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810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10B1
KR970004810B1 KR1019940007806A KR19940007806A KR970004810B1 KR 970004810 B1 KR970004810 B1 KR 970004810B1 KR 1019940007806 A KR1019940007806 A KR 1019940007806A KR 19940007806 A KR19940007806 A KR 19940007806A KR 970004810 B1 KR970004810 B1 KR 97000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magnetic flux
compressor
movable member
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기무라
히로아끼 가유까와
겐지 다께나까
요시히로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이소까이 찌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873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78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9121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65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166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05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이소까이 찌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04Position of a rotating inclined plate
    • F04B2201/12041Angula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06Rotational speed of a rotating inclined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가동 부재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제4도는 가동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5도는 가동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가동 부재의 다른 예의 부분측 단면도.
제7도는 가동 부재의 다른 예의 부분 측단면도.
제8도는 전방 하우징의 일부 절단 측면도.
제9도는 검출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10도는 검출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11도는 제9도의 회로 각 부의 신호 파형도를 도시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럭 2 : 전방 하우징
3 : 후방 하우징 4 : 밸브판
5 : 크랭크실 6 : 전자 클러치
7 : 구동축 8,8A : 회전체(가동부재)
8a : 외주면 8b : 절취부
8c : 돌출편 11 : 회전 경사판
90 : 차동 증폭기 91 : 비교기
14 : 관통 볼트(체결구) 18 : 검출기
18a,18b : 검출 코일 120 : 영구 자석
120a : 자극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 검출 기구를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기밀 구조가 요구되는 유체 압축기, 특히, 차량의 공기 조화용으로 제공되는 냉매 압축기가 녹아 붙거나 액압축 등의 원인에 의해 회전 불능 상태에 빠진 경우에는, 신속하게 동력원(엔진)으로의 동력 전달계를 차단하여, 차량 구동 요소의 파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워터 펌프, 교류기(alternator)등 다른 보조 기구와 동일한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이상의 발생과 동시에, 전자 클러치를 오프로 하여, 상기한 다른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종래의 압축기에는 회전수 검출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되면 전자 클러치를 오프해서 동력원으로부터의 입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상기한 회전수 검출 기구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헤이세이 3-68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요동판형 압축기의 고안은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이 주축 및 베어링의 레이스를 경유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회로와, 케이스에 설치된 검출기(자기 픽업)를 가지며, 레이스에 설치된 돌기부가 검출기의 전방면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자속의 변화가 검출되었다.
한편, 일본국 실용 신안 공개 쇼와 58-739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벤형 압축기의 고안은 전자 클러치로부터 구동축, 로터(벤) 및 검출부의 철심으로 연결되는 자로가 형성되고, 이 검출부를 로터 또는 벤의 단면과 대향시키는 것에 의하여 동일하게 자속의 변화가 검출되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기밀구조가 요구되는 각종 압축기의 회전검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신호의 인출법, 검출기의 설치 스페이스, 출력 신호의 크기 등이 문제가 된다. 즉, 본체 케이스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검출기가 설치되면, 필연적으로 설치부의 기밀 유지 수단이 따르게 되며, 또한 기기 외부의 주축 부분이나 주축과 함께 구동하는 폴리 등으로 회전 검출을 하는 경우에는 검출기의 설치 부분의 확보가 매우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본체 케이스를 투과하는 자속의 변화를 기기 외부에서 포착하려면, 당연히 검출기의 출력 신호가 미약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평가를 하면, 상술한 종래의 회전수 검출 기구는 어느 것이나 기밀 유지 수단을 요하는 점에서 경제적인 불이익을 피할 수 없고, 더욱이 전자의 구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검출기와 전자 클러치 사이의 개방 공간 영역은 폐쇄된 자기 회로의 형성을 크게 방해하고 있고, 검출 감도가 매우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또한 기기내의 각종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근거한 전자 클러치의 자속 변화를 신호 전압으로 하여 검출하는 회전 검출기에 있어서, 전자 클러치의 전류 변화에 따른 자속 변화에 의한 노이즈 전압이 필연적으로 상기 신호 전압과 중첩된다. 