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7048B1 -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48B1
KR970007048B1 KR1019940004416A KR19940004416A KR970007048B1 KR 970007048 B1 KR970007048 B1 KR 970007048B1 KR 1019940004416 A KR1019940004416 A KR 1019940004416A KR 19940004416 A KR19940004416 A KR 19940004416A KR 970007048 B1 KR970007048 B1 KR 97000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oice
ring
generated
ring t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광민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를 구비한 전자식 전화기의 블럭도.
제2a 및 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음량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량조절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량 조절 장치 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 : 키패드부 40 : 링음 발생부
50 : 음량 제어부 60 : 음성 재생부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량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식 전화기내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 또는 링음의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자식 전화기에는 통화중 발생되는 음성신호나 보통 착신요구를 위해 발생되는 링음의 음량(또는 출력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음량조절 스위치가 각각 구비되어 있었다.
즉, 기존의 전자식 전화기에는 링음을 발생하는 링음발생부와 통화중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음성재생부의 출력단 각각에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가 가변저항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전자식 전화기 외부에는 링음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키와 잿이되는 음성을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키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전화기의 소형경량화를 저해(沮害)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아니라 발생되는 링음이나 음성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키 조절시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예를 들어 링음의 음량을 조절하고자 하는데 음성의 음량을 조절하는 키를 제어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되며,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음량이 조절되므로 정확한 음량레벨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키패드상의 숫자키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링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전자식 전화기의 특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들중 하나를 음량조절모드 설정기(D/V)로 이용하고 음량조절모드 설정시에 숫자키를 원하는 음량 레벨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키패드부, 전자식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링음을 발생하기 위한 링음 발생부, 전자식 전화기가 통화중일 때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음성 재생부, 링음 발생부와 음성 재생부로부터 출력되는 링음 및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저항과 아날로그 스위치를 직렬 접속한 구조로 이루어진 라인들을 입력단과 출력단을 기준으로 병렬접속한 구조로 구성된 음량제어부 및 키패드부로부터 전송되는 음량레벨값에 의해 음량제어부내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스위치들의 스위칭상태를 제어하여 링음 및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링음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체크결과, 링음이 발생된 경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링음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생된 링음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2단계, 제1단계의 체크결과, 링음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신호가 송출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3단계, 제3단계의 체크결과, 음성신호가 송출중인 경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음성 음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출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4단계, 음량 제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 데이터가 인가되면, 링음이 발생중인지를 체크하는 제5단계, 제5단계의 체크결과, 링음이 발생중이면, 제5단계에서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링음의 음량을 제어하고,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링음의 음량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6단계, 제5단계의 체크결과, 링음이 발생중이 아니면 음성 송출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47단계, 제7단계의 체크결과, 음성 송출중이면, 제5단계에서 인가된 음량 데이타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고,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음성의 음량데이타로 저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조절 장치를 구비한 전자식 전화기의 기능블럭도로서, 음량조절모드키(D/V, 이하 D/V키라고 약함), 숫자키 및 별도의 기능모드 설정키(A, B, C)로 구성된 키패드부(30), 키패드부(30)로부터 인가된 정보에 따라 전자식 전화기의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0), 소정의 링음을 발생하기 위한 링음 발생부(40), 통화중 발생되는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음성재생부(60),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 의해 제어되어 링음 발생부(40)로부터 전송되는 링음 또는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여 도시되지 않은 음성증폭 및 발생부로 출력하기 위한 음량 제어부(50)로 구성된다.
특히, 제1도에 도시된 키패드부(30)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키(0∼9중 8개의 숫자키)는 정상(Normal)모드시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용되나 D/V키에 의해 음량 조절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원하는 음량 레벨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0'기능키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면, 전화기에서 출력될 음량의 레벨이 '0'으로 설정되고, '3'기능키가 제어되면, 상술한 음량의 레벨이 '3'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량조절장치를 구비한 디지탈 전화기(이하 전화기라고 약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전화기가 통화중일 경우, 도시되지 않은 신호 처리 장치 등을 통해 음성 재생부(60)에서 소정의 음성신호가 재생되면 음량 제어부(50)로 전송된다.
음량제어부(50)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전송된 음성의 음량의 제어하여 출력한다.
