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821B1 -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21B1
KR970004821B1 KR1019920014315A KR920014315A KR970004821B1 KR 970004821 B1 KR970004821 B1 KR 970004821B1 KR 1019920014315 A KR1019920014315 A KR 1019920014315A KR 920014315 A KR920014315 A KR 920014315A KR 970004821 B1 KR970004821 B1 KR 97000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signal
output buffer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347A (ko
Inventor
마츄이 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기가이샤
세키자와 스토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기가이샤, 세키자와 스토무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2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163Soft switching
    • H03K17/164Soft switching using parallel 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출력회로를 갖는 메모리 IC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출력회로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출력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회로의 상세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출력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블록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어드레스 래치 2a : 메모리 셀 어레이
3a : 출력 데이터 래치 4a : 출력회로
5B : 고구동능력 출력버퍼 6B : 저구동능력 출력버퍼
본 발명은 출력회로단자에 접속되어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출력회로는 메모리 집적 회로(IC)와 같은 회로의 출력단에 배치되어 입력신호를 출력회로에 접속된 부하에 전달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가 적으며 높은 신뢰도를 갖는 고속 출력회로가 요구된다.
제1도는 종래의 출력회로를 갖는 메모리 IC의 블록도이다. 어드레스 래치(1a)는 메모리셀 어레이(2a)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메모리셀중 하나를 어드레스 및 판독하기 위해 입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 신호를 래치한다. 출력 데이터 래치(3a)는 어드레스된 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래치한다. 저구동 능력을 갖는 출력버퍼(또는 버퍼 증폭기)인 출력회로(4a)는 출력 데이터 래치(3a)에서 래치된 데이터를 상기 출력 회로에 접속된 부하로(즉,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해)출력한다.
출력회로(4a)는 고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고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에는 부하를 신속히 구동시키기 위해 대량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많은 전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버스파이드(bus fight)로 인한 손상을 받기가 쉽다. 버스파이트란 출력회로로부터의 두 신호가 데이터 버스상에서 일시적으로 상호 충돌 및 간섭하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통상적으로 저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가 출력회로에 사용되어 고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의 상술한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출력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어드레스 신호 An는 메모리 셀 어레이(2a)의 데이터를 어드레스하도록 제1클록 펄스의 상승구간에서 어드레스 래치로 래치된다. 어드레스된 메모리 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데이터 출력 Dn 신호로서 출력회로(4a)를 통해 출력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데이터 출력 신호는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에서 지연되고 불안정해져 그 결과로서 전달 지연 시간(즉, 메모리 엑세스 타임 T)이 길어진다. 이후, 엑세스 타임 T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음 클록 펄스의 상승 구간에서부터 데이터 출력신호가 안정하게 될 때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된다. 데이터 출력신호는 저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가 예를들어 이 출력버퍼에 접속된 스트레이 커패시턴스(stray capacitance)를 충전 및 방전시키기 위한 시간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상승 구간 및 하강 구간에서 지연되고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저구동능력을 갖는 출력버퍼로 구성된 종래 기술의 출력회로는 메모리 엑세스 타임 T(즉, 전달 지연 시간)이 길어지므로, 이러한 출력회로를 사용하는 메모리 소자 및 기타 다른 논리회로의 처리 속도가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동작하며 전력소모가 적은 출력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파이트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고 장애가 없는 출력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출력버퍼, 제2 출력버퍼 및 활성화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단자에 접속된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회로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동작하는 제1 출력버퍼와; 상기 제1출력 버퍼와 병렬로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제1 출력버퍼보다 더 높은 구동능력으로 동작하는 제2 출력버퍼와; 입력 신화가 입력되는 소정의 기간동안에는 제2 출력버퍼를 활성화시키고 그 기간 이후에는 제1 출력버퍼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수단을 포함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출력회로의 블록도이다.
출력회로는 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는 고구동능력의 출력버퍼(5B)와 저구동능력의 출력버퍼(6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신호는 출력버퍼(5B,6B)에 입력되어 두 개의 버퍼중 하나의 버퍼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데이터 입력 신호는 출력버퍼(5B,6B)에 입력되어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된 출력버퍼에서 증폭된 다음 데이터 출력회로 신호로서 출력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로서, 제3도에 도시된 출력회로에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신호 및 제어 신호의 파형과, 그 출력회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의 (a)는 출력버퍼(6B)가 로우레벨 신호를 갖는 저활성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때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출력 신호의 파형은 상승 구간과 하강 구간에서 지연되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전달 지연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제4도의 (b)는 출력버퍼(5B)가 하이레벨 신호를 갖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때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출력버퍼(5B)는 높은 전류에 의해 자신에 접속된 부하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데이터 출력신호의 파형은 급격한 상승 및 하강 곡선을 그리게 되어 전달 지연 시간은 감소된다.
