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80013092A -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3092A
KR980013092A KR1019960031348A KR19960031348A KR980013092A KR 980013092 A KR980013092 A KR 980013092A KR 1019960031348 A KR1019960031348 A KR 1019960031348A KR 19960031348 A KR19960031348 A KR 19960031348A KR 980013092 A KR980013092 A KR 98001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data
flash memory
area
sto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3092A/ko
Priority to US08/902,356 priority patent/US6304883B1/en
Publication of KR98001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09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51File or database maintenance
    • Y10S707/99956Fil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파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환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일들을 하드디스크을 이용하여 관리할 시 요구되는 제어기 및 기구적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영구저장 특성에다 일반메모리와 같은 빠른 속도 및 제어의 간편성 등을 경비한 플레쉬메모리를 저장매체로 하여 별도의 처리기가 필요없이 중앙처리장치에 메모리처럼 간단히 실장하여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파일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기구적 공간, 별도의 제어기, 빈번한 인터페이스 변경과 같은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파일관리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화일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의 파일을 플레쉬메모리를 저장매체로 하여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시스템 또는 키폰시스템(이하 "교환시스템"이라 칭함)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룸(102)은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램(104)은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06)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터를 스위칭한다. 일반가입자회로(108)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A,B,C,D)에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일반전화기(A,B,C,D)와 스위칭회로(106)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링발생기(110)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키폰가입자회로(112)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키폰전화기(E,F,G,H)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통화전류를 공급하며, 키폰전화기(E,F,G,H)와 스위칭회로(106)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키폰전화기(E,F,G,H) 및 일반전화기(A,B,C,D)는 내선가입자가 된다. 그리고 일반가입자회로(108) 및 키폰가입자회로(112)와 상기 내선가입자를 연결하는 선로는 가입자선로가 된다.
톤발생기(114)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회로(106)로 출력한다. 국선회로(116)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스위칭회로(106)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국선이라 함은 국선회로(116)와 국설교환기 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DTMF수신기(118)는 스위칭회로(106)에서 입력되는 DTMFT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회로(106)로 DTMF수신기(118)에 수신되는 DTMF신호는 국선을 통한 외부가입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내선가입가 발생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DTMF송신기(120)는 중앙처리장치(100)가 출력하는 디지털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회로(106)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교환시스템은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룸(102)과,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104)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모리들만으로 대용량의 교환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모든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저장한 후 관리하기에는 결코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종래의 교환시스템에는 대용량의 저장매체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이하 "HDD"라 칭함)가 연결되어 이용되었다. 즉 도1에 도식된 바와 같이 HDD(124)가 입출력처리부(122)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0)에 연결되었다 이러한 HDD(124)에는 교환시스템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며, 이러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는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되어 관리된다.
그런데 하드디스크라는 특성 때문에 하드디스크간의 인터페이스(SCSI)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기(SCSI제어기+파워모듈)가 요구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하드디스크 제어 인터페이스는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보조메모리인 하드디스크의 빈번한 단종으로 인해 빈번하게 변경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를 실장할 수 있는 상당한 크기의 기구적 공간이 반드시 보장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없는 교환시스템의 파일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잇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파일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저장매체에 대한 기구적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파일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파일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저장매체의 빈번한 변경을 방지하고 파일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영구저장 특성에다 일반메모리와 같은 빠른 속도 및 제어의 간편성 등을 겸비한 플레쉬메모리를 저장매체로 하여 별도의 처리기가 필요없이 중앙처리장치에 메모리처럼 간단히 실장하여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파일관리 장치를 제공하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구적 공간, 별도의 제어기, 빈번한 인터페이스 변경과 같은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2에 도시된 플레쉬메모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3에 도시된 플레쉬메모리의 디스크정보영역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2에 도시된 에스램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5에 도시된 에스램의 디스크정보영역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5에 도시된 에스램의 파일할당테이블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8은 도5에 도시된 에스램의 디렉토리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의 리드계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의 라이트계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에 의해 램디스크의 변경데이터가 룸디스크에 백업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을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방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는 시스템의 파일관리를 위한 저장매체들인 륨(102)과, 플레쉬메모리(Flash Memory)(130)와 에스램(SRAM)(132)과 디램(DRAM)(134)이 적어도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저장매체들은 별도의 제어기(인터페이스)를 거치지 않고도 중앙처리장치(100)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와 같은 상당한 크기의 기구적인 공간이 확보될 필요도 없음을 알 수 있다.
