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048A - 랩필름 수납 상자 - Google Patents
랩필름 수납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80009048A KR980009048A KR1019970035411A KR19970035411A KR980009048A KR 980009048 A KR980009048 A KR 980009048A KR 1019970035411 A KR1019970035411 A KR 1019970035411A KR 19970035411 A KR19970035411 A KR 19970035411A KR 980009048 A KR980009048 A KR 9800090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ap film
- polyurethane
- adhesive
- prepolymer
- storage box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3—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모양으로 말아진 랩필름을 수납하는 긴 상자이며, 적어도 해당 상자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랩필름을 끌어당겨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절단후의 랩필름 끝이 상자 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 보유지지부를 갖춘 랩필름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가,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를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접착층으로 구성된 랩필름 수납 상자에 관한 것이며, 이에 의해 필름 보유지지부를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랩필름에 대해 양호하고 안정한 보유지지특성, 온도 비의존성을 갖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와 제조공정의 간편, 신속화가 이루어진 랩필름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발명의 랩필륨 수납 상자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개략의 전시도이다
제5도는 상자 전판부에 형성된 접착층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6도는 상자 전판부에 형성된 접착층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판부 3 : 저판부
6 : 덮개부 7 : 절취선
21 : 절단구 22 : 접착층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랩필름 등의 롤모양으로 말아진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과, 절단후 필름끝이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 보유지지 기능을 갖춘 랩필름 수납 상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인쇄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필름 보유지지 기능의 온도 비의존성이 크게 개량된 필름 보유지지부의 개량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랩필름용 상자에 있어서 필름 절단후 필름 끝이 상자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랩필름 수납용 상자형태를 구성하고 있는 전판부(前板部)의 표면에 감압접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전판부를 덮는 위치에 붙여져 있는 측부 덮개부의 선단부를 벗겨서 제거하고, 개봉할 때에, 감압접착제층이 상자의 표면에 노출하도록 구성하고, 그 감압접착제층에 의해 절단후외 필름끝을 보유지지 시키도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감압접착제층은 실(seal)화된 해당 감압접착제층을 전판부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감압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는, 접착제 자체의 접착력을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반드시 쉽다고는 할 수 없고, 적더라도 접착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랩필름이 강하게 접착제층에 접착하여, 필름을 잡아당길 때에 필륨이 끊어지고, 또한, 접착제 도포면에는 서서히 티끌이나 먼지 등이 부착하여, 그 때문에 필름 보유지지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위생스럽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착제는, 인쇄에 적합하지 않고 도공성(塗工性)이 낮고, 이것을 수납 상자상에 직접 인쇄하지 않고 도공하는 것이 반드시 쉽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로 이것을 일단 실화하고, 이 실화된 점착제층을 수납 상자의 소정의 위치에 접착하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을 실화하는 것은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또한 비용면에서도 불리하다.
또한, 종래 제안된 접착제(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6-270935호)는 온도 의존성에 있어서도 반드시 충분하게 만족한다고 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접착제층은 환경온도가 35℃ 내지 40℃ 부근 또는 이를 초과하는 온도 범위에서는 필름과의 접착력이 극단적으로 증가하여 박리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필름 보유지지부를 구성하는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필름 보유지지부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랩필름에 대해서도 양호하고 온도 의존성에 있어서도 안정한 보유지지 특성을 가지며 제조비용의 저감화와 제조공정외 간편, 신속화가 이루어진 랩필름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의한 필름 보유지지부를 갖는 랩필름 수납 상자는, 절단후 랩필름 끝이 상자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 보유지지부를, 랩필름에 대하여 접착성이 양호하고 필름 보유지지성과 온도 비의존성이 모두 우수한 특정의 수지 조성물의 접착층으로 구성하고, 또한 그 접착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은 실화의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한 특별한 경화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기 등에 의해 접착층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건조한다고 하는 간편하고 신속한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능과 생산성이 모두 우수한 점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랩필름 수납 상자는, 롤모양으로 말아진 랩필름을 수납하는 긴 상자이고, 적어도 해당 상자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開口部)로부터 랩필름을 당겨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절단 후 랩필름 끝이 상자 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 보유지지부를 갖춘 랩필름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가, 플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접착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층이,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혼합물의 경화물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 성분이외에,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로된 접착성 제어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접착층의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보유지지부는,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접착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서는, 랩필름 끝이 상자 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 보유지지부에, 랩필름에 대한 밀착성과 그 보유지지성이 양호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층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는, 용제성분의 가열건조에 의해 건조한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기로는 하기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접착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가교반응 등을 위한 특별한 경화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않고,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기 등에 의해 쉽게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필름 보유지지성, 온도 비의존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프리폴리머의 혼합계로된다. 이 경우는,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 및 신장률이 다른 복수 종류의 프리폴리머의 혼합물로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이고, 또한 신장률이 2O 내지 160% 범위의 프리폴리머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 되지만, 이 경우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1의 조건에서 우레탄화하여 얻는 프리폴리머이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이들의 도포후에 공기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한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혼합계를 사용한 경우, 그 열특성에 있어서 온도 의존성이 적고, 점착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40℃ 부근 또는 이를 초과하는 환경 온도 조건에서도 적절한 접착성을 유지하는 점이 우수하다.
