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8603B1 - Hybrid Magnetic Head - Google Patents

Hybrid Magnetic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603B1
KR970008603B1 KR1019930011098A KR930011098A KR970008603B1 KR 970008603 B1 KR970008603 B1 KR 970008603B1 KR 1019930011098 A KR1019930011098 A KR 1019930011098A KR 930011098 A KR930011098 A KR 930011098A KR 970008603 B1 KR970008603 B1 KR 97000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tal thin
thin film
magnetic head
cor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윤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윤종용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6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60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없음.None.

Description

복합형 자기헤드Hybrid Magnetic Head

제1도와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기헤드를 도시한 사시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3도 내지 제6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3 to 6 are enlarged plan views showing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7도의 (가)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자기헤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7도의 (나)는 제7도의 (가)에 도시된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FIG. 7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magnetic head shown in FIG. 7A.

제8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의 (나)는 제8도의 (가)에 도시된 복합형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FIG. 8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shown in FIG. 8A.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는 제8도의 (가)에 도시된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1자기코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9A to 9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A.

제10도의 (가) 내지 제10도의 (마)는 제8도의 (가)에 도시된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2자기코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10A to 10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A.

제11도는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 및 제10도의 (가)도 내지 제10도의 (마)에 의해 각각 제조된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를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manufactured by (a) to (9) and (10) and (10) of FIG. 10 are joined to each other. One perspective view.

제12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의 (나)는 제12도의 (가)에 도시된 복합형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FIG. 12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shown in FIG. 12A.

제13도의 (가) 내지 제13도의 (라)는 제12도의 (가)에 도시된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2자기코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13A to 13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A.

제14도는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 및 제13도의 (가) 내지 제13도의 (라)에 의해 각각 제조된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를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manufactured by (a) to (9) and (13) and (a) to (13) of FIG. Perspective view.

제15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 1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의 (나)는 제15도의 (가)에 도시된 복합형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Fig. 15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shown in Fig. 15A.

제16도의 (가) 내지 제16도의 (마)는 제15도의 (가)에 도시된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2자기코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A) to (16) of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of FIG. 15, and

제17도는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 및 제16도의 (가) 내지 제16도의 (마)에 의해 각각 제조된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를 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7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manufactured by (9) to (9) and (16) and (16) to (16) of FIG. Perspective view.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200,300 : 복합형 자기헤드102,104,204,304 : 자기코어부재100, 200, 300: composite magnetic head 102, 104, 204, 304: magnetic core member

102a : 평행면106,108,208,308 : 강자성 금속박막102a: Parallel planes 106,108,208,308: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4a : 경사면110a,110b,210b,310b : 접합유리104a: sloped surface 110a, 110b, 210b, 310b: laminated glass

204a : 양측 경사면112 : 권선홈204a: Both sides slope 112: Winding groove

304a : 요철면121,131,231,332 : 트랙폭 규제용 V자홈304a: Uneven surface 121,131,231,332: V-shaped groove for track width regulation

130,230,330 : 자기페라이트 블럭130,230,330: Magnetic Ferrite Block

이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용 자기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헤드의 리플현상과 자기헤드의 치수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행형 헤드와 비평행형 헤드가 복잡된 구조를 갖는 복합형 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head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nd more particularly, a hybrid magnetic head having a complex structure of a parallel head and a non-parallel head to facilitate ripple of the magnetic head and dimensional control of the magnetic head. It is about.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용 기록매체로서 이용되는 자기테이프의 기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잔류 자속밀도와 높은 보자력을 갖는 자기테이프, 예컨대 금속분말이 결합제에 의해서 비자성 기재에 피복되어 자기기록층을 형성하는 금속 자기테이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기헤드가 금속테이프에 사용될 경우, 헤드의 자기갭의 자계강도는 자기테이프의 고보자력 때문에 증가되어야만 한다. 또한 기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헤드의 트랙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한 많은 자기헤드들이 제안되었던 바, 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As the recording density of a magnetic tape used as a recording medium for a video tape recorder increases, a magnetic tape having a high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and a high coercive force, such as a metal powder, is coated on a nonmagnetic substrate with a binder to form a magnetic recording layer. Magnetic tapes are used a lot. If a magnetic head is used for a metal tape, the magnetic strength of the magnetic gap of the head must be increased due to the high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tape. In addition, as the recording density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rack width of the magnetic head. Many magnetic heads have been proposed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제1도에 도시된 자기헤드는 좁은 트랙폭을 갖도록 된 것인바, 이 자기헤드는 유리와 같은 비자성체들(10),(12)과, 이 비자성체들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트랙폭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강자성 금속박막(14)으로 형성된다. 강자성 금속박막(14)은 센더스트(Sendust)(Fe-Al-Si 합금)와 같은 고투자율 합금을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법에 의해 비자성체(10)위에 형성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The magnetic head shown in FIG. 1 is designed to have a narrow track width. The magnetic head is sandwiched between the nonmagnetic materials 10, 12 such as glass, and the nonmagnetic materials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track width It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4 having the same thickness.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4 is made by forming a high permeability alloy such as Sendust (Fe-Al-Si alloy) on the nonmagnetic material 10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such as sputtering.

