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5077Y1 -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077Y1
KR970005077Y1 KR2019940008170U KR19940008170U KR970005077Y1 KR 970005077 Y1 KR970005077 Y1 KR 970005077Y1 KR 2019940008170 U KR2019940008170 U KR 2019940008170U KR 19940008170 U KR19940008170 U KR 19940008170U KR 970005077 Y1 KR970005077 Y1 KR 970005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motor
phase series
phase
push switch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598U (ko
Inventor
이보선
Original Assignee
이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선 filed Critical 이보선
Priority to KR2019940008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077Y1/ko
Publication of KR950031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구동장치를 보인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과부하 안전기
M : 단상적인 정류자 전동기
LSW1 :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LSW2 : 하강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
PSW1a, PSW1b : 상승용 푸쉬 스위치
PSW2a, PSW2b : 하강용 푸쉬 스위치
FS1, FS2 : 직권 계자코일 AC : 교류전원
A, B : 전원단자 ESW : 비상 스위치
Fu : 퓨우즈 A', B' : 과부하 안전기 전원
본 고안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체인 호이스트(CHAIN HOIST)를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로 구동시키는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동기를 이용하여 체인 호이스트를 구동시키는 여러 가지의 구동장치가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구동장치는 3상 모타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3상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전동기의 기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콘덴서를 설치해야 됨은 물론 리드선을 수동으로 변환해야 정·역으로 구동시킬 수 있었으며, 전동기의 크기가 커 체인 호이스트를 소형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류 전동기를 사용하여 체인 호이스트를 구동시킬 수도 있으나, 직류 전동기는 별도의 제어반을 필요로하고, 이 제어반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콘덴서 및 제어반을 사용하지 않고,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 및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승 및 하강을 명령하는 푸쉬 스위치와 상승완료 및 하강완료를 각기 검출하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만을 사용하여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체인 호이스트를 구동시키는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는 구동시 전기자 코일 및 직권 계자코일에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전기자 코일로 흐르는 전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교번하고, 직권 계자코일로 흐르는 전류도 동시에 변화하여 발생되는 자계는 전기자 코일로 흐르는 전류와 동시에 그 방향이 변화되는 것으로 계자코일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변화시킴에 따라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방향이 정·역으로 변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체인 호이스트를 구동시키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구동장치를 보인 상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일측 전원단자(A)를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 과부하 안전기(1),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1) 및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를 순차적으로 통한 후,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비상 스위치(ESW) 및 퓨우즈(Fu)를 다시 통해서는 타측 전원단자(B)에 접속하고, 직렬로 접속된 과부하 안전기(2) 및 직권계자코일(FS1, FS2)을 통해서는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의 일측단자에 접속하여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의 타측단자를 하강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2)를 통해 상기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 및 과부하 안전기(1)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의 타측단자는 상기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및 비상스위치(ESW)의 접속점에 접속하였다.
상기에서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는 각기 연동되는 것으로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를 누를 경우에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는 접속되고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b)는 개방되며,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를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b)가 개방되고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및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b)가 접속되며,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1)는 체인 호이스트의 상승완료시 개방되고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2)는 체인 호이스트의 하강완료시 개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동장치는 전원단자(A), (B)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를 눌러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는 접속시키고,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를 개방시키면, 인가된 교류전원(AC)은 전원단자(A)에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 과부하 안전기(1),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1),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과부하 안전기(2), 직권 계자코일(FS1), (FS2),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b), 비상스위치(ESW) 및 퓨우즈(Fu)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원단자(B)로 흐르게 되므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는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체인 호이스트를 상승시키게 되고, 체인 호이스트가 완전히 상승하면 이를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1)가 검출하여 개방되므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를 눌러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는 접속시키고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b)는 개방시키면 교류전원(AC)은 전원단자(A)에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 하강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2),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직권 계자 코일(FS1), (FS2), 과부하 안전기(2),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b), 비상스위치(ESW) 및 퓨우즈(Fu)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원단자(B)로 흐르게 되는 것으로 이때, 직권 계자코일(FS2), (FS1)에는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교류전원(AC)이 흐르게 되므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는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체인 호이스트가 하강하게 되고 체인 호이스트의 하강완료시 이를 하강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2)가 검출하여 개방되고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를 정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체인 호이스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태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가 계속 구동될 경우에 사용자가 비상 스위치(ESW)를 눌러 개방시키면,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에 인가되던 교류전원(AC)이 차단되므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가 정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를 정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체인 호이스트를 승강시키므로 3상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콘덴서나 제어반을 사용하지 않고,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를 구동시켜 크기가 작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체인 호이스트를 구동시키는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를 직권 계자코일(FS1), (FS2)로 교류전원(AC)을 인가하여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의 직권 계자코일(FS1), (FS2)로 상기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와는 반대로 교류전원(AC)을 인가하여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와 상기 상승용 푸쉬 스위치(PSW1a), (PSW1b)의 누름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에 직렬로 연결되어 체인 호이스트의 상승완료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를 정지시키는 상승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1)와 상기 하강용 푸쉬 스위치(PSW2a), (PSW2b)의 누름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에 직렬로 연결되어 체인 호이스트의 하강완료시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를 정지시키는 하강완료 검출용 리미트 스위치(LSW2)와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의 구동시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검출하고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단상직권 정류자 전동기(M)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과부하 안전기(1), (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모터 정·역 제어장치.
KR2019940008170U 1994-04-19 1994-04-19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KR970005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170U KR970005077Y1 (ko) 1994-04-19 1994-04-19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170U KR970005077Y1 (ko) 1994-04-19 1994-04-19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598U KR950031598U (ko) 1995-11-22
KR970005077Y1 true KR970005077Y1 (ko) 1997-05-22

Family

ID=1938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170U KR970005077Y1 (ko) 1994-04-19 1994-04-19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0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598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596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장치 및 제어방법
US5491622A (en) Power converter with emergency operating mode for three phase induction motors
FI11273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tahtimoottorin jarruttamiseksi
US5499186A (en) Three-phase power converter with fail soft characteristics
JP7530353B2 (ja)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非同期機用のインバータ、車両、及びインバータを動作させる方法
JPH08259139A (ja) エレベータモータの緊急操作装置
US4499986A (en) Control apparatus for passenger conveyor
CA2773830C (en) Electric machine assembly with fail-safe arrangement
CA2382352C (en) Electronic shorting of wound rotor windings
KR970005077Y1 (ko) 단상모터 정.역 제어장치
JP5406429B2 (ja) 駆動制御装置
KR102157586B1 (ko) 직입기동 기능이 구비된 모터 구동제어장치
JPH1175386A (ja) 永久磁石モ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92757B1 (ko) 하이브리드 모터 스타터의 기동 제어회로
JP4736155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492758B1 (ko) 하이브리드 모터 스타터의 정지 제어회로
SU1136285A2 (ru) Способ торможени с самовозбуждением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JPS6277887A (ja) 電圧形インバ−タ装置
US1122490A (en) Method of operating alternating-current motors.
KR200157527Y1 (ko) 유도전동기구동시스템에서의 컨버터고장검출장치
JPS61231878A (ja) 直流電源装置
JP4465762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H07203695A (ja) 主電動機のスター・デルタ始動装置
KR930003737Y1 (ko) 단상유도 전동기의 110v/220v자동 절환회로
SU13543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обрыва фаз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4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4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12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3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