상기에 있어서, 폴리올의 분자량이 크고, 신장률이 크게 되면, 도막(塗膜)은 연질이 되고 접착성이 발생하여, 필름의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반대로, 폴리올의 분자량이 적고, 신장률이 적어지면, 도막은 경질이 되고 접착성이 적어지게 되어, 필름의 접착성도 저하하는 경향이 보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에서는, 강한 접착성은 필요하지 않고, 오히려 접착성이 가벼운 편이 바람직하다. 접착성이 너무 강하면, 도막형성후 블로킹이 발생하고, 랩필름과의 접착성이 너무 강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은 표면이 평활하고 가벼운 접착성을 갖는 상태가 가장 좋다.
이와 같은 도막을 얻기위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의 분자량이 크고, 신장률이 높은 수지와, 폴리올의 분자량이 적고, 신장률이 적은 수지와의 2종류의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중간의 분자량과 신장률의 수지를 첨가한 3종류의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의 조절이 보다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폴리올의 분자량이 적고, 신장률이 적은 수지에 의해 평활하고 단단한 도막에, 폴리올의 분자량이 크고, 신장률이 큰 연질의 수지를 첨가하여, 가벼운 접착성이 부여되고, 적당한 필름 보유지지성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플리을의 분자량이 크고 신장률이 큰 수지와, 폴리올의 분자량이 작고, 신장률이 작은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접착층에 가벼운 정도의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고 안정한 필름 보유지지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1)폴리올의 분자량 1000 내지 1500, 신장률 20 내지 30%의 상대적으로 경질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2)폴리올의 분자량 2000 내지 2500, 신장률 140 내지 150%의 상대적으로 연질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적어도 2종류를 함유한 혼합물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경우, 상기(1)과 (2)의 혼합비율은, (1)/(2) = 50/50 내지 3O/70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비교적 경질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에 가소제와 앨라스토머 등을 첨가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폴리올과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저부가반응의 폴리우레탄 등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신장률이 증가하고 필름 등의 밀착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양호한 필름 보유지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이, 기본적으로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 이외에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로된 접착성 제어성분을 추가로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경화성 접착성분으로는, 단일 종류의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경질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에 가소제와 엘라스토머 등을 첨가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폴리올과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저부가반응의 폴리우레탄 등을 첨가하여도 신장률이 증가하고, 필름과의 밀착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양호한 필름 보유지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접착성 제어성분은, 스스로는 접착성을 발현시키는 성분이 아니지만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경화물의 접착특성을 조절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접착성 제어성분으로는,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의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는, 우레탄이 있는 관능기와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성이 적은 아크릴계 수지를 의미한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는 광의로 해석될 수 있고, 아크릴산에스테르기와 다른 기가 조합된 중합단위를 갖고, 여러 아크릴계 혼합수지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받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의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가 접착성을 제어하는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고려될 수 있다. 통상, 경화성 접착성분으로서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는, 우레탄의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가 공기중의 수분에서 유래한 -0H기와 반응하여 습식경화 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특성을 감안하여 연구한 결과, 우레탄이 있는 관능기와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성이 적은 아크릴계 수지를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공존시켜 우레탄 수지 도막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0H기가 적은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를 첨가하여,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는, 우레탄의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0H기가 없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인쇄적성을 얻기위한 상용성을 가지기위한 성분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0H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그 성분중의 -0H기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 이외에 스티렌 및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을 조합하여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성분의 -0H기의 량을 예를 들면 2% 정도 이하로 한 중합단위로된 아크릴계 수지를 접착성 제어성분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를 상기 경화성 접착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접착성을 최적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온도 의존성을 안정하게 하며, 양호한 인쇄 적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화성 접착성분/접착성 제어성분의 비 (고형분비)는, 사용하는 성분의 성상,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45/55 또는 50/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배합범위로 조제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특성/박리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점착성 제어성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층의 접착성을 조절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착층의 박리강도를 하기의 조건하에서 측정치로서, 7 내지 20g, 바람직하기로는 1O 내지 15g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폴리염화비닐리덴의 장방형 필름(25mm폭)을 접착층의 표면에 밀착시켜, 필름의 한쪽 끝을 인장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수직으로 끌어올릴 때의 중량(g)을 측정치로 한다.
