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8197B1 -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197B1
KR970008197B1 KR1019940013654A KR19940013654A KR970008197B1 KR 970008197 B1 KR970008197 B1 KR 970008197B1 KR 1019940013654 A KR1019940013654 A KR 1019940013654A KR 19940013654 A KR19940013654 A KR 19940013654A KR 970008197 B1 KR970008197 B1 KR 97000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riac
microprocessor
unit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407A (ko
Inventor
조형기
Original Assignee
삼흥중전기기공업 주식회사
조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흥중전기기공업 주식회사, 조형기 filed Critical 삼흥중전기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197B1/ko
Publication of KR96000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요약 : 요약없음.

Description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호의 설명
1 : 리모트/로칼선택부2 : 마이크로 프로세서
3 : 트라이액 버퍼부4 : 트아리액 구동부
5 : 과전류 검출부6 : 모터구동부
7 : 트라이액상태검출부.
본 발명은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디지탈화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기능을 추가하면서 사용자가 신뢰성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로기라하면 수전선이나 고압, 특별고압의 모선 또는 기기의 전후에 설치하여 보통때에는 닫혀 있다가 필요한 경우 구분된 회로를 전원으로부터 잘라내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정력전압하여서 충전된 회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단로기는 무부하시에만 개폐시키면서 회로의 접속변이 구분 및 기기의 점검보수시 전원으로부터의 분리를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로기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틱을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을 채택한 단로기용 콘트롤러를 사용하였으므로, 마그네틱 소자에 의한 소음, 접점의 경화문제, 기능 및 보호장치가 제한되는 문제 보호장치를 추가할 수 없음은 물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지탈화하면서 현재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 보호기능이 부가된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트/로칼 선택부를 통하여 리모트나 로칼의 선택과 개방이나 닫은 상태의 선택 입력시키면, 변류기를 통한 검출결과도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황을 판단하면서 구동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정지의 상태를 제저하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신호 트라이액 버퍼부를 통해 입력받는 트라이약 구동부에서 모터에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개폐시키도록 하고, 각각의 트라이액의 고장여부를 트라이액 상태 검출부를 통해 입력받으면서 구동전류나 과전류 또는 부족전압의 상태인가를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에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록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리모트/로칼 선택스위치나 로칼열림/로칼닫힘스위치 또는 리보트 열림/리모트 닫힘 스위치를 통해 단로기의 개폐여부를 선택하는 리모트/로칼 선택부(L1)와, 상기 리모트/로칼선택부(1)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고 내부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상황을 판단하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부터 출력되는 트라이액 고장시 마이크로 프로세서(2)를 보호하며 정확한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트라이액버퍼부(3)와, 상기 트라이액버퍼부(3)에 의해 스위칭 소자인 트라이액이 선택적 동작하도록 하며 이를 통한 전원부의 3상(R)(S)(T)의 전원이 과전류 검출부(5)를 통해 모터구동부(6)로 인가되도록 하는 트라이액 구동부(4)와, 상기 트라이택 구동부(4)에서 모터구동부(6)로 전달되는 전류값을 비례적으로 측정하여 정상전류 보다 크거나, 정상전압 보다 낮은 상태를 검출하는 과전류 검출부(5)와, 상기 트라이액버퍼부(3)의 의해 해당 트라이액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트라이액상태검출부(7), 상기 트라이액상태검출부(7)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전달되는 