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9387B1 -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 Google Patents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387B1
KR970009387B1 KR1019930023454A KR930023454A KR970009387B1 KR 970009387 B1 KR970009387 B1 KR 970009387B1 KR 1019930023454 A KR1019930023454 A KR 1019930023454A KR 930023454 A KR930023454 A KR 930023454A KR 970009387 B1 KR970009387 B1 KR 97000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elevator
car
count
lin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3963A (en
Inventor
조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387B1/en
Publication of KR95001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3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of elevator using linear motor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1 to 3 are views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2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3도는 레일 브레이크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il brake.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4 and 5 are views of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브레이크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brake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 6 : 풀리5: count weight frame 6: pulley

7 : 로프 10 : 웨이트7: rope 10: weight

11 : 가동자 15 : 고정자11: mover 15: stator

24 : 카 25 : 브레이크24: car 25: brake

25a : 샤프트 25b : 브레이크 드럼25a: shaft 25b: brake drum

25c : 브레이크 드럼 25d : 감속기25c: brake drum 25d: reducer

25e : 핸들 25f : 웜25e: Handle 25f: Worm

25g : 웜기어 26 : 시이브25g: Worm Gear 26: Sieve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 제동용 브레이크를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하고, 시공 및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brake device using a linear motor that installs a car braking brake in a lower portion of a hoistway to improve maintenance, construction and safety.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 방식이 확산, 보급되어 있다. 이 방법은 엘리베이터위에 기계실을 설치하여 권상기를 설치하고, 로프를 매개로 한단은 카에 한단은 카운트 웨이트에 매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권상기의 크기는 비교적 크고 브레이크 장치 이외의 제동장치 등도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도 필연적으로 이에 대응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기계실에 의한 거축의 점유면적이 문제가 되고 고중량에 대한 기계실 구조의 강상면에서 비용도 높아진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the hoisting system is spreading and spreading. In this method, a hoist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machine room on an elevator, and one end of a car is suspended by a rope, and one end of the car is suspended by a count weight. Therefore, the size of the hoist is relatively large and a brake device other than a brake device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As a result, the corresponding space is inevitably required in the room, and the occupied area of the housing by the machine room becomes a problem, and the cost is high in the steel surface of the machine room structure for the heavy weight.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 권상 방식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근년에는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리니어 인덕션 모터는 모터 자체가 직접 구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권상기 등의 회전기와 다른 감속기, 풀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체로서 간단하고 경량화를 기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에 있어 필요로 하는 권상기용 기계실이 완전히 불필요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elevators using a linear induction motor as a driving source have been in the spotlight in recent years while solving the problems in the hoisting method. Since the linear induction motor is directly driven by the motor itself, it is simple and lightweight as a whole without the need for a rotator such as a hoist and other reducers and pulleys. It is unnecessar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vator system can be miniaturized.

종래 리니어 모터를 엘리베이터는 그 실시형태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linear motor elevator is shown in FIGS. 1 to 3.

제1도에서 주요 부품을 먼저 살펴보면, 41은 상부 프레임, 42는 행거 프레임, 43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 44는 카 가이드 레일, 45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 46은 풀리, 47은 로프, 48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 49는 카 가이드 롤러를 각각 보인 것으로, 50은 카운트 웨이트, 51은 가동자, 52는 에어갭 조정 롤러, 53은 가동자 방진장치, 54는 냉각장치를 각각 보인 것이며, 55는 고정자, 56은 고정자 상부 지지부재, 57은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 58은 고정자 하부 지지부재를 각각 보인 것이다.In Figure 1, the main parts are first shown: 41 is the upper frame, 42 is the hanger frame, 43 is the count weight guide rail, 44 is the car guide rail, 45 is the count weight frame, 46 is the pulley, 47 is the rope, 48 is the count Weight guide rollers, 49 are car guide rollers, 50 are count weights, 51 are movers, 52 are air gap adjustment rollers, 53 are mover dust collectors, 54 are coolers, and 55 are stators. , 56 is a stator upper support member, 57 is an air gap variation detection device, 58 is a stator lower support member, respectively.

이하, 종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프레임(41)에 고정자(55)가 상,하부 지지부재(56),(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linear motor, as shown in FIG. 1, the stator 55 is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56 and 58 on the upper frame 41. have.

