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7051B1 -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51B1
KR970007051B1 KR1019940003343A KR19940003343A KR970007051B1 KR 970007051 B1 KR970007051 B1 KR 970007051B1 KR 1019940003343 A KR1019940003343 A KR 1019940003343A KR 19940003343 A KR19940003343 A KR 19940003343A KR 970007051 B1 KR970007051 B1 KR 97000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ipe
filtration cylinder
pinion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782A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김영대
장재현
이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장재현, 이정엽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101994000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51B1/ko
Publication of KR95002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01D33/64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절개한 외부동체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발취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체 2 : 고정여과원통
3 : 이송스크류 3b, 6a, 10a : 회전축
4 : 스러지배출통 5 : 큰기어
6 : 감속기 7, 9, 10 : 피니언
8 : 주입구 11 : 안내홈
11a : 원통캠 12, 12a : 좌우왕복 이동급수관
13, 14 : 분사노즐 13a : 링형 분사관
14a : 분사관 15 : 이동관
16 : 안내핀 17, 17a : 안내로울러
18, 18a : 안내레일
본 발명은 여러종류의 오물배출 생산공정 및 수산물가공공장이나 식품가공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탈수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외동체내에 고정여과원통이 씌워진 여러개의 스크류프래스를 회전시켜 오물을 압축이동시키면서 고정여과원통에 의하여 여과탈수되게하고 각 고정여과원통을 둘러싸여지게 설치한 수개의 세척수 분사관이 좌우왕복이동 하면서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고정된 여과원통의 여과공에 끼어 있는 찌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수분함량이 극히 적은 스러지를 배출시키게 한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프래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발명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1117호는 외동체내에 여과원통이 씌워진 여러개의 스크류프레스를 설치하여 하나의 모우터로 스크류와 여과원통을 회전시켜 오물을 여과탈수시키면서 압축이동되게 하고 중앙부에서 두 개의 분사관이 왕복이동하면서 압력수나 압축공기 또는 고압증기를 분사시켜 주므로서 회전하고 있는 여과원통을 세척하여 여과 효과를 높이게 하고 있으나 이는 여과원통의 고압부인 종단부측 여과원통은 스러지가 스크류에 의하여 압축 이송되고 있으므로 일부 여과원통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동력이 소모될 뿐 아니라 추진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여과원통이 비틀림이 발생하여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있고 종단부 일부는 고정시키고 회전여과 원통 부분만이 세척되므로 능률적으로 여과탈수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각 여과원통을 고정시키고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오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고정여과원통으로 탈수되는데 이때 고정여과원통 주위에 찌꺼기가 끼여 있는 것을 각 여과원통을 둘러싸여지게 설치한 수개의 고압세척수, 고압공기, 고압증기의 분사관이 좌우 왕복하면서 세척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여과 원통의 주위에 끼어 있는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체(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여러개의 고정여과원통(2)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내부에 테이퍼진 이송스크류(3)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3)의 일측회전측(3a)은 스러지배출통(4)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각 회전측(3a)의 단부에는 큰 기어(5)를 고정하여 외동체(1)의 우측면 중앙에 설치된 감속기(6)의 회전축(6a)에 고정시킨 피니언(7)과 맞물리게 한 것에 있어서 주입구(8)측의 각 이송스크류(3) 회전축(3b)에는 피니언(9)을 고정하여 중앙에 설치한 큰 기어(10)와 맞물리게 하고 주입구(8)을 가로지러 설치된 피니언(10)의 회전축(10a)에는 나선상의 안내홈(11)이 형성된 원통캠(11a)을 설치하고 각 여과원통(2)의 양측 중간에 