상기한 형태에 의하면, 얻어진 접착층은, 박리강도의 온도 의존성 및 경시변화가 적고, 안정한 접착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특히, 4O℃ 근방 또는 이를 초과하는 환경온도 조건에 있어서도 적절한 접착성을 유지하는 데에 우수하다.
또한, 상기 형태의 접착층은, 경화성 접착성분과 접착성 제어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하기 때문에, 접착층을 형성할 때의 용제 분리가 좋고, 도공특성, 인쇄적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조공정도 유리하다.
[접착층의 형성]
이상과 같은 조성물로된 접착층은, 통상, 상기한 성분을 유기용제로 용해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표지 화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또한, 그라비아 인쇄 등 적용하는 도포수단에 적당한 점도, 증발속도가 되도록 희석제 등으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도포액으로 하고, 이것을 도포, 건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막의 경화는 이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 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점착특성이 발현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의 경화를 의미한다.
또한, 건조시의 접착층의 두께는, 2 내지 10㎛ 정도가 좋고, 3 내지 6㎛가 도포의 작업성도 양호하고 바람직하다. 2㎛ 이하의 경우는, 표면의 평활성이 불충분하여 랩필름의 보유지지성이 저하하기 쉽고, 또한, 10㎛ 이상은, 랩필름의 보유,지지성이 또한 향상하지 않고, 용제의 건조에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작엽성, 생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접착층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자 본체로부터 랩필름이 당겨지고, 절단된 후, 랩필름이 상자에 접촉하는 면이면 어디라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일반적으로는 랩필름을 절단하는 경우, 상자 본체의 전판부와 이것에 겹치는 측부 덮개부와의 사이에 랩필름을 끼워, 외측으로부터 누르면서 절단하기 때문에, 랩필름은 상자의 전판부에 눌려 밀착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은, 이 전판부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접착층의 크기와 형상은 자유이고, 랩필름의 재질과 상자 형상 또는 절단구의 고정위치 등에 의해 필름 보유지지성이 안정하도록 자유로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층을 상자의 소정 위치에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상자 본체에 직접 도포형성합으로써, 접착층의 형성공정을 상자 그림인쇄공정으로의 인라인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공정상 유리하다. 또한, 이 방법 이외에도, 접착층을 도포형성한 별개의 시트를 상자의 소정 위치에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자에 수납하는 랩필름으로는, 종래 공지의 랩필름이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폴리염화비닐리덴필름이, 상기 접착층과의 조합에 있어서 가장 적당하다.
랩필름 수납 상자의 구체적 형태이어서,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의 도면을 사용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 있어서, 필름 보유지지부가된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접착층의 형성부위는, 상자의 형상, 구체적으로는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의 형태 및 취부 위치에 따라 다르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필름 절단 수단의 형태와 취부 위치가 다른 상자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고, 각각에서 적절한 접착층의 형성 부위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 접착층의 형성 부위는, 랩필름을 절단하는 경우에, 필름이 상자 표면에 강하게 눌려 부착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 또는 그 부근의 영역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 필름을 절단하는 조작에 의해 자연적으로 필름이 접착층에 눌려 밀착하여 보유지지되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고, 개봉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형식의 상자의 전개도를 도4에 도시하고, 각부의 명칭을 기재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도, 제3도에 도시한 형식의 상자에 있어서도, 이 명칭을 유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의 상자에 있어서, 필름 절단구(21)는, 상자가 조립된 때에, 톱날 모양의 절단구(21)의 칼날 앞이 상자의 저판부(底板部)(3)(제4도에 지정)로부터 약간 앞방향 즉, 전판부(2)측에 돌출하여 나와 있도록, 저판부(3)의 표면에 취부되어 있다. 