가동자(51)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에 설치되어 있고,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의 양측에는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48)가 설치되어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43)과 접해져 있다. 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은 로프(47)에 의해 매달리고 승강로 상부의 풀리(46)를 경유해서 카(60)와 연결되어 있다. 카(60)의 양측에는 카 가이드 롤러(49)가 설치되고, 이 카 가이드 롤러(49)는 카 가이드 레일(44)에 접해져 설치되어 있다.The mover 51 is provided in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the count weight guide roller 48 is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unt weight guide rail 43. As shown in FIG. The count weight frame 45 is suspended by the rope 47 and connected to the car 60 via the pulley 46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ar guide rollers 4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r 60, and the car guide rollers 49 ar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s 44.

이러한 종래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는 상기 가동자(51)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에는 유도 자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하부에 고정된 고정자(55)를 따라서 가동자(51)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elevator using the conventional linear moto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er 51, an induction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and the stator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by the thrust generated thereby. The mover 51 moves along the 55.

상기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의 추력 발생에 따라 가동자(51)가 구동하면 이와 결합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과 풀리(46)를 경계로 해서 카(60)를 매달고 있는 로프(47)가 이동하게 되어 엘리베이터가 구동된다.When the mover 51 is driven according to the thrust generated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the car 60 is suspended around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the pulley 46 coupled thereto. The rope 47 is moved to drive the elevator.

이때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의 하부 혹은 카(60)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 브레이크(61)는 승강기 및 홀(hall)에서의 층부름에 따라 전류를 차단 혹은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가 온,오프(on, off) 동작되어 제동 구실을 한다. 또 엘리베이터의 오버 런(over run)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제동수단으로서 풀리(46)에 제3도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62)가 추가 설치되어진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rail brake 61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nt weight frame 45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60 cuts or applies current according to the floor calling in the elevator and the hall. As a result, the magnet is turned on and off to serve as a brake. In addition, a drum brake 62 as shown in FIG. 3 is further provided on the pulley 46 as an emergency braking means in order to prevent overrun of the elevator.

상기 드럼 브레이크(6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63)과, 브레이크 암(64)과, 브레이크 슈(65) 및 상기 브레이크 암(6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62a)로 구성된다.The drum brake 62 is composed of a brake drum 63, a brake arm 64, a brake shoe 65 and a magnet 62a for operating the brake arm 64 as shown in FIG. do.

그러나 플로어(flower) 정지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에 조합한 레일 브레이크(61) 장치가 제동을 행하고, 카(60)를 서비스층(survice flower)에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의 부하가 크게 되고, 마모도 크므로 오동작이 쉽게 유발되며,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 오동작을 하여 로크(lock)된 경우는 유지 보수성이 나쁘고 위험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floor stops, the rail brake 61 device combined with the count weight frame 45 brakes and the car 60 is stopped by the service flower. Is large, wear is also large, the malfunction is easily caused, when the malfunction is locked in the layer except the lowermost layer (lock) there was a bad maintenance and dangerous.

이점을 개선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킨 구조로서 제1도의 실시 형태에서는 카(60)측에 레일 브레이크(61)를 설치하여 카(60) 내부로부터 점검수리를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 역시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의 작업성은 위험할 뿐아니라 보통 불평형 하중을 견디는 제동력에 해당하는 레일 브레이크(61)의 갯수가 2 내지 4개이므로 동시에 개폐작업을 하기란 더욱 어려운 것으로 작업성이 매우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embodiment of FIG. 1, the rail brake 6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r 60 to enable inspection and repair from the inside of the car 60. However, this also excludes the lowermost floor. In addition, the workability in the dangerous as well as the number of rail brakes 61 to the braking force to endure the unbalanced load is usually 2 to 4 at the same time it is more difficult to open and close work was very bad workability.

여기서 풀리(46)의 중계로만 로프(47)가 연결되어 관성 주행에 의한 오버 런(over run)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로 상부의 풀리(46)에 일체로 구성된 드럼 브레이크(62)를 설치 운용함으로 인해서 비상시 로크(lock) 상태에 대한 유지 보수성도 극히 나쁘며 레일 브레이크(61)와 조합 운용될 때는 더욱 그러하다.Here, the rope 47 is connected only to the relay of the pulley 46, so that the drum brake 6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ulley 46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o prevent overrun due to inertia travel. Maintainability of the lock state in an emergency is also extremely bad,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the rail brake 6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감안하여 창안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a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브레이크 로크시 유지 보수성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하부에서 손쉽게 브레이크의 로크 상태를 풀어 주고, 수동 감아 올림이 가능한 구조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ke device of the structure that can easily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brake at the bottom, and can be manually wound up in order to solve the maintenance problems during brake lock, which is a problem of the prior art.

