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41902A2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0041902A2 WO2010041902A2 PCT/KR2009/005797 KR2009005797W WO2010041902A2 WO 2010041902 A2 WO2010041902 A2 WO 2010041902A2 KR 2009005797 W KR2009005797 W KR 2009005797W WO 2010041902 A2 WO2010041902 A2 WO 2010041902A2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dust
- unit
- filter unit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Definitions
-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ing apparatus.
-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dust from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storing separated dust, and a purifying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device.
- a device is included.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motor.
-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o compress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filter unit provid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suction motor; Vibration damping means for removing dust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llecting space in which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unit is removed from the vibration removing means, wherein either one of the filter unit o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rotatable, and the dust of the filter unit is rotated by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n a rotation process. And the collection space is in sel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th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is automatically removed by the damping member, the trouble of having to separate the filter unit from the cleaner body and directly clean the filter is eliminated.
- a clean filter of the plurality of filters is located upstream of the suction motor by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clean air flows into the suction motor,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of fine dust into the suction motor, and cleans the outside.
- the air can be dischar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7 is a front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ust is compress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FIG. 13 shows air flow in a vacuum cleaner under filter cleaning mode.
-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16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 21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leaner body is removed.
-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ssembly 3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 a suction motor assembly 3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mounted with a dust separator 10 for separating dust in the air and storing the separated dust.
- the main body 1 includes a mounting part 5 on which the dust separation device 10 is mounted.
- the main body 1 includes a guide tube 60 for guiding the air containing dust to move to the dust separator 10, and a purifying device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10. 20 is provided.
- the purifying device 20 is located between the dust separator 10 and the suction motor assembly 30 based on the flow of air. Therefore, the air containing the dust flows through the guide tube 60, the dust separation device 10, the purifying device 20 to the suction motor assembly 30.
- the dust separator 10 a dust separator 110 for separating the dust in the air by a cyclone metho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o store the dust separated in the dust separator 110, A cover member 130 covering the dust separator 110 is included.
- An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ipe 122 to allow the air of the guide tube 60 to be mov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 the suction pipe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or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n the stat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he suction pipe 122 and A suction port 112 is formed in communication.
-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ncludes a dust discharge unit 115 through which dust separated from air is discharged, and an air discharge port 114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 a filter member 116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14 is coupl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 the purifying device 20, a filter mounting unit 210, a filter unit 240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and the filter unit A discharge duct 215 through which the dust removed at 240 flows is included.
- the discharge duct 215 is in sel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tube 60. That is,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240 flows through the discharge duct 215 to the guide tube 60 and then to the dust separator 10.
- the discharge duct 215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see 50 in FIG. 3).
- the discharge duct 215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guide tube 60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ee 50 in FIG. 3).
- the filter unit 240 is selectively rotat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10 by the drive device (40).
- the drive device 40 includes a drive motor 410 and a gear 420 coupl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A portion of the gear 42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a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40.
- the suction motor assembly 30 includes a suction motor (not shown) and a motor housing 310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 the motor housing 310 is formed with an inlet 312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purifying device 20 is introduc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discharge duct 215 and the guide tube 60, and opening and closing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 a motor 520 and a detector 530 for detect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are included.
- the guide tube 60 is formed with an inlet 610 through which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uct 215 is introduced.
- the rotating shaft 512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is installed at the inlet 610.
- the pressing unit 514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sensing unit 5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512 on the outside of the inlet 610.
- the open / close motor 520 is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514.
- the sensing unit 530 may be applied with a micro switch.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pressing unit 514, and the pressing unit 514 is the sensing unit 530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closes the discharge duct 215. ) Will be pressed.
- the switch motor is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for example, a synchronous motor (synchronous motor) may be used.
- the synchronized moto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itself.
-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verted to the other direction.
-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a resistance force (torque) generat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is interfer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tube 60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ischarge duct 215.
- the resistance reaches a set value
-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figured to change direction.
- the resistive force is applied to the motor,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is momentarily increased, so that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the current of the motor is momentarily increased.
- the operation of the open / close motor 52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530 and the resistive force applied to the open / close motor 520, but the rotation speed of the open / close motor 520 is different.
-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only by the set number of rotations.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purifier 20 includes a filter unit 240, a housing 230 protecting the filter unit 240, and a filter mounting unit in which the housing 230 is accommodated. 210 and a cover 250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is formed with an inlet 211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device 10 is introduced, and an outlet 212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40 is discharged.
- partition ribs 213 and 213a for vertically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while the housing 230 is accommodated therein.
- a discharge duct 215 is formed at an outer low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based on the partition ribs 213 and 213a.
- the discharge passage 216 through which dust flows is formed in the discharge duct 215.
-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is provided with a filter detecting unit 270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filter unit 240.
- a switch may be used as the filter detector 270 or may be a hall sensor that detects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230.
- the type of the filter detector 270 is not limited.
-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30 by the driving device 4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30.
- the filter unit 240 includes a filter casing 241 and a filter 246 seated on the filter casing 241.
- the filter casing 241 is formed with a hole 243 through which air passes.
- a plurality of gear teeth 242 (also referred to as a connecting portion) for engaging the gear 420 is formed around the filter casing 241.
- a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4 are provided around the filter casing 241.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4 are disposed at 180 degree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lter casing 241.
- a pleats filter that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may be used as the filter 246.
- the filter 246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ilter 246a positioned above and a second filter 246b positioned below the partition ribs 213 and 213a. That is, a part of the filter 246 positioned above the division ribs 213 and 213a is called a first filter 246a, and a part of the filter 246 positioned below the division rib is called a second filter ( 246b).
-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detecting unit 260 for detecting a rotation position of the filter casing 241.
- the rotation detecting unit 260 includes a hall sensor 262 for detecting a magnetism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4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lter casing 241. Included.
- the Hall sensor 262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partition ribs 213 and 213a.
- the rotation detection unit 260 transmits a stop signal of the driving motor 410 to the controller, and thus the filter casing ( Rotation of 241 is stopped.
-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4 are dispos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the filter casing 241 is rotated 180 degrees in one rotation.
- a second housing 237 coupled to is included.
- the second housing 237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ncludes a first opening 238 through which air flows.
- the gear tooth 242 of the filter unit 240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238 while the second housing 237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231. Protrudes outward.
- a second opening 232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231 fo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40 to flow. In a state where the filter unit 24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30, the housing 230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 the gear teeth 242 of the filter unit 240 protruding outward of the housing 230 are engaged with the gear 420.
- the first housing 231 is formed with a handle 234 for the user to easily grip.
- a first guide part 217 is formed in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 the first housing 231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portion 236 for insertion into the first guide portion 217.
- the Hall sensor 262 is aligned with the first sensor 231 and the second housing 237 when the Hall sensor 262 and any one magnetic member 244 are aligned while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Holes 235 and 239 are formed to easily detect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244.
-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is divided up and down based on the partition ribs 213 and 213a.
- a portion (first filter) of the filter 246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214a, and another portion (second filter) of the filter 246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214b.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device 1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pace 214a through the inlet 211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to pass through only the first filter 246a.
- Air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device 20 passes through a portion of the filter 246.
- the upper space 214a serves to connect the inlet 211 and the outlet 212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so that the upper space 214a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flow path.
- a plurality of vibration damping members 218 are formed on the surface 210a on which the inlet 211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10 is formed.
-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218 protrudes from the surface 210a toward the filter unit 240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lter 246. Therefore, dust of the filter 246 is removed by friction between the filter 246 an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218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lter unit 240.
-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246 is stored in the lower space 214b. That is, the damping member 218 is located below the compartment ribs 213 and 213a.
- FIG.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 FIG. 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defines a dust storage unit 121 in which dust is stored.
- the dust storage unit 121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150 for compressing the stored dust to be movable.
- the pressure member 150 includes a pressure plate 152 for compressing dust and a rotation shaft 154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ure plate 152.