도2에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플레쉬메모리(13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이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유사하므로 해당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 후 이 영역에 데어터를 저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플레쉬메모리(130)는 저장하는데 수명이 제한되어 있으므로(백만번) 가급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횟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플레쉬메모리(130)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플레쉬메모리(130)를 구비시킬 뿐만 아니라 배터리백업이 되며 플레쉬메모리(1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는 SRAM(132)을 더 구비시키고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플레쉬메모리(130)을 롬디스크(ROM DISK)로 설명하고, SRAM(132)을 램디스크(RAM DISK)로 명명할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롬디스크인 플레쉬메모리(13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와 같이 구조되는 롬디스크는 교환시스템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원초적인 소스로서 변경이 빈번한 데이터베이스의 경우에는 램디스크에 디스크카피시켜 놓는다. 본 발명에 따른 롬디스크는 섹터사이즈(sector size)가 4킬로바이트이고, 클러스터사이즈(cluster size)가 4킬로바이트이고, 시스템섹터사이즈가 400킬로바이트이고, 일반섹터사이즈(general sector size)가 7.6메가바이트이고, 총 8메가바이트(Mbytes)로 구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롬디스크는 디스크정보영역(Disk Information Area)(0 4K)과, F/W정보영역(F/W Information Area)(4K~8K)과 F/W히스토리영역(F/W History Area)(4K~8K)과, 파일할당테이블(FAT: File Allocation Table)(8K~40K)과, 시스템프로그램 디렉토리(System Program Directory)(44K~52K)와, 시스템공통DB디렉토리(System Common Dir.)(4K~40K)와, 시스템노트DB디렉토리(System Node Dir.)(60K~124K)와, FW디렉토리(FW01_A Dir. FW32_B Dir.)(124K 380K)와, 예약영역(Reserved Area)(380K~400K)과, 일반 데이터영역(Generl Data Area)(400K~8M)으로 구조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4를 참조하면, 롬디스크의 디스크정보여역에는 하기와 같은 각종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즉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00h~10h영역에는 정보영역 ID마크(INFORMATION AREA ID MARK), 전체 바이트(TOTAL BYTES), 섹터사이즈(SECTOR SIZE), 섹터/클러스터(SECTOR/CLUSTER), 디렉토리엔트리사이즈(DIR ENTRY SIZE)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20h영역에는 F/W정보영역에 관련된 정보인 F/W정보 시작위치(F/W INFO START), 전체 섹터카운트값(TotalSectCount), F/W정보 사이즈(F/W INFO SIZE), 전체 정보 가운트값(TotalInfoCount)이 저장되며, 30h영역에는 F/W히스토리영역에 관련된 정보인 F/W히스토리 시작위치(F/W HIST STAR), 전체 섹터가운트값(TotalSectCount), F/W히스토리 사이즈(F/W HIST SIZE), 전체 히스토리 카운트값(TotalHistCou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40h에는 FAT에 관련된 정보인 FAT시작위치(FAT STAR),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클러스터 사이즈(CLUSTER SIZE), 전체 클러스터 카운트값(TotalClstCou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이 50h에는 시스템프로그램 디렉토리에 관련된 정보인 시스템프로그램 디렉토리 시작위치(SysPgmDir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 SectCount), 프로그램디렉토리 사이즈(PGM DIR SIZE), 전체 프로그램디렉토리 카운트값(TotalPgmDir 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60h에는 시스템 공통DB디렉토리에 관련된 정보인 시스템 공통DB디렉토리 시작위치(SysComDir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공통DB디렉토리 사이즈(COM FIR SIZE), 전체 공통DB디렉토리 카운트값(TotalComDir 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70h에는 시스템 노드DB디렉토리에 관련된 정보인 시스템 노드DB디렉토리 시작위치(SysLocDir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노드 DB디렉토리 사이즈(LOC DIR SIZE), 전체 노드 DB디렉토리 카운트값(TotalLocDir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80h에는 F/W디렉토리에 관련된 정보인 F/W디렉토리 시작위치(F/W DIR START), 전체 섹터카운트값(TotalSectCount), F/W사이즈(F/W SIZE), 전체 F/W사이즈 카운트값(TOTAL F/W 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90h에는 오프라인 패키지(OFFLINE PACKAGE)가 들어있는 디렉토리의 번호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A0h에는 일반영역 시작위치(GenArea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이 저장되고, B0h에는 