이하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제4도 및 제5도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4 and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면에 도시된 부품에 대해 설명하면, 1은 상부 프레임, 2는 행거 프레임, 3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 4는 카 가이드 레일, 5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 6은 풀리, 7은 로프, 8은 카운트 웨이트 롤러, 9는 카 가이드 롤러, 10은 카운트 웨이트, 11은 가동자, 12는 에어 갭 조정장치, 13은 가동자 방진장치, 14는 에어갭 변동 검출장치, 15는 고정자, 16은 고정자 상부 지지부재, 18은 고정자 하부 지지부재를 각각 보인 것이다.Referring first to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1 is the upper frame, 2 is the hanger frame, 3 is the count weight guide rail, 4 is the car guide rail, 5 is the count weight frame, 6 is the pulley, 7 is the rope, 8 is Count weight roller, 9 is car guide roller, 10 is count weight, 11 is mover, 12 is air gap adjuster, 13 is mover dustproof device, 14 is air gap fluctuation detector, 15 is stator, 16 is stator upper The support members 18 show the stator lower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이하,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살펴 보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가동자(11)가 접속되고, 가동자(11)의 상,하부에는 에어 갭 조정장치(15),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14) 및 가동자 방진장치(13)가 설치되고, 이 가동자(11)를 관통하는 고정자(15)가 그 상부는 상부 프레임(1)에 고정자 상부 지지부재(16)에 지지되고 그 하부는 고정자 하부 지지부재(18)를 중계로 하부 지지부(B)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자(11)에는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통공(11a)이 천공되어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ovable element 11 is connected to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able element 11 are air. The gap adjusting device 15,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14, and the mover dustproof device 13 are provided, and the stator 15 penetrating the mover 11 has an upper portion at the upper frame 1. It is supported by the stator upper support member 16, and its lower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support part B by relaying the stator lower support member 18. A through hole 11a is drilled in the mover 11 to increase cooling efficiency.

상기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상,하 양단에는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8)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양측에 카운트 웨이트(10)가 적재되어 있으며, 하부 지지부(B)에는 카운트 웨이트 버퍼(22)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상단은 심블 로드(27)에 의해 로프(7)가 결합되어 있고, 이 로프(7)는 상부의 행거 프레임(2)에 설치된 풀리(6)를 거쳐 하부 피트(pit)에 설치된 브레이크(25)와 일체로 구동되는 시이브(sheave)(26)를 거쳐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내부를 관통한후 다시 풀리(6)를 감아 카(24)측 상단 풀리(6)를 중계해서 카(24) 상부의 심블 로드(28)와 연결되어 있다.Count weight guide rollers 8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unt weight frame 5, count weights 10 are mounted at both sides of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count weight buffers 22 are provided at the lower support part B. )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count weight frame 5 is coupled with a rope 7 by a thimble rod 27,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it via a pulley 6 installed in the upper hanger frame 2.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unt weight frame (5) through a sheave (26) driven integrally with the brake (25) installed in the), the pulley (6) is wound again to the upper pulley (6) side of the car (24) ) Is connected to the thimble rod 28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24.

또, 카(24)의 상,하 양측은 카 가이드 롤러(9)가 설치되고 하부 지지부(B)에는 카 버퍼(23)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ar guide roller 9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r 24, and the car buffer 23 is provided in the lower support part B. As shown in FIG.

또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시이브(26) 축단에는 엔코더(25b)가 설치되어 있다.An encoder 25b is provided at the shaft end of the sieve 26 of the count weight frame 5.

상기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와 가동자(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카운트 웨이트(10) 및 가동자(5)는 그 전체가 카(24)에 대한 카운트 웨이트로 작용하는 것이다.The count weight 10 and the mover 5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the mover 11 act as a count weight for the car 24.

상기 카(24) 및 카운트 웨이트(10),(5),(11)는 상부에 설치한 풀리(6)와 하부에 설치된 브레이크(25)에 조합된 시이브(26)를 따라서 로프(7)에 의해서 연결된다.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are ropes 7 along the sheaves 26 which are combined with the pulley 6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brake 25 installed at the bottom. Connected by

또, 2차측으로 구성된 고정자(15)는 가동자(11)와의 소정의 에어 갭을 가진 상태에서 서로 향하게 하여 구동전원에 접속된 1차측 도체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유도자계를 발생하는 2차측 도체를 구성함으로써 가동자(11)를 고정자(15)의 주행축선을 따라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ator 15 configured as the secondary side faces each other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air gap with the movable element 11, and the secondary side conductor which generates an induction magnetic field by supplying power to the primary side conductor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source. The elevator device is configured to move the mover 11 along the travel axis of the stator 15 by constructing.

