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48637A -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48637A
KR970048637A KR1019950051480A KR19950051480A KR970048637A KR 970048637 A KR970048637 A KR 970048637A KR 1019950051480 A KR1019950051480 A KR 1019950051480A KR 19950051480 A KR19950051480 A KR 19950051480A KR 970048637 A KR970048637 A KR 97004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od
temperature
refractive index
mono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0480B1 (ko
Inventor
정상돈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480B1/ko
Priority to JP23173596A priority patent/JP3217975B2/ja
Priority to US08/708,545 priority patent/US5863993A/en
Publication of KR97004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4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55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66Local 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온도분포 및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free radi-cal bulk polymerization)을 이용한 고분자 봉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봉 제조방법은,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에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관 형상의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 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봉을 유기용매에 담가 부풀린 후, 봉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와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굴절률이 전기한 고분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고분자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봉의 내부로 확산시키면서 화학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균일하게 가열하여 고분자 봉을 제조할 경우의 중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봉 제조시 중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봉의 광학손실 측정에 사용된 측정장치의 개략도.

Claims (17)

  1.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에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일정한 내경을 지난 관 형상의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온도 TL및 TH는 -20℃〈 TL〈 TH12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TL은 -20℃에서 20℃ 그리고 TH는 40℃에서 120℃의 범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량체로는 에틸렌(ethylene), 1, 3-디엔(1,3-diene)계, 스티렌(styrene)과 그의 유도체, 할로겐화 올레핀(halogenated olefin)계 비닐 에스터(vinyl ester)계,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계,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N-비닐 카바졸(N-vinyl carbazole) 또는 N-비닐 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과 같이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라우릴 퍼옥사이드(lauryl peroxide) 또는 아조비스이소브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과 같이 열분해에 의해서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디-t-부틸 퍼옥사이드(di-t-butyl peroxid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또는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과 같은 비닐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단량체에 대하여 중량비로 0에서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첨가량은 단량체에 대하여 중량비로 0에서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응용기의 통과속도는 1mm/hr에서 100mm/hr의 범위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봉 제조방법.
  10.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에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관 형상의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의해 제조된 고분자 봉.
  11.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에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관 형상의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봉을 유기용매에 담가 부풀린후, 봉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와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굴절률이 전기한 고분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고분자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봉의 내부로 확산시키면서 화학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합물은 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13. 라디칼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에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가 첨가된 혼합용액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관 형상의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봉을 유기용매에 담가 부풀린 후, 봉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와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굴절률이 전기한 고분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고분자를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봉의 내부로 확산시키면서 화학반응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
  14. 상대적으로 중합반응속도가 빠르고 굴절률이 높은 단량체와 전기한 단량체와 상분리되지 않고 잘 섞여지며 전기한 단량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합반응속도가 느리고 굴절률이 낮은 단량체, 그리고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 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속 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량체로는 상분리되지 않고 잘 섞여지며 서로 다른 중합속도와 굴절률을 지닌 3가지 이상의 단량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16. 상대적으로 중합반응속도가 빠르고 굴절률이 높은 단량체와 전기한 단량체와 상분리되지 않고 잘 섞여지며 전기한 단량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합반응속도가 느리고 굴절률이 낮은 단량체, 그리고 중합개시제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일정한 내경을 지닌 반응용기에 충진시킨 후, 상부가 저온(TL)으로 유지되고 하부가 전기한 온도(TL)에 비하여 높은 온도(TH)로 유지되어 그 중간부에 (TH-TL)/L(여기서, L은 경사진 온도분포 영역의 상하길이)의 온도경사를 지닌 영역에 전기한 반응용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일정한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키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량체로는 상분리되지 않고 잘 섞여지며 서로 다른 중합속도와 굴절률을 지닌 3가지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1480A 1995-12-18 1995-12-18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 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017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80A KR0170480B1 (ko) 1995-12-18 1995-12-18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 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JP23173596A JP3217975B2 (ja) 1995-12-18 1996-09-02 高分子化合物からなる棒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重合装置
US08/708,545 US5863993A (en) 1995-12-18 1996-09-05 Preparation method of polymeric rod and gradient-index rod lens using free radical bulk polymerization with temperature gra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1480A KR0170480B1 (ko) 1995-12-18 1995-12-18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 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637A true KR970048637A (ko) 1997-07-29
KR0170480B1 KR0170480B1 (ko) 1999-05-01

Family

ID=1944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1480A Expired - Fee Related KR0170480B1 (ko) 1995-12-18 1995-12-18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 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63993A (ko)
JP (1) JP3217975B2 (ko)
KR (1) KR0170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0866B2 (ja) * 2009-07-08 2014-02-05 株式会社メニコン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6222534A1 (de) * 2016-11-16 2018-05-17 Robert Bosch Gmbh Dauerhaft dichtende Verbindung zwischen Einleger und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63993A (en) 1999-01-26
JPH09174581A (ja) 1997-07-08
JP3217975B2 (ja) 2001-10-15
KR0170480B1 (ko) 199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8327A (en) High temperature plastic light conduit and composition of matter therefor
Pojman et al. Factors affecting propagating fronts of addition polymerization: Velocity, front curvature, temperatue profile, conversio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US5225166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osition of matter for a high temperature plastic light conduit
US512258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temperature plastic light conduit
EP049689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transmission medium from synthetic resin
US4521351A (en) Process for producing light-transmitting element of synthetic resin
US4125695A (en) Polymerization process with reduced cycle time employing polyfunctional free radical initiators
EP0606598A2 (en) Shaped articles of graduated refractive index exhibiting low dispersion
US4509163A (en) Process for producing a low hygroscopic methacrylic resin and information recording substrates made therefrom
KR970048637A (ko) 경사진 온도분포와 자유 라디칼 벌크 중합을 이용한 고분자 봉 제조방법 및 고분자 연속굴절률분포 봉 렌즈의 제조방법
Bartels et al. Some aspects on the polymerization of N‐vinylpyrrolidone in the presence of poly (methacrylic acid) templates
JPH10123336A (ja) 傾斜屈折率を有する光学材料の製造
EP0548991A1 (en) Method for preparing uniform polymer rod
JPH10152505A (ja) スチレン−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H0460127B2 (ko)
JPH0566561B2 (ko)
JP2003149463A (ja)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の製造方法
AU697468B2 (en) Composition and apparatus for making a high temperature plastic light conduit
JPS6125734B2 (ko)
JPWO2003019252A1 (ja) プラスチック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2003329856A (ja) 光伝送体の製造方法
US3398123A (en) Copolymers of fluoroaldehydes with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JP2003192708A (ja) 光学部材用重合性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SU562094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орполимеров
JPH03217407A (ja) 高屈折率樹脂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