포맷시간(FORMAT TIME)이 저장되고, C0h에는 SRAM-플레시 백업시간 (SRAM-FLASH TIME)과 플레쉬백업 카운트값(FLASH BACKUP 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400h에는 히스토리영역 ID마크(HISTIORY AREA IN MARK)가 저장되고, 410h에는 시스템패키지 버전정보(SYSTEM PACKAGE VERSION INFO)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430h 내지 570h의 사이에는 인스톨히스토리(INSTALL HISTIORY)정보가 저장되고, 570h 내지 660h의 사이에는 부팅히스토리(BOOTING HISTORY)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800h에는 상태 영역 ID마크(STATUS AREA ID MARK)가 저장되고, 영역 810h에는 사용가능한 섹터(AVAIL SECTOR)와, 사용되고 있는 섹터(USED SECTOR)와, 프리섹터(FREE SECTOR)와, 에러섹터(ERROR SECTOR)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802h에는 업데이트 카운값(UPDATED COUNT)과, 최종 클러스터값(LAST CLST)이 저장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램디스트, 즉 도 2의 구성중 배터리 백업이 되는 SRAM(132)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램디스크는 섹터사이즈(sector size)가 1킬로바이트이고, 클러스터사이즈(cluster size)가 2킬로바이트이고, 시스템섹터사이즈가 18킬로바이트이고, 일반섹터사이즈(general sector size)가 494킬로바이트인 총 512킬로바이트로 구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디스크는 디스크정보영역(Disk Information Area)(0~1K)과, FAT(1K~2))와, 시스템공통 DB디렉토리(System Common Dir)(2K 20K)와, 시스템 노드 DB디렉토리(System Node Dir.)(10K~18K)와, 일반데이터영역(General Data Area)(18K~512K)으로 구조된다. 이와 같이 구조되는 램디스크는 교환시스템의 DB와 같이 변경이 빈번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디스크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처음에는 롬디스크로부터 디스크 카피(DISK COPY)를 하여 생성되며, 일단 생성된 후에는 운영중에 변경되는 DB를 저장한다. 이 램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는 주기적(1회/1일)으로 롬디스크에 백업되므로, 롬디스크(플레쉬메모리)의 수명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6을 참조하면, 램디스크의 디스크정보영역에는 하기와 같은 작종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00h에는 정보영역ID마크(INFORMATION AREA ID MARK)가 저장되고, 10h에는 전체 바이트(TOTAL BYTES), 섹터사이즈(SECTOR SIZE), 섹터/클러스터(SECTOR/CLUSTER), 디렉토리 엔트리 사이즈(DIR ENTRY SIZE)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20h에는 FAT시작위치(FAT 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클러스터 사이즈(CLUSTER SIZE), 전체 클러스터 카운트값(TotalClstCou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30h에는 시스템 공통데이터베이스 시작위치(SysCOM_DB 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공통디렉토리 사이즈(COM DIR SIZE), 전체 공통디렉토리 가운트값(TotalComDir 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40h에는 시스템 노드데이터베이스 시작위치(SysLOC_DB 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 노드디렉토리 사이즈(LOC DIR SIZE), 전체 노드디렉토리 카운트값(TotalSectCount)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50h에는 일반영역 시작위치(GenArea Start), 전체 섹터 카운트값(TotalSectCount)이 저장되고, 60h에는 포맷시간(FORMAT TIME)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100h에는 히스토리영역 ID마크(HISTORY AREA ID MARK)가 저장되고, 110h에는 시스템패키지 버전정보(SYSTEM PACKAGE VERSION INFO)가 저장된다.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200h에는 상태영역 ID마크(STAUS AREA ID MARK)가 저장되고, 210h에는 사용가능한 섹터(AVAIL SECTOR)와, 사용되고있는 섹터(USED SECTOR)와, 프리섹터(FREE SECTOR)와, 에러섹터(ERROR SECTOR)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정보영역의 220h에는 공통데이터베이스가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날짜(LAST UPDATE DATE)와 업데이트 카운트값(UPDATE COUNT)이 저장되고, 230h에는 노드데이터베이스가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날짜(LAST UPDATE DATE)와 업데이트 카운트값(UPDATE COUNT)이 저장된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램디스크의 FAT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발명에 따른 램디스크의 FAT에는 각 클러스터간의 링크정보와 저장되는데, 이는 파일을 클러스터단위로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7에서 FFFFh(Free Cluster)는 해당 클러스터가 프리(free)임을 나타내는데, 플레쉬메모리의 겨우 FFFFh로 초기화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된 것이다. EEEEh(End Cluster)는 해당 클러스터가 링크의 끝임을 나타낸다.