- the rotating shaft 154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12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 the pressing member 150 i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160.
- the driving device 160 includes a compression motor 161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5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compression motor 161 to the pressing member.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161, the drive gear 162 (also referred to as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150 is driven from the drive gear 162 It includes a driven gear (164: also referred to as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ortion) that receives the.
- the shaft 166 of the driven gear 164 penetrat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54 of the pressing member 150. Therefore, the driven gea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 the drive gear 16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ortion 5 in a state coupled to the compression motor 161.
- the mounting portion 5 is formed with an opening 6 through which the drive gear 162 passes. Since the driving gear 16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ortion 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5, the driven gear 164 and the driving gear 162. Is engaged so that the pressing member 150 is rotatable.
- the driven gear 164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ember 165.
- the magnetic member 165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serting injection into the driven gear 164.
- the inside of the mounting portion 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tectors for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magnetic member 165.
-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mounting detection unit 174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nd a motion detection unit 176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iven gear 164. Hall sensors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units 174 and 176.
-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iven gear 164 may be described as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50. .
- the mounting detecting unit 174 i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of the driven gear 164 in order to detect the magnetic portion of the magnetic member 165.
- the motion detector 176 is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detector 174, and detects the magnetism of part B of the magnetic member 165.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5, the magnetism is always sensed by the mounting detection unit 174.
- the connecting portion 126 is formed between the fixed shaft 124 and the suction pipe 122.
- the connection part 126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shaft 124 and the suction pipe 122.
- the connection part 126 prevents dust from passing between the fixed shaft 124 and the suction pipe 122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dust by the pressing member 150.
-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n operation signal input unit 70 for selecting a power (eg, strong, medium, or weak mode) of the suction motor, and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 72, a controller 8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320, the drive motor 410, and the open / close motor 520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mode selector 72, and the filter.
- a power eg, strong, medium, or weak mode
-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 72, a controller 8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320, the drive motor 410, and the open / close motor 520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mode selector 72, and the filter.
- Rotation detection unit 260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unit 240, compression motor 161 for rotating the pressing member 150, and mounting detection unit 174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a motion detector 176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150, a filter detector 270 that detects the mounting of the filter unit 240, and a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180 and a dust amount display unit 190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t is.
-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general cleaning mode and a filter cleaning mode.
-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a mode for cleaning the floor or the indoor space.
- the discharge duct 215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10.
- the filter cleaning mode is a mode for removing dust accumulated on the filter.
- the discharge duct 215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and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 suction motor 320 may be operated in each mode.
-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preferably a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That is, the compression motor 161 may be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50 may perform forward rotation (clockwise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counterclockwise rotation). As the pressing member 150 rotates forward and reverse, the suction pipe 122 may rotate. Dust on both sides can be compressed.
- a synchronous motor may be used as the compression motor. Since the synchronized motor is generally known in the mot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t is one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by the synchronized motor.
- the control unit 80 causes the signal generation unit 180 to generate a dust collecting container-free signal.
-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signal generator 180 to generate a filter unit non-installation signal.
-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more than a reference amount of dust is stored, the signal generator 180 causes the dust emptying signal to be generated.
-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80 may be an audio signal or a visual signal, or may be a vibration transmitted directly to the user.
- a speaker, an LED, a vibration motor,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ignal generator 180.
-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80 may be set differently from a signal of dust emptying, a signal of not collecting a dust container, and a signal of not mounting a filter unit.
- the signal generator 180 may include a firs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ust collecting signal and a secon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ust empty signal, and a third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lter unit without a filter unit. Can be configured.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ust is compress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the pressing member 150 is bidirectionally rot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 the motion detecting unit 176 is the magnetic member 165.
- Sense the magnetism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150 when the motion detecting unit 176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165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pos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ontroller 80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ssing member 150 to return to the reference position again after rotating the 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D1: first reciprocating time) and the pressing member 150.
- the time (TD2: second round trip time) required for returning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reference position after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for example, is sensed. That is, the controller 80 may include the timer.
-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are gradually shortened.
- one of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is sufficiently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nd thus a dust emptying signal is generated. To be generated.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under the general cleaning mode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under the filter cleaning mode
- Figure 14 is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72.
-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suction motor oper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signal input unit 70 (S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ction motor operation signal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mounted (S11).
-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signal generator 180 to generate an unmounted signa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S12).
- the suction motor 320 maintains a stopped state.
- the suction motor operation signal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not moun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not mounted by informing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whil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not mounted,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can be prevented.
-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signal generator 180 to generate a filter unit-free signal (S14).
- the controller 80 causes the suction motor 320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suction power selected by the user (S15). ).
- the suction motor 320 is turned on,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guide tube 60 by the suction force.
- the air containing the dust sucked into the guide tube 60 is sucked into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through the suction pipe 122 and the suction port 112.
- the discharge duct 115 is kept closed.
- the air sucked into the dust separator 110 is separated from the dust during the spiral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110.
- the separated dust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hrough the dust discharge unit 115.
-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rough the air outlet 114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mber 116.
-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apparatus 20 through the inlet 211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20.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device 20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filter 246 (first filter 246a) located in the upper space 214a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246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20 through the outlet 212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rifying device 20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housing 310 through the inlet 312 of the motor housing 31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32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pressing member 150 compresses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hat is, the controller 80 drives the compression motor 161 to compress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fter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S16).
-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described as being operated after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motor 320 and the compression motor 161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 step S16 when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driven, the driving gear 162 coupled with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rotated.
- the driving gear 162 is rotated, the driven gear 164 meshed with the driving gear 162 is rotated.
- the pressing member 150 rotates to compress dust.
- the controller 80 checks whether the pressing member 150 is located at a reference position (S17). Since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easures the first reciprocating time and the second reciprocating time (or the moving range of the urging member) of the urging member 150 based o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urging member 150, the urging member ( In the initial operation of 150,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 pressing member 150 is in the reference position.
- the time when the pressing member 150 is positioned at the reference position for the first time is a time when the motion detecting unit 176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165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161. .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tion detector 176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165 for the first time.
- the first reciprocating time TD1 or the second of the pressing member 150 may be adjusted.
- the round trip time TD2 is measured (S18).
-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or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has reached a reference time (S19).
- the reference time is a time set by the designer in the control unit 80 itself, which i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 the reference time is obtained by a designer repeating the test several times and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vacuum cleaner.
- the amount of dust is required (dust emptying is required). Amount of money).
- both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reach the reference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dus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amount (a quantity required for dust emptying).
- step S19 when any one of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6 to perform the previous process.
-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signal generator 180 to generate a dust empty signal (S20). .
- control unit 80 turns off the suction motor 320 so that dust is no longer sucked (S21).
- the suction motor 320 is to be stopped.
- the control unit 80 causes the compression motor 161 to be turned off (S22).
-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during the normal cleaning mo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normal cleaning mode is completed and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stop mode).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case and a third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before the user selects the normal cleaning mode.
- the suction motor 320 since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ing, when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the suction motor 320 is first stopped, rotation of the filter unit 240 and opening of the discharge duct 215 are performed. After this is completed, the suction motor 320 is restarted.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stopped together, and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restarted,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also restarted together.
- the filter unit 240 may be rotated and the discharge duct 215 may be opened while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ing.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motor 161 is also maintained in an operating state.
- the suction motor 320 since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the suction motor 320 operates after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240 and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duct 215 are completed. Can be.
- the filter unit 240 When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72 while the filter unit 240 is detected by the filter detection unit 270, the filter unit 240 i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40. I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 the rotation detector 260 Transmits a stop signal to the controller 80. Then,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410 is stopped.
- the state in which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244 is detected by the rotation detecting unit 260 is that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180 degrees.
- the filter unit 240 When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180 degrees, the first filter 246a located in the upper space 214a moves to the lower space 214b, and the second filter 246b located in the lower space Moves to the upper space 214a.
