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266U -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09266U KR980009266U KR2019960023298U KR19960023298U KR980009266U KR 980009266 U KR980009266 U KR 980009266U KR 2019960023298 U KR2019960023298 U KR 2019960023298U KR 19960023298 U KR19960023298 U KR 19960023298U KR 980009266 U KR980009266 U KR 9800092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aser
- distance
- obstacle
- ccd camer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각법을 이용하여 차량 전압의 장애물 검지 또는 전방 차량의 거리등을 검출하도록 한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는 마이크로 레이저를 송출하여 앞차량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거리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카니즘을 구성하는데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 주행중 전방의 장애물 또는 앞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저를 송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슬릿 형태의 직선광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원통형 렌즈와, 원통형 렌즈로부터 송출된 레이저가 전방의 장애물 또는 차량에 의해 반사될때 그 괘적을 촬상하는 CCD 카메라와, CCD 카메라의 레이저 촬상시 레이저와 같은 파장대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와, CCD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레이저 괘적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전방 장애물 또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전자제어유니트로 구비된다.
Description
종래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는 마이크로 레이저를 송출하여 앞차량을 맞고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부가 수신하여 그에 해당하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수신 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시간에 따라 거리를 산출하여 앞차량과의 거리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는 마이크로 레이저를 송출하여 앞차량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거리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카니즘을 구성하는데 복작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삼각법을 이용하여 차량 전압의 장애물 검지 또는 전방 차량의 거리등을 검출할 수 있는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간거리자동측정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 처리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레이저 다이오드 102 : 원통형 렌즈부 103 : CCD 카메라
104 : 밴드패스 필터 105 : 화상처리 전자제어유니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간거리자동측정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 주행중 전방의 장애물 또는 앞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저를 송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1)와, 상기 레이저 다이로드(101)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슬릿 형태의 직선광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원통형 렌즈(102)와, 상기 원통형 렌즈(102)로부터 송출된 레이저가 전방의 장애물 또는 차량에 의해 반사될때 그 괘적을 촬상하는 CCD 카메라(103)와, 상기 CCD 카메라(103)의 레이저 촬상시 레이저와 같은 파장대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104)와, 상기 CCD 카메라(103)로부터 얻어지는 레이저 괘적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전방 장애물 또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전자제어유니트(105)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101)는 주행중 차량 전방의 장애물 또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원통형 렌즈(102)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1)로부터 송출된 레이저를 슬롯 형태의 직선광으로 변환하여 송출하게 된다.
아울러, CCD 카메라(103)는 상기 원통형 렌즈(102)로부터 송출된 직선광 이 전방의 장애물 또는 차량에 반사되는 괘적을 촬상하게 된다.
이때, 밴드패스 필터(104)는 상기 CCD 카메라(103)의 반사 괘적 촬상시 레이저와 같은 파장의 빛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그러면, 화상처리 전자제어유니트(105)는 상기 CCD 카메라(103)로부터 촬상된 레이저 괘적 신호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상처리하여 전방 장애물 또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삼각법을 이용하여 차량 전압의 장애물 검지 또는 전방 차량의 거리등을 검출하도록 하므로써 별도의 스캐닝 장비가 필요없으며 효과적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각법을 이용하여 차량 전압의 장애물 검지 또는 전방 차량의 거리등을 검출하도록 한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 차량 주행중 전방의 장애물 또는 앞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저를 송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1)와, 상기 레이저 다이로드(101)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슬릿 형태의 직선광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원통형 렌즈(102)와, 상기 원통형 렌즈(102)로부터 송출된 레이저가 전방의 장애물 또는 차량에 의해 반사될때 그 괘적을 촬상하는 CCD 카메라(103)와, 상기 CCD 카메라(103)의 레이저 촬상시 레이저와 같은 파장대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 필터(104)와, 상기 CCD 카메라(103)로부터 얻어지는 레이저 괘적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전방 장애물 또는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화상처리 전자제어유니트(10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3298U KR980009266U (ko) | 1996-07-31 | 1996-07-31 |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23298U KR980009266U (ko) | 1996-07-31 | 1996-07-31 |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9266U true KR980009266U (ko) | 1998-04-30 |
Family
ID=5397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23298U Withdrawn KR980009266U (ko) | 1996-07-31 | 1996-07-31 |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8000926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089B1 (ko) * | 2010-10-01 | 2014-05-16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CN114419598A (zh) * | 2022-01-21 | 2022-04-29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数据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1996
- 1996-07-31 KR KR2019960023298U patent/KR980009266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089B1 (ko) * | 2010-10-01 | 2014-05-16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장애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CN114419598A (zh) * | 2022-01-21 | 2022-04-29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数据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98006B2 (en) |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moveable apparatus | |
CN102271977B (zh) | 用于检测车窗的车窗状态的摄像机装置 | |
US1166244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alfunction, and sensor system | |
EP2910971A1 (en) |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 |
US20040057712A1 (en) | Camera system and camera | |
KR102059244B1 (ko) | 라이다 장치 | |
US20100283845A1 (en) |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vehicle,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program,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method | |
US11163977B2 (en) | Capturing camera | |
US72801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mum lens focus position | |
KR101296780B1 (ko) | 레이저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장치 및 방법. | |
WO2001071419A3 (en) | Large depth of field line scan camera | |
US20110199532A1 (en) | Auto focus system and auto focus method | |
EP3428677B1 (en) | A vision system and a vision method for a vehicle | |
US515021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focus control using large and small image contrast data | |
JP2004289786A (ja) | 撮像装置 | |
JP2008224620A (ja) | 測距装置 | |
US2009011599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Distance Images | |
KR960033020A (ko) | 비디오 신호의 출력 방법, 화상 처리용 카메라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처리 시스템 | |
JP5246254B2 (ja) | 車載カメラの露出制御値の決定方法 | |
US6154253A (en) | Object detection mechanism for imaging devices with automatic focusing | |
KR980009266U (ko) | 차량간 거리 자동 측정장치 | |
US20030234869A1 (en) | Camera for measuring distance to object | |
JP2006322853A (ja) | 距離計測装置、距離計測方法および距離計測プログラム | |
KR101746531B1 (ko) | 차량용 레인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 | |
JP4224449B2 (ja) | 画像抽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73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