다음에, 제어 신호가 로우레벨로 내려가면, 저구동능력 출력버퍼(6B)가 제4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활성화된다. 여기에서, 저구동능력 출력버퍼(6B)는 고구동능력 출력버퍼(5B)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 출력 신호 레벨을 유지한다. 이때의 전력 소모량은 출력버퍼(5B)보다도 적다, 따라서, 출력 회로는 데이터 출력 신호의 하강 구간에서 버스파이트가 발생할 때 조차도 손상을 입지 않는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회로의 상세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출력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저구동능력 출력버퍼(6B)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n 채널 MOS 트랜지스터(Tr1, Tr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큰 오옴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출력버퍼(6B)는 전력소모가 적을 뿐만 아니라 버스파이트에 의한 손상을 입지 않는다.
고두동능력 출력버퍼(5B)는 서로 직렬 접속되어 있는 한쌍의 n 채널 MOS 트랜지스터(Tr3, Tr4)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은 오옴 저항을 갖는데, 이로 인하여 출력버퍼(5B)를 통해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직렬 접속된 p 채널과 n 채널 MOS 트랜지스터(Tr7, Tr8)는 상보형 MOS, 즉 CMOS로 동작하는 인버터를 구성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 Tr3)가 p 채널이고 다른 트랜지스터(Tr2, Tr4)가 n 채널이라면, 인버터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Tr7, Tr8)는 필요치 않다. 한쌍의 n 채널 MOS 트랜지스터(Tr5, Tr6)는 각각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일 때 출력버퍼(5B)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게이트로서 동작한다(제어신호는 두 개의 출력버퍼(5B,6B)에 대해 입력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여기서는 출력버퍼(5B)에만 입력되는 것으로하며, 이 점에 관해서는 차후에 설명될 것이다.
제5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트랜지스터(Tr1∼Tr8)는 각각의 쌍중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만이 한 번에 도통하는 방식으로 접속된다.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로 올라가면, 데이터 입력 신호가 하이레벨 상태인지 로우레벨 상태인지의 여부(즉, 데이터 입력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Tr5) 또는 트랜지스터(Tr6)가 도통하게 되고, 그 다음에 트랜지스터(Tr3) 또는 트랜지스터(Tr4)가 도통하게 된다. 그 결과로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이 각각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예컨대,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이고 데이터 입력 신호도 마찬가지로 하이레벨일 경우, 트랜지스터(Tr5)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3)가 도통한다. 이때 전류는 출력버퍼(5B)의 전원(Vcc)으로부터 트랜지스터(Tr3)를 통해 외부로 흐르게 되어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하이레벨이 출력된다. 제어신호는 하이레벨이지만 데이터 입력 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즉, 데이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 트랜지스터(Tr6)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4)가 도통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는 외부로부터 트랜지스터(Tr4)를 통해 출력버퍼(5B)의 접지로 흐르게 되어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이와같이, 데이터 입력 신호가 인가되고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일 때, 고구동 능력 출력버퍼(5B)가 스트레이 커패시턴스를 포함하는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해 활성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 신호가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신속하게 전달된다(제6도에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음).
제어 신호가 로우레벨로 내려가면, 트랜지스터(Tr5, Tr6)가 차단되고 다음에 트랜지스터(Tr3, Tr4)가 차단된다.
한편, 데이터 입력 신호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 상태가 됨에 따라(제어 신호와는 무관), 저구동능력 출력버퍼(6B)의 트랜지스터(Tr1, Tr2)중 하나가 도통하게 되어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이 각각 출력된다. 예컨대, 데이터 입력 신호가 하이레벨일 경우,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 되어 전류는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출력버퍼(6B)의 전원(Vcc)에서 외부로 흐른다. 따라서,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하이레벨이 출력된다. 데이터 입력 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트랜지스터(Tr2)가 도통하게 되어 전류는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외부에서 출력버퍼(6B)의 접지로 흐른다. 따라서,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로우레벨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일단 데이터 출력 신호 레벨이 고구동능력 출력버퍼(5B)에 의해 설정되면, 제어신호가 로우레벨로 내려간 후에도 전력을 적게 소비하는 저구동능력 출력버퍼(6B)에 의해 그 레벨이 유지될 수 있다(제6도에 굵은선 다음이 가는선으로 도시됨). 출력버퍼(6B)는 레벨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급 에너지만을 소모하기 때문에 출력회로의 전력소비가 감소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의 블록도이다.