- the lower space 214b since the lower space 214b is a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damped by the damping member, the lower space 214b may be referred to as a cleaning space.
- the lower space 214b is a space wher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is collected (or temporarily stored), the lower space 214b may be referred to as a collection space.
- the dust of the first filter 246a is removed by the damping member 218.
- the dust removed from the first filter 246a falls downward.
- the discharge duct 215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10 to discharge the dust dropped in the lower space 214b.
- the discharge duct 215 and the guide tube 60 is in communication.
-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 the compression motor 161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320.
- the suction motor 320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since the lower space 214b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communicates with the guide tube 60 by the discharge duct 215,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320 is increased. The lower space 214b of the filter mounting unit 210 acts. Then, the dust in the lower space 214b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 60 through the discharge duct 215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suction force. At this time, some dust not removed from the filter located in the lower space can be removed from the filter by the suction force.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 60 flows through the dust separator 10 and passes through a filter located in the upper space 214a and then flows into the motor housing 310.
-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 60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dust separator 10.
-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15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blocks the flow path of the guide tube 60 as shown in FIG. 12, so that air outside the cleaner body is not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 60.
-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dust discharge to the lower space is completed.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lter cleaning mode is completed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suction motor 320 reaches the reference time T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cleaning mode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In additio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10 is rotated by the opening / closing motor 520 to close the discharge duct 215. In addition, when the pressing unit 514 presses the micro switch 530 while the open / close motor 520 is rotated, the operation of the open / close motor 520 is stopped by the controller 80.
- the dust of the filter unit 240 is firstly removed by the damping member and automatically remov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320, the user cleans the filter unit 240. The hassle of removing the filter from the main body and cleaning the filter directly is eliminated.
-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an be maximized.
-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that is, the filter cleaning) is determined by the user's mode selection.
-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of the suction motor. For example, when a lot of dust accumulates in the first filter 246a located in the upper space 214a, since the air does not easily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246a, the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320 is increased. . Therefore, when the current of the suction motor 320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filter unit 240 may be rotated.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purification device.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purification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unit 730, a housing 720 protecting the filter unit 730, and a filter in which the housing 720 is accommodated.
- Device 740 is included.
-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s formed with an inlet 711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or 10 flows, and an outlet 712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730 is discharged. do.
- a discharge duct 715 defining a discharge flow path 716 is formed at a surface where the inlet 711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s formed.
- the discharge duct 715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guide tube 60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is provided with a filter detecting unit 760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filter unit 730.
- the housing 72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721 in which the filter unit 730 is seated, and the first housing 721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730 is seated in the first housing 721. Included is a second housing 725 coupled to.
- the second housing 725 includes a first opening 726 through which air flows.
- the first housing 231 is formed with a second opening 722 for f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730.
- the filter unit 730 includes a filter casing 731 and a filter 734 seated on the filter casing 731.
- the filter casing 731 is formed with a hole 732 through which air passes.
-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7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 the filter mounting portion 710 is formed with a guide rib 714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suppression device 740.
- the vibration isolator 740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900.
- the driving device 900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suction motor 320 and the compression motor 161.
-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740 is formed in a disc shape, and a plurality of holes 742 are formed through which air passes.
- a plurality of gear teeth 746 also referred to as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o the driving device 900 are formed around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740.
- a plurality of vibration damping members 744 are formed in the vibration damping apparatus 740 to remove dust from the filter 734.
- the plurality of vibration damping members 744 protrude toward the filter 734 from the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740 and contact the filter 734. Therefore, when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740 is rotated, the dust of the filter 734 is removed by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744, and the removed dust is stored inside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 the driving device 900 includes a driving motor 910 and a gear 920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910.
- the gear 920 penetrates through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and engages with the gear tooth 746.
- the internal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may be partitioned up and down by the partition device 800.
- the partition device 80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810 positioned outside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and a partition member 820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810 and positioned inside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Included.
- the partition member 820 includes a rotation shaft 821.
- the rotation shaft 8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and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821 protrudes out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through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 the driving motor 81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821 protruding outside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n the state where the partition member 820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the discharge duct 715 and the guide tube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320 acts on the low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so that the dust stored in the low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 the general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 the discharge duct 715 is kept closed by the switchgear 50.
-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apparatus 700 through the inlet 711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700.
- Air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apparatus 700 may pass through the filter 734.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7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rifying device 700 through the outlet 712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710.
-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700 is introduced into the motor housing 310 through the inlet 312 of the motor housing 31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32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during the normal cleaning mo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normal cleaning mode is completed and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stop mode).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case and a third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before the user selects the normal cleaning mode.
- the vibration damping device 740 may be rotated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or may be rotated after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 the vibration isolator 740 is rotated after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the vibration isolator 740 is stopped after being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fter being rotated by an angle), and the vibration isolator 740 is provided. After the stop, the suction motor 320 may be operated again.
- the vibration isolator 740 since the suction motor 320 is stopped, the vibration isolator 740 is stopped after being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fter being rotated by an angle).
- the filter duct 215 maintains the discharge duct closed. In each case, when the damping device 740 is rotated, the dust of the filter 734 is removed by the damping member 744, and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734 is removed from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t is stored inside the bottom.
-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734 is stored i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discharge of the stored dust is required.
- the dust stored in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is automatically discharged.
- the filter unit 730 is detached from the filter mounting unit 710, the filter unit n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lter detection unit 760 to the controller 80.
- the controller 80 allows the driving motor 810 and the open / close motor 520 to operate. Then, the partition member 8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s partitioned up and down.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710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the partition member 820. At this time,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734 is of course stored in the lower spac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0 opens the discharge duct 715 so that the discharge duct 715 and the guide tube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fter the driving motor 810 and the opening / closing motor 520 are stopped, the controller allows the suction motor 320 to operate.
- the compression motor 161 may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suction motor 320 or may be stopped.
- the suction motor 320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operate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320 acts as the lower space. Then, the dust in the lower spac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uct 215 together with the air. Dust and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uct 215 is mov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long the guide tube 60. In addition, the air moved to the dust separator 110 moves to the suction motor 320 af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pace. On the other hand, the dust moved to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 the suction motor 320 When the suction motor 320 is turned on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uction motor 320 is turned off, and the partition member 8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driving motor 810.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 filter unit is manually rotated. Therefore,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characteristic por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ction motor assembly 1030 that generates suction force and a dust separator 1010 that separates dust from air and stores separated dust. And, a purifying device 1100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device 1010 is included.
- the purifier 1100 includes a filter mounting unit 1110, a cover member 1150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and a filter unit 240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 An operation unit 1200 for rotating the filter unit 240 by a user's operation is includ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lter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 the operation unit 12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1150.
- the operation unit 1200 includes an operation member 1210, a first transmission part 1212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1210, and an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member 1210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rt 1212.
- a second delivery unit 1213 receiving the transmission and a case 1220 to cover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21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unit 1213.
- the case 1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ver 1150.
- the operation member 1210 penetrates through one surface of the case 1220, and a guide hole 1222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1210.
- the operation member 1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part 1212 through the guide hole 1222.
- the guide hole 1222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se 1220.
- a rack gear may be used as the first transfer unit 1212.
- the first transfer part 1212 may be formed of a bendable material.
-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121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ear 1214 and the first gear 1214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rt 1212, and has a diameter of the first gear 1214.
- the second gear 1215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 the second gear 1215 penetrates through a hole 1152 formed in the cover 1150.
- a part of the second gear 1215 may be a gear tooth 242 of the filter casing 241 located at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while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member 1210 to the left or right, and dust of the filter 246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240. 218: see FIG. 7).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member 1210 is moved from one end of the guide hole 1212 to the other end, the filter unit 240 is rotated 180 degrees.
-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eneral cleaning mode and a dust discharge mode.