검출결과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어느 트라이액이 고장인가를 알려주는 LED 표시부(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으면서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여 단로기의 동작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9)들로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리모트/로칼선택부(1)에서 직류전원 개폐스위치(S)와 퓨우즈(F)를 통해 접속된 리모트 선택스위치(Re)는 일측이 접지된 로칼스위치(Lo)와 상호 역작용이 행하여 지도록 하고, 외부의 제어반(1a)으로 부터의 열림용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R1)의 접점을 로칼스위치(Lo)에 접속된 연립버튼스위치(op)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열림동작의 선택신호로 입력되는 한편, 외부의 제어반(1a)으로 부터의 닫힘용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릴레이(R2)의 접점은 로칼스위치(Lo)에 접속된 닫힘 버튼스위치(c1)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닫힘동작의 선택신호로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3상의 전원(R)(S)(T)은 트라이액 구동부(4)의 트라이액(Triac1), (Triac2, Triac4), (Triac3, Triac5)의 일측 전극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트라이액 구동신호가 트라이액버퍼부(3)의 포토트라이액(PhTc1), (PhTc2, PhTc3), (PhTc4, PhTc5)으로 각각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의 포토트라이액(PhTc1)~(PhTc5)에 게이트 단자가 각각 접속된 상기 트라이액(Triac1)(Triac2)(Triac4)(Triac3)(Triac5)의 타측 전극에서는 과전류 검출부(5)의 변류기(CT1)(CT2)(CT3)(CT4)(CT5)의 위측에 연결하여 이의 하측에서 모터구동부(6)의 모터(M)에 U상, V상, W상으로 공급되록 함으로써 S상과 T상의 전원이 상호 바뀌는 상태에 따라 모터(M)가 정회전이나 역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류기(CT1)(CT2)(CT3)에서 측정한 비례 전류값은 과전류 검출부(5)의 비교 IC(IC1)와 3입력 앤드게이트(IC2)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는 가를 알려주면서 비교IC(IC3) (IC4)와 3입력 앤드게이트(IC5)를 거쳐서는 전압이 적정 전압보다 낮은 가의 여부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알려주도록 하고, 상기 트라이액(Triac1)~(Triac5)의 양단에 접속되어 트라이액의 상태를 검출하는 트라이액상태검출부(7)의 포토 트랜지스터(PhTr1)(PhTr2)(PhTr3) (PhTr4)(PhTr5)에서는 인버터(IC)(IC6)를 거쳐 각각 표시부(8)의 각 발광다이오드(L1)(L2)(L3)(L4)(L5)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동시에 오아게이트(IC7)를 거쳐 트라이액(PhTr1)~(PhTr5)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
한편 타이머(2a)가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는 열림리미트스위치(Li1)와 닫힘리미트스위치(Li2)의 접속상태를 인식하면서 표시부(9)의 세그먼트 표시기로 열린상태, 닫힌상태, 과전류상태, 저전압상태, 오무버타임상태 및 스위치에러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동작전원을 인가하면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면(단계 11), 내부를 초기값의 상태로 크리어시킨다.(단계 12).
사용자가 리모트/로칼선택부(1)를 통해 열림상태를 선택하면(단계 13), 닫힘이 선택되었던 상태를 크리어시키면서(단계 14) 트아이액구동신호를 열림의 상태가 되도록하여 모터구동부(6)의 모터(M)가 정회전하면서 단로기가 열리도록 하는 한편(단계 15), 사용자가 리모트/로칼선택부(1)를 통해 닫힘상태를 선택하게 되면(단계 16), 열림이 선택되었던 상태를 해제하면서(단계 17), 트라이액 구동신호를 닫힘의 상태가 되도록하여 모터(M)가 닫히도록 한다(단계 18).
그리고 모터(M)가 열리는 중에 열림리미트스위치(Li1)를 접속시키면(단계 19), 표시부(9)를 통해 "OP"를 표시하여 단로기가 열려있음을 알려주고(단계 20), 닫힘리미트스위치(Li2)가 접속되면(단계 21), "CL"을 표시하며(단계 22), 과전류 검출부(5)의 변류기(CT1)~(CT3)를 통해 과전류의 상태를 인식하면(단계 23), "OC"를 표시하고(단계 24), 과전류 검출부(5)의 검출결과 저전압상태이면(단계 25) "UV"를표시하며(단계26), 단로기의 동작시 일정한 시간(약 8초)이 경과하였음을 타이머(2a)를 통해 인식할때가지 열림(닫힘) 리미스트스위치(Li1),(Li2)가 접속되지 않으면(단계 27) "OT"를 표시하고(단계 28),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스위치가 오동작을 일으켜 정상적인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단계 29)"ER"을 표시하며(단계 30), 상기의 단계 24, 단계 26, 단계 28 및 단계 30을 수행함과 아울러 단로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31).