이 결과, SN비의 열화 또는 오신호 등의 발생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 보존이 필요하지 않은 간편한 구조에 더해서 충분한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는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 기구를 갖추고, 특히 차량 공기 조화용으로 제공하는데 가장 적합한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의 변화로서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의 검출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외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기밀적으로 결합하는 체결구와, 본체에 설치된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동력원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함께 구동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가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순환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을 통하여 체결구와의 사이에 자속 변화를 일으킴과 동시에, 자기 회로중의 기기 외부 부분에 설치된 검출기로 자속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외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기밀적으로 결합하는 체결구와, 본체에 설치된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동원력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함께 구동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가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외주부에 영구 자석이 매설되고, 영구 자석의 자극의 회전 궤적을 상기 체결구에 근접시켜, 영구 자석으로부터 체결구를 투과하는 자속에 주기 변화를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의 기기 외부 부분 근처에 설치된 검출기로 자속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외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기밀적으로 결합하는 체결구와, 본체에 설치된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동원력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함께 구동하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 변화를 신호 전압으로서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며, 가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자속 변화를 상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서 검출하는 1쌍의 검출 코일과, 상기 두 신호 전압의 차를 검출하여 상기 두 신호 전압의 차에 의거하여, 가동 부재의 회전수와 회전각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주기 운동은 회전하는 가동 부재의 체결구에 대한 거리 변화에 따라서 일어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검출기는 체결구의 헤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또한 전자 클러치의 고정자 부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이한 영구 자석은 가동 부재의 외주면에서 돌출하는 형태로 매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누설 자속은 각각 고투자성의 상기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상기 체결구의 외부 단부를 지나 상기 전자 클러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두 검출 코일은 상기 두 체결구의 외부 단부 근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와 체결구 사이의 틈새의 자기 저항의 변화에 따른 상기 누설 자속의 변화에 의한 신호 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가동 부재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한 거리를 단축하여 상기 누설 자속을 증가시키는 돌출편이 형성된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이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기밀하게 폐쇄된 순환 자기 회로가 형성되고, 더욱이 체결구에 대해 가급적 근접 설치된 가동 부재의 주기운동을 통하여 안정된 자속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가동 부재상의 영구 자석이 체결구와 간헐적으로 근접하여 마주하기 때문에, 영구 자석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여 체결구를 투과하는 자속에 주기 변화가 발생되고, 더욱이 자속의 변화량은 상술한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을 이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현격하게 크고, 유도 전압(출력 신호)도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따라서, 체결구의 헤드부나 전자 클러치의 고정자 부분과 같이, 기기 외부의 자기 회로중에 간단한 검출기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높은 감도로 정확하게, 자속 변화를 포착할 수 있게 되어, 압축기의 회전 이상을 착오 없이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검출 코일이 압축기 내부의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한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변화를 신호 전압으로서 검출한다. 단, 두 검출 코일의 자속 변화를 상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서 검출한다. 검출 회로는 두 신호 전압의 차를 검출하고, 두 신호 전압의 차에 의거해서 가동 부재의 회전수와 회전각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상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 설치된 1쌍의 검출 코일에 위해 가동 부재의 주기운동에 의한 전자 클러치의 주기 운동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 변화를 신호 전압으로서 개별적으로 검출한다. 