또한, 제4도에서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을 없애고 카(24) 및 카운트 웨이트(10),(5),(11)를 배치한 리니어 인덕션 모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하부 브레이크 장치를 배치하기 위하여 카(24)에서 연결된 로프(7)를 카(24)측 상부의 풀리(6)와 카운트 웨이트(10),(5),(11)측 상부 풀리(6)를 거쳐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를 관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브레이크(25)에 일체로 결합된 시이브(26)를 거쳐 다시 카운트 웨이트(10),(5),(11)측 풀리(6)를 감아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4, in order to eliminate the machine room above the hoistway and to arrange the lower brake device while minimizing the hoistway area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elevator in which 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are disposed. The rope 7 connected from the car 24 is passed through the pulley 6 on the upper side of 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on the upper side pulley 6, and then the count weight frame 5. Through the sieve 26 integrally coupled to the brake 25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through, the count weight 10, 5, 11 side pulley 6 is wound again to the count weight frame 5 It is a fixed structure.

이런 구조로 함으로써 하부 브레이크(25)를 쓰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되어 야하는 풀리(6)의 갯수를 줄일 수 있고, 풀리(6)의 외경 치수 만큼의 승강로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식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로 폭을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하부의 브레이크(25)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레일 브레이크 제동시 브레이크에 미치는 부하 및 마모와 오동작의 쉬운 점을 해소하고, 특히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 오동작을 하여 로크한 경우의 보수성을 간단히 해소하였다.This structure can reduce the number of pulleys 6 that must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order to use the lower brake 25, and can reduce the hoistway width as much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ey 6, thereby making the existing linear. It can have the same width of the hoistway as induction motor type elevators, and the use of the lower brake 25 eliminates the load, wear and malfunction of the brake when braking the existing rail brakes, and especially the floor except the lowest floo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water-retaining function in the case of malfunction due to the lock is easily solved.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는 제5도와 같이 샤프트(25a)에 시이브(2) 및 브레이크 드럼(25c)을 동시에 체결한다. 여기서, 시이브(26) 및 드럼(25c)의 일체 구성도 가능하다.In the br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eve 2 and the brake drum 25c ar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shaft 25a as shown in FIG. Here,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sieve 26 and the drum 25c is also possible.

샤프트(25a)의 일측에는 엔코더(25b)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키(key)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An encoder 25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aft 25a,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key can be assembled at the other sid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25)가 하방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이브(26)에 감기는 로프(7)의 감김각(wrap angle)이 180도가 되고, 이에 따라 제동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한 로프(7)의 밀림에 의한 오버 런(over run)을 극소화하는 이점과 함께 비상 정지로 인한 로크시 하층에서 손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한다.In 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rake 25 is installed downward, the wrap angle of the rope 7 wound on the sieve 26 becomes 180 degrees, and thus the inertia force generated during braking is applied. With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overrun due to the sliding of the rope 7 by means of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and repair at the lower floor when locking due to the emergency stop.

또한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에서 보유할 수 없었던 수동감아 올림에 대한 장치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vice for manual hoisting that was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s.

즉, 샤프트(25a)의 타측에 설치된 키를 이용하여 수동감아올림이 필요한 경우 감속기(25d)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손쉽게 감아 올릴 수 있게 되었다.That is, when manual winding is required by using the ke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25a, it is possible to easily wind it up manually using the reducer 25d.

이 감속기(25d)는 핸들(25e)에 의해 회전되는 웜(25f)과 웜(25f)에 맞물리는 웜기어(25g)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헬리컬 기어, 베벨기어, 스퍼 기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reducer 25d may be composed of a worm 25f rotated by the handle 25e and a worm gear 25g engaged with the worm 25f. In addition, the reducer 25d may be configured using a helical gear, a bevel gear, a spur gear, or the like. You ma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하부 브레이크(25)를 쓰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풀리(6)의 갯수를 줄일 수 있고, 풀리(6)의 외경 치수만큼의 승강로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식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강로 폭을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면서도 하부의 브레이크(25)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레일 브레이크 제동시 브레이크에 미치는 부하 및 마모와 오동작이 쉬운 점을 해소하고, 특히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 오동작을 하여 로크한 경우의 보수성을 간단히 해소하였을뿐 아니라 브레이크(25)가 하방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이브(26)에 감기는 로프(7)의 감김각(wrap angle)이 180도가 되고, 이에따라 제동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한 로프(7)의 밀림에 의한 오버 런(over run)을 극소화하는 이점과 함께 비상 정지로 인한 로크시 하층에서 손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에서 보유할 수 없었던 수동감아 올림에 대한 장치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number of pulleys 6 to be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in order to use the lower brake 25, the structure can reduce the width of the hoistway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ey 6 By using the lower brake 25 while using the same hoistway width as the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 type elevator, the load, wear and malfunction on the brakes when braking the existing rail brakes are easily eliminated. In addition to simply relieving the water-retaining property in the case of malfunction by locking in the excluded floor, as the brake 25 is installed downward, the wrap angle of the rope 7 wound on the sieve 26 becomes 180 degrees. Accordingly, the lock due to the emergency stop with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overrun due to the sliding of the rope 7 due to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during braking There are advantages that make it easy to maintain and repair in the lower lay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vice for manual hoisting that was not possible with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s.