따라서 본 발명의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에 의하여서는 리모트/로칼의 기능에 따라 원격 조절이 가능하고, 트라이액을 스위칭 소자로 사용함으로써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과 접점의 경화를 없애주고, 트라이액의 고장여부를 발광 다이오드로 표시하였으며 단로기 구동용 모터에 정격의 전류만 흐르도록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개폐시 단로기의 파손을 방지하였음은 물론 내부부품의 오동작시에도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사용자의 적절한 조치가 뒤따르도록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사용자가 리모트/로칼을 선택하면서 열림상태나 닫힘상태를 선택하는 리모트/로칼선택부(1)와, 상기 리모트/로칼선택부(1)의 선택사양에 따라 타이머(2a)에 의한 계시를 하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트라이액 구동신호를 포토트라이액(PhTc1)(PhTc2, PhTc3)(PhTc4, PhTc5)으로 각각 입력받는 트라이액 버퍼부(3)와, 외부로 부터의 3상의 전원 (R)(S)(T)은 트라이액(Triac1)(Triac2, Triac4)(Triac3, Triac5)으로 인가되도록 하면서, 상기 포토트라이액(PhTc1)(PhTc2)(PhTc3)(PhTc4)(PhTc5)에서 각각에 게이트 단자로 접속한 트라이액 구동부(4)와, 상기 트라이액(Triac1)(Triac2,Triac5)(Triac3,Triac4)의 타측 전극에서는 변류기(CT1)(CT2)(CT3)를 선택적으로 경유하여 모터구동부(6)의 모터(M)를 정·역회전시키면서 단로기를 개폐시키는 과전류 검출부(5)와, 상기 트라이액(Triac1)~(Triac5)의 양단에 접속된 포토 트랜지스터(PhTc1)~(PhTc5적)를 통해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트라이액상태검출부(7)와, 상기 트라이액상태검출부(7)의 검출결과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1)~(L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면서 각각의 정상 동작여부를 알리는 LED 표시부(8)와, 상기 과전류 검출부(5)의 검출결과와 열림/닫힘리미트스위치(Li1)(Li2)의접속상태 및 시간경과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열림리미트스위치(Li1)의 접속상태, 닫힘리미트스위치의 접속상태(Li2), 과전류상태, 저전압상태, 시간경과 및 스위치의 오동작상태를 표시부(9)에 "OP", "CL", "OC", "UT", "OT", "ER"로 각각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로기용 전동조작장치.
KR1019940013654A 1994-06-17 1994-06-17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KR97000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654A KR970008197B1 (ko) 1994-06-17 1994-06-17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654A KR970008197B1 (ko) 1994-06-17 1994-06-17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407A KR960002407A (ko) 1996-01-26
KR970008197B1 true KR970008197B1 (ko) 1997-05-21

Family

ID=1938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654A KR970008197B1 (ko) 1994-06-17 1994-06-17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2904B2 (ja) * 1996-12-10 2005-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機
KR20030087202A (ko) * 2002-05-07 2003-11-14 주식회사 한국데이타비지네스 즉발용 입/출력 키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407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2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review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of electrical switching device
MX2007014286A (es) Atenuador de dos alambres con fuente de alimentacion y circuito de proteccion de carga en caso de falla del interruptor.
EP2064797A1 (en)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witch and isolation control high speed transfer switching method
KR970008197B1 (ko) 단로기용 전동조작 장치
US4483082A (en) Single relay for motor and heater control
TWI272167B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machine
US3840780A (en) Detector-protector circuit
JPH08223777A (ja) 負荷制御装置
JP2005010066A (ja) 3相欠相検出回路及びこの3相欠相検出回路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00015748A (ko) 무접점 소자를 이용한 디지탈 모터 콘트롤 센터 유니트
JP3827392B2 (ja) 電子または電気機器
JPS6356120A (ja) 遠隔操作開閉器の制御装置
US5264739A (en) Two-handed controller for preventing trigger tie-down
JPH0819265A (ja)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
KR0121502Y1 (ko)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KR0159459B1 (ko) 가스 절연방식 부하개폐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1281275A (ja) 負荷制御装置
JP2831806B2 (ja) 電動機制御装置
JP2508256B2 (ja) インバ―タの保護装置
KR200272900Y1 (ko) 일체형 디지털모터 제어장치
KR20190136233A (ko) 인버터 보호장치
JP2773158B2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7222471A (ja) 電動機制御装置
KR20000009103A (ko) 모터 부하 감시 장치
JPH0449891A (ja) 電動開閉機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4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