설정하여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 모두 제 1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단말은 자신이 제 1 단말 인지 또는 제 2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1 비트 CC-MS indicator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 클래스(MS class), 단말 능력(MS capability) 및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 조건을 고려하여 제 2 단말의 후보들(candidates)을 미리 정해놓고 CC 그룹 내 모든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제 2 단말을 미리 정해둔 단말의 후보들로 한정시킬 수 있다.
Claims (18)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며;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통해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는 ACK 또는 N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그룹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상기 단말 협력 그룹 내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제 1 단말 및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pairing)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사용자 비트맵 인덱스(User Bitmap Index) 또는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Client Cooperation User Bitm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은 단말 협력 그룹 내 존재하는 단말들의 개수 만큼의 크기를 가지되, 상기 제 1 단말 및 상기 제 2 단말에 해당하는 위치의 비트 값이 '1' 또는 '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 정보가 상기 단말 협력 사용자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각 단말 페어링에서 상기 제 1 단말을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지시 정보는 비트맵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그룹자원할당 에이 맵 정보 요소(GRA A-MAP IE) 또는 단말 협력 그룹자원할당 에이 맵 정보 요소(CC_GRA A-MAP 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그룹 ID 및 마스킹 값(masking value)으로 CRC 마스킹되며,상기 마스킹 값은 1 비트의 마스킹 프리픽스(masking prefix)와 3 비트의 메시지 타입 지시자(message type indica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마스킹 값(masking value)은 '0010' 내지 '0111' 중 어느 하나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그룹인 경우,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Client Cooperation)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단말 협력 전송을 위한 단말 협력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협력 전송 참여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임을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에 대한 응답은 ACK 또는 N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상기 형성된 단말 협력 그룹 내 단말 협력을 요청하는 제 1 단말 및 단말 협력을 수락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페어링(pairing)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Group Resource Allocation:GRA) 방식을 통해, 단말 협력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에 있어서,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구성 메시지(Group Configur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그룹 구성 메시지는 상기 단말 그룹이 단말 협력 전송에 관한 단말 그룹인지를 나타내는 단말 협력 가능(Client Cooperation enabled)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협력 가능 정보를 통해 단말 협력 참여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 협력 참여 여부 결정 결과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807,689 US9036485B2 (en) | 2010-06-29 | 2011-06-29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lient cooperation transmission through a group resource allocation schem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5979710P | 2010-06-29 | 2010-06-29 | |
US61/359,797 | 2010-06-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02722A2 true WO2012002722A2 (ko) | 2012-01-05 |
WO2012002722A3 WO2012002722A3 (ko) | 2012-04-12 |
Family
ID=4540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1/004742 WO2012002722A2 (ko) | 2010-06-29 | 2011-06-29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한 단말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036485B2 (ko) |
WO (1) | WO2012002722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6716A1 (ko) * | 2013-06-03 | 2014-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7155138A1 (ko) * | 2016-03-09 | 2017-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밀리미터웨이브를 지원하는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49573B (zh) * | 2012-01-17 | 2022-09-0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无线通信方法和通信装置及通信系统 |
JP2016541170A (ja) * | 2013-10-31 | 2016-12-28 |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 移動性管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
WO2016054588A1 (en) * | 2014-10-02 | 2016-04-07 | Zte Corporation | Group communication with a logical group of wireless devices operating in different networks |
US10390379B2 (en) | 2016-12-21 | 2019-08-20 | Huawei Tehcnologie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assisted distributed user equipment cooperation in unlicensed spectrum |
EP3881440A1 (en) | 2018-12-28 | 2021-09-22 | Google LLC | User-equipment-coordination set for a wireless network |
EP3884708A1 (en) | 2019-01-02 | 2021-09-29 | Google LLC | Multiple active-coordination-set aggregation for mobility management |
AU2020216095A1 (en) | 2019-01-28 | 2021-06-03 | Google Llc | Dynamic carrier subband operation for active coordination sets |
CA3127384C (en) | 2019-02-21 | 2023-12-12 | Google Llc | User-equipment-coordination set for a wireless network using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
WO2020186097A1 (en) | 2019-03-12 | 2020-09-17 | Google Llc | User-equipment coordination set beam sweeping |
US10893572B2 (en) | 2019-05-22 | 2021-01-12 | Google Llc | User-equipment-coordination set for disengaged mode |
EP3791678B1 (en) | 2019-07-25 | 2023-06-07 | Google LLC | User-equipment-coordination-set regrouping |
WO2021029879A1 (en) | 2019-08-13 | 2021-02-18 | Google Llc | User-equipment-coordination-set control aggregation |
CN112449436B (zh) * | 2019-09-02 | 2024-07-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通信方法及装置 |
EP4005101B1 (en) | 2019-09-19 | 2023-12-20 | Google LLC | Enhanced beam searching for active coordination sets |
CN114175515A (zh) | 2019-09-19 | 2022-03-11 | 谷歌有限责任公司 | 用户设备协调集合选择性参加 |
CN113596743B (zh) * | 2020-04-30 | 2022-11-04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信号的发送方法、信号的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610B1 (ko) * | 2004-06-25 | 2011-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fdm/ofdma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
US8135828B2 (en) * | 2005-03-14 | 2012-03-13 | Microsoft Corporation | Cooperative diagnosis of web transaction failures |
KR101265634B1 (ko) | 2006-10-02 | 2013-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제어 방법 |
KR100945098B1 (ko) * | 2007-06-19 | 2010-03-02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c-mimo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
KR20100010498A (ko) * | 2008-07-22 | 2010-0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그룹 자원할당 방법 |
US8351533B2 (en) * | 2009-04-16 | 2013-01-08 | Intel Corporation | Group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s for IEEE 802.16m |
WO2010151091A2 (ko) * | 2009-06-26 | 2010-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용자 비트맵 재구성 방법 |
US8644204B2 (en) * | 2010-03-05 | 2014-02-04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mode tran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2011
- 2011-06-29 WO PCT/KR2011/004742 patent/WO2012002722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29 US US13/807,689 patent/US90364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6716A1 (ko) * | 2013-06-03 | 2014-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9883523B2 (en) | 2013-06-03 | 2018-01-3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re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
WO2017155138A1 (ko) * | 2016-03-09 | 2017-09-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밀리미터웨이브를 지원하는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036485B2 (en) | 2015-05-19 |
WO2012002722A3 (ko) | 2012-04-12 |
US20130107848A1 (en) | 2013-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2002722A2 (ko)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그룹 자원 할당 방식을 통한 단말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 | |
WO2017196129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 |
WO2010011104A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WO2018062846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고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3043006A1 (en) | Syste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of a narrowband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wideband and narrowband terminals | |
WO201405133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lurality of cells in communication system | |
WO2010053334A2 (en) | Uplink syncronization in multiple carrier system | |
WO2010079908A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ng in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WO2017222351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7179784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 서브밴드 구성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2011786A2 (ko) |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앵커 단말을 통해 기지국과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WO2019017678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복호 방법 및 장치 | |
WO2018048273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0117225A2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0126259A2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2150831A2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이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반영구적 스케쥴링 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1129598A2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세컨더리 캐리어 정보 갱신 방법 | |
WO2010117239A2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WO2018169342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반송파 설정 및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
WO2019156515A1 (ko) |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WO2018084499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영역 구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10120835A (ko) | 멀티 캐리어 시스템에서 e-mbs 단말을 위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 |
WO2016105174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단말의 릴레이 방법 및 장치 | |
WO2018231000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8174543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1801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
|
WWE |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138076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18011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