-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a mode for cleaning the floor or the indoor space, and the dust discharge mode is removed from the filter 246 to discharge dust accumul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fro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1110. Mode.
-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compression motor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user rotates the filter unit 240 by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1210 in the general cleaning mode.
- the dust of the filter 246 can be removed by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218 (see FIG. 7).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 FIG. 2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the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lter mounting unit 1110, a filter unit 730 selectively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and an upp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 a partitioning device 800 that selectively partitions the internal space of 1110 up and down is included.
- the filter unit 730, the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740, and the partition apparatus 800 of this embodiment have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used. . Since the filter mounting unit 1110, the cover member 1150, and the operation unit 1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e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used.
- a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the vibration damping unit 740 is manually rotated by the operation unit 12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분리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ing apparatus.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 장치와,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정화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 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나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dust from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storing separated dust, and a purifying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device. A device is included.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motor.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정화 장치의 용이한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of the purific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집진 용기 내부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o compress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용기; 상기 흡입 모터의 상류 측에 구비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 수단; 및 상기 제진 수단에서 상기 필터 유닛이 제거된 먼지가 모이는 수집 공간;이 포함되고, 상기 필터 유닛 또는 상기 제진 부재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하며,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유닛의 먼지가 상기 제진 부재에 의해서 제거되고, 상기 수집 공간은 상기 집진 용기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llecting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filter unit provid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suction motor; Vibration damping means for removing dust from the filter unit; And a collecting space in which dust collected by the filter unit is removed from the vibration removing means, wherein either one of the filter unit o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rotatable, and the dust of the filter unit is rotated by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n a rotation process. And the collection space is in sel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유닛에 쌓인 먼지가 제진 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사용자가 필터 유닛을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시켜 필터를 직접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is automatically removed by the damping member, the trouble of having to separate the filter unit from the cleaner body and directly clean the filter is eliminated.
또한, 상기 필터 유닛의 회전에 의해서 복수 개의 필터 중 깨끗한 필터가 상기 흡입 모터의 상류 측에 위치하므로, 흡입 모터 측으로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흡입 모터로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외부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clean filter of the plurality of filters is located upstream of the suction motor by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clean air flows into the suction motor,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of fine dust into the suction motor, and cleans the outside. The air can be discharged.
또한, 필터 유닛에서 제거된 먼지가 집진 용기에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먼지를 용이하게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empty the dust.
또한,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가 가압 부재에 의해서 압축되므로, 집진 용기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maximized.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5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의 수평 단면도.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은 집진 용기 내부에서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ust is compress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2는 일반 청소 모드 하에서 진공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12 shows air flow in a vacuum cleaner under normal cleaning mode.
도 13은 필터 청소 모드 하에서 진공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13 shows air flow in a vacuum cleaner under filter cleaning mode.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16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7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사시도.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1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1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2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2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 21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청소기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leaner body is remov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 어셈블리(30)가 구비되는 본체(1)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내부 구성에 주된 관심이 있으므로, 본체의 외형 및 다른 구성에 대해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and 2,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 provided with a
상기 본체(1)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분리장치(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가 장착되는 장착부(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60)과,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정화 장치(20)가 구비된다.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mounted with a
상기 정화 장치(20)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먼지분리장치(10)와 상기 흡입모터 어셈블리(3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안내관(60), 상기 먼지분리장치(10), 상기 정화장치(20)를 지나 상기 흡입모터 어셈블리(30)로 유동된다. The purifying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먼지"는 사전적 의미 외에 기타 다른 이물질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it is noted that "dust" includes other foreign matter in addition to the dictionary meaning.
먼저,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상기 먼지분리장치(10)는, 싸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110)와,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 용기(120)와, 상기 먼지 분리부(11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30)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 용기(120)의 내부에는 상기 안내관(60)의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110)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관(122)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관(122)은 상기 집진 용기(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집진 용기(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먼지 분리부(110)는 상기 집진 용기(12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는, 상기 집진 용기(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122)과 연통되는 흡입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15)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1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부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14)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116)가 결합된다. The
한편, 상기 정화 장치(20)에는, 필터 장착부(210)와,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수용되어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240)과, 상기 필터 유닛(240)에서 제거된 먼지가 유동하는 배출 덕트(215)가 포함된다. 상기 배출 덕트(215)는 상기 안내관(60)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즉, 상기 필터 유닛(240)에서 제거된 먼지는 상기 배출 덕트(215)를 지나 상기 안내관(60)으로 유동된 후에 상기 먼지분리장치(10)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덕트(215)는 개폐 장치(도 3의 50참조)에 의해서 개폐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215)는 상기 개폐 장치(도 3의 50참조)에 의해서 상기 안내관(60)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urifying
한편, 상기 필터 유닛(240)은 구동 장치(40)에 의해서 상기 필터 장착부(210)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 장치(40)에는, 구동 모터(410)와, 상기 구동 모터(410)의 축에 결합되는 기어(420)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420)의 일 부분은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외측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21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 유닛(240)과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흡입모터 어셈블리(30)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 모터와, 상기 흡입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정화 장치(2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2)가 형성된다. The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 장치(50)에는, 상기 배출 덕트(215)와 상기 안내관(6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개폐 부재(510)와, 상기 개폐 부재(5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 모터(520)와, 상기 개폐 부재(5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53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60)에는 상기 배출 덕트(215)에서 배출된 먼지가 유입되는 유입구(610)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ning and
상기 개폐 부재(510)의 회전축(512)은 상기 유입구(6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53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514)가 상기 유입구(61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5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14)에 상기 개폐 모터(520)가 결합된다. 상기 감지부(530)는 일 례로 마이크로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510)는 상기 가압부(514)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개폐 부재(510)가 상기 배출 덕트(215)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14)는 상기 감지부(53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감지부(530)에서 후술할 제어부로 상기 개폐 모터(520)의 정지 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개폐 모터(52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개폐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이며, 일 례로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 때,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개폐 부재(510)가 상기 배출 덕트(215)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관(60)의 내주면과 간섭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방향이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에 저항력이 가해지되면,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커지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전류가 순간적으로 커지는 때에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The synchronized moto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itself.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verted to the oth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motor is a resistance force (torque) generat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530)의 작동 및 상기 개폐 모터(520)에 가해지는 저항력에 의해서 상기 개폐 모터(520)의 작동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개폐 모터(520)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되어, 설정된 회전수 만큼만 상기 개폐 모터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open /