그러나, 트랙폭이 이러한 방식으로 줄어들 수 있을지라도, 자속경로는 금속박막(14)에 의해서만 한정되므로 자기저항이 증가하여 동작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금속박막(14)은 물리적 증착법에 의해 트랙폭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자기헤드의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track width can be reduced in this manner, the magnetic flux path is limited only by the metal thin film 14 so that the magnetoresistance increases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metal thin film 14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track width by the 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anufacturing time of the magnetic head is required.

또한, 금속박막(14)은 넓은 면적위에서 형성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퍼터링 장치에 의해 스퍼터링 될 수 있는 개수가 극히 제한되므로, 이러한 자기헤드는 대량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thin film 14 needs to be formed over a large area, the number that can be sputtered by the sputtering device is extremely limi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magnetic head cannot be mass produced.

더욱이, 매우 얇은 두께의 금속박막(14)은 자기헤드의 자기갭의 형성을 위해 서로 접촉되도록 위치되므로, 캡 크기의 정확도 및 동작효율이 낮아지게 된다.Moreover, the very thin metal film 14 is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head, thereby lowering the cap size accuracy and operating efficiency.

제2도에 도시한 종래의 자기헤드는 자기갭의 자계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센더스트와 같은 강자성 금속박막(20)이 강자성 산화물로 된 코어부재(22)의 자기갭 형성면위에 형성되고, 코어부재들(22)은 유리(2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magnetic head shown in FIG. 2 is to increase the magnetic strength of the magnetic gap, and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 such as sendust is formed on the magnetic gap formation surface of the core member 22 made of ferromagnetic oxide. The core members 22 ar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glass 24.

그러나, 복합 자성체로 된 제2도의 자기헤드의 자기저항이 제1도에 도시된 헤드보다는 낮아질 수 있을지라도 강자성 금속박막(20)은 자속경로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와전류 손실에 의해 재생출력이 낮아지게 된다.However, although the magnetic resistance of the magnetic head of FIG. 2 made of a composite magnetic material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head shown in FIG. 1,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gnetic flux path, so that the regenerative output is generated by eddy current loss. Will be lowered.

또다른 갭이 코어부재(22)와 강자성 금속박막(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자기헤드의 동작특성이 열화된다.Another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core member 22 and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 thereby deteriorat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head.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는 면에 대해 경사진 자기갭 형성면을 갖는 자기헤드가 제안된 바 있었다.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것은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소화 58-155513호에 설명된 자기헤드의 자기테이프 접촉면의 확대 평면도이다.A magnetic head having a magnetic gap forming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gnetic tape contact surface of the magnetic hea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155513.

제3도에 도시된 자기헤드는 Mn-Zn 페라이트로 형성된 코어부재들(30, 31)을 포함하는데, 코오부재들(30, 31) 사이에는 자기갭(32)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갭(32)을 형성하는 면을 향해 돌출된 페라이트 돌출부(33, 34) 위에는 센더스트와 같은 강자성 금속박막들(35, 36)이 적층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참조번호(37)는 접합용 유리를 표시한다. 자기헤드의 자기갭(32)은 페라이트 돌출부(33, 34)의 자유단에 인접되게 적층된 강자성 금속박막(35, 3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magnetic head shown in FIG. 3 includes core members 30 and 31 formed of Mn-Zn ferrite, and a magnetic gap 32 is formed between the core members 30 and 31.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35 and 36 such as senddust are stacked on the ferrite protrusions 33 and 34 protruding toward the surface forming the magnetic gap 32. In FIG. 3,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a glass for bonding. The magnetic gap 32 of the magnetic head is formed by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35 and 36 stacked adjacent to the free ends of the ferrite protrusions 33 and 34.

그러나, 페라이트 돌출부(33, 34)에 적층된 센더스트와 같은 강자성 금속박막(35, 36)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3도의 자기헤드에 있어서, 일측면(경사진면) 상의 강자성 금속박막은 자속경로 방향으로는 높은 자화율을 갖으나 자기갭(32)에 인접된 페라이트 돌출부(33, 34)에 인접된 곳에서의 강자성 금속박막(35, 36)은 낮은 투자율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자기헤드의 자기기록 특성이 열화되고, 그에 따른 재생출력 역시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magnetic head of FIG. 3 manufactured by using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35 and 36 such as sendust stacked on ferrite protrusions 33 and 34,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n one side (inclined surface) is magnetic flux.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35 and 36 have high magnetic susceptibility in the path direction but are adjacent to the ferrite protrusions 33 and 34 adjacent to the magnetic gap 32.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gnetic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head are deteriorated, and thus the reproduction power is also lowered.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58-155513호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기헤드가 기재되어 있는 바, 강자성 금속박막(40)은 자기갭을 형성하는 평면(41)을 향해 돌출된 페라이트부(42, 43)의 양측 경사면에만 형성되어 있고, 페라이트부(42, 43)의 대응면은 자기갭을 형성하는 평면(41)에 노출되어 있다. 참조번호(44)는 접합유리를 나타낸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155513 discloses a magnetic head as shown in FIG. 4, whereb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40 protrudes toward a plane 41 forming a magnetic gap. It is formed only in the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arts 42 and 43,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errite parts 42 and 43 is exposed to the plane 41 which forms a magnetic gap.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laminated glass.

