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43956A -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43956A KR970043956A KR1019950060486A KR19950060486A KR970043956A KR 970043956 A KR970043956 A KR 970043956A KR 1019950060486 A KR1019950060486 A KR 1019950060486A KR 19950060486 A KR19950060486 A KR 19950060486A KR 970043956 A KR970043956 A KR 970043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window regulator
- automotive window
- motor
- regul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레귤레이터모우터를 윈도우의 인너패널에 직접 결합하였기 때문에 충격이 도어에 미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4도 내지 제7도와 같이 결합구(7)에 지지부(9)또는 환형중공부(11)를 형성하여 모우터(2)와 인너패널(3)간에 체결하도록 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다른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단면의 다른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의 다른 예시도이다.
Claims (2)
- 윈도우레귤레이터(1)의 레귤레이터모우터(2)에 있어서, 모우터(2)의 웰드보울트(5)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7)를 탄성체로 구성하고 결합구(7)의 중앙에는 천공부(8)를 형성하며 양단에는 환형의 지지부(9)를 형성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제1항에 있어서, 결합구(7)에는 환형부(10)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환형중공부(11)을 형성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60486A KR970043956A (ko) | 1995-12-28 | 1995-12-28 |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60486A KR970043956A (ko) | 1995-12-28 | 1995-12-28 |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43956A true KR970043956A (ko) | 1997-07-26 |
Family
ID=6662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60486A KR970043956A (ko) | 1995-12-28 | 1995-12-28 |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4395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2693B1 (ko) * | 2000-03-20 | 2003-02-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 장치 |
-
1995
- 1995-12-28 KR KR1019950060486A patent/KR9700439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2693B1 (ko) * | 2000-03-20 | 2003-02-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개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43956A (ko) |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결합구 | |
KR970005724A (ko) |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바의 구조 | |
KR970041122A (ko) | 자동차의 리어 크로스 부재 | |
KR970035065A (ko) | 자동차의 측면 강성 보강구조 | |
KR970041895A (ko) | 트럭의 캡 | |
KR970041255A (ko) | 자동차 실사이드의 보강구조 | |
KR970035241A (ko) | 자동차의 도어 트림 취부구조 | |
KR970020564A (ko) | 자동차 도어의 임팩트 빔 고정구조 | |
KR970041285A (ko) | 자동차의 필라 | |
KR970020852A (ko) | 자동차 센터 필러의 단면 구조 | |
KR970041225A (ko) | 자동차용 임팩트 바 설치구조 | |
KR970038945A (ko) | 자동차의 트림 취부구조 | |
KR970041356A (ko) | 자동차의 프론트필러와 대시패널 결합부 보강 구조 | |
KR970015370A (ko) | 자동차 지붕의 보강구조 | |
KR970041337A (ko) | 자동차 지붕의 보강구조 | |
KR970041494A (ko) | 자동차의 전방 차체 | |
KR970015368A (ko) |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 |
KR960022105A (ko) | 자동차 실사이드의 보강구조 | |
KR970041222A (ko) | 자동차의 차체측면 내판재 | |
KR970041840A (ko) | 자동차 플로어판넬의 중간부구조 | |
KR970039233A (ko) | 자동차 차체 | |
KR970041937A (ko) | 자동차의 스포일러 구조 | |
KR970015360A (ko) | 자동차용 루프 사이드 레일 어셈블리 구조 | |
KR970038962A (ko) | 자동차의 필라 트림 취부구조 | |
KR970065207A (ko) | 승용차의 범퍼 조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