이하에서는 정화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urific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A front view of the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화 장치(20)에는, 필터 유닛(240)과, 상기 필터 유닛(240)을 보호하는 하우징(230)과, 상기 하우징(230)이 수용되는 필터 장착부(210)와,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2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250)가 포함된다. 1 to 7, the
상세히,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와, 상기 필터 유닛(24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23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리브(213, 213a)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 리브(213, 213a)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외부 하측에는 배출 덕트(21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 덕트(215)의 내부에는 먼지가 유동하는 배출 유로(2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는 상기 필터 유닛(240)의 장착을 감지하는 필터 감지부(27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 감지부(270)로는, 일 례로 스위치가 사용되거나, 상기 하우징(230)에 구비되는 자성 부재를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감지부(27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In detail, the
상기 필터 유닛(240)은 상기 하우징(2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40)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230)에 대해서 회전된다. 상기 필터 유닛(240)에는, 필터 케이싱(241)과, 상기 필터 케이싱(241)에 안착되는 필터(246)가 포함된다. The
상기 필터 케이싱(241)에는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홀(243)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둘레에는 상기 기어(420)와 맞물리기 위한 다수의 기어 이(242: 연결부라고도 할 수 있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둘레에는 복수의 자성 부재(244)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244)는,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상기 필터(246)로는 일 례로 다수회 절곡되는 플리츠 필터(pleats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6)는 상기 구획 리브(213, 213a)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필터(246a)와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필터(246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 리브(213, 213a)의 상측에 위치되는 필터(246)의 일부를 제 1 필터(246a)라 하고, 상기 구획 리브의 하측에 위치되는 필터(246)의 일부를 제 2 필터(246b)라 한다. For example, a pleats filter that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may be used as the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는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부(26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감지부(260)에는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244) 중 어느 한 자성 부재의 자기(磁氣)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hall sensor: 262)가 포함된다. 상기 홀 센서(262)는 상기 구획 리브(213, 213a)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홀 센서(262)에서 어느 한 자성 부재(244)의 자기가 감지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260)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구동 모터(410)의 정지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 케이싱(241)의 회전은 정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244)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필터 케이싱(241)은 한 번의 회전시, 180도 회전하게 된다. The
상기 하우징(230)에는, 상기 필터 유닛(240)이 안착되는 제 1 하우징(231)과, 상기 필터 유닛(240)이 상기 제 1 하우징(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31)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37)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37)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1 개구부(23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237)이 상기 제 1 하우징(2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의 기어 이(242)는 상기 제 1 개구부(238)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31)에는 상기 필터 유닛(24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2 개구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30)에 상기 필터 유닛(24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30)은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In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230)이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수용되면, 상기 하우징(2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필터 유닛(240)의 기어 이(242)가 상기 기어(420)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231)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핸들(23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230)이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3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는 제 1 가이드부(217)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231)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17)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가이드부(23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31) 및 제 2 하우징(237)에는 상기 필터 유닛(24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 센서(262)와 어느 한 자성 부재(244)가 정렬될 때, 상기 홀 센서(262)에서 상기 자성 부재(244)의 자기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홀(235, 239)이 각각 형성된다. When the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리브(213, 213a)를 기준으로 상하 구획된다. 그리고, 상측 공간(214a)에는 상기 필터(246)의 일부(제 1 필터)가 위치되고, 하측 공간(214b)에는 상기 필터(246)의 다른 일부(제 2 필터)가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먼지 분리 장치(1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유입구(211)를 통하여 상기 상측 공간(214a)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필터(246a) 만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정화 장치(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246)의 일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배출 덕트(215)와 상기 안내관(60)이 연통되지 않는 한, 상기 하측 공간(214b)에는 흡입 모터의 흡입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하측 공간(214b)에서는 공기 유동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공간(214a)은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유입구(211)와 배출구(21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상측 공간(214a)을 연결 유로로 이름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the inner space of the
한편,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상기 유입구(211)가 형성되는 면(210a)에는 다수의 제진 부재(218)가 형성된다. 상기 제진 부재(218)는 상기 면(210a)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필터(246)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유닛(24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246)와 상기 제진 부재(218)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필터(246)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246)에서 제거된 먼지는 상기 하측 공간(214b)에 저장된다. 즉, 상기 제진 부재(218)는 상기 구획 리브(213, 213a)의 하측 방에 위치하게 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용기의 수평 단면도이다. 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FIG. 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 용기(120)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121)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121)에는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150)가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 부재(150)는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한 가압판(152)과, 상기 가압판(152)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154)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154)은 상기 집진 용기(12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축(124)과 결합된다. 상기 가압 부재(150)는 구동 장치(160)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 장치(160)에는, 상기 장착부(5)에 구비되는 압축 모터(161)와, 상기 압축 모터(161)의 동력을 상기 가압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포함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압축 모터(161)의 축과 연결되는 구동 기어(162: 제 1 동력 전달부라고도 할 수 있음)와, 상기 가압 부재(15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기어(16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 기어(164: 제 2 동력 전달부라고도 할 수 있음)가 포함된다. 상기 종동 기어(164)의 축(166)은 상기 집진 용기(120)의 하측에서 상기 집진 용기(120)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 부재(150)의 회전축(15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 기어는 상기 집진 용기(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구동 기어(162)는 상기 압축 모터(16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5)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장착부(5)에는 상기 구동 기어(162)가 관통하는 개구부(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 기어(162)가 상기 장착부(5)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집진 용기(120)가 상기 장착부(5)에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164)와 상기 구동 기어(162)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가압 부재(15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8 and 9, the
한편, 상기 종동 기어(164)에는 자성 부재(165)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 부재(165)는 일 례로 상기 종동 기어(164)에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의 내측에는 상기 자성 부재(165)에서 발생되는 자기(磁氣)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집진 용기(120)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174)와, 상기 종동 기어(164)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76)가 포함된다. 상기 각 감지부(174, 176)로는 홀 센서(Hall sensor)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부재(150)는 상기 종동 기어(164)와 함께 움직이므로, 상기 종동 기어(164)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가압 부재(1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n
그리고, 상기 장착 감지부(174)는 상기 자성 부재(165)의 A부분의 자성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종동 기어(164)의 중앙부의 수직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는 상기 장착 감지부(174)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자성 부재(165)의 B부분의 자성을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용기(120)가 상기 장착부(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감지부(174)에서는 항상 자기가 감지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detecting
반면, 상기 종동 기어(164)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가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가 감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164) 또는 상기 가압 부재(150)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driven
한편, 상기 고정축(124)과 상기 흡입관(122)의 사이에는 연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26)는 상기 고정축(124) 및 상기 흡입관(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6)는 상기 가압 부재(150)에 의해서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축(124)과 상기 흡입관(122) 사이를 먼지가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의 파워(예컨대, 강, 중, 약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신호 입력부(70)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72)와, 상기 모드 선택부(72)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320), 상기 구동 모터(410) 및 상기 개폐 모터(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와, 상기 필터 유닛(24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 감지부(260)와, 상기 가압 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161)와, 상기 집진 용기의 장착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174)와, 상기 가압 부재(1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176)와, 상기 필터 유닛(240)의 장착을 감지하는 필터 감지부(270)와, 청소기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180)와,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량을 표시하는 먼지량 표시부(19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n operation
상세히, 상기 작동 모드는, 일반 청소 모드와 필터 청소 모드가 포함된다. 일반 청소 모드는 바닥면 또는 실내 공간의 청소를 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일반 청소 모드에서는 상기 개폐 부재(510)에 의해서 상기 배출 덕트(215)가 폐쇄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필터 청소 모드는 상기 필터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필터 청소 모드에서는 상기 개폐 부재(510)에 의해서 상기 배출 덕트(215)가 개방되고, 상기 필터 유닛(240)이 회전된다. In detail,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general cleaning mode and a filter cleaning mode.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a mode for cleaning the floor or the indoor space. In the general cleaning mode, the
그리고, 각 모드에서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압축 모터(161)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축 모터(161)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150)는 정회전(시계 방향 회전)과 역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15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흡입관(122) 양측의 먼지가 압축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이다. As such, in order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a synchronous motor may be used as the compression motor. Since the synchronized motor is generally known in the mot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t is one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by the synchronized motor.
