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7366B1 -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366B1
KR970007366B1 KR1019930008793A KR930008793A KR970007366B1 KR 970007366 B1 KR970007366 B1 KR 970007366B1 KR 1019930008793 A KR1019930008793 A KR 1019930008793A KR 930008793 A KR930008793 A KR 930008793A KR 970007366 B1 KR970007366 B1 KR 97000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corruption
tree
agent
pla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riority to KR101993000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3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물을 원료로 하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는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 또는 담지하는 부패방지제 및 그 항균성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 조릿대, 쑥등의 각종 식물로부터 물이나 유기용제에 의한 추출물에는 항균력을 보이는 성분이 함유된다.
일예를 들면, 특개소 60-32705호 공보에서는 생강의 근거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항미생물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항균성분은 천연성분인 식물에서 추출된 것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식품첨가제, 화장품첨가제로서의 용도가 기대된다.
더우기, 항균제에 관한 것이 아님에도 특허공고 88-648호에서는 녹차를 건류하여 얻는 비점범위가 20mmHg인 경우에 180∼200℃(입력이 변화하면 그것에 따라 비점도 변한다)인 건류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제가 나타나 있다.
식물에서 추출된 항균제는 합성보존료가 합성살균료에 비하여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들 합성품에 비하여 항균력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그 식물의 특유한 냄새, 맛, 착색이 있기 때문에 식품첨가제나 화장품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제한을 받는 바가 있다. 더욱이, 추출작업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며 또한 후처리 작업을 해야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전부터 식물중에 포함되는 항균성분에 관한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오던중 식물중에 있어서, 항균성분은 원래 항균력을 발휘하는 관능기가 서로 결합한 축합체 혹은 고분자의 상태가 되고, 이 축합 혹은 고분자화한 것을 추출 분리하여도 관능기가 막혀져 있기 때문에 항균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것이라는 착상을 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아래, 항균력이 현저히 우수할 뿐만아니라, 그 식물의 특유한 냄새, 맛, 착색 등이 적은 항균성성분과 그러한 항균성성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 또는 담지하는 부패방지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균성성분은 차조기, 대나무, 쑥 및 마늘을 제외한 식물의 전류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성제품인 부패방지제는 상기 항균성성분을 내부 또는 표면에 함유 내지 담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성성분의 제조법은, 차조기, 대나무, 생강, 쑥, 마늘 및 고추를 제외한 식물을 고온 감압조건하에서 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조기, 대나무, 생강, 쑥, 마늘 및 고추를 제의한 식물을 사용한다. 차조기, 대나무, 생강, 쑥, 마늘 및 고추를 사용한 경우는 특히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항균성성분을 얻을 수 있어, 별도 특허출원을 행하였으며, 븐 발명의 원료식물로부터 제외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식물으로는 생약, 한방약, 식용식물, 향신료, 나무, 해조, 버섯 등을 비롯한 극히 다수의 식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식물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예시된다 : 꼭두서니, 애독나무, 엉겅퀴, 알로에, 산수국, 살구, 나팔꽃, 으름덩굴, 팥, 지황, 삼지구엽초, 주목, 무화과나무, 우슬, 호창, 감제풀, 은행나무, 오갈 피나무, 고사리, 울금, 땅금류, 풀고사리, 참외, 매화나무, 회향풀, 결명차, 현호색, 회화나무, 질경이, 고추나물, 만년청, 마타리, 