이 결과, 1쌍의 검출 코일의 신호 전압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한편, 전자 클러치의 전류 변동에 따라서 두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노이즈 전압은 동일한 위상으로 된다. 따라서, 두 신호 전압은 상쇄되고. 신호 전압만이 추출되어서 고정도의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의 검출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은 각각 고투자성의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체결구의 외부 단부를 지나 전자 클러치로 복귀된다.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해 가동 부재와 체결구 사이의 틈새의 자기 저항이 변화하여, 상기 누설 자속의 양이 주기 변화한다. 두 체결구의 외부 단부 근처의 1쌍의 검출 코일은 이러한 누설 자속의 변화에 의해 신호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 부재의 내부 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저하시키는 것없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가동 부재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 체결구에 대한 거리를 단축하여 누설 자속을 증가시키는 돌출편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누설 자속 변화를 가파르게 함으로써 큰 신호 전압이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압축기의 주체를 이루는 실린더 블록(1)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 하우징(2)이 결합되며, 후방 단부에는 흡입실(3a) 및 토출실(3b)이 형성된 후방 하우징(3)이 밸브판(4)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 부재인 실린더 블럭(1), 전방 하우징(2) 및 후방 하우징(3)에 의하여 본체가 구성된다. 그래서 전방 하우징(2)내에 형성된 크랭크실(5)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전자 클러치(6)를 통하여 엔진에 연결된 구동축(7)이 끼워지고, 이 구동축(7)은 실린더 블럭(1) 및 전방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 크랭크실(5)의 구동축(7)상에는 회전체(8)가 고정 설치되고, 이 회전체(8)의 후면측으로 연장한 지지아암(9)의 선단부에는 장공(9a)에는 핀(10)이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며, 이 핀(10)에는 회전 경사판(11)이 경사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회전체(8)의 후단에 인접한 구동축(7)상에는 슬리브(12)가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슬리브(12)의 좌우 양측에는 돌출된 추축(12a)이 회전 경사판(11)의 도시하지 아니한 결합공에 삽입되며, 회전 경사판(11)은 추축(12a) 주위에서 경사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회전 경사판(11)의 후단측에는 요동판(13)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바깥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 안내부(13a)가 관통 볼트(14)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자전이 억제됨과 동시에, 실린더 블럭(1)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보어(15)내에 피스톤(16)과 요동판(13)은 로드(17)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축(7)의 회전 운동이 회전 경사판(11)을 통하여 요동판(13)의 전후 요동 운동으로 변환되고, 피스톤(16)이 보어(15)내에서 직선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흡입실(3a)로부터 보어(15)내로 흡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되면서 토출실(3b)로 토출된다.
전자 클러치(6)는 전방 하우징(2)의 보스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벨트를 통하여 엔진과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회전자(61)와, 회전자(61)의 환형상 홈내에 수납 고정된 전자 코일(62)을 내장한 고정자(63)와, 회전자(61)의 동력 전달 마찰면에 대향 설치된 원판 형상의 아마츄어(64)와, 완충제(65)를 통하여 아마츄어(64)를 구동축(7)에 결합하는 허브(66)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된다.
구동축(7) 및 관통 볼트(14)(본 발명에서 언급된 체결구)와 함께 강자성체(철계 금속)에 의해 형성된 상기 회전체(8)(본 발명에서 언급된 가동 부재)는 원판 형상의 외주면(8a)이 관통 볼트(14)와 가급적 근접하도록 조정되고, 이에 따라 전자 클러치(6)로부터의 누설 자속이 구동축(7), 회전체(8) 및 관통 볼트(14)에 순차적으로 통하게 되어, 기밀한 순환 자기 회로가 형성되며, 또한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으로부터 전자 클러치(6)로 복귀하도록 누설 자기 회로가 형성되며, 회전체(8)의 동일한 외주면(8a)에는 후술하는 자속 변화를 일으키게 하기 위한 4개의 절취부(8b)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자(63)와 근접 대향하는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에는 와셔(19)로 고정 설치된 검출기(픽업 코일)(18)가 헤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가동 부재는 이것의 주기 운동을 통하여 체결구와의 사이에 노이즈가 없는 명확한 자속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회전체(8A)와 같이 그 자체의 밸런스 조절을 위해 완전한 원형상의 외주면을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회전체(8A)를 지지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의 회전측 레이스(20)를 확장시켜서, 이것의 주위 가장자리 부분에 원형의 고리 형상의 플랜지부(20a)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20a)를 포함하는 절취부(20b)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전자 클러치(6)가 온되어서 동력원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구동축(7)이 회전되면, 회전체(8) 및 회전 경사판(11)의 회전 운동이 요동판(13)의 전후 요동으로 변환되어 피스톤(16)이 보어(15)내를 왕복 운동하므로서 압축이 개시된다.