즉, 음량제어부(50)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접속된 저항(R1)과 아날로그 스위치(AS1, 70), 직렬접속된 저항(R2)과 아날로그 스위치(AS2, 80), 직렬접속된 저항(R3)와 아날로그 스위치(AS3, 90)를 병렬 접속하고, 병렬 접속된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와 미도시된 음성증폭 및 발생부 사이의 접점과 기저전원(GND) 사이에 저항(R4)을 직렬접속하도록 구성된 경우에,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소정의 음성신호가 전송되면, 병렬 접속되어 있는 저항들(R1, R2, R3)과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 및 저항(R4)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 때,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 부터의 제공되는 제어신호(C1, C2, C3)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음량 레벨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신호(C1, C2, C3)에 의하여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의 턴온 또는 턴오프결정 테이블은 하기 표 1과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
예를 들어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음성신호의 전압을 Vin이라 하고 음성 제어부(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전압을 Vout이라고 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C1, C2, C3)가 (1, 0, 0)로 인가되면, 아날로그 스위치(80, 90)는 턴오프되고, 아날로그 스위치(70)만 턴온되어 음성제어부(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전압(용량)은 Vout=R4/(R1+R4)*Vin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음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음량제어부(5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키패드(30)로부터 새로운 음량 조절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전에 사용하였던 음량조절값을 저장하였다가 음량제어부(50)로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키패드(30)상의 D/V키를 이용하여 음량조절모드가 설정되고, 숫자키에 의하여 원하는 음량조절 데이터(또는 레벨정보)가 인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음량 조절값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에 현재 인가된 음량 조절값을 이용하여 음량제어부(50)로 제공되는 제어신호(C1, C2, C3)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음량제어부(50)가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과 음량제어부(50)의 출력단 사이에 직렬접속한 저항(R4), 저항(R4)과 음량제어부(50)의 출력단 사이의 접점과 기저전원(GND) 사이에 직렬접속한 아날로그 스위치(70) 및 저항(R1), 저항(R4)과 음량제어부(50)의 출력단 사이의 다른 접점과 기저전원(GND) 사이에 직렬접속한 아날로그 스위치(80) 및 저항(R2), 저항(R4)과 음량 제어부(50)의 출력단 사이의 또 다른 접점과 기저전원(GND) 사이에 직렬접속한 아날로그 스위치(90) 및 저항(R3)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술한 제2a도에서와 같이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소정의 음성신호가 전송되면, 병렬 접속되어 있는 저항들(R1, R2, R3)과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 및 저항(R4)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제2a도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 제공되는 음량제어신호(C1, C2, C3)에 의해 상술한 표 1에서와 같이 아날로그 스위치(70, 80, 90)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음성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링음 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링음에 대한 음량을 조절할 때에도 음량 제어부(50)는 동일하게 구동된다. 즉, 링음 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링음과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가 동시에 발행되지 않으므로 음량 제어부(50)는 음성재생부(60)와 링음 발생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모두 입력신호로 받도록 구성되고, 제2a도 및 제2b도와 같이 구성된 회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들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그 다음, 전화기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 키패드(30)를 통해 음성이나 링음에 대한 음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30)상의 D/V키를 통해 음량조절모드로 설정한 뒤, 해당 숫자키를 제어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0)가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음량 조절값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가 발생되거나 링음이 발생될 때, 음량제어부(50)로 제공하여 해당 음량을 갖는 음성신호 또는 링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3도는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음량조절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제3도에 도시된 흐름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0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링음이 음량 제어부(50)로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링음이 음량제어부(50)로 입력되는 상태이면 제110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보유(또는 저장)하고 있는 링음의 음량 데이터를 음량제어부(50)로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음량제어부(50)는 링음 발생부(40)로부터 전송되는 링음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제100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링음이 음량제어부(50)로 입력되는 상태가 아니면 제200단계로 진행되어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음량제어부(50)로 음성이 송출중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송출중이 아니면 제22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제200단계의 체크결과, 음성이 송출중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 보유하고 있던 음성 음량 데이터를 음량제어부(50)로 제공하여 음성재생부(6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120단계와 제210단계 수행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제130단계로 진행된다.