DDDDh(DoNot Exist Cluster)는 해당 클러스터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BBBBh(Bad Cluster)는 해당 클러스터가 오류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머지는 링크되는 클러스터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8은 도8A와 도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면으로, 도8A는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램디스크의 디렉토리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8B는 디렉토리 엔트리의 초기화값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A를 참조하면, FILE NAME은 12바이트의 ASCII 캐릭터로 파일의 이름을 나타낸다. 이때 파일이름의 첫 번째 캐릭터는 알파벳 문자 또는 순자이어야 한다. ATT는 파일의 속성을 나타낸다. 이때 첫 번째 비트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로, "0"인 경우에는 파일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두 번째 비트는 파일데이터가 압축되었는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로, "0"인 경우는 파일데이터가 비압축상태임을 나타내고 "1"인 경우는 파일데이터가 압축상태임을 나타낸다. 세 번째 비트는 파일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로, "0"인 경우는 파일데이터가 비변경상태임을 나타내고, "1"인 경우는 파일데이터가 변경상태임을 타나낸다. LOADING ADDRESS는 메인메모리에 로드될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일예로 "FFFFFFFFh"는 로딩어드레스가 없는 일반데이터 파일을 나타낸다.
DATE & TIME은 파일이 생성된 년/월/일/시간/분을 나타낸다. 일예로 파일이 1994년 11월 12일 13시 14분에 생성되었다면 "04h 0Bh 0Ch 0Dh 0Eh"로 나타낼 수 있다.
CST_NO는 시작 클러스터의 번호를 나타낸다. FILE SIZE(ORG)는 압축되지 않은 원래의 파일의 크기를 나타내며, FILE SIZE는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일예로 데이터가 압축되어 저장된 파일의 경우 FILE SIZE(ORG)와 FILE SIZE는 서로 상이하며, 압축되지 않은 파일의 경우는 서로 같은 값을 갖는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에서 유저타스크(User Task)(S901)가 파일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기능을 OS(Operating System)에게 요구(기능콜)하면 OS는 해당 요구를 기능큐(S902)에 등록하고, 타스크를 타스크 파일관리장치(File System) 블록상태(S903)로 천이시킨다.
한편 기능큐(S902)에 등록된 기능콜은 기능콜치리부(S902) OS에 의해 여러 상태들(State1 StateN)을 거쳐 처리된다. 이때 상태처리가 종료되면 OS는 블록된 유저타스크를 다시 수행가능한 타스크레디(Task Ready)상태(S905)로 천이시키고, 스케쥴링(Scheduling)(S906)을 행하여 유저타스크 동작을 위한 타스크런닝(Task Running)상태(S907)로 천이시킨다.
상기 도3 및 도4와 같이 구조되는 롬디스크와 도5 내지 도8과 같이 구조되는 램디스크를 이용하며 도9에 도시된 바와 흐름에 따라 교환시스템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장치에서 일반 유저타스크가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들로는 다름과 같은 기능들이 있다.
(1) Sector Read/Write : 롬/램디스크의 지정하는 섹터에 원하는 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한다.
(2) File Read/Write : 롬/램디스크의 파일을 파일이름으로 리드/라이트한다. 리드인 경우에는 파일관리 장치가 리드한 데이터의 크기와 압축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며, 라이트인 경우에는 유저타스크가 라이트할 데이터의 원래 크기, 압축된 크기, 데이터가 부팅시 로드될 위치(address) 정보 등을 알려준다.