이때, 전자 클러치(6)로부터의 누설 자속은 구동축(7), 회전체(8) 및 관통 볼트(14)로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기밀하게 폐쇄된 순환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체(8)의 외주면(8a)에 형성된 절취부(8b)가 관통 볼트(14)와 마주하는 동안, 이 관통 볼트(14)를 통하게 되는 자속은 일시적으로 감소되고, 외주면(8a)이 마주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면 통과되는 자속도 다시 증가하여 복원된다.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기(18)는 이와 같은 자속 변화에 의거해서 전압 펄스를 발생하고, 이 펄스의 수를 연산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물론, 펄스수의 극단적인 감소나 두절과 같은 이상 발생시, 곧바로 전자 클러치(6)를 오프시켜, 압축기와 함께 다른 보조 기기의 손상 방지를 도모하는 회로 구성이 부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제2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검출기(18)의 설치 위치를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과 대향하는 전자 클러치(6)의 고정자(63)측으로 이동 변환시킨 것으로서, 자속 변화를 검출하는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회전체(8)의 원판 형상 외주부에는 4개의 영구 자석(120)이 등간격으로 매설되어 고정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이 영구 자석(120)의 자극(외단)(120a)의 회전 궤적은 관통 볼트(14)와 가급적 근접되도록 조정되고, 회전체(8)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전극(120a)으로부터 발생해서 간헐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관통 볼트(14)를 투과하는 자속에는 명확한 주기 변화가 발생된다. 또한, 기기 외부로 노출된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에는 와셔(19)에 고정 설치된 검출기(18)가 헤드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압축기의 압축이 개시되면, 구동축(7)과 함께 구동하는 회전체(8)상의 영구 자석(120)이 관통 볼트(14)와 간헐적으로 근접해서 마주되기 때문에, 이 영구 자석(120)의 자극(120a)으로부터 관통 볼트(14)를 투과하는 자속에는 명확한 주기 변화가 발생된다.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기(18)는 이와 같은 자속 변화에 따라서 전압 펄스를 발생하고, 이 펄스의 수를 연산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펄스수의 극단적인 감소나 두절과 같은 이상의 발생시, 곧바로 클러치 기구를 오프시켜, 압축기와 함께 다른 보조 기기의 손상 방지를 도모하는 회로 구성이 부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영구 자석(120)은 이것을 강자성재(철계 금속)로 이루어진 회전체(8)에 완전히 매설되면 자극(120a)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회전체(8)로 통하여서, 검출에 기여하는 자속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경우는 회전체(8)를 비자성재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영구 자석(120)의 주영역을 비자성재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회전체(8)의 외주면에는 자속 변화를 일으키키 위하여 돌출편(8c)이 원심 방향으로 1개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고정자(63)와 근접 대향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 볼트(14)의 헤드 부분에는 와셔(19)로 고정 설치된 검출 코일(18a,18b)이 헤드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압축기의 압축이 시작되면, 전자 클러치(16)로부터의 누설 자극은 구동축(7), 회전기체(8) 및 관통 볼트(14)로 순차적으로 통해, 각 검출 코일(18a,18b)과 연쇄적으로 통하여서 전자 클러치(6)로 복귀한다.
회전체(8)의 돌출편(8c)이 검출 코일(18a)이 감겨진 관통 볼트(14)에 접근하면, 검출 코일(18a)과 연쇄적으로 통하는 누설 자속량(ΦL1)은 증대하고, 역으로 멀어지면 자속량(ΦL1)이 감소하여, 검출 코일(18a)에는 1싸이클분의 신호 전압(Vs2)이 유도된다. 회전 각도에서 60°의 위상차가 있는 타이밍에서, 검출 코일(18b)이 감겨진 관통 볼트(14)에도 동일한 누설 자속(ΦL2)의 변화가 생겨, 이에 의해 검출 코일(18b)에도 신호 전압(Vs2)이 유도된다. 따라서, 신호 전압(Vs1)은 신호 전압(Vs2)보다 60°의 위상이 앞서게 된다.