참나리, 카밀레, 감, 감초, 새, 사철쑥, 도라지, 황백나무, 구기자나무, 칡, 치자나무, 고삼, 겨자, 호두, 뽕나무, 얼룩조릿대, 크로렐라, 이질풀, 형개, 현미, 개연꽃, 오수유, 신이목련, 우엉, 참깨, 컴프리, 다시마, 벚나무, 석류나무, 남오미자, 사프란, 산다나무, 해당화, 청미대덩굴, 산수유나무, 산초나무, 작약, 소엽맥문등, 석나무 엽주, 종려나무, 표고버섯, 인동덩굴, 쇠뜨기, 천긍, 전단, 무우, 민들레, 두릅나무, 대황, 등자, 독말풀, 고려인삼, 띠, 천남성, 두충, 곡괭이, 옥수수, 삼백소, 황촉규, 대추, 남천촉, 가지, 패랭이 꽃, 소태나무, 접골목, 육계, 부추, 붉나무, 새삼, 자귀나무, 파, 찔레나무, 다시마일엽초, 바디나물, 벌꽃, 율무, 갯방풍, 박하, 석렬명, 파초, 엽란, 떡쑥, 연, 지모, 송대, 석산, 방아풀, 마름, 비파, 빈랑나무, 석송, 녹미채, 모란, 꽈리, 봉선화, 머위, 복소초, 등나무, 등골나무, 수세미위, 후박나무, 개다래나무, 마항, 해인초, 귤, 시호, 지치, 작살나무, 무궁화, 복숭화, 자리공, 참마, 소귀나무, 수레국화, 범의귀, 유자, 용담, 개나리, 산규, 미역, 호박, 버드나무, 문주란, 육두구, 오미자, 덩굴풀, 금방동사니, 사탕수수, 나리, 잣나무, 수국, 갠티아나, 고나중, 하늘타리, 미나리, 참당귀, 종대황, 광귤나무, 디기타리스, 맥문동, 피, 흡, 당목향, 방기, 베라돈나, 익모초, 봉출, 인도 사목, 부자, 개오동나무, 축사, 정향나무, 세네가 탱자나무, 센나나무, 미치광이풀, 승마, 아마, 아선약나무, 원지, 택사, 토근, 파두, 마전자나무, 황기, 구릿대, 삽주, 후주, 돌외, 말급버섯, 백일홍, 산파, 오이, 인삼, 잇꽃, 강활, 계피, 곽향, 더덕, 대두 국화, 복령, 방풍, 목단, 백삼, 모과나무, 백출, 모려, 사인, 산약 석창포, 차하거, 옥천환, 전호, 원지, 진달래, 융뇌, 아교, 향부자, 창출, 천문동, 하수오, 치자, 차전초, 파슬리, 르이보스티 등.
이들 식물을 필요에 따라 분쇄, 건조한 후, 건류하면, 목적으로 하는 항균성성분을 얻을 수 있다. 건류는 고온, 감압하에서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건류조건은 120-250℃(바람직하는 것은 130-220℃, 특히 140-210℃,100mmHg이하(바람직하는 것은 60mmHg이하, 특히 10-50mmHg, 그중에서 15-40mmHg)이다.
이때, 온도가 너무 낮을 때에는 열분해가 불충분하게 되고, 너무 높을 때에는 단화가 진행하고 목적물의 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감압도가 부족할 경우에는 유출분이 적어진다. 첫류분은 버려도 된다.
상기의 조작으로 얻은 건류분은 통상적으로는 점조한 액체임에 따라, 이것을 물, 에타놀, 프로피렌그리콜등으로 희석하여 취급할 수도 있다. 또한, 얻은 건류분을 더욱 더 정제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항균성성분은, 원료식물의 상위에 따라 유효성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항균 스팩트르를 넓히기 위하여, 이들 식물이 2종 이상을 같이 건류하거나, 혹은 이들 식물에서 얻은 건류분의 2종이상을 혼합하여 쓰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건류물은 다른 항균성성분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건류조작으로 얻은 항균성성분은, 식품,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의 첨가물로서 유용하다. 또한, 식품 등을 담는 선도유지시트나 쟁반(트레이)등의 내부 또는 표면에 함유 내지 담지하게 하는 부패방지제 내지는 선도유지제,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재의 내부 또는 표면에 함유 내지 담지하게 하는 부패방지제 내지는 선도유지제, 관상어의 수조중에 첨가하는 부패방지제, 자른 꽃가지의 수명연장제 등으로서도 쓸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성성분이라는 것은 부패방지제 내지는 선도유지제 뿐만 아니라, 항균제, 정균제, 향미생물제, 수명연장제 등 그 명칭에 관계없이, 항균력을 발휘하는 성분이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중에 함유된 항균성성분은, 일부는 유리상태로 존재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본래 항균력을 발휘하는 관능기가 서로 결합한 축합 또는 고분자화한 항균성 성분복합체로 되어있다고 생락된다. 따라서, 이것을 물이나 유기용제로 추출분리하여도 복합체가 된 상태로 남아 있어, 항균력을 발휘하여야 할 관능기가 막혀있게 된다. 이렇게 추출한 성분중에는 유리상태가 되는 것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항균력만을 보인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류조작에 따라 고온감압 조건하에서 추출물이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 복합체가 열분해하고 본래 항균력을 발휘하는 관능기가 나타남과 동시에, 유효성분이 많은 상태로 유출되고, 잔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건류조작은 복합체를 열분해하는 구실과, 그 열분해물인 항균성성분을 잔재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얼룩조릿대의 분쇄물을 건조한 것을 준비하여,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항균성성분을 취득하였다.