이 자기헤드는 평면(41)에 형성된 강자성 금속박막(40)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제3도의 비균일한 박막구조에 기인한 문제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가기갭면에 노출된 페라이트부의 폭이 작기 때문에 높은 보자력을 갖는 자기테이프에 대한 자기기록이 불충분하므로 자기기록 특성과 재생출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magnetic head is manufactured us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40 formed in the plane 41, and thus does not cause a problem due to the nonuniform thin film structure of FIG. 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ferrite portion exposed to the top gap surface is small, the magnetic recording on the magnetic tape having high coercive force is insufficient, resulting in low magnetic recording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on power.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60-125909호에서는 페라이트를 사용한 자기헤드의 트랙폭 규제홈부에 금속박막과 산화물막을 마련하고 산화물막위에 유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었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0-125909 has proposed a method of providing a metal thin film and an oxide film in a track width regulation groove of a magnetic head using ferrite and filling glass over the oxide film.

제5도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안된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 자기헤드에 있어서 코어부재(50, 51)에는 센더스트와 같은 강자성 금속박막(52)이 형성되고, 비자성유리(54)는 높은 용융점을 갖는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magnetic head proposed in this way. In the magnetic head,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52 such as senders are formed on the core members 50 and 51, and the nonmagnetic glass 54 has a high melting point.

제5도에 있어서, 참조번호(56)는 비자성유리(54)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유리를 나타낸다. 자기헤드의 자기갭(58)은 자속경로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강자성 금속박막 부위(52A)에 의해 형성되므로 자기갭(58)의 근처에 있는 강자성 금속박막(52A)은 균일한 막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강자성 금속박막(52)의 만곡부에 해당하는 부위(52B)는 균일한 막구조를 갖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강자성 금속박막(52)은 일정한 투자율을 갖지 않게 된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56 denotes a glass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nonmagnetic glass 54. As shown in FIG. Since the magnetic gap 58 of the magnetic head is formed b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portion 52A running parallel to the magnetic flux path,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52A near the magnetic gap 58 has a uniform film structure. However, since the portion 52B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52 does not have a uniform film structure,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52 does not have a constant permeability as a whole.

또한, 강자성 금속박막 부위(52A)는 트랙폭에 해당하는 막두께를 갖어야만 하는바,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으로는 막의 적층속도가 느리게 되므로 이와같은 자기헤드는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portion 52A must have a film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rack width, physical deposition such as sputtering slows the lamination rate of the film, and thus, such a magnetic head has a drawback in that it takes much time to manufacture.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56-169214호에는 제6도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자기헤드가 기재되어 있는 바, 자기합금막(61, 62)과 페라이트부(63, 64)의 접속면(65, 66)은 자기갭(67)의 대향면 또는 자기기록매체의 상대 주행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된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56-169214 describes a magnetic head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6, whereby the connection surfaces 65 of the magnetic alloy films 61 and 62 and the ferrite portions 63 and 64 are formed. 66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agnetic gap 67 or th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elativ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그러나, 제6도에 도시된 자기헤드에 있어서, 자기합금막(61, 62)은 헤드갭(67)보다는 다른 부위에 반대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칩의 일측부에 대해 편심된 헤드갭(67) 때문에 국소적인 마모가 있을 수도 있다. 자기합금막(61, 62)이 서로 이웃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막(61)의 결정성장방향이 막(62)의 결정성장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자기갭(67)으로는 균일한 자기특성을 갖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magnetic head shown in FIG. 6, since the magnetic alloy films 61 and 62 are located opposite to the other portions than the head gap 67, there is a problem that cross-talk occurs. There may also be local wear due to the head gap 67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head chip. Since the magnetic alloy films 61 and 62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rystal growth direction of the film 61 does not coincide with the crystal growth direction of the film 62, so that the magnetic gap 67 has uniform magnet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결국,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소위 평행성 자기헤드는 자기헤드의 주갭(Main Gap)과 부갭(Pseudo Gap)이 동일 위상에 존재하므로 주갭에 의한 기록재생출력과 부갭에 의한 기록재생출력이 간섭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자기헤드의 재생출력 스펙트럼에 리플(Ripple)이 나타나는바, 이 리플은 헤드의 노이즈이므로 반드시 억제되어야만 한다.As a result, in the so-called parallel magnetic heads shown in FIGS. 1 to 6, since the main gap and the pseudo gap of the magnetic head exist in the same phase, the recording / reproducing output by the main gap and the recording / reproducing by the sub-gap The output causes interference, causing ripple in the regenerated output spectrum of the magnetic head, which must be suppressed because it is noise in the head.

이러한 리플의 방지책으로서 헤드의 주갭에 대해 위상이 어긋난 부갭을 형성시켜 기록재생출력을 양호하게 한 소위 경사형 자기헤드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60-22921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 이는 제7도의 (가)에서와 같이 구성되었다.As a countermeasure against such ripple, a so-called inclined magnetic head which has a negative gap out of phase with respect to the main gap of the head to improve recording reproduction output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0-229210. It is composed as in (a).

제7도의 (가)는 소위 경사형 자기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7도의 (나)는 제7도의 (가)에 도시된 경사형 자기헤드의 테이프 접촉면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called inclined magnetic head, and FIG. 7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ape contact surface of the inclined magnetic head shown in FIG.