STRAM(self-timed static RAM) 및 내부 제어를 위한 클록 신호를 입력하는 어드레스래치 내장형 스태틱 RAM(SRAM)을 포함하는 동기형 SRAM의 경우, 이 클록 신호는 출력버퍼(5B)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술된 제어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동기형 SRAM 칩이 메모리 소자의 한 예로서 본 명세서에 제시되어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개의 칩(칩1,칩2)만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의 칩은 어드레스 래치(11,21), 메모리 셀 어레이(12,22), 출력 데이터 래치(13,23) 및 출력회로(14,24)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회로(14)는 고구동능력 출력버퍼(15) 및 저구동능력 출력버퍼(16)를 포함하며, 출력회로(24)는 고구동능력 출력버퍼(25) 및 저구동능력 출력버퍼(26)를 포함한다.
저활성 칩선택 신호*CS(*표시는 부정을 나타냄)는 로우레벨일 경우, 두 개의 메모리 칩중에서 하나의 칩만을 선택한다. 메모리 어드레스 신호는 두 개의 메모리 칩에 입력되고 메모리 셀 어레이(12 또는 22)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모리 셀중 하나의 셀을 어드레스하여 판독하도록 어드레스 래치(11 또는 21)에 래치된다. 어드레스 래치(11 또는 21)에 의해 어드레스된 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출력 데이터 래치(13 또는 23)에 래치된 후 출력회로(14 또는 24)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회로(14,24)의 출력은 데이터 버스를 형성하도록 와이어-OR 접속되어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소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1) 칩1에 대한 칩선택 신호*CS(*CS#1으로 표시)가 로우레벨로 내려갈 경우, 입력 메모리 어드레스 신호는 클릭신호의 상승구간에서 어드레스 래치(11)에 래치되며 메모리 판독 동작은 메모리 셀 어레이(12)에서 개시된다.
(2) 그 다음에,*CS#2가 로우레벨로 내려갈 경우, 메모리 어드레스 신호는 클록신호의 상승구간에서 어드레스 래치(21)에 래치되며 메모리 판독 동작은 메모리 셀 어레이(22)에서 개시된다.
(3) 대략 한 클록 사이클 후에, 칩1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출력 데이터 래치(13)에 래치되며 데이터 출력 신호(데이타 #1로서 표시됨)는 출력회로(14)를 거쳐 데이터 버스로 출력된다. 데이트 #1은 클록 신호가 하이레벨(굵은 선으로 표시)인 동안에는 고구동능력 출력버퍼(15)를 거쳐 츨력되며, 클록신호가 로우레벨(가는선으로 표시)인 동안에는 저구동능력 출력버퍼(16)를 통해 출력된다.
(4) 다른 한 클록 사이클 후에*CS#1이 하이레벨인 경우, 출력회로(14)는 클록펄스의 상승구간에서 출력 할 수 없게 된다(아니면 3상의 출력을 제공함)
(5) 칩2에 있어서, 칩1의 경우에서 처럼 데이터 #2는 출력 데이터 래치(23)에 래치도어 출력회로(24)를 거쳐 데이터 버스로 출력된다. 데이터 #2는 클록신호가 하이레벨(굵은선으로 표시)인 동안에는 고구동능력 출력버퍼(25)를 거쳐 출력되지만, 클록신호가 로우레벨(가는선으로 표시)인 동안에는 저구동능력 출력버퍼(26)를 거쳐 출력된다.
(6) 따라서, 제8도의 (6)으로 표시된 구간 동안은, 데이터 #1 및 데이터 #2는 데이터 버스에서 서로 충돌하여 버스파이트가 발생한다.
그러나, 버스파이트가 출력회로(14,24)에 손상을 가하는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이 경우에 있어서, 저구동능력 출력버퍼(16)와 고구동능력 출력버퍼(25가 함께 활성화되지만, 두 개의 고구동능력 출력버퍼(15,25)는 절대로 동시에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데이터 #1이 논리 1(하이)이고 데이터 #2 논리 0(로우)일 때 최대전류가 발생한다. 즉, 제5도 및 제7도에 있어서, 칩2의 트랜지스터(Tr3), 데이터 버스 및 칩1의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칩2의 전원(Vcc)으로부터 칩1의 접지로 최대전류가 흐른다. 즉, 전원(Vcc)이 +5V이고, 구동능력 출력버퍼용 트랜지스터(예컨대 Tr3)의 오옴 조항이 5Ω, 저구동능력 출력버퍼용 트랜지스터(예컨대 Tr2)의 오옴 저항이 95Ω이라고 가정하면, 불과 50㎃의전류만이 트랜지스터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반면에 두 개의 고구동능력 출력버퍼에 의해 버스파이트가 발생할 경우, 고구동능력 출력 버퍼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는 대량의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본래 작은 오옴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 출력버퍼의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통해 대량의 전류가 전원(Vcc)으로부터 접지로 흐르게 된다. 즉, 고구동능력의 출력버퍼용 트랜지스터의 오옴 저항이 5Ω이라고 가정하면, 대략 500㎃ 정도의 큰 전류가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력회로는 먼저 고구동능력 출력버퍼로 부하를 구동시켜 출력 레벨을 신속하게 설정한 다음에 저구동능력 출력버퍼로서 그 레벨을 유지시킴으로서 전력 소모가 적으며 버스파이트에 의해 손상없이 신호의 고속 전달을 가능하게 된다.