이동급수관(12)(12a)을 설치하여 각 고정여과원통(2)을 일정간격으로 둘러 씌워지게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3)을 갖은 수개의 링형분사관(13a)과 연관시키고 각 링형분사관(13a)에는 각 고정여과원통(2) 사이에 끼워져 왕복이동되게 분사관(14a)을 연관시키되 각 고정 여과원통(2)의 중앙에 설치되는 링형분사관(13a)에 연관시킨 분사관(14a)의 단부를 회전관(11a)에 왕복이동되게 끼워진 왕복이동관(15)에 용접고정시키고 왕복이동관(15)에는 안내핀(16)을 꽂아 나선상의 안내홈(11)에 끼워져 왕복이동되게 하며 좌우왕복이동 급수관(12)(12a)에는 양측으로 안내로울러(17)(17a)를 설치하여 외동체(1)에 설치한 안내레일(18)(18a)에 얹어지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9는 원통캠(11a)의 양측에 설치한 오물침투방지 주름관 20은 모우터, 21은 압력 조절면 22는 배출구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동체(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여과원통(2)을 설치하고 그 내부 데이퍼진 이송스크류(3)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3)의 회전축(3a)은 스러지배출통(4)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각 회전축(3a)의 단부에는 큰 기어(5)를 고정하여 동체의 우측면 중앙에 설치된 감속기(6)의 회전축(6a)에 고정시킨 피니언(7)과 맞물리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모우터(20)를 고둥시키게 되면 감속기(6)에 의하여 감속되어 회전축(6a)에 고정시킨 피니인(7)이 서서히 회전하게 되고 이와 맞물려 있는 각 이송스크류(3)의 회전축(3a)에 고정시킨 큰 기어(5)가 더욱 서서히 회전하면서 각 이송스크류(3)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주입구(8)에 공급되는 오물은 각 이송스크류(3)에 의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여과원통(2)에 의하여 여과하면서 탈수되므로 이송되는 스러지는 점차 함수량이 적어지면서 압축된 상태로 이송되어 배출구(22)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22)에 설치한 압력 조절변(21)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면 수분함량이 극히 적은 스러지가 배출통(4)으로 배출된다.
이때 주입구(8)측의 각 이송스크류(3) 회전축(3ℓ)에는 피니언(9)를 고정하여 중앙에 설치한 큰 기어(10)와 맞물리게 하고 주입구(8)를 가로질러 설치된 큰기어(10)의 회전축(10a)에는 나선상의 안내홈(11)이 형성된 원통캠(11a)을 설치하고 각 여과원통(2)의 양측중간에 좌우 왕복이동 급수관(12)(12a)을 설치하여 각 여과원통(2)을 일정간격으로 둘러 씌워지게 설치된 수 개의 링형분사관(13a)과 연관시키고 각 링형 분사관(13a)에는 각 고정 여과 원통(2) 사이에 설치되는 링형분사관(13a)에 연관시킨 분사관(14a)의 단부를 원통캠(11a)에 왕복이동되게 끼워진 왕복 이동관(15)에 용접고정하고 왕복이동관(15)에는 안내핀(16)을 꽂아 나선상의 안내홈(11)에 끼워져 이동되게 하였기 때문에 주입구(8)측의 각 이송스크류(3) 회전축(3a)에 고정한 피니언(9)의 회전에 따라 중앙에 설치한 큰 기어(10)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0a)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회전축(10a)에 설치한 나선상의 안내홈(11)을 형성한 원통캠(11a)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원통캠(11a)에 왕복이동되게 끼워진 왕복이동관(15)에 링형분사관(13a)과 연관시킨 분사관(14a)의 단부를 용접고정하고 있고 이 왕복이동관(15)에 안내핀(16)을 꽂아 나선상의 안내홈(11)에 끼워지게 하였기 때문에 원통캠(11a)의 회전에 따라 나선상의 안내홈(11)에 끼워진 안내핀(16)이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형분사관(13a)은 각 고정여과원통(2)의 주위를 왕복이동하면서 분사노즐(13)로서 압력수나, 고압공기 및 고압증기를 분출시켜 세척하게 되고 각 링형 분사관(13a)에 연관시킨 분사관(14a)은 각 고정여과원통(2)사이를 왕복이동하면서 분사노즐(14)로 고압수나 고압공기 및 고압증기를 분출시켜 각 고정여과원통(2)의 내측 외주를 세척하게 되므로 여과원통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왕복이동 급수관(12)(12a)에는 양측으로 안내로울러(17)(17a)를 설치하여 외동체(1)의 내측에 설치한 안내레일(18)(8a)에 얹어져서 왕복이동되게 하였기 때문에 왕복이동 급수관(12)(12a)이 요동됨이 없이 왕복이동되므로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여과원통을 회전시켜야 하는 동력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각 고정여과원통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수분함량이 극히 적은 수러지를 얻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동체(1)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여러개의 고정여과원통(2)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내부에 테이퍼진 이송스크류(3)를 설치하여 이송스크류(3)의 일측회전축(3a)은 스러지배출통(4)을 가로질러 설치하고 각 회전축(3a)의 단부에는 큰 기어(5)를 고정하여 외동체(1)의 우측면 중앙에 설치된 