그래서, 이 형식의 경우, 필름을 보유지지하는 접착층(22)은, 상자의 전판부(2)의 표면의 개략도에 도시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잡아당긴 랩필름을 절단할 때, 상자의 측부 덮개부(6)와 전판부(2)와의 사이에 끼인 랩필름을, 측부 덮개부(6)의 외측으로부터 손으로 전판부(2)의 표면에 누르도록 고정하여 절단하기 때문에, 랩필름이 접착층에 눌려, 잘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제1도와 같은 형태로 제2도, 제3도에 도시한 상자는, 여러 가지의 형식의 상자의 개봉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측부 덮개부(6)의 필름 절단구(21)보다 앞의 부분(부착부)은, 각각 형성된 절취선(7)(제4도 참조)에 의해, 개봉시에 박리, 제거되어 있어 표시되지 않는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다. 이 상자의 특징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날모양의 필름 절단구(21)가 V자형을 하고 있다. 따라서, 측부 덮개부(6)에는 절단구(21)와 동일한 형태의 V자 형의 절취선(7)이 형성되고, 그 앞의 부착부를 벗기고, 제거할 때에, V자형의 절단구(21)의 칼날 앞이 약간 돌출하도록 되기 때문에, 절단구(21)는 측부 덮개부(6)의 이면의, 절취선에 걸린 위치에 취부된다. 그래서, 랩필름의 절단의 경우에는, 측부 덮개부(6)의 V자형의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필름을 누르면서, 필름의 중심부로부터 양 사이드로 향혜있는 필름을 절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의 전판부(2)의 표면의 중앙과 위쪽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필름을 밀착시키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의 사시도이다. 이 상자의 톱날모양의 필름 절단구(21)는, 상기 도 2의 상자의 경우와 다른 직선 타입이고, 그 취부위치는, 측부 덮개부(6)에 형성된 직선상의 절취선(7)의 앞의 부착부를 박리하고, 제거할 때, 칼날 앞이 조금 돌출하도록, 측부 덮개부(6)의 이면에, 절취선에 걸리도록 취부된다. 그래서, 필름을 보유지지하는 접착층(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의 전판부(2)외 표면에서, 측부 덮개부(6)와 필름 절단구(21)에 의해 필름이 눌린 위치에 형성된다.
제4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개략의 전개도이고, 각부분의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전판부(2)에 형성된 접착층(22)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전판부(2)의 폭방향에 대해서 접착층(22)의 폭을 변화시킨 형태로 함으로써, 접착층의 재료 자체의 특성과 더불어, 필름 보유지지성능을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제조예)를 열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A1]
평량(坪量) 450g/㎡의 코우트볼(판지)을 상자 재료로 하여, 그라비아 윤전인쇄 전공의 인라인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그림 및 오버프린트니스의 인쇄와 인라인으로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22)을, 하기 조성의 도포액을 사용하여, 제2도에 도시한 상자의 위치에 건조시의 막두께가 3㎛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고, 제2도에 도시한 상자의 비어있는 형태를 사용하여 전공하여, 상자 블랭크를 작성하였다. 이어서, V자형의 톱날모양의 절단구(21)를 동일하게 제2도에 도시한 위치에 전용의 장치로 취부하여, 또다시 색(sack) 붙이는 기계로 롬통을 붙여서 [전판부(2)의 표면과 이것을 덮는 측부 덮개부(6)의 절취선(7)(제4도 참조)의 앞의 접착부의 이면을 횡방향으로 붙인다] 실시예 A1의 랩필름 수납 상자를 작성하였다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의 조성
① 폴리우레탄 수지(폴리올 분자량 1000 내지 1500,
신장률 22%) 용액(고형분 3O 중량%) 50 중량부
② 폴리우레탄 수지(폴리올 분자량 2000 내지 2500,
신장률 145%) 용액(고형분 30 중량%) 50 중량부
③ 희석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 중량비 1:1) 4O 중량부
[실시예 A2]
실시예 A1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구성에 있어서,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의 조성만을, 하기 조성의 도포액으로 바꾸어 도포, 건조하고, 그 외에는 모두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가공하여 실시예 A2의 랩필름 수납 상자를 작성하였다.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의 조성
① 폴리우레탄 수지(폴리올 분자량 1000 내지 1500,
신장률 22%) 용액(고형분 3O 중량%) 70 중량부
② 폴리우레탄 수지(폴리올 분자량 2000 내지 2500,
신장률 145%) 용액(고형분 30 중량%) 30 중량부
③ 희석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 중량비 1:1) 4O 중량부
[실시예 A3]
실시예 A1의 랩필름 수납 상자의 구성에 있어서,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의 조성만을, 하기 조성의 도포액으로 바꾸어 도포, 건조하고, 그 외에는 모두 실시예 A1과 동일하게 가공하여 실시예 A3의 랩필름 수납 상자를 작성하였다.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의 조성
① 폴리우레탄 수지(폴리올 분자량 1500 내지 2000,
신장률 110%) 용액(고형분 3O 중량%) 100중량부
③ 희석용제(톨루엔/메틸에틸케톤 중량비 1:1) 4O 중량부
그 결과는, 실시예 A1 내지 A3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서는, 폴리에틸렌게 수지 및 폴리메틸펜텐게 수지의 랩필름에 대하여는 다소 밀착성이 가벼운 경향이 보이는데 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게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게 수지의 랩필름에 대해서는 완전히 문제가 없이 양호하고, 그 경시변화도 없고 양호하였다.