한편, 상기 집진 용기(120)가 상기 장착부(5)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착 감지부(174)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가 감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동작신호 입력부(70)로부터 흡입 모터(32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집진 용기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유닛(240)이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필터 유닛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반면, 상기 장착 감지부(174)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가 감지되고, 상기 필터 감지부(270)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의 장착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에서 감지하는 상기 가압 부재(15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 먼지량을 판단한다. 그러면, 상기 상기 먼지량 표시부(190)에서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 먼지량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먼지가 기준량 이상이 저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먼지 비움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sm of the
이 때,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이거나, 사용자에게로 직접 전달되는 진동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 발생부(180)로서, 스피커, LED, 진동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먼지 비움 신호, 집진 용기 미장착 신호, 필터 유닛 미장착 신호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이와 달리, 상기 신호 발생부(180)는 집진 용기 미장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신호 발생부와, 먼지 비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신호 발생부와, 필터 유닛 미장착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 신호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In contrast, the
도 11은 집진 용기 내부에서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ust is compress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 부재(150)는 상기 집진 용기(120) 내부에서 양방향 회전된다. 상기 집진 용기(120) 내에서 상기 가압 부재(150)의 최대 회전 각도의 1/2인 지점에 상기 가압 부재(150)가 위치할 때,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는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가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를 감지할 때의 상기 가압 부재(150)의 위치를 설명의 편의상 "기준 위치"라고 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pressing
그리고,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가압 부재(150)가 기준 위치로부터 일 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다시 기준 위치까지 복귀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TD1: 제 1 왕복 시간)과, 가압 부재(150)가 기준 위치로부터 일 례로 반시계 방향 회전한 후에 다시 기준 위치까지 복귀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TD2: 제 2 왕복 시간)이 감지된다. 즉, 상기 제어부(80)에는 상기 타이머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150)에 의하여 압축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은 점점 단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시간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집진 용기(120) 내에 먼지가 충분히 쌓였다고 판단하여 먼지 비움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As the amount of dust compressed by the pressing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일반 청소 모드 하에서 진공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필터 청소 모드 하에서 진공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2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under the general cleaning mode,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under the filter cleaning mode, Figure 14 is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도 12 및 도 13에서 실선은 공기를 나타내고, 점선은 먼지를 나타낸다. 12 and 13, solid lines represent air and dotted lines represent dust.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드 선택부(72)에 의해서 일반 청소 모드가 선택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80)에서는 동작신호 입력부(70)를 통하여 흡입모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0). 그리고, 흡입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집진 용기(1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1).12 and 14,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selected by the
상기 집진 용기(120)가 상기 장착부(5)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착 감지부(174)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가 감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상기 집진 용기(120)의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12).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320)는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이와 같이 집진 용기(1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모터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집진 용기의 미장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진 용기(1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흡입 모터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uction motor operation signal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반면, 상기 장착 감지부(174)에서 자기가 감지되어 상기 집진 용기(120)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필터 유닛(240)이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sm is sensed by the mounting detecting
상기 필터 감지부(270)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의 장착 신호가 상기 제어부(80)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또는 상기 필터 감지부(270)에서 상기 제어부(80)로 필터유닛 미장착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필터 유닛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14). When the mounting signal of the
한편, 상기 집진 용기(120)의 장착 및 상기 필터 유닛(240)의 장착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가 선택한 흡입 파워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320)가 온되도록 한다(S15). 상기 흡입 모터(320)가 온되면, 흡입력에 의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안내관(60)으로 흡입된다. 상기 안내관(60)으로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관(122) 및 상기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청소 모드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115)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unting of the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15)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120)로 이동된다. 반면, 공기는 상기 필터 부재(116)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정화 장치(20)의 유입구(211)를 통하여 상기 정화 장치(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 장치(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상측 공간(214a)에 위치된 상기 필터(246)의 일부(제 1 필터(246a))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 1 필터(246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배출구(212)를 통하여 상기 정화 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정화 장치(2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모터 하우징(310)의 유입구(312)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 모터(320)를 지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sucked into the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집진 용기(120)에 먼지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 부재(150)는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된 후에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161)를 구동시킨다(S16).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모터(320)의 작동 후에 압축 모터(161)가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흡입 모터(320)와 상기 압축 모터(161)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As the dust in the air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ust is stored in the
단계(S16)에서, 상기 압축 모터(161)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 모터(161)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162)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162)가 회전되면, 이와 맞물린 상기 종동 기어(164)가 회전된다. 상기 종동 기어(16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150)는 회전하면서 먼지를 압축하게 된다. In step S16, when the
이 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가압 부재(150)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7). 본 실시예는 상기 가압 부재(150)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 부재(150)의 제 1 왕복 시간 및 제 2 왕복시간(또는 상기 가압 부재의 이동 범위)를 측정하므로, 상기 가압 부재(150)의 최초 동작시, 상기 가압 부재(150)가 기준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압 부재(150)가 처음으로 기준 위치에 위치한 시점은, 상기 압축 모터(161)의 최초 동작시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에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를 처음으로 감지하게 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176)가 처음으로 상기 자성 부재(165)의 자기를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 부재(150)의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을 측정하게 된다(S18).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150)에 의하여 집진 용기(120) 내부에서 압축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가압 부재(150)의 좌우 왕복 회전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이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여기서, 기준 시간은 설계자에 의하여 제어부(80) 자체에 설정한 시간으로서, 이는 상기 집진 용기(120) 내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쌓였다고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상기 기준 시간은 설계자가 다수회 반복 실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써 진공 청소기의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Here, as the amount of dust compressed in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 중 어느 하나가 기준 시간에 도달(기준 시간 이하가 되는 경우)하는 경우, 먼지의 양이 소정량(먼지 비움이 요구되는 양)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이 모두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먼지의 양이 소정량(먼지 비움이 요구되는 양)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either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or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reaches the reference time (when the reference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mount of dust is required (dust emptying is required). Amount of money). On the contrary, when both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reach the reference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dus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amount (a quantity required for dust emptying).
단계(S19)에서의 판단 결과,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단계(S16)으로 복귀하여 이전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이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신호 발생부(180)에서 먼지 비움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S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9, when any one of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and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6 to perform the previous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round trip time TD1 or the second round trip time TD2 reaches the reference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먼지가 더이상 흡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 모터(320)를 오프시킨다(S21). 여기서, 상기 집진 용기(120) 내부에 쌓인 먼지의 양이 소정 양을 초과한 상태에서 먼지 흡입이 지속되면 먼지 흡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흡입 모터(320)에도 과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 모터(320)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압축 모터(161)가 오프되도록 한다(S22).In addition, the
한편, 도 12를 참조하여 필터 청소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Meanwhile, the filter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는, 일반 청소 모드 중에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1 경우와, 일반 청소 모드가 완료되어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정지 모드)에서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2 경우와, 사용자가 일반 청소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3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during the normal cleaning mo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normal cleaning mode is completed and the
제 1 경우에는 흡입 모터(320)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면, 우선 흡입 모터(320)가 정지되고, 상기 필터 유닛(240)의 회전 및 상기 배출 덕트(215)의 개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재작동하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흡입 모터(320)의 정지 시 상기 압축 모터(161)가 함께 정지되고, 상기 흡입 모터(320)의 재작동시 상기 압축 모터(161)도 함께 재작동된다. In the first case, since the
이와 달리 제 1 경우에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이 회전되고 배출 덕트(215)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압축 모터(161) 또한 작동 상태가 유지된다.In contrast, in the first case, the
반면, 제 2 경우 및 제 3 경우에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필터 유닛(240)의 회전 및 배출 덕트(215)의 개방이 완료된 후에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and third cases, since the
이하에서는 일 례로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에서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while the