Claims (11)

  1.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구동시키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동작하는 제1 출력버퍼와; 상기 제1 출력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상기 제1 출력버퍼의 구동능력보다 더 높은 구동능력으로 동작하는 제2 출력버퍼와;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2 출력버퍼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그 기간 이후에는 상기 제1 출력버퍼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클럭 신호를 입력하는 동기형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고; 상기 활성화 수단은 클록신호의 신호레벨이 하이레벨인지 또는 로우레벨인지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3.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구동시키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1 출력버퍼와;상기 제1 출력버퍼에 병렬로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상기 제1 출력버퍼의 구동 능력보다 더 높은 구공능력으로 동작하는 제2 출력버퍼와;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 기간동안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 기간동안 상기 제2 출력버퍼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클록신호를 입력하는 동기형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고, 상기 클록신호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활성화 수단을 클록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레벨인지 또는 로우레벨인지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정(+)논리입력신호 및 부(-) 논리입력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클록 신호이며, 상기 활성화 수단은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5 트랜지스터는 클록신호 및 정(+) 논리입력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6 트랜지스터는 클록신호 및 부(-) 논리입력신호에 응답하며; 상기 제1 출력버퍼는 제1 전원과 제2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있는 중간점을 출력단으로서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는 각각 정(+) 논리입력신호 및 부(-) 논리입력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제2 출력버퍼는 제1 전원과 제2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 사이에 있는 중간점을 출력단으로서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는 각각 상기 제1및 제2 트랜지스터 보다 더작은 오옴 정항을 갖고 각각 상기 제5및 제6 트랜지스터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6.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구동시키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출력버퍼와; 상기 제1 출력버퍼보다 더 높은 구동능력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2 출력버퍼와;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 기간 동안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기간동안 출력단자를 상기 제2 출력버퍼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그 기간 이후에는 상기 제1 출력버퍼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 클록신호를 입력하는 동기형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고; 상기 접속 수단은 클록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레벨인지 또는로우레벨인지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8.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구동시키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된 제1 출력버퍼와; 상기 제1 출력버퍼보다 더 높은 구동능력을 가지며,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출력버퍼와;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소정 기간동안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출력단자를 상기 제2 출력 버퍼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클록 신호를 입력하는 동기형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고, 상기 클록신호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접속 수단은 클록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레벨인지 또는 로우 레벨인지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10.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를 구동시키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활성화시에 고구동능력 또는 저구동능력으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출력버퍼와;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기간동안에는 고구동능력으로 동작하고 상기 선택된 기간 이후에는 저구동능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출력버퍼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는 클록신호를 입력하는 동기형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고; 상기 클록 신호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활성화 수단은 클록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이레벨인지 또는 로우레벨인지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회로.