박리강도(g)의 온도 의존성 및 그 경시변화에 있어서의 평가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를 위해, TSS KL-D2(에틸렌아세테이트비닐공중합체에 대해 염화비닐모노머를 그래프트중합 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아크릴 수지가 첨가된 것, 일본 특허공보 제6-270935호 참조)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경우의 평가결과(비교에 A)를 이하에 함께 기재한다.
이상의 설명 및 상기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서는, 필름 끝이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 보유지지부를, 수지의 점착층으로 구성하고 있고, 상자의 형상(판지의 사용면적)과 사용방법 등은 종래와 동일하여도 좋고, 여분의 비용과 조작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그래서, 필름을 보유지지하는 접착층에는, 접착층용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용제성분을 가열건조하는 것 만으로 건조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도공성, 인쇄적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와 같은 실화의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한 특별한 경화장치도 필요로하지 않고,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기 등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의 인쇄와 인라인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생산성이 좋고,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형성한 접착층은, 랩필름과의 접착특성이 우수하며, 박리강도의 온도 의존성 및 경시변화가 적고, 안정한 접착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착층은 복수성분을 조합시켜서된 것이기 때문에, 양자의 배합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접착층의 접착특성/박리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값이 싸고 생산성과 성능이 우수한 필릉 보유지지부를 갖는 랩필름 수납 상자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B1]
평량(坪量) 450g/㎡의 코우트볼(판지)을 상자 재료로 하여, 그라비아 윤전인쇄 전공의 인라인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그림 및 오버프린트니스의 인쇄와 인라인으로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22)을, 하기 조성의 도포액을 사용하여, 제2도에 도시한 상자의 위치에 건조시의 막두께가 3㎛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형성하고, 제2도에 도시한 상자의 비어있는 형태를 사용하여 전공하고, 상자 블랭크를 작성하였다. 이어서, V자형의 톱날모양의 절단구(21)를 동일하게 도 2에 도시한 위치에 전용의 장치로 취부하여, 또다시 색(sack) 붙이는 기계로 몸퉁을 붙여서 [전판부(2)의 표면과 이것을 덮는 측부 덮개부(6)의 절취선(7)(도 4 참조)의 앞의 접착부의 이면을 횡방향으로 붙인다] 실시예 B1의 랩필름 수납 상자를 작성하였다.
필름 보유지지용 접착층의 도포액으로는, 다음의 성분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와의 배합비를 적절하게 변화시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①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폴리올 분자량 1500 내지 2000, 신장률 160%) 용액(고형분 50 중량%)
②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 용액(고형분 50 중량%)
③ 희석용제 초산에틸
상기 ①/②의 비율이 55/45, 50/50, 45/55, 4O/60인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해서, ③을 3O 중량부 혼합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박리특성의 측정은 다음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우선, 폴리염화비닐리덴의 장방형 필름(25mm폭)을 접착층의 표면에 붙여, 필름의 한끝을 인장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수직으로 당겨을렬 때의 중량(g)을 측정치로 한다.
박리시험의 결과(상온)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박리강도(g)
이상과 같이,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와의 배합비를 조절함으로써, 박리특성/접착특성을 용이하게 양호한 범위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1번 내지 4번에 대해 박리강도(g)의 온도 의존성, 그 경시변화에 대한 평가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B1]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층을 형성하고,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단, 이 예에 있어서는, 접착층의 도포액으로서, 하기의 성분을 사용하고, 폴리우레탄계프리폴리머와 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와의 배합비,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비반응성 아크릴계 수지 = 50/25(고형분비)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①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폴리올 분자량 1500 내지 2000, 신장률 180%) 용액(고형분 50 중량%) 100 중량부
② 비반응성 아크릴수지 용액(고형분 25 중량%) 100 중량부
③ 희석용제 에틸아세테이트 4O 중량부
박리특성(박리강도)의 측정은 다음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접착층의 중앙부를 4Omm폭으로 잘라서 이것에 폴리염화비닐리덴의 장방형 필름(25mm폭)을 접착시키고, 밀착시켜, 필름의 한끝을 인장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수직으로 당겨 을헐 때의 중량(g)을 측정치로 하였다.
