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10131B1 -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131B1
KR970010131B1 KR1019920016729A KR920016729A KR970010131B1 KR 970010131 B1 KR970010131 B1 KR 970010131B1 KR 1019920016729 A KR1019920016729 A KR 1019920016729A KR 920016729 A KR920016729 A KR 920016729A KR 970010131 B1 KR970010131 B1 KR 97001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ift lever
selec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834A (ko
Inventor
최상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131B1/ko
Publication of KR9400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장치를 변속기 적용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변속레버장치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인샤프트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5a, b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6a, b도는 종래 레버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종래 레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속레버 2 : 시프트 아암
3 : 셀렉트 레버 4 : 메인 샤프트
5 : 힌지축 6 : 수평부
7 : 수직부 8 : 회동부재
8 : 셀렉트 리턴 스프링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 커버 22, 23 : 요입부
24, 25 : 힌지홈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경량화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의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추진축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버에 의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와, 유압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로 분류된다.
그리고 상기의 수동 변속기에는 변속을 행할 때 사용되는 변속레버장치에는 변속기에 변속레버를 직접 설치하는 직접 조작 방식과, 변속레버와 변속기를 분리 설치하여 그 사이를 링크나 케이블등으로 연결하여 조작하는 원격 조작 방식이 있는데, 본 발명은 후자인 원격 조장 방식에 적용되는 변속레버장치에 관계한다.
또한, 상기 변속레버장치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변속기 내부에서 변속을 행하는 조작기구는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 샤프트상에 컨트롤 핑거가 설치되어 상기 변속레버를 시프팅하면, 컨트롤 샤프트가 컨트롤 평가와 함께 이동하여 컨트롤 핑거가 변속을 원하는 시프트 포크의 러그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의 위치에서 변속레버를 셀렉트하면, 컨트롤 핑거가 회전하면서 시프트 러그를 이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변속조작기구를 동작시키는 종래 원격 조작 방식에 의한 변속레버장치는 제6도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0)상의 일측으로 세워지는 하부 브라켓(51)에 상부 브라켓(52)이 힌지볼트(53)으로서 힌지 고정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52)의 상단에는 봉상의 레버(54)하측이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시프트 레버(55), 타측은 셀렉트 레버(56)로 형성되는 변속레버(57)의 하단부가 볼트(58)로 힌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레버(55)는 자유단인 상태에서 링크 또는 케이블등으로 미도시된 변속기 내부의 변속조작기구에 연결되어 컨트롤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고, 셀렉트 레버(56)의 하단은 ㄱ자 형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50)상에 힌지 고정된 회동레버(59)의 일측단 연결되어 변속레버(57)의 셀렉트 동작시 회동레버(59)를 회동시켜 이의 타측단으로 연결된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를 좌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립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행을 위하여 변속을 행하고자 할 때 제7도에서와 같이 변속레버(56)를 셀렉트(Y-Y)하면 변속레버(57)는 힌지볼트(53)를 힌지로 하여 Y-Y 방향으로 시프팅 되면서 회동레버(59)의 일측을 Y'-Y' 방향으로 회동시켜 이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사프트를 이동시켜 컨트롤 핑거가 해당 러그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셀렉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레버(57)를 시프트(X-X)하면 변속레버(57)는 볼트(58)를 힌지로 하여 회동하여 그의 하단부로 형성되는 시프트 레버(55)가 X'-X'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핑거를 회전시키고, 이의 컨트롤 핑거가 시프트 러그를 동작시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볼트(53)상에는 중립시 변속레버(57)가 항상 3,4단 중립상태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셀렉트 리턴 스프링(60)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 동작되는 변속레버장치는 변속을 행하는데 있어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제기되지 않으나, 그 많은 부품이 소요되고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작업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중량이 크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구성을 간단히 하고, 경량화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상으로 형성되어 그의 하측부가 시프트 아암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시프트 아암의 상부 일측으로는 셀렉트 레버가 직교한 상태로 고착되는 변속레버와; 상기 셀렉트 레버의 중간부에 이의 셀렉트 레버가 관통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직교하는 상태로 삽입되는 메인 샤프트와; 중간부에 상기 셀렉트 레버가 관통되어 상하 회동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상하 요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이의 힌지홈에 상기 메인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와;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측에 셀렉트 리턴스프링을 개재시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수평부 선단은 상기 셀렉트 레버의 선단과 볼이음 연결되고, 수직부의 하측단은 미도시된 변속기내의 변속조작기구와 로드 또는 케이블등으로 연결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부호 1은 변속레버를 지칭한다.
상기 변속레버(1)는 봉상으로 형성되어 그의 하측부가 시프트 아암(2)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시프트 아암(2)의 상부 일측으로는 셀렉트 레버(3)가 직교한 상태로 고착된다.