이 경사형 헤드는 Mn-Zn 페라이트 등의 강자성 산화물로 형성된 코어부재(70, 71)로 구성된다. 코어부재(70, 71)의 접속면에는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을 사용하여 Fe-Al-Si 합금과 같은 고투자율 금속합금 또는 강자성 금속으로 된 금속박막(72)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막(72)은 전방 갭형성면으로부터 후방 갭 형성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is inclined head is composed of core members 70 and 71 made of ferromagnetic oxide such as Mn-Zn ferrite. On the connection surfaces of the core members 70 and 71, a metal thin film 72 made of a high permeability metal alloy or a ferromagnetic metal such as Fe-Al-Si alloy is formed by using physical vapor deposition such as sputtering. The metal thin film 72 i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front gap formation surface to the rear gap formation surface.

자기갭(G)은 금속박막(72)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보강용 비자성부(73, 74)는 접속면 및 트랙폭(Tw)에 인접된 절단부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의 권선을 위한 권선홈(75)이 제공되어 있다.The magnetic gap G is formed only by the metal thin film 72. The reinforcing nonmagnetic portions 73 and 74 are formed at cut portions adjacent to the connecting surface and the track width Tw. In addition, a winding groove 75 for winding the coil is provided.

금속박막(72)은 코어부재(70)의 경사면(70A)과 코어부재(71)의 경사면(71A)에 의해 한정된다. 그러므로, 박막(72)은 균일한 막구조를 갖고 자기헤드의 기록특성을 향상시키고 재생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속경로의 방향에서 높은 투자율을 나타낸다.The metal thin film 72 is defined by the inclined surface 70A of the core member 70 and the inclined surface 71A of the core member 71. Therefore, the thin film 72 has a uniform film structure and exhibits a high permeability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path in order to improve the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head and to increase the reproduction output.

금속박막(72)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제7도의 (나)에서와 같이 자기갭(G)을 형성하기 위한 면에 대해 소정의 예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소위 경사형 자기헤드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자기헤드는 자기갭의 자계강도가 높기 때문에 고보자력을 갖으며 재생출력이 우수한 자기테이프에 고밀도 기록을 하는데 유용한 것이다.The surface for forming the metal thin film 7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for forming the magnetic gap G as shown in FIG. 7B, so that a so-called inclined magnetic head can be formed. The magnetic hea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ful for high density recording on magnetic tape having high magnetic force and excellent reproducing power because the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gap is high.

그러나, 제7도의 (가) 및 제7도의 (나)에 도시된 경사형 자기헤드는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자기헤드의 트랙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clined magnetic head shown in FIGS. 7A and 7B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track width of the magnetic head cannot be accurately controlled.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자기헤드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기록재생시 나타나는 리플을 완전히 제거하고, 제조공정이 용이하여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형 자기헤드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different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constituting the magnetic head to completely eliminate ripples dur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and to manufacture It is easy to provide a complex magnetic head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특징은, 제1자기코어 부재와 제2자기코어 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접합면 사이에 각각 강자성 금속박막이 형성되어 자기갭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코어 부재의 강자성 금속박막의 일부는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자기코어 부재의 강자성 금속박막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리플을 제거토록 한 점에 있다.A featur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is formed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to form a magnetic gap. Wherein the portion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is parallel to the magnetic gap and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gap to remove the ripple. have.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8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 복합형 자기헤드(100)는 Mn-Zn 페라이트로 된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102),(104)로 구성되는 바, 제1자기코어부재(102)에는 대체로 V자 형태의 강자성 금속박막(106)이 형성되어 있다. 강자성 금속박막(106)은 고포화 자속밀도 및 고투자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자성 금속박막(106)은 Fe-Al-Si 합금(센더스트), Fe계 비정질합금, Co계 비정질합금 또는 Fe-Si-Ru-Ga 합금이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ybrid magnetic head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made of Mn-Zn ferrite.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having a substantially V shape.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preferably has a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and a high permeabilit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is formed of a Fe-Al-Si alloy (cender), an Fe-based amorphous alloy, a Co-based amorphous alloy, or a Fe-Si-Ru-Ga alloy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such as sputtering.

이 강자성 금속박막(106)은 2~40μ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자기헤드(100) 갭주변의 자계의 포화현상을 방지하게 된다.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2 ~ 40μm to prevent the saturation of the magnetic field around the gap of the magnetic head 100.

한편, 제2자기코어부재(104)에는 경사형의 강자성 금속박막(108)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강자성 금속박막(108)은 강자성 금속박막(106)과 동일한 재료 즉, Fe-Al-Si 합금, Fe계 비정질합금, Co계 비정질합금 또는 Fe-Si-Ru-Ga 합금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104 is formed with an inclined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8,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8 is the same material as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that is, Fe-Al-Si It is formed of an alloy, Fe-based amorphous alloy, Co-based amorphous alloy or Fe-Si-Ru-Ga alloy.

제1자기코어부재(102)와 제2자기코어부재(104)는 비자성체 예컨대 접합유리(110a),(110b)에 의해서 상호 접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자기코어부재(102),(104)중 어느 한쪽 예컨대 제1자기코어부재(102)에는 코일 권선홈(112)이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코일이 감기게 된다.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104 are joined to each other by nonmagnetic materials such as laminated glass 110a, 110b.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core members 102 and 104, for example, the coil wind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so that a coil (not shown) is wound.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강자성 금속박막(106)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제8도의 (나)에서와 같이 자기갭(G)을 형성하기 위한 면에 대해 평행한 평행면(102a)이 구비되고 제2자기코어부재(104)의 강자성 금속박막(108)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자기갭(G)을 형성하는 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04a)이 구비됨으로써 자기헤드(100)는 평행형과 경사형이 복합된 자기헤드를 구성한다.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is provided with a parallel surface 102a parallel to the surface for forming the magnetic gap G, as shown in (b) of FIG. And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8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104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104a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forming the magnetic gap (G) magnetic head 100 ) Constitutes a magnetic head with a combination of parallel type and inclined type.