박리강도(g)의 온도 의존성 및 그 경시변화에 대한 평가결과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를 위해서, TSS KL-D2(에틸렌아세테이트비닐공중합체에 대해 염화비닐모노머를 그래프트 중합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아크릴 수지가 첨가된 것, 일본 특허공보 제6-270935호 참조)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경우의 평가결과(비교에 B1)를 이하에 함께 기재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 폴리염화비닐리덴게 수지의 랩필름, 폴리염화비닐게 수지의 랩필름, 폴리에틸렌게 수지의 랩필름, 폴리메틸펜텐게 수지의 랩필름을, 각각 따로 충전포장한 후, 이들을 개봉하고, 랩필름을 잡아 당기고, 절단을 1일 3회, 3O일간 반복하고, 랩필름의 접착층으로의 접착에 의한 필름 보유지지성, 재박리성, 및 이들의 온도 의존성 및 경시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실시예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서는, 폴리에틸렌게 수지 및 폴리메틸펜텐게 수지의 랩필름에 대해서는 밀착성이 가벼운 경향이 보이는데 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게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게 수지의 랩필름에 대해서는 완전히 문제가 없이 양호하고, 그 경시변화도 없고 양호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랩필름 수납 상자는, 폴리염화비닐게 수지의 랩필름에 대해서는 접착층과의 밀착성이 약하고, 또한 그의 다른 랩필름에 대해서는 접착층과의 밀착성이 완전히 없고, 필름 보유지지성이 불충분하였다.
상기의 설명 및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랩필름 수납 상자에서는, 필름 끝이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 보유지지부를, 수지의 점착층으로 구성하고, 상자의 형상(판지의 사용면적)과 사용방법 등은 종래와 같아도 좋고, 여분의 비용과 조작을 필요로하지 않는다.필름을 보유지지하는 접착층에는, 접착층용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용제성분을 가열건조하는 것만으로 건조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도공성, 인쇄적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와 같은 실화의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고,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기 등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의 인쇄와 인라인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생산성이 좋고,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형성한 접착층은, 랩필름과 접착특성이 우수하며, 박리강도의 온도 의존성 및 경시변화가 적고, 안정한 접착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착층은 경화성 접착성분과 접착성 제어성분과의 조합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접착층의 접착특성/박리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성 제어 성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층의 접착성을 조절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접착층은 박리강도의 온도의존성 및 경시변화가 적고, 안정한 접착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경화성 접착성분과 접착성 제어성분을 조합하여 배합하기 때문에, 접착층을 형성할 때의 이른바 용제 분리가 좋고, 도공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조공정도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값이 싸고, 생산성과 성능이 모두 우수한 필름 보유지지부를 갖는 랩필름 수납 상자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6)
- 롤모양으로 말아진 랩필름을 수납하는 긴 상자이며, 적어도 해당 상자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랩필름을 끌어 당겨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과, 절단후 랩필름 끝이 상자내로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름 보유지지부를 갖춘 랩필름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가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접착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이,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혼합물의 경화물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 및 신장률이 다른 복수 종류의 프리폴리머의 혼합물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이고, 신장률이 2O 내지 160% 범위의 프리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1)폴리올의 분자량 1000 내지 1500, 신장률 2O 내지 30%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2)폴리올의 분자량 2000 내지 2500, 신장률 140 내지 150%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적어도 2종류를 함유한 혼합물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1의 조건에서 우레탄화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이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이들의 도포후에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함유 조성물이 추가로 경화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자에 수납하는 랩필름이 폴리염화비닐리덴필름인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보유지지부의 접착층이,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 이외에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로된 접착성 제어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이고, 신장률이 2O 내지 160% 범위의 프리폴리머에서 선택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율과 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1의 조건에서 우레탄화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이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이들의 도포후에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추가로 경화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제어 성분이, 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 및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의 혼합물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될 성분의 OH기의 양이 2% 이하인 중합단위로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자에 수납하는 랩필름이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인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함유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접착층이 인쇄법에의해 형성된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제1O항에 있어서, 환경온도가 상은 및 40℃인 경우 모두에서 상기 접착층이 안정한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혼합물로된 접착제.
