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10723B1 -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23B1
KR970010723B1 KR1019920015271A KR920015271A KR970010723B1 KR 970010723 B1 KR970010723 B1 KR 970010723B1 KR 1019920015271 A KR1019920015271 A KR 1019920015271A KR 920015271 A KR920015271 A KR 920015271A KR 970010723 B1 KR970010723 B1 KR 97001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spinning
high speed
speed spinning
preparing polye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094A (ko
Inventor
김우섭
신휘철
Original Assignee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배도 filed Critical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723B1/ko
Publication of KR94000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속방사가 가능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좀 더 상세하게 말하면 폴리에스터의 분자배향시 과도한 결정화를 억제시켜 고속방사가 가능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는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섬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여러방법으로 제조되며 최근에는 제사기술이 진보됨에 따라서 용융방사시의 권취속도는 종래의 1,000∼1, 500m/분에서 2,000m/분 이상으로 대폭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권취속도를 2,500∼4,000m/분으로 하여 얻어진 부분배향 미연신사는 그대로 연신가연공정에 제공되고 있으며 이 용도는 크게 증가하여 제사기술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권취속도틀 4,000m/분 이상으로 하는 초고속방사도 시험되고 있는데, 이러한 초고속 방사에서는 방사시의 사절이 다발하게 되고 최종 제품사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사조건이 적정화 및 방사통과 방사노즐의 구조개량 등을 시험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고 대폭적인 개시는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예의 검토를 반복한 결과,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아미드 등에 비해 결정화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용융방사시의 권취속도가 2,000m/분 이상으로되면 방사장력에 의하여 분자배향이 일어나고, 이것과 함께 결정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방사시의 배향이 충분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결정화가 크게 진행되어 앞서 말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향은 권취속도가 4,000m/분 이상으로 되면 더욱 현저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고속방사시에 있어서의 그 결정화 및 분자배향의 거동면에서 계속 검토를 하고, 분자배향시의 결정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각종 첨가제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폴리에스터의 제조 중에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단, R은 H 또는 탄소수 1∼l0인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나트륨, 칼슘)
즉, 본 발명은 주된 반복구조 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합반응 단계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을 폴리에스터를 구성하는 산성분에 대하여 0.05∼5몰%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의 첨가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이것이 너무 적으면 분자배향시의 결정화 억제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반대로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폴리에스터의 물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체적으로 만일 일반식(I)의 화합물 첨가량이 5몰%를 초과하면 칩의 황변현상이 일어나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으면 부생성물 과다생성 및 반응시간 연장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적용대상물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되어 있는 폴리에스터이지만 폴리에스터의 물성개량을 위하여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글리콜성분의 일부를 다른 성분으로 치환시킨 폴리에스터도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득하는 폴리에스터는 중합 후 방사시에 3,000m/분 이상의 고속으로 방사하여도 방사 및 연신공정 중에 발생하는 사절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물성이 안정화되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3, 5)
폴리에스터의 중합단계에서 1, 3-아다만탄디카르복실산{일반식(I)에서 R이 H인 경우}을 표-1의 함량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극한점도 0.65인 폴리에스터를 방사온도 285℃, 토출량 44.5g/분으로 방사노즐을 통해 방사하고 15℃의 공기를 0.5m/분의 풍속으로 불어주어 냉각시켜 접속 및 유제를 부여한 후 4,0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부분연신사를 얻고 이것을 연신미1.332로 연신하여 75D/36fi1의 원사를 얻었다. 이때 방사 및 연신의 작업성을 사절율로 나타낸 결과는 표-1과 같다.
(실시예 2, 4)
메틸 1, 3-아다만탄디카르복실레이트 {일반식(I)에서 R이 탄소수l의 알킬기인 경우}를 첨가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터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과 같다.
(비교예 1, 2)
비교예 1은 첨가제 없이, 비교예 2는 실시예 1의 첨가제를 10몰% 함유한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표- 1]
* 방사작업성은 1,000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사절수와 총 도핑수(333번)에 대한 사절발생 도핑수의 백분율(=사절율)로 나타내었다.
* 연신작업성은 3,000추 연신시 사절방생추의 백분율(=사절율)로 나타내었다.

Claims (1)

  1. 주된 반복구조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폴리에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합반응 단계에서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을 폴리에스터를 구성하는 산성분에 내하여 0.05∼5.0몰%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단, R은 H 또는 탄소수 1∼10인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나트륨, 칼슘)
KR1019920015271A 1992-08-25 1992-08-25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271A KR970010723B1 (ko) 1992-08-25 1992-08-25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271A KR970010723B1 (ko) 1992-08-25 1992-08-25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094A KR940004094A (ko) 1994-03-14
KR970010723B1 true KR970010723B1 (ko) 1997-06-30

Family

ID=1933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271A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723B1 (ko) 1992-08-25 1992-08-25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88018T3 (es) * 2019-05-02 2024-11-19 Lg Chemical Ltd Composición plastificante de triéster de ciclohexano y composición de resina que comprende la misma
WO2021020878A1 (ko) * 2019-07-30 2021-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361973B1 (ko) * 2020-04-29 2022-02-11 애경케미칼주식회사 복합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094A (ko) 199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7974A (en) Bicomponent filament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641765B2 (en) Polyester multifilament yarn
CN109735942A (zh) 高模低缩活化型涤纶工业丝及其制备方法
KR20100126498A (ko)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970010723B1 (ko)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JP3789030B2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US4574066A (en) Process for the expeditious formation of a high strength shaped article of poly(6-oxy-2-naphthoate-4-oxybenzoate)
KR930007880B1 (ko)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KR0124941B1 (ko) 폴리아미드의 고속방사방법
KR970010720B1 (ko) 폴리에스터 섬유의 초고속 방사방법
KR0160478B1 (ko)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KR0160479B1 (ko) 폴리에스터의 제조방법
KR100364894B1 (ko) 염색성과 방사성이 우수한 개질 폴리아미드6 섬유의제조방법
KR100266972B1 (ko) 개질 폴리아미드 6 섬유의 제조방법
JP2994701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用溶融粘度抵下剤及びポリエステル繊維
KR930011340B1 (ko) 탄성체 섬유의 제조방법
JP5296645B2 (ja) 産業資材用紐状物
KR950002611B1 (ko) 저점도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0364893B1 (ko) 저수축 폴리에스터 미연신사의 제조방법
KR100616809B1 (ko) 고강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46088A (ko) 벤젠고리구조를함유한개질폴리아미드6섬유의제조방법
CN109750363A (zh) 超低收缩型聚酯工业丝的制备方法
KR20030025358A (ko) 염색성과 방사성이 우수한 개질 폴리아미드6의 제조방법
KR101406164B1 (ko) 산업용 코드스트랩 원사의 제조방법
KR100300914B1 (ko) 고속방사용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0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