이렇게 구성된 자기헤드(100)와 자기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의 기록재생시의 동작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magnetic head 100 and the magnetic tape (not shown) will be described.

제8도의 (가)에 있어서 주갭은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금속박막(106)에 의한 것이고, 부갭은 제2자기코어부재(104)의 금속박막(108)에 의한 것인바, 자기헤드(100)로서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 재생할 때 제1자기코어부재(102)에 의해 발생되는 리플신호는 테이프의 진행방향에 따라 주갭전 단계에서 주갭에 중첩기록(Overwrite)되고, 주갭 다음 단계에서 기록되는 리플신호는 주갭에 의해 소거되기 때문에 리플현상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Fig. 8A, the main gap is caused by the metal thin film 106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minor gap is caused by the metal thin film 108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104. Wh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 signal on the tape as the head 100, the ripple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is overwritten in the main gap before the main gap according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ape, and in the next step after the main gap Since the ripple signal to be recorded is erased by the main gap, no ripple occurs.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자기헤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리플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밀도의 자기기록계에 사용되는 자기헤드의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ripple phenomenon that can be caused by the magnetic head can be suppressed as in the related art, thereby minimizing noise of the magnetic head used in the high density magnetic recorder.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구조를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 그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를 제조하기 위해서, Mn-Zn 페라트와 같은 고투자율 재료로 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의 상부에 다수의 V-자형홈(121)을 가로방향으로 형성시킨다. 이때 형성되는 기구로는 회전연삭기가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mposite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shaped grooves 121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made of a high permeability material such as Mn-Zn ferrite. Let's do it. At this time, as a mechanism to be formed, a rotary grinding machine is preferable.

제9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의 갭형성측면에는 트랙폭(TW)보다 좁은 폭의 평행면(102a)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이렇게 인접된 돌기부사이에는 V-자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A, protrusions having a parallel surface 102a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track width TW are formed on the gap-forming side of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and between such adjacent protrusions. V-shaped grooves can be formed.

이렇게 V자형홈이 형성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 위에는 페라이트보다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자기 금속박막(106)을 피막하게 된다. 여기에서 금속박막(106)은 Fe-Al-Si 합금, Fe계 비정질합금, Co계 비정질합금 또는 Fe-Si-Ru-Ga 합금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metal thin film 106 having a higher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than the ferrite is formed on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having the V-shaped groove. The metal thin film 106 is preferably a Fe-Al-Si alloy, an Fe-based amorphous alloy, a Co-based amorphous alloy or a Fe-Si-Ru-Ga alloy.

이러한 자성체는 스퍼터링과 같은 박막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약 2~40μm 정도로 자기페라이트 블럭(120) 위에 적층된다(제9도의 (나) 참조).This magnetic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magnetic ferrite block 120 by about 2 to 40 µm using a thin film formation technique such as sputtering (see (b) of FIG. 9).

강자성 금속박막(106)이 표면에 피막되고 나면 제9도의 (다)에서와 같이 비자성체인 유리(110a), 바람직하기로는 Sio2가 V-자형홈에 충전된다.After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is coated on the surface, the non-magnetic glass 110a, preferably Sio2, is filled into the V-shaped grooves as shown in FIG.

이렇게 V-자형홈에 유리가 충전된 것을 제9도의 (라)에서와 같이 적당한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랩핑시켜 소정의 트랙폭(TW)을 갖도록 한다. 랩핑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의 갭 형성측의 면에는 제9도의 (마)와 같이 V-자형홈(121)과 직교하는 코일권선홈(112)을 형성시킴으로써 제1공정에 의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이 완성된다.The glass filled in the V-shaped grooves is wrapped by using a suitable polishing apparatus as shown in (d) of FIG. 9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track width TW. The coil winding groove 112 orthogonal to the V-shaped groove 12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rapped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at the gap forming side as shown in FIG. One magnetic ferrite block is completed.

그런 다음에는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을 완성시키기 위해서 제10도의 (가) 내지 제10도의 (마)와 같은 제2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Then, a second process as shown in FIG. 10A to FIG. 10E must be performed to complete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제2공정에 있어서, 제10도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130)에는 상기 갭형성측의 면에 수직인 제1면과 상기 갭형성측의 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2면을 갖는 다수의 제1톱날형 홈(131)을 회전연삭기를 사용하여 형성시킨다.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10A,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130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gap forming side and the surface of the gap forming side. A plurality of first saw-shaped grooves 131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are formed using a rotary grinding machine.

다수의 톱날형 홈(131)이 형성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130) 위에는 제9도의 (나)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재료로된 강자성 금속박막(108)이 스퍼터링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10도의 (나)에서와 같이 피막된다. 이러한 강자성 금속박막은 약 2~40μm 정도로 피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130 on which the plurality of saw-shaped grooves 131 are formed,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8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described in (b) of FIG. 9 is formed by sputtering. As in). Such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is preferably about 2 ~ 40μm coated.