(3) Address Find : 부팅시 로드될 위치(Address), 크기(size) 정보를 가지고 해당 구간이 소속된 파일의 정보를 얻는다.
(4) File Get/Put : 파일이름이 아닌 부팅시 로드될 위치(address)를 가지고 파일을 리드/라이트한다.
(5) File Delete : 지정된 디렉토리에 있는 지정된 파일이름의 파일을 삭제한다.
(6) Directory List : 지정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의 정보(화일이름, 로드위치, 크기, 날짜, 속성 등)를 얻는다.
(7) Attribute Change : 지정된 파일의 속성을 변경하는 것으로, 변경속성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즉, 변경된 램디스크의 파일을 롬디스크로 백업한 후 이 기능을 사용하며 램디스크의 변경 속성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리드계 처리동작과, 라이트계 처리동작과, 램디스크의 변경데이터를 롬디스크에 변경하는 처리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일관리장치의 리드계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처리동작은 상기 기능들중 Sector Read, File Read, File Get, Address Find, Directory List,기능들에 의해 수행된다. 리드계 동작시 우선 S101단계에서 파일을 읽고, S102단계에 이 읽어들인 파일의 속성을 판단한다. 이때 읽어들인 파일이 프로그램 파일인 것으로 판단되면, OS는 S103단계에서 롬디스크의 파일을 요구한 후 S104단계에서 롬디스크로부터 파일을 읽어들인다. 한편 읽어들인 파일이 데이터베이스 파일인 것으로 판단되면, OS는 S105단계에서 램디스크의 파일을 요구한 후 S106간계에서 램디스크로부터 파일을 읽어들인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장치의 라이트계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이러한 처리동작은 상기기능들중 Sector Write, File Write, File Put, File Delete 기능들에 의해 수행된다. 라이트 동작시 우선 S111단계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S112단계에서 파일의 속성을 판단한다. 이때 화일이 프로그램 파일인 것으로 판단되면, S113에서 롬디스크의 파일저장을 요구하고 S114단계에서 OS가 롬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고 S115단계에서 롬디스크상의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 변경속성을 세트한다. 한편 파일이 데이터베이스 파일인 것으로 판단되면, S116에서 램디스크의 파일저장을 요구하고 S117단계에서 OS가 램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고 S118단계에서 램디스크상의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 변경속성을 세트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관리 장치에 의해 램디스크의 변경데이터가 롬디스크에 백업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램디스크의 변경데이터를 롬디스크에 백업처리하는 동작시 우선 S121단계에서 램디스크의 디렉토리를 요구한다. 다음에 S122단계에서 OS가 디렉토리리스트를 읽어주고, S123단계에서 어느 한 디렉토리의 속성필드를 검사한다. 이때 디렉토리의 변경속성이 세트된 것으로 검사되면, S124단계에서 해당 파일을 램디스크에서 읽어들이고 S125단계에서 해당 파일을 롬디스크에 저장하여 백업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S126단계에서 램디스크상의 해당 파일의 변경속성을 해제한다. 한편 디렉토리의 변경속성이 클리어된 것으로 검사되면 아무런 처리동작도 행하지 않고 S1227단계로 진행한다. S127는 디렉토리리스트상의 모든 디렉토리에 대한 위 S124단계 내지 S126단계의 동작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램디스크의 변경데이터를 검사한 후 롬디스크에 백업하는 동작이 모든 디렉토리에 대해 처리된 것으로 확인되면 동작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레쉬 메모리를 사용하는 파일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때의 기구적인 문제 및 컴퓨터 발전을 쫓아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종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에 있어서도 하드디스크와는 달리 일반 메모리개념으로 별도의 소프트웨어 드라이버가 필요없이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데이터 억세스에 있어서도 하드디스크보다는 훨씬 빠른 효과(order of 10정도)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플레쉬 메모리가 가지는 데이터 저장횟수 제한이라는 단점은 램디스크를이용하여 저장횟수를 줄여줌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400회선 이하의 소용량 교환시스템과 같은 데이터처리기에서 사용한다면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때보다 훨씬 더 단순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교환시스템의 파일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에 사용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플레쉬메모리와, 상기 플레쉬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파일들중 빈번하게 변경되면서 사용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에스램과, 상기 에스램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들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처리될 시 이를 상기에스램의 해당 영역에 저장시킨 후 이 저장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플레쉬메모리에 백업시키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쉬메모리는 디스크종보영역과 F/W정보영역과, F/W히스토리영역과, 파일할당 테이블과, 시스템 프로그램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영역과, 시스템 공통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영역과, 시스템 노드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영역과, 예약영역과, 일반데이터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램은 디스크정보영역과, 파일할당테이블과, 시스템 공통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영역과, 시스템 노드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영역과, 일반데이터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여 구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관리 장치.