- 제2O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 및 신장률이 다른 복수 종류의 프리폴리머의 혼합물로된 것인 접착제.
- 제2O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율의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이고 신장률이 2O 내지 160% 범위의 프리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제.
- 제2O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의 혼합계가, (1)폴리올의 분자량 1000 내지 1500, 신장률 2O 내지 30%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와 (2)폴리올의 분자량 2000 내지 2500 신장률 14O 내지 150%의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의 적어도 2종류를 함유한 혼합물로된 것인 접착제.
- 제2O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된 것인 접착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1의 조건에서 우레탄화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이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이들의 도포후에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로된 것인 접착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 함유 조성물이 추가로 경화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인 접착제.
-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과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로된 접착성 제어성분을 함유한 조성물로된 접착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프리폴리머 구성성분 중의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이고, 신장률이 2O 내지 160% 범위의 프리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가,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된 것인 접착제.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1의 조건에서 우레탄화하여 얻어진 프리폴리머이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이들의 도포후에 공기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요소결합을 형성하여 경화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로된 것인 접착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경화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접착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제어 성분이, 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 및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의 혼합물로된 것인 접착제.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틸 성분의 OH기의 양이 2% 이하인 중합단위로된 것인 접착제.
- 제27항에 있어서, 환경온도가 상은 및 40℃인 경우 모두에서 경화후의 상기 접착제의 층이 안정한 접착력을 갖는 것인 접착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분을 함유한 조성물로된 접착층으로 구성된 필름 보유지지부가, 랩필름용 상자의 전판부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랩필름 수납 상자.
- 랩필름용 상자의 전판부 표면의 필름 보유지지부에 인쇄기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폴리우레탄계 프리폴리머로된 경화성 접착성 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의 경화물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6/1996 | 1996-07-30 | ||
JP8200306A JP3021357B2 (ja) | 1996-07-30 | 1996-07-30 |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
JP8200305A JP3021356B2 (ja) | 1996-07-30 | 1996-07-30 |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
JP200305/1996 | 1996-07-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9048A true KR980009048A (ko) | 1998-04-30 |
Family
ID=2651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5411A KR980009048A (ko) | 1996-07-30 | 1997-07-28 | 랩필름 수납 상자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884763A (ko) |
KR (1) | KR980009048A (ko) |
CN (1) | CN1077081C (ko) |
AU (1) | AU731191B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6074A (en) * | 1997-11-14 | 1999-11-30 | Ibm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box configuration apparatus for a computer system |
US6048604A (en) * | 1998-05-29 | 2000-04-11 | Rexam Graphics, Inc. | Direct write electrographic wallcovering |
US6209783B1 (en) * | 1998-08-13 | 2001-04-03 | Daren Collins | Reinforced cardboard box for storage and shipping of elongated items and rolled documents |
US7918151B2 (en) * | 2000-12-20 | 2011-04-05 | Aep Industries, Inc. | Film cutter assembly |
US6581764B1 (en) * | 2000-02-11 | 2003-06-24 | Cory Hillebrand | Convenient, disposable article for food packaging |
US6237774B1 (en) * | 2000-08-15 | 2001-05-29 | Wilfred E. Stageberg | Package for stacked elements with means for separation |
US20030164392A1 (en) * | 2002-03-01 | 2003-09-04 | Gerulski Kristopher W. | Wrap dispenser with enhanced cutter bar registration |
AU2003236524A1 (en) | 2002-06-12 | 2003-12-31 | Reynolds Metals Company | Roll supporting slide cutter assembly |
US20060202079A1 (en) * | 2005-03-03 | 2006-09-14 | Sonoco Development, Inc. | Dispenser for web material |
US20070074986A1 (en) * | 2005-10-05 | 2007-04-05 | Medora King | Gift wrap dispensing system |