강자성 금속박막(108)이 표면에 피막된 제1톱날형 홈(131)에는 접합유리(110b)가 충전되어 제10도의 (다)에서와 같이 연마가공된다. 비자성체인 유리(110b)가 충전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130)의 갭형성측면에는 제10도 (라)와 같이 제1톱날형 홈과 인접되게 다수의 제2톱날형 홈(132)이 형성된다.The first sawtooth groove 131 in which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8 is coated on the surface is filled with laminated glass 110b and polished as shown in FIG. On the gap forming side of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130 filled with the non-magnetic glass 110b, a plurality of second sawtooth grooves 132 are adjacent to the first sawtooth groove as shown in FIG. Is formed.

그리고 나서 제2톱날형(132)에는 비자성체인 유리를 충전한 뒤 랩핑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제10도(마)와 같은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130)이 완성된다.Then, the second saw blade type 132 is filled with non-magnetic glass, and then lapping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130 as shown in FIG.

이렇게 제1공정에 의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과 제2공정에 의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130)에 형성된 강자성 금속박막의 변부들 사이에 가지갭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페라이트 블럭들을 제11도와 같이 상호접합시켜 일체화시킨다.Thus, the first and second ferrites are formed to form branch gaps between edge portions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formed in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and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130 according to the second process. The blocks are interconnected and integrated as shown in FIG.

그후, 접합된 자기페라이트 블럭들은 절단선(C)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적어도 1개 이상의 자기헤드(100)를 얻게된다.Thereafter, the bonded magnetic ferrite blocks are cut along the cutting line C to obtain at least one or more magnetic heads 100.

이와같이 얻어지는 자기헤드(100)의 자기기록매체 접촉면은 원호형태로 연마 가공됨으로써 제8도의 (가)와 같은 자기헤드를 얻을 수 있는 바, 이 자기헤드(100)는 평행형과 경사형의 복합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리플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contact surface of the magnetic head 100 thus obtained is polished in an arc shape to obtain a magnetic head as shown in FIG. 8A. The magnetic head 100 has a parallel structure and an inclined complex structure. Ripple does not occur at all.

제12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제12도의 (가)에서 제8도의 (가)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표시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2A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2도의 (가) 및 제12도의 (나)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200)는 평행형의 자기코어부재(102)와 제3도에 도시된 또 다른 평행형의 자기코어부재(30)를 합쳐 놓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자기헤드(200)에 있어서, 주갭은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평행면(102a)에 피막된 강자성의 금속박막(106)에 의해 형성되고, 부갭은 제2자기코어부재(204)의 양측 경사면(204a)에 피막된 강자성 금속박막(208)에 의해 형성된다.The hybrid magnetic head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hown in FIGS. 12A and 12B is a parallel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another parallel type shown in FIG. The magnetic core member 30 is put together. In the magnetic head 200, the main gap is formed by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coated on the parallel surface 102a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sub gap is formed by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204. It is formed b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8 coated on both inclined surfaces 204a.

이렇게 구성되는 복합형 자기헤드의 구조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 그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200)의 제1자기코어부재(102)를 위한 제1공정은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며 제2자기코어부재(204)를 위한 공정, 즉 제2공정은 제10도의 (가) 및 제10도의 (마)와 약간 상이하다.The first process for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of the hybrid magnetic hea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a) to (9) in FIG. 9 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The process for 204, that is, the second process, is slightly different from (a) of FIG. 10 and (e) of FIG.

제2공정을 위해서, 제2자기 페라이트 블럭(230)에는 다수의 V-자형홈(231)을 회전 연삭기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형성시켜 상단에 축소경사진 양측 경사면(204a)을 마련한다(제13도의 (가)도 참조).For the second process, a plurality of V-shaped grooves 231 are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230 by using a rotary grinder, such that the inclined both-side inclined surfaces 204a are provided on the top (Thirteenth Step) See also FIG.

다수의 V-자형홈(231)이 형성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230) 위에는 제13도의 (나)에서와 같이 강자성 금속 예컨대 센더스트, Fe계 비정질합금, Co계 비정질합금과 같은 것이 스퍼터링에 의해서 피막된다. 이러한 강자성 금속박막(208)은 약 2~40μm 정도로 피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230 in which a plurality of V-shaped grooves 231 are formed, as shown in FIG. 13B, ferromagnetic metals such as sendust, Fe-based amorphous alloys, and Co-based amorphous alloys are formed by sputtering. Filmed.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8 is preferably coated with about 2 ~ 40μm.

제13도의 (다)에서는 강자성 금속박막(208)이 표면에 피막된 V-자형홈에는 접합유리(210b)가 충전된 뒤 제13도의 (라)에서와 같이 연마가공된다.In FIG. 13C,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208 is filled with a laminated glass 210b in a V-shaped groove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n polished as shown in FIG. 13D.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9도의 (마)에서 형성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과 제13도의 (라)에서 형성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230)의 강자성 금속박막의 대응면들 사이에 자기갭(G)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페라이트 블럭들을 상호 접합시켜 일체화시킨다.As shown in FIG. 14, between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formed in (e) of FIG. 9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s of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230 formed in (d) of FIG. The first and second ferrite blocks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magnetic gap G thereon.

이렇게 접합된 자기페라이트 블럭들은 절단면(C)를 따라 절단됨으로써 적어도 1개 이상의 자기헤드(2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bonded magnetic ferrite blocks are cut along the cut surface C to obtain at least one or more magnetic heads 200.