  4. 플레쉬메모리 및 에스램을 적어도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의 파일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에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파일들은 상기 플레쉬메모리에 저장하고, 빈번하게 변경되면서 사용되는 파일들은 상기 에스램에 일시적으로 저장시켜 놓은 후 이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처리될 시 이 처리되는 데이터들은 상기 에스램의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일시적으로 버퍼링하였다가 주기적으로 상기 플레쉬메모리에 백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쉬메모리에는 프로그램화일을 저장시키고, 상기 에스램에는 데이터베이스화일을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램에 파일들을 저장할 시 디렉토리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디렉토리에 데이터의 변경을 나타내는 속성을 둔 후 관련된 데이터들이 처리될 시 이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시킴과 함께 상기 속성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관리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1348A 1996-07-29 1996-07-29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Ceased KR980013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48A KR980013092A (ko) 1996-07-29 1996-07-29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US08/902,356 US6304883B1 (en) 1996-07-29 1997-07-29 Technique for managing files in telephone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48A KR980013092A (ko) 1996-07-29 1996-07-29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092A true KR980013092A (ko) 1998-04-30

Family

ID=1946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348A Ceased KR980013092A (ko) 1996-07-29 1996-07-29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4883B1 (ko)
KR (1) KR9800130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8702A1 (en) * 2001-03-26 2002-09-26 Moshe Gefen Using non-executable memory as executable memory
US20050160069A1 (en) 2003-12-30 200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a file for a sub-memory in a wireless terminal
EP1591876A1 (en) * 2004-04-30 2005-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sorting elements in a lis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70143378A1 (en) * 2005-12-21 2007-06-21 Gorobets Sergey A Non-volatile memories with adaptive file handling in a directly mapped file storage system
US20070143561A1 (en) * 2005-12-21 2007-06-21 Gorobets Sergey A Methods for adaptive file data handling in non-volatile memories with a directly mapped file storage system
CN101819589B (zh) * 2010-04-02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文件输入输出缓存的方法及装置
CN103761227B (zh) * 2010-12-31 2017-12-29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文件的缓存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9193A (en) 1974-04-17 1978-05-04 Nat Res Dev Computer systems
US4506346A (en) 1982-12-01 1985-03-19 At&T Bell Laboratories Programmable cartridg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4703416A (en) 1982-12-10 1987-10-27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pparatus for locating programs resident on a cartridge of a cartridge programmable communication system
JPS6064595A (ja) 1983-09-20 1985-04-13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
JPH0646824B2 (ja) 1983-09-20 1994-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タン電話装置
US4771425A (en) * 1984-10-29 1988-09-13 Stratacom, Inc. Synchoronous packet voice/data communication system
JPS62286349A (ja) 1986-06-05 1987-12-12 Iwatsu Electric Co Ltd ボタン電話装置
JPS62286397A (ja) 1986-06-05 1987-12-12 Iwatsu Electric Co Ltd ボタン電話装置
JPS6390295A (ja) 1986-10-03 1988-04-21 Tamura Electric Works Ltd ボタン電話装置の運用デ−タ設定方式
US5113393A (en) 1986-12-19 1992-05-12 Wang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distributing data processing
US5029125A (en) 1989-03-07 1991-07-02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files on nonerasable storage media
US5247658A (en) 1989-10-31 1993-09-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versing linked list record based upon write-once predetermined bit value of secondary pointers
US5144653A (en) 1990-03-20 1992-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phon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terminating calls and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in the telephone system
JP2778798B2 (ja) 1990-04-11 1998-07-23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データのキュー構造管理処理方式
US5251254A (en) 1991-02-01 1993-10-0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of incoming and outgoing calls in a key system
US5276862A (en) 1991-04-09 1994-01-04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Safestore frame implementation in a central processor
US5297282A (en) 1991-05-29 1994-03-22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Resume processing function for the OS/2 operating system