(1) 얼룩조릿대의 건조분쇄물 200g을 건류장치에 공급하여, 200℃ 전후, 압력 35mmHg 전후의 조건하에서 건류하며, 그 건류분을 1500ml의 에타놀중에 수집하였다.
(2) 얼룩조릿대 건조분쇄물 20g을 150g의 열수로 추출하였다.
(3) 얼룩조릿대 건조분쇄물 20g을 150ml의 온 에타놀로 추출하였다. 상기 각 3종의 시료중(3)로 득한 시료는 (1)이나 (2)로 득한 시료에 비하여, 현격히 착색이 적고, 또 냄새도 적은 것이었다.
또, 상기 (1),(2),(3)의 각 3종의 시료를 쓰고, 다음의 방법 A 및 방법 B에 따라 항균성시험을 행하였다.
[방법 A]
직경 90mm의 유리접시에 상기 시료 1ml과 감균한 한천배지 10ml를 집어넣고, 혼합한 후 굳혔다. 이 굳어진 배지상에 각각 곰팡이(Asp. niger), 대장균(E.Coil) 황색포도상구균(Sya. aureus)의 균액 0.5ml을 도포한 후, 35℃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상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세균에 있어서는 배양후의 배지의 표면의 일부를 sampling하고 한천배지에 도포하고, 균의 유무(발육)을 재확인하였다. 사용한 배지는, 곰팡이의 경우가 GP 한천배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가 SCD 배지이다.
[방법 B]
직경 90mm의 유리접시에 감귤한 한천배지 10ml를 집어넣고 방냉하여 굳혔다. 이 굳어진 배지상에 각각 Asp. niger(곰팡이), E. Coil(대장균), Sya. aureus(황색포도상구균)의 균액 0.5ml을 도포하였다. 이와달리, 직경 l0mm의 Paper Disk상의 시료 0.lml를 적하한 후, 실온으로 1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킨 다음, 마른 Paper Disk를 균액을 도포한 배지상에 놓고,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균의 발균상태를 관찰하였다. 사용한 배지는 곰팡이의 경우가 GP 한천배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가 SCD 배지이다. 방법 A의 경우의 평가는 다음 각 단계로 판정하였다.
곰팡이
- : 전면에 발육이 확인됨.
+ : 50% 이하이지만, 발육을 확인하지 못함.
++ : 50% 이상 발육을 확인하지 못함.
+++ : 전면에 발육을 확인하지 못함.
세균
- : 전면에 코로니가 확인됨.
+ : 50% 이하이지만 코로니를 확인하지 못함.
++ : 50% 이상 코로니를 확인하지 못함.
+++ : 전면에 코로니를 확인하지 못함.
단, 사면 배지에 의한 발육 유무는, ○(발육하지 않음), ×(발육함)의 2단계로 판정하였다. 방법 B의 경우의 평가는 다음 각 단계로 판정하였다.
곰팡이
- : DISK상 전체에 발육이 확인됨.
± : DISK상 일부에 발육을 확인하지 못함.
+ : DISK상 발육을 확인하지 못함.
++:저지원이 확인됨.
세균
- : DISK의 주변에 저지원을 확인하지 못함.
+ : DISK의 주변에 1nm이내의 저지원이 확인됨.
++ : DISK의 주변에 5nm이내의 저지원이 확인됨.
+++ : DISK의 주변에 5nm이상의 저지원이 확인됨.
방법 A에 의한 결과를 표 1에, 방법 B에 의한 결과를 표 2에, 각각 나타내고, 에타놀만을 쓴 경우도 CONTROL로서 표 1, 표 2로 함께 나타내었다.
[표 1]
[표 2]
[실시예 2~4]
얼룩조릿대 대신에, 르이보스티(실시예 2), 참깨(실시예 3), 파슬리(실시예 4)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건류, 물추출, 에타놀추출을 행하여, 시료로 하였다.
상기 각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하여 항균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A에 의한 결과를 표 3에, 방법 B에 의한 결과를 표 4에 각각 나타냈다. 또한, 에탄올만을 쓴 경우도 CONTORL로서, 표 3, 표 4에 함께 나타냈다. 단, 건류물의 시료는, 물추출물이나, 에타놀추출물의 시료에 비하여, 대단히 착색이 적고, 냄새도 적었다.