이와같이 얻어지는 자기헤드(200)의 자기기록매체와의 접촉면은 원호형태로 연마 가공됨으로써 제12도의 (가)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자기헤드를 얻을 수 있는 바, 이 자기헤드는 2개의 평행형으로 된 코어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완전한 대칭이 아닌 비대칭형으로 구성된다. 즉,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평행면(102a)과 제2자기코어부재(204)의 양측 경사면(204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갭(G)은 평행과 경사형이 복합된 것으로서, 리플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재생출력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The contact surface with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f the magnetic head 200 thus obtained is polished in an arc shape to obtain a magnetic head as shown in FIG. 12A. The magnetic head has two parallel shapes. It is shaped like a core, but consists of asymmetrics rather than full symmetry. That is, the magnetic gap G formed by the parallel surface 102a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inclined surfaces 204a of both sides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204 is a compound of parallel and inclined ripples. This does not occur at all and the reproduction output is very excellent.

제15도의 (가)는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바, 제15도의 (가)에서 제8도의 (가)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5A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15A through Fig. 8A designate the same parts.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5도의 (가) 및 제15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300)는 평행형의 자기코어부재(102)와 또 다른 평행형의 자기코어부재(304)를 합쳐 놓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인 바, 이들 자기코어부재(102), (304)는 재기랩(G)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평행형이지만,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자기헤드(300)에 있어서 주갭은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평행면(102a)에 피막된 강자성 금속박막(106)에 의해 형성되고, 부갭은 제2자기코어부재(304)의 요철면(304a)에 피막된 강자성 금속박막(308)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hybrid magnetic head 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rallel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another parallel magnetic core member ( Since the magnetic core members 102 and 304 are generally parallel to the recovery wrap G, they are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magnetic head 300, the main gap is formed b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106 coated on the parallel surface 102a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sub gap is the uneven surface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304.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is formed by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308 coated on 304a.

이렇게 구성되는 복합형 자기헤드(300)의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hybrid magnetic head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300)의 제1자기코어부재(102)를 위한 제1공정은 제9도의 (가) 내지 제9도의 (마)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지만 제2자기코어부재(304)를 위한 공정, 즉 제2공정은 전혀 상이하다.The first process for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of the hybrid magnetic hea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a) to (9) of FIG. 9 but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The process for 304, the second process, is entirely different.

제2공정을 있어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330)에는 제16도의 (가)에서와 같이 다수의 요철면(304a)이 인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요철면(304a)의 사이에는 V-자형홈(331)이 형성되어 있다(제16도의 (나)도 참조).In the second step,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3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surfaces 304a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A V-shaped groove 331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even surfaces 304a thus formed (see also (B) in FIG. 16).

V-자형홈(331)과 요철면(304a)이 형성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330) 위에는 고포화 자속밀도 및 고투자율을 갖는 Fe-Al-Si 합금(센더스트), Fe계 비정질합금, Co계 비정질 합금 또는 Fe-Al-Si-Ga 합금이 2~40μm 정도로 스퍼터링되어 제16도의 (다)와 같이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한다.On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330 on which the V-shaped grooves 331 and the uneven surface 304a are formed, a Fe-Al-Si alloy (sender dust) having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and high permeability, Fe-based amorphous alloy, Co The system amorphous alloy or the Fe-Al-Si-Ga alloy is sputtered to about 2 to 40 µm to form a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as shown in FIG.

제16도의 (라)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자성 금속박막(308)이 표면에 피막된 V-자형홈에는 접합유리(310b)가 충전된 뒤 제16도의 (마)에서와 같이 연마 가공됨으로써 제2자기코어부재(304)를 위한 공정이 완료한다.As shown in (d) of FIG. 16, the V-shaped groove in which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308 is coated on the surface is filled with laminated glass 310b and then polished as shown in (e) of FIG. The process for the magnetic core member 304 is completed.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9도의 (마)에서 형성된 제1자기페라이트 블럭(120)과, 제16도의 (마)에서 형성된 제2자기페라이트 블럭(330)의 강자성 금속박막의 대응면 사이에서 자기갭(G)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페라이트 블럭(120),(103)들을 상호 접합시켜 일체화시킨다.As shown in FIG. 17, between the first magnetic ferrite block 120 formed in (e) of FIG. 9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ferrite block 330 formed in (e) of FIG. In order to form a magnetic gap (G) in the first and second ferrite blocks 120, 103 are bonded to each other to integrate.

이렇게 접합된 자기페라이트 블럭들을 절단선(C)을 따라 절단됨으로써 적어도 1개 이상의 자기헤드(300)를 얻을 수가 있다.At least one magnetic head 300 may be obtained by cutting the magnetic ferrite blocks thus joined along the cutting line C. FIG.