KR1019920014315A 1991-08-09 1992-08-08 출력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00173 1991-08-09
JP03200173A JP3118472B2 (ja) 1991-08-09 1991-08-09 出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347A KR930005347A (ko) 1993-03-23
KR970004821B1 true KR970004821B1 (ko) 1997-04-04

Family

ID=1642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315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821B1 (ko) 1991-08-09 1992-08-08 출력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17129A (ko)
EP (1) EP0532373B1 (ko)
JP (1) JP3118472B2 (ko)
KR (1) KR970004821B1 (ko)
DE (1) DE692293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567B1 (ko) * 1994-02-04 1996-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버퍼
US5486782A (en) * 1994-09-27 1996-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mission line output driver
JP3386602B2 (ja) * 1994-11-30 2003-03-17 株式会社東芝 出力回路装置
JPH08228141A (ja) * 1995-02-21 1996-09-03 Kawasaki Steel Corp 出力バッファ回路
US5587951A (en) * 1995-08-04 1996-12-24 Atmel Corporation High speed, low voltage non-volatile memory
GB2305082B (en) * 1995-09-06 1999-10-06 At & T Corp Wave shaping transmit circuit
US5708386A (en) * 1996-03-28 1998-01-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MOS output buffer with reduced L-DI/DT noise
US5777944A (en) * 1996-09-27 1998-07-07 Cypress Semiconductor Corp. Circuit and method for instruction controllable slewrate of bit line driver
US5953411A (en) * 1996-12-18 1999-09-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udio sample correlation
KR100246336B1 (ko) * 1997-03-22 2000-03-15 김영환 메모리의 출력회로
US6097220A (en) * 1997-06-11 2000-08-0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 for recycling charge
US5852579A (en) * 1997-06-19 1998-12-2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circuit for preventing and/or inhibiting contention in a system employing a random access memory
US6448812B1 (en) * 1998-06-11 2002-09-10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Pull up/pull down logic for holding a defined value during power down mode
US6622222B2 (en) * 2001-04-26 2003-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quencing data on a shared data bus via a memory buffer to prevent data overlap during multiple memory read operations
US6975132B2 (en) * 2003-09-11 2005-12-13 Xilinx, Inc. DAC based driver with selectable pre-emphasis signal levels
JP4568046B2 (ja) * 2004-07-13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出力回路
US20150002204A1 (en) * 2013-06-28 2015-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impedance driver for resonant clock networks
JP6780347B2 (ja) * 2016-07-28 2020-11-04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回路およびメモリ回路の制御方法
JP6982127B2 (ja) 2020-04-20 2021-12-17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227A (en) * 1981-03-12 1982-09-17 Nec Corp Buffer circuit
US4477741A (en) * 1982-03-29 1984-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output impedance for 3-state drivers
JPS5942690A (ja) * 1982-09-03 1984-03-09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4527081A (en) * 1983-02-11 1985-07-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cretary Of The Army Overshoot predriven semi-asynchronous driver
US4785201A (en) * 1986-12-29 1988-11-1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igh speed/high drive CMOS output buffer with inductive bounce suppression
US4820942A (en) * 1988-01-27 1989-04-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High-speed, high-drive output buffer circuits with reduced ground bounce
US5046048A (en) * 1988-07-15 1991-09-0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output buffer
US5063308A (en) * 1988-12-21 1991-11-05 Intel Corporation Output driver with static and transient parts
KR920002426B1 (ko) * 1989-05-31 1992-03-23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집적회로의 출력버퍼회로
JPH03121617A (ja) * 1989-10-04 1991-05-23 Nec Corp Cmos集積回路
US5039874A (en) * 1990-03-15 1991-08-1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n integrated-circuit output pad
US5241221A (en) * 1990-07-06 1993-08-31 North American Philips Corp., Signetics Div. CMOS driver circuit having reduced switching noise
US5122690A (en) * 1990-10-16 1992-06-16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face circuits including driver circuits with switching noise reduction
US5124579A (en) * 1990-12-31 1992-06-23 Kianoosh Naghshineh Cmos output buffer circuit with improved ground bounce
JP2680936B2 (ja) * 1991-02-13 1997-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2373A3 (ko) 1995-01-11
JPH0547185A (ja) 1993-02-26
EP0532373B1 (en) 1999-06-02
EP0532373A2 (en) 1993-03-17
DE69229315D1 (de) 1999-07-08
JP3118472B2 (ja) 2000-12-18
DE69229315T2 (de) 1999-09-30
US5517129A (en) 1996-05-14
KR930005347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21B1 (ko) 출력회로
US4983860A (en) Data output buffer for use in semiconductor device
US4766572A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KR100328161B1 (ko) 집적 회로 메모리
JPH05290581A (ja) プレチャージ用出力ドライバ回路
US5563835A (en) Sense amplification in data memories
EP0639000B1 (en) Flip-flop type amplifier circuit
US482745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646902A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low power dissipation
JPH09231767A (ja)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EP0259862B1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improved write function
US5051955A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data readout scheme
KR950005171B1 (ko) 전류 미러 증폭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US6385108B2 (en) Voltage differential sensing circuit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1118388A (ja) バッファ回路
EP0855719A1 (en) Semiconductor device
US4825410A (en)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US480055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set signal generating circuit
US4202045A (en) Write circuit for a read/write memory
EP0357503A2 (en)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aving bipola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tructure
JPS63300496A (ja) 出力回路
US5963501A (en) Dynamic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JP2557835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初段制御回路
JPS62271296A (ja) 半導体集積回路
KR96000353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변환 감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83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