US7726531B2 (en) * | 2006-05-18 | 2010-06-01 | Southern Imperial, Inc. | Gondola pegboard covering system |
WO2008153012A1 (ja) * | 2007-06-15 | 2008-12-18 | Asahi Kasei Home Products Corporation | フィルム用収納箱 |
JP5202977B2 (ja) * | 2008-02-05 | 2013-06-05 | 株式会社クレハ |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そのフィルム保持部形成用ラベル |
US20110209594A1 (en) * | 2008-03-31 | 2011-09-01 | Philip Craig Withers | Dispenser For A Roll Of Sheet Material |
AU2009202941B2 (en) * | 2008-07-25 | 2015-01-22 | Multix Pty Ltd | Film dispenser |
US20110108599A1 (en) * | 2009-11-12 | 2011-05-12 | Multix Pty Ltd | Film dispenser |
HU3839U (en) * | 2009-12-14 | 2010-10-28 | Plast Engineering Zrt Dr | Storage and portioning device for ribbonlike products |
MX2020003282A (es) | 2017-10-12 | 2020-09-18 | David P Goodrich | Caja dispensadora y de transporte para material de hoja de hendidura.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49066A (en) * | 1968-06-18 | 1970-12-22 | Union Carbide Corp | Dispensing carton |
US3718712A (en) * | 1971-03-01 | 1973-02-27 | Minnesota Mining & Mfg | Pressure-sensitive adhesives based on cyclic terpene urethane resin |
US3767040A (en) * | 1971-03-01 | 1973-10-23 | Minnesota Mining & Mfg | Pressure-sensitive polyurethane adhesives |
US3845894A (en) * | 1973-03-07 | 1974-11-05 | D Merlin | Film retaining dispenser attachment |
DE2320197C3 (de) * | 1973-04-19 | 1979-05-17 | Beiersdorf Ag, 2000 Hambur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hnen- oder blattförmigen Materialien mit einem Träger mit Polyurethan-Selbstklebeschicht |
US4666072A (en) * | 1984-05-25 | 1987-05-19 | Mccarter James T | Dispensing container for plastic film wrap |
GB8503561D0 (en) * | 1985-02-12 | 1985-03-13 | Bostik Ltd | Adhesive compositions |
US4648536A (en) * | 1985-05-31 | 1987-03-10 |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 Carton for dispensing sheet material in roll form |
EP0336979B1 (en) * | 1987-10-14 | 1995-05-24 |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 Apparatus for thin film formation by plasma cvd |
NZ248977A (en) * | 1992-11-09 | 1995-06-27 | Squibb & Sons Inc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polyurethane having excess hydroxyl functionality; medical articles comprising a layer of such adhesive |
-
1997
- 1997-07-28 KR KR1019970035411A patent/KR9800090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7-29 AU AU32370/97A patent/AU731191B2/en not_active Ceased
- 1997-07-30 CN CN97118037A patent/CN107708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7-30 US US08/902,976 patent/US588476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884763A (en) | 1999-03-23 |
AU731191B2 (en) | 2001-03-29 |
CN1176215A (zh) | 1998-03-18 |
CN1077081C (zh) | 2002-01-02 |
AU3237097A (en) | 1998-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80009048A (ko) | 랩필름 수납 상자 | |
US2838421A (en) | Adhesives and adhesive tapes | |
US4576854A (en) | Packaging tape | |
CN1908104B (zh) | 贴合部件以及光学部件的贴合方法 | |
US4171397A (en) | Sheet material having composite fluorochemical-silicone release coatings | |
JPH04144798A (ja) | 転写シート | |
JPH03220283A (ja) |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剤組成物層および該層を有する転写シート | |
JP3021357B2 (ja) |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 |
KR930005886B1 (ko) | 로울 필름의 분배 케이스 | |
JP3021356B2 (ja) |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 |
JPH1135907A (ja) | コールドシール剤及び積層材 | |
JP3527800B2 (ja) | 粘着テープ | |
HUT69622A (en) | Selfsticking tearing stkipe and process for making thereof | |
SE194336C1 (ko) | ||
JPH11302609A (ja) | 粘着テープ | |
JPH01308473A (ja) | 剥離性処理層 | |
JP4191310B2 (ja) | ラップフィルム密着部形成塗料及びラップフィルムカートン | |
DE69635799T2 (de) | Druckempfindliche klebstoff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 druckempfindliche klebefolien und dichtungsmasse, versträrkungsfolien und druckempfindliche klebefolien zum drucken | |
JPH09157599A (ja) | 植物結束用粘着テープ | |
JPS6311228B2 (ko) | ||
DE2856009A1 (de) | Selbstklebeband | |
KR100763971B1 (ko) |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점착스티커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스티커 | |
JPH0826265A (ja) |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 |
JP3879939B2 (ja) | 多孔性基材を用いた粘着テープ | |
JPH0830174B2 (ja) | ダンボ−ル箱封かん用粘着テ−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