이와같이 얻어지는 자기헤드(300)의 자기기록매체와의 접촉면을 원호형태로 연마 가공함으로써 제15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같은 자기헤드가 얻어질 수 있는 바, 이 자기헤드는 자기갭(G)에 대하여 2개의 평행형으로된 코어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완전한 대칭이 아닌 비대칭형으로 구성된다. 즉 제1자기코어부재(102)의 평행면(102a)과 제2자기코어부재(304)의 요철면(304a)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갭(G)은 평행과 요철형이 복합된 것으로서, 리플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재생출력특성이 양호하게 된다.The magnetic head as shown in Fig. 15A can be obtained by grindi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f the magnetic head 300 thus obtained in the form of an arc, which is the magnetic gap G. It has the shape of two parallel cores, but is asymmetric rather than fully symmetrical. That is, the magnetic gap G formed by the parallel surface 102a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102 and the uneven surface 304a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304 is a combination of parallel and uneven shapes. It does not occur at all and the reproduction output characteristics are good.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복합형 자기헤드에 따르면, 주갭을 형성하는 제1자기코어부재는 평행형으로 하고, 부갭을 형성하는 제2자기코어부재는 제1자기코어부재와 상이한 형상 즉, 경사형과 같은 비대칭형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대칭형인 자기헤드에 비해 리플현상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경사형으로만 제조된 자기헤드에 비해 트랙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ybrid magnetic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forming the main gap is parallel, 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forming the sub gap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By making the asymmetrical shape such as the inclined typ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ipple phenomenon than the conventional symmetrical magnetic head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easily adjusting the track side compared to the magnetic head manufactured only with the inclined type. It can be effective.

비록 이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되었을지라도, 이 발명은 이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예컨대, 자기코어부재(102)를 기본형으로 할 경우 그에 접합되는 자기코어부재는 제8도의 (가), 제12도의 (가) 및 제15도의 (가)에 표시한 것 이외의 것이 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core member 102 is a basic type, the magnetic core member joined thereto may be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s. 8 (a), 12 (a) and 15 (a). .

Claims (10)

제1자기코어 부재와 제2자기코어 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접합면 사이에 각각 강자성 금속박막이 형성되어 자기갭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코어 부재의 강자성 금속박막의 일부는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자기코어 부재의 강자성 금속박막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리플을 제거토록 한 복합형 자기헤드.In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formed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respectively, to form a magnetic gap, a part of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is formed in the magnetic gap. And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gap to remove the ripp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 코어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한 평행면을 구비하고 제2자기코어 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자기헤드.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has a parallel plane parallel to the magnetic gap and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And a slanted surface inclin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g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코어 부재의 평행면은 자기헤드의 트랙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자기헤드.The hybrid magnetic head of claim 2, wherein a parallel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a track width of the magnetic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코어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한 평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자기코어 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 쪽으로 축소경사진 양측 경사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자기헤드.2. The surfa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has a parallel plane parallel to the magnetic gap and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Has a two-sided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magnetic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코어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한 평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자기코어 부재의 상기 강자성 금속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면은 상기 자기갭에 대하여 평행한 요철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자기헤드.2. The surfa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first magnetic core member has a parallel plane parallel to the magnetic gap and the surface for forming the ferromagnetic metal thin film of the second magnetic core member. Has a concave-convex surface parallel to the magnetic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기 금속박막들의 각각은 2~40μm의 두께를 갖는 복합형 자기헤드.The hybrid magnetic hea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tal thin films has a thickness of 2 to 40 μ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기 금속박막들의 각각은 Fe-Si-Al 합금으로 형성된 복합형 자기헤드.The composite magnetic hea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tal thin films is formed of a Fe—Si—Al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기 금속박막들의 각각은 Co계 비정질합금으로 형성된 복합형 자기헤드.The hybrid magnetic hea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tal thin films is formed of a Co-based amorphous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기 금속박막들의 각각은 Fe계 비정질 합금으로 형성된 복합형 자기헤드.The hybrid magnetic hea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tal thin films is formed of an Fe-based amorphous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기 금속박막들의 각각은 Fe-Si-Ru-Ga 합금으로 형성된 복합형 자기헤드.The composite magnetic hea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tal thin films is formed of a Fe—Si—Ru—Ga alloy.
KR1019930011098A 1992-06-16 1993-06-15 Hybrid Magnetic Head Expired - Fee Related KR970008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098A KR970008603B1 (en) 1992-06-16 1993-06-15 Hybrid Magnetic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0407 1992-06-16
KR92-10407 1992-06-16
KR1019930011098A KR970008603B1 (en) 1992-06-16 1993-06-15 Hybrid Magnetic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603B1 true KR970008603B1 (en) 1997-05-27

Family

ID=2662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098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8603B1 (en) 1992-06-16 1993-06-15 Hybrid Magnetic H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60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6547A (en) Composite type magnetic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high frequency signals
KR910007861B1 (en) Magnetic hea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811146A (en) Composite magnetic head
KR970008603B1 (en) Hybrid Magnetic Head
JP3104185B2 (en) Magnetic head
KR910000207B1 (en) Composite type magnetic head
KR0152601B1 (en) Hybrid Magnetic Head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548244Y2 (en)
JPH045046Y2 (en)
JPH06162436A (en) Composite magnetic head
KR940004485B1 (en) Hybrid magnetic he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S632109A (en) Magnetic head
JPS60185214A (en) Magnetic head
JPH034963B2 (en)
JPH0276111A (en) thin film magnetic head
JPH06150244A (en) Composite type magnetic head and production of same
JPH05101325A (en) Magnetic head
KR19980078649A (en) Mig type magnetic induction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62132206A (en) Magnetic erasing head
JPH0370283B2 (en)
JPS6276013A (en) Magnetic core
JPH04356701A (en) Composite magnetic head
JPH0278007A (en) Thin film magnetic head and production thereof
JPH03185608A (en) Magnetic head and production thereof
JP2003203307A (en) Magnetic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11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110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