JP2582487B2 (ja) 1991-07-12 1997-02-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半導体メモリを用いた外部記憶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5432927A (en) 1992-06-17 1995-07-11 Eaton Corporation Fail-safe EEPROM based rewritable boot system
JPH0778766B2 (ja) 1992-09-25 1995-08-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ランダム・アクセス可能かつ書換え可能メモリを用いる外部記憶装置におけるプログラム直接実行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5504883A (en) 1993-02-01 1996-04-02 Ls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ring recovery of file control information for secondary storage systems
US5404485A (en) * 1993-03-08 1995-04-04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Flash file system
KR970008188B1 (ko) 1993-04-08 1997-05-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플래시메모리의 제어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US5471523A (en) 1993-07-14 1995-11-28 Voysys Corporation Telephone call and voice processing system
US5465292A (en) 1993-09-20 1995-11-07 Hitachi Telecom Technologies, Ltd. Trading telephone
US5564011A (en) 1993-10-05 1996-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file data access in case of dynamic critical sector failure
US5561795A (en) 1994-05-13 1996-10-01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t trail logging and data base recovery
US5583856A (en) 1994-06-10 1996-12-10 Harris Corporation Integrated network switch with large capacity switch architecture using selectable interfaces between peripherals and switch memories
US5566297A (en) 1994-06-16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disruptive recovery from file server failure in a highly available file system for clustered computing environments
CA2169143C (en) 1995-02-09 1999-05-11 Fumiyoshi Toyoshima Key telephone system capable of simulation by button operations
US5625819A (en) 1995-04-26 1997-04-29 Honeywel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eap management and protecting data structure integrity in non-volatile memory
US5819275A (en) * 1995-06-07 1998-10-06 Trusted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attributes on hierarchically organized file systems
US5594863A (en) 1995-06-26 1997-01-14 Novel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file recovery
US5787445A (en) * 1996-03-07 1998-07-28 Norris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including improved file management for use in devices utilizing flash memory as main memory
US5832515A (en) 1996-09-12 1998-11-03 Veritas Software Log device layered transparently within a filesystem paradigm
US5943692A (en) * 1997-04-30 1999-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lient computer system with flash memory management utilizing a virtual address map and variable length data
US5974312A (en) * 1997-07-10 1999-10-26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memory in an electronic device via wireless data transfer
USH1814H (en) * 1997-09-26 1999-11-02 Browning; Mark David Telephony-support module for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4883B1 (en)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356B1 (en) Application interface to a media server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US6823417B2 (en) Memory controller for memory card manages file allocation table
JP4955677B2 (ja) 領域を解放するための、ストレージボリューム上のファイルから代替ロケーションへのデータの移動
US9396207B1 (en) Fine grained tiered storage with thin provisioning
US7115919B2 (en) Storage system for content distribution
US5832522A (en) Data storage management for network interconnected processors
US6389509B1 (en) Memory cache device
JP4704161B2 (ja) ファイルシステムの構築方法
JP4955678B2 (ja) ストレージボリューム上のファイルから空きスペースの代替ロケーションへのデータの移動
US8868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frugal cloud file system
CN109271098B (zh) 一种数据迁移方法及装置
US76242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system using cache to reduce dynamic switching of mapping between logical units and logical devices
US82909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data deduplication-aware copying of data
US11029932B2 (en) Hydration of applications
JP2002314895A (ja) オブジェクト提供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提供方法
US20050144254A1 (en) Data transfer method and system
KR980013092A (ko) 교환시스템의 화일관리장치 및 방법
CN101043555A (zh) 提示音更新方法、系统及其语音播放设备
CN114528260A (zh) 文件访问请求的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
US8812567B1 (en) Creating a unification directory that unifies a plurality of file system directories
JP4394467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先行コピーデータ生成方法
KR20050028815A (ko) 순환기록장치, 방법, 기록매체
CN117633895A (zh) 一种分布式文件存储方法、系统和装置
JP2002511170A (ja) ネットワークオブジェクトキャッシュエンジン
KR100216027B1 (ko) 대용량 데이타 처리에 적합한 연속매체용 화일 시스템 및 화일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