상기 필터 감지부(270)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선택부(72)에 의해서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구동 장치(40)에 의해서 상기 필터 유닛(24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When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by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24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회전 감지부(260)에서 상기 복수의 자성 부재(244) 중 어느 하나의 자성 부재의 자기가 감지되면, 상기 회전 감지부(260)에서 상기 제어부(80)로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 모터(410)의 작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감지부(260)에서 상기 자성 부재(244)의 자기가 감지되는 상태는, 상기 필터 유닛(240)이 180도 회전된 상태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When the magnetism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상기 필터 유닛(240)이 180도 회전되면 상기 상측 공간(214a)에 위치했던 제 1 필터(246a)가 상기 하측 공간(214b)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측 공간에 위치했던 제 2 필터(246b)는 상기 상측 공간(214a)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공간(214b)은 제진 부재에 의해서 필터의 제진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므로, 상기 하측 공간(214b)을 청소 공간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 공간(214b)은 상기 필터 유닛에서 제거된 먼지가 모이는(또는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하측 공간(214b)을 수집 공간이라고 이름할 수도 있을 것이다. When the
상기 제 1 필터(246a)가 상기 하측 공간(214b)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진 부재(218)에 의해서 상기 제 1 필터(246a)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246a)에서 제거된 먼지는 하측으로 낙하된다.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상기 필터 유닛(240)의 회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측 공간(214b)에 낙하된 먼지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 부재(5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배출 덕트(215)가 개방된다. 상기 배출 덕트(215)가 개방되면, 상기 배출 덕트(215)와 상기 안내관(60)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덕트(215)의 개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되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때, 상기 흡입 모터(320)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압축 모터(161)가 작동하게 된다. After the rotation of the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되면,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하측 공간(214b)이 상기 배출 덕트(215)에 의해서 상기 안내관(60)과 연통되므로, 상기 흡입 모터(320)의 흡입력이 상기 필터 장착부(210)의 하측 공간(214b)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하측 공간(214b)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상기 배출 덕트(215)를 지나 상기 안내관(60)으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하측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에서 제거되지 않은 일부 먼지가 상기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필터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안내관(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를 유동하고, 상기 상측 공간(214a)에 위치한 필터를 통과한 후에 상기 모터 하우징(310)으로 유입된다. 반면, 상기 안내관(60)으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서 공기와 분리된 후에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가압 부재(150)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 때, 상기 개폐 부재(5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60)의 유로를 차단하므로, 청소기 본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안내관(6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상기 필터 청소 모드 중에 상기 제어부(80)에서는 하측 공간의 먼지 배출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일 례로, 상기 흡입 모터(320)의 동작 시간이 기준 시간(T1)에 도달한 경우에 필터 청소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필터 청소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흡입 모터(32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모터(520)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510)가 회전되어 상기 배출 덕트(215)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모터(5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514)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530)를 가압하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상기 개폐 모터(520)의 작동이 정지된다. In the filter cleaning mode,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 유닛(240)의 먼지가 제진 부재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제거되고, 흡입 모터(320)의 흡입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차적으로 제거되므로, 사용자가 필터 유닛(240)을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시켜 필터를 직접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ust of the
또한, 상기 필터에서 제거된 먼지가 상기 필터 장착부(210)에서 배출되어 상기 집진 용기에 저장되므로, 상기 정화 장치 내부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is discharged from the
또한, 집진 용기에 저장된 먼지가 가압 부재에 의해서 자동으로 압축되므로, 상기 집진 용기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automatically com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the dust collecting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can be maxim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유닛의 회전(즉, 필터 청소)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의해서 결정되나, 이와 달리 상기 흡입 모터의 전류값에 따라 상기 필터 유닛의 회전이 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상측 공간(214a)에 위치하는 제 1 필터(246a)에 먼지가 많이 쌓인 경우 공기가 제 1 필터(246a)를 용이하게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흡입 모터(320)의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 모터(320)의 전류가 일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필터 유닛(24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that is, the filter cleaning) is determined by the user's mode selection. Alternatively, the rotation of the filter un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of the suction motor. For example, when a lot of dust accumulates in the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정화 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purification device. Therefore, hereinafter, only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화 장치(700)에는, 필터 유닛(730)과, 상기 필터 유닛(730)을 보호하는 하우징(720)과, 상기 하우징(720)이 수용되는 필터 장착부(710)와,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7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750)와, 상기 필터 유닛(730)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 장치(740)가 포함된다. 15 and 16, the
상세히,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711)와, 상기 필터 유닛(7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7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상기 유입구(711)가 형성되는 면에는 배출 유로(716)를 정의하는 배출 덕트(71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 덕트(715)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개폐 장치(50)에 의해서 상기 안내관(60)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는 상기 필터 유닛(730)의 장착을 감지하는 필터 감지부(760)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상기 하우징(720)에는, 상기 필터 유닛(730)이 안착되는 제 1 하우징(721)과, 상기 필터 유닛(730)이 상기 제 1 하우징(7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721)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725)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하우징(725)은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1 개구부(726)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하우징(231)에는 상기 필터 유닛(7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2 개구부(722)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유닛(730)에는, 필터 케이싱(731)과, 상기 필터 케이싱(731)에 안착되는 필터(734)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케이싱(731)에는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홀(732)이 형성된다. The housing 720 may include a
상기 제진 장치(740)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는 상기 제진 장치(7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7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진 장치(740)는 구동 장치(900)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기 구동 장치(900)는 상기 흡입 모터(320) 및 압축 모터(161)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진 장치(74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홀(7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진 장치(740)의 둘레에는 상기 구동 장치(900)와 연결되기 위한 다수의 기어 이(746: 연결부라고도 할 수 있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진 장치(740)에는 상기 필터(734)에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제진 부재(744)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진 부재(744)는 상기 제진 장치(740)에서 상기 필터(734)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필터(734)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진 장치(740)가 회전되면, 상기 제진 부재(744)에 의해서 상기 필터(734)의 먼지가 제거되고, 제거된 먼지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다. The
상기 구동 장치(900)에는, 구동 모터(910)와, 상기 구동 모터(910)의 축에 연결되는 기어(920)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920)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를 관통하여 상기 기어 이(746)와 맞물린다. 한편, 상기 필터 유닛(730)이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내부 공간은 구획 장치(800)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 장치(800)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구동 모터(810)와, 상기 구동 모터(810)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 장착부(710) 내측에 위치되는 구획 부재(82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 부재(820)에는 회전축(821)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821)은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필터 장착부(710)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장착부(710)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장착부(710)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821)에 상기 구동 모터(810)가 연결된다. 상기 구획 부재(820)가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715)와 상기 안내관(60)이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320)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이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하측 공간에 작용하여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하측 공간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서 배출된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정화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먼저, 일반 청소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 청소 모드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715)가 개폐 장치(50)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First, the general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the general cleaning mode, the
상기 집진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 유닛(230)이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320)가 온되면, 흡입력에 의해서 청소기 외부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안내관(60)으로 흡입된다. 상기 안내관(60)으로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관(122) 및 상기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먼지 분리부(110)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15)를 통하여 상기 집진 용기(120)로 이동된다. 반면, 먼지와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정화 장치(700)의 유입구(711)를 통하여 상기 정화 장치(7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 장치(70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734) 전체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73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배출구(712)를 통하여 상기 정화 장치(7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정화 장치(7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모터 하우징(310)의 유입구(312)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 모터(320)를 지난 후에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다음으로, 필터 청소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filter cleaning mode will be described.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는, 일반 청소 모드 중에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1 경우와, 일반 청소 모드가 완료되어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정지 모드)에서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2 경우와, 사용자가 일반 청소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필터 청소 모드가 선택되는 제 3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in the first case in which the filter cleaning mode is selected during the normal cleaning mo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normal cleaning mode is completed and the
제 1 경우에서, 상기 제진 장치(740)는 상기 흡입 모터(320)의 작동 시에 회전되거나, 상기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진 장치(740)가 상기 흡입 모터(320)의 정지 후에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진 장치(740)가 일정 시간 작동된 후(또는 일정 각도 회전된 후)에 정지되고, 상기 제진 장치(740)가 정지된 후에 상기 흡입 모터(320)가 다시 작동할 수 있다. 제 2 경우 및 제 3 경우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진 장치(740)는 일정 시간 작동된 후(또는 일정 각도 회전된 후)에 정지된다. In the first case, the
본 실시예에서 필터 청소 모드 하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215)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각 경우에서 상기 제진 장치(740)가 회전되면, 상기 필터(734)의 먼지가 상기 제진 부재(744)에 의해서 제거되고, 상기 필터(734)에서 제거된 먼지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다음으로 먼지 배출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dust discharge mode will be described.