감속기(6)의 회전축(6a)에 고정시킨 피니언(7)과 맞물리게 한 것에 있어서 주입구(8)측의 각 이송스크류(3) 회전축(3b)에는 피니언(9)을 고정하여 중앙에 설치한 큰기어(10)와 맞물리게 하고 주입구(8)를 가로질러 설치된 피니언(10)의 회전축(10a)에는 나선상의 안내홈(11)이 형성된 원통캠(11a)을 설치하고 각 여과 원통(2)의 양측 중간에 이동급수관(12)(12a)을 설치하여 각 고정여과원통(2)을 일정간격으로 둘러 씌워지게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3)을 갖은 수개의 링형분사관(13a)과 연관시키고 각 링형분사관(13a)에는 각 고정여과원통(2) 사이에 끼워져 왕복이동되게 분사관(14a)을 연관시키되 각 고정 여과원통(2)의 중앙에 설치되는 링형분사관(13a)에 연관시킨 분사관(14a)의 단부를 원통캠(11a)에 왕복이동되게 끼워진 왕복이동관(15)에 용접고정시키고 왕복이동관(15)에는 안내핀(16)을 꽂아 나선상의 안내홈(11)에 끼워져 왕복이동되게 하여서된 오물탈수용 다중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KR1019940003343A 1994-02-24 1994-02-24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Expired - Lifetime KR97000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343A KR970007051B1 (ko) 1994-02-24 1994-02-24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343A KR970007051B1 (ko) 1994-02-24 1994-02-24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82A KR950024782A (ko) 1995-09-15
KR970007051B1 true KR970007051B1 (ko) 1997-05-02

Family

ID=1937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343A Expired - Lifetime KR970007051B1 (ko) 1994-02-24 1994-02-24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5965B (zh) 2010-07-28 2015-08-12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用于将操作室的后窗玻璃固定在施工机械上的装置
KR102623451B1 (ko) * 2021-07-27 2024-01-11 이영진 익스펠러 프레스 자동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782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7390B2 (ja) 汚物濾過脱水用スクリュープレスの濾過円筒洗浄装置
US7055699B2 (en) Self-cleaning mechanical filter
DK2709840T3 (en) Screw Press
KR20140122174A (ko) 미세협잡물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고압세척기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다단 스크린장치
US4615801A (en) Rotary filtration means in the filth condensation-dehydration apparatus
KR970007051B1 (ko)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US4867870A (en) Apparatus for spray shower maintenance
KR20100131889A (ko) 원심 분리장치
KR960010345Y1 (ko)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프레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of rotray filtration cylinder for treating waste product)
KR200186811Y1 (ko)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970004568Y1 (ko) 원심력과 압축을 이용한 오물탈수 여과장치(filtration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 through centrifugal force and pressing)
KR200259073Y1 (ko) 벨트 프레스 여과포 세척장치
KR100566423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870003811Y1 (ko) 오물 응집 탈수기의 여과 원통 회전 장치
KR20040100721A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850002310Y1 (ko) 오물 응집 탈수기의 여과 원통 회전 장치
CN221028062U (zh) 一种淤泥脱水处理装置
KR200236846Y1 (ko) 슬러지 제거장치
JPH08173996A (ja) 汚物脱水装置
CN218955414U (zh) 脱水螺旋输送机
JPH05103912A (ja) 濾過脱水装置
KR970003590Y1 (ko)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프래스의 압력조절변 조절장치(control valve means for use in a filtration appatus for treating waste product)
CN116550443B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绞肉机
CN221131377U (zh) 尿素水解器排污废液回收系统
KR920005429Y1 (ko) 탈수기용 세척수 분사관의 막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4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