이러한 검출 코일(18a,18b)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신호 전압(Vs1,Vs2)의 방향이 역으로 되도록 직렬 접속되고, 이것들의 양단이 차동 증폭기(90)의 출력 전압이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는 비교기(91)에서 2개의 값으로 되어서, 신호 펄스 전압(Vo)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6)의 전류 변화값(△Ⅰ)에 의해 2개의 검출 코일(18a,18b)에 각각 유도되는 동일한 위상의 노이즈 전압(Vn)은 상쇄되고, 두 신호 전압(Vs1,Vs2)의 차이 성분만이 비교기(91)에서 2개의 값으로 되어, 동일 위상의 노이즈 전압(Vn)에 의한 SN비 저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비교하여, 단지 1개의 검출 코일(18a)의 신호 전압(Vs1)을 2개의 값으로 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전압(Vn)의 중첩에 의해 신호 전압 성분(Vs1′)이 한쪽 방향으로 레벨 변이(shift)하여 2개의 값으로 하는 때의 노이즈 여백(margin)이 감소하게 된다. 차동 증폭기(90) 및 비교기(91)는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검출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검출 코일(18a,18b)은 동일한 관통 볼트(14)외에 어떠한 관통 볼트(14)의 조합으로도 좋으나, 가급적 근접하는 한 쌍의 관통 볼트(14)에 권취되는 것이 클러치 이외의 외부 자기 노이즈를 상쇄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펄스 전압(Vo)에 의해 결정되는 1싸이클 기간을 시간 분할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각도 또한 검출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신호 펄스 전압(Vo)을 카운트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물론, 펄스수의 극단적인 감소나 두절과 같은 이상 발생시에, 곧바로 전자 클러치(6)를 오프시켜, 압축기와 함께 다른 보조기기의 손상 방지를 도모하는 회로 구성이 부가되어 있음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신호 전압 발생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검출 코일(18a,18b)의 일단을 접지시키고, 타단을 차동 증폭기(90)의 두 입력단에 접속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해도 동일 위상의 노이즈 전압을 상쇄시켜, 두 신호 전압(Vs1,Vs2)의 차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외에, 각 검출 코일(18a,18b)의 신호 전압을 개별적으로 상이한 앰프에서 증폭한 후, 그 차이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는 요동판형 압축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구동축에 밀접 결합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강자성재를 경사판식 압축기에 사용되고 있는 비자성재(알루미늄 합금)로 이루어진 경사판의 일부에 매설하고, 이것의 바깥 단면을 관통 볼트와 마주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가 있고, 또한 벤형 압축기에 있어서, 각각 강자성재로 되는 구동축, 로터, 벤 및 관통 볼트에 의해 동일한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설계사양의 관계로부터 관통 볼트의 헤드 부분과 자기 클러치의 고정자와의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볼트 헤드 부분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간격을 교정하거나, 고정자 부분에 볼트 헤드 부분을 향하여 연장하는 보완편을 설치하여, 기밀한 자기 결합에 따른 검출 출력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판식 압축기에 사용되고 있는 경사판의 최대 경사 외주면에 영구 자석을 매설하여, 이것의 자극의 관통 볼트와 마주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가 있고, 구동축과 함께 구동하는 가동 부재로서, 외주면에 매설된 영구 자석을 기구내로 연장하는 체결구와 근접 마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사양의 압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다음에 기술되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1) 본체의 체결구를 포함한 누설 자속의 순환 자기 회로를 형성하므로, 검출기의 기기 외부의 설치가 가능해져서, 설치의 간편화와 함께 구조를 매우 간소화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밀확보를 위한 케이스 부재나 철심 영구 자석 등을 일체 생략할 수가 있다.
(2) 검출기의 케이스 부재 등에 의해 방해받음이 없이 가동 부재(또는 영구 자석)와 체결구의 마주하는 부분에서 자속 변화가 발생되므로 마주하는 간격을 가급적 적게 설정할 수 있어 검출 각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3) 검출기를 관통 볼트의 헤드 부분에 설치한 것에 의하여 본체의 결합과 검출기의 설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4) 검출기를 전자 클러치의 고정자에 장착한 것에 의하여, 검출기와 전혀 관계없이 압축기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5) 본체의 체결구와 회전하는 영구 자석의 간헐적인 대면에 의하여 체결구를 투과하는 자속에 주기 변화가 일어나는 것에 의하여, 체결구의 누출 부분을 이용하는 검출기의 기기 외부 설치가 가능하므로, (1)과 같은 효과를 또한 실현될 수 있다.
(6) 상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 설치된 1쌍의 검출 코일에 의해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한 전자 클러치의 주기 운동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 변화를 신호 전압으로서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1쌍의 검출 코일의 신호 전압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는 한편, 전자 클러치의 전류 변동에 따라서 두 검출 코일에 유도되는 노이즈 전압은 동일한 위상으로 되므로, 두 신호 전압은 상쇄되고, 신호 전압만이 추출되어서 고정도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의 검출이 실현될 수 있다.