그리고 상기 셀렉트 레버(3)의 중간부에는 이의 셀렉트 레버(3)가 관통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여 주는 메인 샤프트(4)가 직교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변속레버(1)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측에 커버(21)로서 고정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21)의 중간부에는 셀렉트 레버(3)가 관통되어 상하 회동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상하 요입되는 요입부(22)(2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22)(23)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24)(2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레버(1)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이 요입홈(24)(25)위에 메인 샤프트(4)를 올려놓고 그의 상측으로 커버(21)를 덮은 후에 커버(21)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하면 메인 샤프트(4)는 제4도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21)사이에 베어링(26)을 개재되고 이에 윤활유가 충전되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21)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결합하는 수단으로는 여러 방법이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후측 중간부에 중앙으로 고정공이 형성되는 돌출부(27)을 형성하고, 커버(21)의 전후측에는 상기 돌출부(27)를 제외한 부분의 양측에 중앙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돌출부(28)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7)(28)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핀(29)을 억지 끼움수단으로 삽입시켜 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버(21)의 일측에는 힌지축(5)이 돌출되어 이에 수평부(6)와 수직부(7)로 형성되는 회동부재(8)가 셀렉트 리턴 스프링(9)을 개재시켜 스냅링(12)로 고정되며, 상기 회동부재(8)의 수평부(6) 선단은 상기 셀렉트 레버(3)의 선단과 볼이음 연결되고, 수직부(7)의 하측단은 미도시된 변속기내의 변속조작기구와 로드 또는 케이블등으로 연결되며, 상기 셀렉트 리턴 스프링(9)은 그의 양 선단이 오므러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받침대(30)에 탄지되어 회동부재(8)의 운동시 수직부(7) 양측에 탄지된다.
상기에서 셀렉터 레버(3)와 회동부재(8)의 수평부(6)를 볼이음 연결함에 있어서는 회동부재(8)의 수평부(6)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10)을 형성하고, 이에 셀렉트 레버(3) 선단에 가공된 볼(11)이 삽입되어 회동부재(8)의 회동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2)의 선단과 회동부재(8)의 수직부 선단은 미도시된 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와 로드 또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컨트롤 평가를 회전시키고 컨트롤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전측으로 형성되는 홀(31)(32)은 상기 레버(2)(3)에 연결되는 로드 또는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변속레버장치의 작동과정을 제5도를 보면서 설명하면, (a)도는 변속레버(1)를 Y-Y 방향으로 셀렉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변속을 위하여 원하는 변속단의 중립상태로 변속레버(1)를 셀렉트하면 셀렉트 레버(3)가 메인 샤프트(4)를 힌지로 하여 상축 또는 하축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셀렉터 레버(3)의 선단으로 연결된 회동부재(8)이 수평부(6) 선단을 가상선과 같이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어 수직부(7)의 선단을 Y'-Y' 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샤프트를 이동시켜 변속한 해당 러그상에 컨트롤 핑거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셀렉터를 완료한 후에 변속레버(1)를 제5도(b)에서와 같이 X-X 방향으로 시프트하면, 이에 연동되는 시프트 아암(2)이 셀렉트 레버(3)를 힌지축으로 하여 X'-X' 방향으로 회동시켜줌으로써, 셀렉트되어 있는 변속조작기구의 컨트롤 핑거를 회전시켜 해당 러그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변속기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레버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변속레버장치에 비하여 많은 부품이 생략되어 구성을 간단히 하고, 경량화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신규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중간부 하측이 힌지 고정되어 그 하측단부가 시프트 케이블 또는 로드와 연결되어 시프트 기능을 수행하는 변속레버(1), 상기 변속레버(1)의 소정 위치에 고착되는 셀렉트 레버(3)의 자유단부에 수평부(6)의 연결되어 이에 연동되면서 전,후 회동하여 셀렉트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부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레버(3)를 변속레버(1)의 중간부 하측에 직교하게 고착하고, 이의 셀렉트 레버(3)의 중간부에는 메인 샤프트(4)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되, 상호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4)의 전,후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21)는 그 중앙부에 셀렉트 레버(3)의 회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요입부(22)(23)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부재(8)의 수평부(6)는 셀렉트 레버(3)와 볼이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커버(21)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후측 중간부에 중앙으로 고정공이 형성되는 돌출부(27)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커버(21)의 전,후측에는 상기 돌출부(27)의 양측에 중앙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돌출부(28)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7)(28)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핀(29)을 억지끼움 수단으로 삽입신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동부재(8)와 셀렉트 레버(3)는 회동부재(8)의 수평부 선단에 장공(10)을 형성하여 이에 셀렉트 레버(3)의 선단으로 형성된 볼(11)을 관통시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KR1019920016729A 1992-09-15 1992-09-15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729A KR970010131B1 (ko) 1992-09-15 1992-09-15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729A KR970010131B1 (ko) 1992-09-15 1992-09-15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834A KR940006834A (ko) 1994-04-25
KR970010131B1 true KR970010131B1 (ko) 1997-06-21

Family

ID=1933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729A Expired - Fee Related KR970010131B1 (ko) 1992-09-15 1992-09-15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316B2 (en) 2005-12-06 2009-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alfunctioning nozzle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88A (ko) * 2000-11-02 2002-05-09 이계안 자동차의 변속조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316B2 (en) 2005-12-06 2009-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alfunctioning nozzle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834A (ko) 199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8928B1 (en) Shift apparatus
US5540114A (en) Gear shifting apparatus for use in a pneumatic transmission
US4719999A (en) Park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970010131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JP2852648B2 (ja) 自動車の変速機用シフト装置
US5025678A (en) Column shift lever device
US5934146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n automobile
CN111692328A (zh) 一种轻型商用车变速器用选换挡顶盖总成
JP3547335B2 (ja) マニュアルバルブレバーの位置決め構造
US2282962A (en) Gear shift remote control
US3043413A (en) Transmission control
KR100452598B1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기구
KR10038767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일체형 시프팅 장치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JPH0349329Y2 (ko)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970008496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장치
JPH0637236Y2 (ja) 歯車式変速機の変速装置
JPS622660Y2 (ko)
SU12160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цеплением и передач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51167B1 (ko) 후진 변속 포오크의 위치 결정구조
JPS6142170Y2 (ko)
JPS627894Y2 (ko)
JPH10309956A (ja) コラム式シフトレバー装置
SU1504121A1 (ru) Механизм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 коробкой передач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0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