[표 3]
[표 4]
[실시예 5]
위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얼룩조릿대, 르이보스티, 참깨, 및 파슬리의 건류물, 물추출물, 에타놀추출물을, 떡, 식빵원료, 왜된장원료에 1중량%를 첨가하고 제품을 제조하며,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보존성을 알아보았다. 평가는, C(변화없음), B(효과있음), A(저효있음)의 3단계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표 5]
[실시예 6]
전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차조기 및 대나무의 건류물, 물추출물, 에타놀 추출물을 부직포에 함침시킨 다음에 건조한 후, 쟁반위에 깔아, 그위에 생선회를 놓고 전체를 랩으로 쌌다. 물추출물이나 에타놀추출물을 함침한 경우에는 선도유지 효과는 아주 적었으나, 건류물을 함침한 경우에는 명백한 선도유지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항균성성분의 항균력은 물이나 유기용제로 추출된 통상적인 추출물의 항균력에 비하여, 대단히 우수하며, 더욱이, 냄새, 맛, 착색도 적다.
더욱이, 단순히 건류를 행하는 것으로 목적물을 취득할 수 있으나, 물이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추출법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얼룩조릿대, 참깨, 파슬리 및 르이보스티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분쇄하고 건조한 후, 120∼250℃의 온도 및 l00mmHg이하의 압력에서 건류시켜 제조된 항균성성분.
  2. 제 1 항의 항균성성분을 표면에 함유 내지 담지하는 부패방지제.
  3. 얼룩조릿대, 참깨, 파슬리 및 르이보스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분쇄하고 건조한 후, 120∼250℃의 온도 및 100mmHg이하의 압력에서 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KR1019930008793A 1993-05-21 1993-05-21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793A KR970007366B1 (ko) 1993-05-21 1993-05-21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793A KR970007366B1 (ko) 1993-05-21 1993-05-21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366B1 true KR970007366B1 (ko) 1997-05-08

Family

ID=1935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793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366B1 (ko) 1993-05-21 1993-05-21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3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01B1 (ko) * 2012-06-14 2014-01-09 김동찬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9695B1 (ko) * 2012-04-27 2014-05-27 중앙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27462B1 (ko) * 2012-06-21 2014-08-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808689A2 (en) 2013-05-15 2014-12-03 LG CNS Co., Ltd. Monitoring battery contact point in charge/discharge system with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KR20200005812A (ko) * 2018-07-09 2020-01-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콘돔용 항균 코팅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콘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95B1 (ko) * 2012-04-27 2014-05-27 중앙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349101B1 (ko) * 2012-06-14 2014-01-09 김동찬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7462B1 (ko) * 2012-06-21 2014-08-0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808689A2 (en) 2013-05-15 2014-12-03 LG CNS Co., Ltd. Monitoring battery contact point in charge/discharge system with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KR20200005812A (ko) * 2018-07-09 2020-01-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콘돔용 항균 코팅제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콘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254436A (en) Organic pesticide
Bachheti et al. Oil Content vari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ucalyptus leaves oils of three different Species of Dehradun, Uttarakhand, India
US5525340A (en)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ntimicrobial plant distillate
KR101270628B1 (ko)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및 살충용 조성물
CN103271410A (zh) 全天然植物型防虫防腐剂的制备方法
SE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eaf essential oil of Ixora coccinea L (Rubiaceae) collected from North Central Nigeria
KR970007366B1 (ko)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JP2566515B2 (ja) 抗菌性成分および該抗菌性成分を含有する抗菌性製品
Uğuz et al.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in the Leaf and Flower of Paulownia tomentosa
Anamaria et al. Comparative study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age (Salvia officinalis L.) in terms of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KR101224104B1 (ko) 옻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의 병해충 방제제
KR100518362B1 (ko) 선충 방제용 조성물
Anvitha et al. The importance, extraction and usage of some floral wastes
KR20150088461A (ko) 계피, 오미자, 정향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KR20210026896A (ko) 팔각회향 열매/씨오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방부제 제조방법
CN104255827A (zh) 一种多功能植物源杀菌剂的制备方法
KR102560979B1 (ko) 카피르라임 및 님트리를 혼합 추출한 ky항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존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품보존제.
Silalahi Utilization and bioactivity of Blumea balsaminifera (L.) DC.
Gitaari et al. Formulation of paint and detergent with Pelargonium citrosum &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s as Musca domestica repellent agent
KR100531489B1 (ko) 선충 방제용 조성물
JP2000247818A (ja) 天然化学防腐剤
Idrees et 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of Healthy and Diseased Indian Rosewood Trees (Dalbargia Sissoo DC.)
KR20250017397A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가식성 코팅
CN1428078A (zh) 一种生物杀虫增产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10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102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