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80008152A -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152A
KR980008152A KR1019960028742A KR19960028742A KR980008152A KR 980008152 A KR980008152 A KR 980008152A KR 1019960028742 A KR1019960028742 A KR 1019960028742A KR 19960028742 A KR19960028742 A KR 19960028742A KR 980008152 A KR980008152 A KR 98000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vacuum cleaner
microcomputer
vibration type
type d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152A/ko
Publication of KR98000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5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에 느껴지는 진동에 의해 먼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먼지 흡입경로 상에 설치된 포토센서(100)와, 상기 먼지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10)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먼지 유무를 진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손잡이(30)에 진동장치(12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종래 먼지감지장치의 위치를 보인 흡입구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먼지감지장치의 상세한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설치된 손잡이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토센서 110 : 마이컴
120 : 진동장치 Q1 : 트랜지스터
R1-R4 : 저항
본 발명은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에 진동자를 설치하여 촉각에 의해 먼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진동식 먼지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흡인력에 의해 발생된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제1도와 같이 집진봉투 및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플럭시블호스(20), 손잡이(30), 연장관(40)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50)가 순차적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에는 청소 효율을 높이고자 먼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내장되어 있으며, 일례로 종래에는 제2도와 같이 흡입구(50)의 상면 소정위치에 시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51)를 설치하여 청소중 먼지가 있을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51)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먼지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청소를 하면서 그 곳에 먼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발광 다이오드(51)를 확인하여야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면에 먼지 등이 적층되어 휘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의 투사광을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손에 느껴지는 진동에 의해 유무를 확인하여 식별력의 곤란성을 해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먼지 흡입경로 상에 먼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먼지감지수단과, 상기 먼지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먼지 유무를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손잡이에 설치된 진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청소중 먼지 흡입경로상에 설치된 먼지감지수단으로부터 먼지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에서 손잡이에 구비된 진동장치를 진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촉감에 의해 먼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 기술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첨부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로써, 본 발명의 먼지감지수단은 먼지 흡입경로 상에 빛의 투과 여부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PT)로 이루어진 포토센서(100)가 설치되며, 상기 포토센서(100)의 후단에는 마이컴(1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정전압(Vcc)단자와 연결된 포토센서(100)의 발광다이오드(LED)의 애노드를 에미터 단자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는 마이컴(110)의 출력단(Out1)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토센서(100)의 포토트랜지스(PT)의 에미터단자는 상기 마이컴(110)의 입력단(In)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110)의 일측 출력단(Out2)에는 상기 포토센서(100)로부터 먼지가 감지될 경우 구동하는 진동장치(12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진동장치(120)는 소자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위치 즉, 제4도와 같이 청소중에 상기 진동장치(120)의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청소기의 손잡이(30) 부분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R1-R4는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먼지감지수단인 포토센서(100)는 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손잡이(30)나 또는 흡입구(50)측 먼지흡입경로상에 설치되며, 이와 같이 포토센서(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청소할 부분에 먼지등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마이컴(110)에서 손잡이(30)에 설치된 진동장치(120)를 진동시키면 손에 진동이 전달되어 작업자는 먼지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제4도와 같이 마이컴(110)에서 출력단(Out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베이스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포토센서(100)의 발광다이오드(LED)도 도통되어 빛을 투사하게 된다. 이때 흡입경로를 통해 먼지가 흡입될 경우 즉, 청소할 부분에 먼지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에서 투사되는 빛이 먼지에 의해 차단되면서 포토트랜지스터(PT)의 출력단은 로우레벨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이컴(110)에서는 입력단자(In)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해 먼지가 있음을 판단하고 출력단(Out2)을 통해 진동장치(120)를 구동시켜 손잡이(30)를 진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청소하고 있는 장소에 먼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청소장소에 먼지가 없을 경우에는 포토센서(100)의 포토트랜지스터(PT)에 빛이 입사되어 마이컴(110)의 입력단(In)은 "로우레벨"상태가 되고 따라서 진동장치(120)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먼지가 없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먼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표시등에 의한 확인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상품성 향상도 기대된다.

Claims (1)

  1. 먼지 흡입경로 상에 설치된 먼지감지수단과, 상기 먼지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먼지 유무를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손잡이에 설치된 진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742A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Withdrawn KR980008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742A KR980008152A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742A KR980008152A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52A true KR980008152A (ko) 1998-04-30

Family

ID=6624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742A Withdrawn KR980008152A (ko) 1996-07-16 1996-07-16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1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499B1 (ko) * 2010-04-30 2013-08-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US11992176B2 (en) 2019-09-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499B1 (ko) * 2010-04-30 2013-08-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 청소기
US11992176B2 (en) 2019-09-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473B1 (ko) 전기소제기
JP3145333B2 (ja) 電気掃除機
JP2002369778A (ja) ゴミ検出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920002085A (ko)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서 구동되는 전동송풍기를 가진 전기소제기
DK0895744T3 (da) Detektionsindretning til filterindretninger i støvsugere
KR20010082640A (ko) 전기 청소기
KR980008152A (ko) 진공청소기 진동식 먼지감지장치
JPH03123522A (ja) 床面判別器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2625941B2 (ja) 掃除機
JPH0339126A (ja) 電気掃除機の制御回路
JP2946242B2 (ja) 電気掃除機
KR19990055544A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의 먼지표시 장치
CN216926480U (zh) 一种尘埃探测装置
TR200300969T1 (tr) Elektrikli süpürge için bir kontrol yöntemi.
JPH01141638A (ja) 電気掃除機
JP2668899B2 (ja) 電気掃除機
KR970011917B1 (ko)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68980A (ko) 진공청소기
KR100237054B1 (ko) 진공청소기의 운전제어장치
JPH01230331A (ja) 電気掃徐機のごみ検出器
JPH0698846A (ja) 風量センサ及び風量センサ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970011918B1 (ko) 진공청소기의 운전제어장치
JPS62194830A (ja) 電気掃除機
JPH07231869A (ja) 電気掃除機
ATE164742T1 (de) Drehzahlgeregelte staubsaugerdü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