Claims (4)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카(24)를 제동하기 위하여 비상시 및 오동작시 수동 조작이 가능하고 자동 제어가 가능한 수동/자동 브레이크(25)를 설치하고, 상기 겸용 브레이크(25)를 승강로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겸용 브레이크(25)를 회동식 핸들조작수단에 의해 수동 조작하도록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In order to brake the car 24 of 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a manual / auto brake 25 capable of manual operation in case of emergency and malfunction and automatic control is installed, and the combined brake 25 is installed below the hoistway. The brake device of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brake 25 is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rated by a rotating handle opera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24)에서 연결된 로프(7)를 카(24)측 하부의 풀리(6)와 카운트 웨이트(10), (5), (11)측 상부 풀리(6)를 거쳐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를 관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브레이크(25)의 시이브(26)를 거쳐 다시 카운트 웨이트(10),(5),(11)측 풀리(6)를 감아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pe (7) connected from the car 24 is connected to the pulley (6) and the count weight (10), (5), (11) side upper pulley (6) on the lower side of the car (24) After passing through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passing through the sieve 26 of the brake 25 installed below,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pulley 6 are wound again to count the weight frame. An elevator brake device using a linear motor,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to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25)는 샤프트(25a)에 시이브(26) 및 브레이크 드럼(25c)이 체결되고, 샤프트(25a)의 일측에는 엔코더(25b)가 설치되며, 회동식 핸들(25e)에 의해 작동되는 감속기(25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rake 25 is the sieve 26 and the brake drum 25c is fastened to the shaft 25a, the encoder 25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aft 25a And a reducer (25d) operated by the rotary handle (25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25d)는 핸들(25e)에 의해 회전하는 웜(25f)과, 상기 샤프트(25a)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웜(25f)에 맞물리는 웜기어(25g)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4. The worm gear 25g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peed reducer 25d is a worm 25f that is rotated by the handle 25e and a worm gear 25g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25a and engaged with the worm 25f. Elevator brake device using a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KR1019930023454A 1993-11-05 1993-11-05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KR970009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454A KR970009387B1 (en) 1993-11-05 1993-11-05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454A KR970009387B1 (en) 1993-11-05 1993-11-05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63A KR950013963A (en) 1995-06-15
KR970009387B1 true KR970009387B1 (en) 1997-06-12

Family

ID=1936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454A KR970009387B1 (en) 1993-11-05 1993-11-05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3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63A (en)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3883B2 (en) Elevator equipment with drive device arranged in the elevator shaft
CA2126492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3571746B2 (en) Elevator motor placed in counterweight
AU679984B2 (en) A counterweight of a rope-suspended elevator
JPH0710437A (en) Traction sheave type evelator which is equipped with driving machine in lower part
KR100430113B1 (en) Elevator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US7025177B1 (en) 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US6068087A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and common drive and suspension rope
KR970009387B1 (en)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KR100295904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elevator employing linear motor
KR100597941B1 (en) Elevator Winches and Elevator Devices
JP2000095461A (en) Traction elevator
JP4195044B2 (en) Elevator
JPH04213581A (en) Installation method for linear motor type elevator
EP1516844A1 (en) Elevator equipment
JP4129901B2 (en) Elevator equipment
KR970009386B1 (en) Elevator and Motor Cooling System Using Linear Motor
CA2929427A1 (en) Elevator drive
KR102322986B1 (en) Lifting apparatus for stage equipment
JP2000118911A (en) Elevator
KR100356523B1 (en) Elevator system
WO2021001847A1 (en) An improved hoisting system
JP2008063147A (en) Elevator
KR20060026486A (en) Elevator Winches and Elevato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515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1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