상기 필터(734)에서 제거된 먼지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 내부 하측에 저장되므로, 저장된 먼지의 배출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 저장된 먼지가 자동으로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유닛(730)이 상기 필터 장착부(710)에서 분리되면, 상기 필터 감지부(760)에서 제어부(80)로 필터 유닛 미장착 신호가 전송된다. Since the dust removed from the
이 상태에서, 먼지 배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 모터(810) 및 상기 개폐 모터(520)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구획 부재(8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710)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된다. 즉, 상기 필터 장착부(7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820)에 의해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때, 상기 필터(734)에서 제거된 먼지는 하부 공간에 저장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510)가 상기 배출 덕트(715)를 개방시켜 상기 배출 덕트(715)와 상기 안내관(60)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810) 및 상기 개폐 모터(520)가 정지된 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161)는 상기 흡입 모터(320)와 함께 작동되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320)가 작동되면, 상기 흡입 모터(320)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상기 하부 공간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공간의 먼지는 공기와 함께 상기 배출 덕트(215)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덕트(215)로 배출된 먼지 및 공기는 상기 안내관(60)을 따라 상기 먼지 분리부(11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110)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상측 공간을 유동한 후에 상기 흡입 모터(3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먼지 분리부(110)로 이동한 먼지는 상기 집진 용기(120)에 저장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dust discharge mode is selected, the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320)가 온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흡입 모터(320)는 오프되고, 상기 구획 부재(820)가 상기 구동 모터(810)에 의해서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도 17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nd FIG.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필터 유닛이 수동 회전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 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parts, except that the filter unit is manually rotated. Therefore,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characteristic portion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본체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 어셈블리(1030)와,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분리장치(1010)와, 상기 먼지분리장치(10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정화 장치(1100)가 포함된다. 17 to 19,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정화 장치(1100)에는, 필터 장착부(1110)와, 상기 필터 장착부(11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1150)와, 상기 필터 장착부(1110)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필터 유닛(240)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필터 유닛(240)을 회전시키는 조작 유닛(1200)이 포함된다. 본 실시 예의 필터 유닛의 구조는 제 1 실시 예의 필터 유닛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The
상기 조작 유닛(1200)은 상기 커버(1150)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 유닛(1200)에는, 조작 부재(1210)와, 상기 조작 부재(1210)와 결합되는 제 1 전달부(1212)와, 상기 제 1 전달부(1212)로부터 상기 조작 부재(1210)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제 2 전달부(1213)와, 상기 제 1 전달부(1212) 및 제 2 전달부(1213)를 커버하는 케이스(12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220)는 상기 커버(1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220)의 일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1210)가 관통하며, 상기 조작 부재(1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122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부재(1210)는 상기 가이드 홀(1222)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전달부(1212)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홀(1222)은 상기 케이스(122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달부(1212)로는 일 례로 랙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전달부(1212)는 절곡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전달부(1213)는, 상기 제 1 전달부(1212)와 연결되는 제 1 기어(1214)와, 상기 제 1 기어(1214)와 일체로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제 1 기어(12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 2 기어(1215)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1215)는 상기 커버(1150)에 형성된 홀(1152)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150)가 회전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1110)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1215)의 일부는 상기 필터 장착부(1110)에 위치한 필터 케이싱(241)의 기어 이(242)와 맞물린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부재(12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유닛(240)은 회전되고, 상기 필터 유닛(240)의 회전에 의해서 필터(246)의 먼지가 상기 제진 부재(218: 도 7참조)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작 부재(1210)가 가이드 홀(121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될 때, 상기 필터 유닛(240)은 180도 회전된다. Therefore, the
본 실시 예의 진공 청소기의 작동 모드는, 일반 청소 모드와 먼지 배출 모드가 포함된다. 일반 청소 모드는 바닥면 또는 실내 공간의 청소를 하기 위한 모드이고, 상기 먼지 배출 모드는 상기 필터(246)에서 제거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의 하측 공간에 쌓인 먼지를 상기 필터 장착부(1110)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모드이다.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eneral cleaning mode and a dust discharge mode. The general cleaning mode is a mode for cleaning the floor or the indoor space, and the dust discharge mode is removed from the
본 실시 예의 일반 청소 모드에서, 흡입 모터 및 압축 모터의 작동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사용자는 일반 청소 모드에서, 상기 조작 부재(1210)를 조작하여 상기 필터 유닛(24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246)의 먼지는 제진 부재(218: 도 7참조)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In the general cleaning mode of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compression motor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user rotates the
먼지 배출 모드는 제 1 실시 예의 필터 청소 모드에서 필터 유닛(240)이 회전된 이후의 나머지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ust discharge mode is the same as the rest of the process after the
도 2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정화 장치에는, 필터 장착부(1110)와, 상기 필터 장착부(11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필터 유닛(730)과, 상기 필터 장착부(11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1150)와, 상기 커버 부재(115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장착부(1110) 내부에 구비된 제진 장치(74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유닛(1200)과, 상기 필터 장착부(1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구획 장치(800)가 포함된다. 20 and 21, the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 예의 필터 유닛(730), 제진 장치(740) 및 구획 장치(800)는 제 2 실시 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 2 실시 예에서 사용했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필터 장착부(1110), 커버 부재(1150) 및 조작 유닛(1200)은 제 3 실시 예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 3 실시 예에서 사용했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Since the
본 실시 예의 특징은 제진 유닛(740)이 조작 유닛(1200)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hat the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9380A KR20100040338A (en) | 2008-10-10 | 2008-10-10 | Vacuum cleaner |
KR10-2008-0099382 | 2008-10-10 | ||
KR1020080099383A KR101052107B1 (en) | 2008-10-10 | 2008-10-10 | Vacuum cleaner |
KR1020080099382A KR101052143B1 (en) | 2008-10-10 | 2008-10-10 | Vacuum cleaner |
KR10-2008-0099383 | 2008-10-10 | ||
KR10-2008-0099380 | 2008-10-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41902A2 true WO2010041902A2 (en) | 2010-04-15 |
WO2010041902A3 WO2010041902A3 (en) | 2010-07-01 |
Family
ID=4210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09/005797 WO2010041902A2 (en) | 2008-10-10 | 2009-10-09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WO (1) | WO2010041902A2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99791B2 (en) * | 2005-07-21 | 2007-10-31 | 株式会社東芝 | Electric vacuum cleaner |
JP4118289B2 (en) * | 2005-08-26 | 2008-07-16 | 株式会社東芝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
KR100871483B1 (en) * | 2006-02-24 | 2008-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JP4041150B2 (en) * | 2006-03-31 | 2008-01-30 | 株式会社東芝 | Electric vacuum cleaner |
KR100730956B1 (en) * | 2006-04-27 | 2007-06-22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Dust Collector Compressor of Vacuum Cleaner |
-
2009
- 2009-10-09 WO PCT/KR2009/005797 patent/WO201004190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41902A3 (en) | 201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0002098A1 (en) | Vacuum cleaner | |
WO2022014850A1 (en) | Vacuum cleaner | |
WO2022075570A1 (en) | Cleaning system and docking apparatus | |
WO2022030817A1 (en)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
AU2018210706B2 (en) |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
WO2011004916A1 (en) | Robot cleaner | |
WO2016117893A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WO2009104878A2 (en) |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on apparatus thereof | |
WO2011074716A1 (en) | Robot cleaner | |
AU2016340619B2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WO2011065638A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dust removing unit | |
WO2021215844A1 (en) | Cleaning apparatus dock | |
WO2011025138A2 (en) | Dust collector comprising a handle unit and intended for a vacuum cleaner | |
WO2018110911A1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WO2019212119A1 (en) | Cleaner | |
WO2019013378A1 (en) | Vacuum cleaner | |
WO2017131462A1 (en) | Vacuum cleaner | |
WO2018135897A2 (en) |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 |
WO2011055861A1 (en) | Vacuum cleaner | |
WO2022173108A1 (en)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
WO2019013379A1 (en) | Vacuum cleaner | |
WO2011087173A1 (en) | Vacuum cleaner | |
WO2019231171A1 (en) | Cleaner | |
WO2011025072A1 (en) | Vacuum cleaner | |
WO2011055864A1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09819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09819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