제130단계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0)는 음량제어모드키(D/V)가 제어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음량제어모드키(D/V)가 제어되지 않았으면 제18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음량제어모드키가 제어되었으면, 제140단계로 진행되어 숫자키에 의한 음량 데이터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입력되었으면 제150단계로 진행되어 링음이 발생중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링음이 발생중이면, 제160단계로 진행되어 제140단계에서 인가된 음량 데이터값으로 링음의 음량을 변경하고, 변경된 링음의 음량 값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링음의 음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변경된 링음의 음량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보유하고 링음량 데이터로 저장시킨 다음 제17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제150단계의 판단결과, 링음이 발생중이 아니면, 제250단계로 진행되어 음성신호가 송출중인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음성신호가 송출중이면 제260단계로 진행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음량 데이터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음성 음량 데이터값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음성 음량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변경된 음성 음량데이타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0)에서 보유할 음성 음량데이타로 저장한 다음 제27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제250단계의 체크결과, 음성 송출중이 아니면 제28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제140단계의 체크결과, 음량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가 아니면 제230단계로 진행되어 기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기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40단계로 귀환하여 음량 데이터가 입력되는 지를 재차 체크하게 된다. 그러나 제230단계의 체크결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제240단계로 진행되어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링음과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제어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정확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기능모드키와 숫자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음량 레벨(또는 음량 데이터)를 지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화기를 소형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화기의 특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키들 중 하나를 음량조절모드 설정키(D/V)로 이용하고 음량조절모드 설정시에 숫자키를 원하는 음량 레벨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키패드부(30), 상기 전자식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링음을 발생하기 위한 링음 발생부(40), 상기 전자식 전화기가 통화중일 때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음성 재생부(60), 상기 링음 발생부(40)와 음성 재생부(60)로부터 출력되는 링음 및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저항과 아날로그 스위치를 직렬 접속한 구조로 이루어진 라인들을 입력단과 출력단을 기준으로 병렬접속한 구조로 구성된 음량제어부(50) 및 상기 키패드부(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량 레벨값에 의해 상기 음량제어부(50)내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 스위치들의 스위칭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링음 및 음성신호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2.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링음이 발생되었는 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링음이 발생된 경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링음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생된 링음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링음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신호가 송출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음성신호가 송출중인 경우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음성 음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출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4단계, 음량 제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 데이터가 인가되면, 상기 링음이 발생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체크결과, 링음이 발생중이면, 상기 제5단계에서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링음의 음량을 제어하고, 상기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상기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링음의 음량 데이터로 저장하는 제6단계, 상기 제5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링음이 발생 중이 아니면 음성 송출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음성 송출중이면, 상기 제5단계에서 인가된 음량데이타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음성의 음량을 제어하고, 상기 인가된 음량 데이타를 상기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음성의 음량데이타로 저장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방법.
KR1019940004416A 1994-03-08 1994-03-08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416A KR970007048B1 (ko) 1994-03-08 1994-03-08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416A KR970007048B1 (ko) 1994-03-08 1994-03-08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048B1 true KR970007048B1 (ko) 1997-05-02

Family

ID=1937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416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7048B1 (ko) 1994-03-08 1994-03-08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088A (en) Telephone amplifier with switchable gain control
KR970007048B1 (ko)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또는 링의 음량조절장치 및 방법
EP0478140B1 (en) Keypad monitor
KR100222779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벨 음량 조절 방법
KR930001158B1 (ko) 다이얼링 확인음 출력장치 및 다이얼링 확인음의 음량 제어방법
JP3063948B2 (ja) 音出力装置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JP2951281B2 (ja) 電話機
KR20020048568A (ko)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46530B1 (ko) 전화단말기에서 링음레벨 조절회로
KR930010278B1 (ko) 전화장치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유지 방법
JP2610976B2 (ja) Dtmfダイヤラ
KR900005157B1 (ko) 자동선택 자동응답 회로
SU1589423A1 (ru) Разговорно-вызы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тора диспетчерской св зи
JP3081586B2 (ja) 電話機
JPH0753320Y2 (ja) 電話機
KR101044898B1 (ko) 휴대 단말기의 음량 설정 방법
KR940009775B1 (ko)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KR930012083B1 (ko) 키폰 전화기와 페이징 스피커간의 인터페이스 회로
JP3306080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950030560A (ko) 전화통화시 오디오 출력레벨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230260A (ja) 電話機
KR940012982A (ko) 전화기의 착신음량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JPS6041898A (ja) 電子式ボタン電話機
KR19990002158A (ko) 전화기에서 온후크 다이얼링시 시각설정에 의한 톤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9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9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