(7) 전자 클러치의 누설 자속은 각각 고투자성의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를 차례로 통하여, 체결구의 외부 단부를 지나 전자 클러치로 복귀하고,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해 가동 부재와 체결구 사이의 틈새의 자기 저항이 변화하여, 상기 누설 자속의 양이 주기 변화하고, 두 체결구의 외부 단부 근처의 1쌍의 검출 코일은 이러한 누설 자속의 변화에 의해 신호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동 부재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는 체결구에 대한 거리를 단축하여 누설 자속을 증가시키는 돌출편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누설 자속 변화를 가파르게 함으로써 큰 신호 전압이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본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외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를 기밀적으로 결합하는 체결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동력원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구동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유체의 압축을 행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자속을 상기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순환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을 통하여 상기 체결구와의 사이에 자속 변화를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중의 기기 외부 부분에 설치된 검출기로 자속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자 클러치를 통하여 상기 동원력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클러치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상기 구동축이 가동 부재 및 체결구에 순차적으로 통하여서 순환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의 주기 운동을 통하여 상기 체결구와의 사이에 자속 변화를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자기 회로중의 기기의 부분에 설치한 검출기로 자속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운동이 회전하는 가동 부재의 체결구에 대한 거리 변화에 따라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가 상기한 체결구의 헤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가 상기 전자 클러치의 고정자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외주부에 영구 자석을 매설하고, 상기 영구 자석의 회전 궤적을 상기 체결구에 근접시켜, 상기 영구 자속으로부터 상기 체결구를 투과하는 자속에 주기 변화를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의 기기 외부 부분 근처에 설치된 검출기로 자속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것을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가동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체결구의 헤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가속 변화를 상이한 회전 각도 위치에서 검출하는 1쌍의 검출 코일과, 상기 두 신호 전압의 차를 검출하여 상기 두 신호 전압의 차에 의거하여 가동 부재의 회전수 및 회전 각도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자속은 각각 고투자성의 상기 구동축, 가동 부재 및 체결구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상기 체결구의 외단부를 지나 상기 전자 클러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두 검출 코일은 상기 두 체결구의 외단부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 부재의 주기 운동에 의한 상기 가동 부재와 체결구 사이의 틈새의 자기 저항 변화에 따른 상기 누설 자속의 변화에 반응하는 신호 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한 거리를 단축하여 상기 누설 자속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19940007806A 1993-04-14 1994-04-14 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87368 1993-04-14
JP5087368A JP2687835B2 (ja) 1993-04-14 1993-04-14 圧縮機
JP93-91219 1993-04-19
JP09121993A JP3296512B2 (ja) 1993-04-19 1993-04-19 圧縮機
JP93-166832 1993-07-06
JP5166832A JPH0727058A (ja) 1993-07-06 1993-07-06 圧縮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10B1 true KR970004810B1 (ko) 1997-04-04

Family

ID=2730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806A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810B1 (ko) 1993-04-14 1994-04-14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40560A (ko)
KR (1) KR970004810B1 (ko)
DE (1) DE441257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944A (ja) * 1995-05-26 1996-12-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09317628A (ja) * 1996-05-31 1997-12-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H1016541A (ja) * 1996-06-27 1998-01-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ビスカスヒータ
DE19625947C1 (de) * 1996-06-28 1997-09-18 Uraca Pumpen Verfahren zur Störungsfrüherkennung an Pumpen sowie entsprechende Vorrichtung
DE19706066A1 (de) * 1997-02-17 1997-11-20 Hans Dipl Ing Unger Kompressor, insbesondere für die Drucklufterzeugung in Kraftfahrzeugen
FR2762876B1 (fr) 1997-03-03 2002-03-22 Luk Fahrzeug Hydraulik Compresseur notamment pour la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H10306774A (ja) * 1997-03-03 1998-11-17 Luk Fahrzeug Hydraulik Gmbh & Co Kg 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用圧縮機
DE19900926B4 (de) * 1998-01-28 2015-01-22 Magna Powertrain Bad Homburg GmbH Pumpe
DE19859368C2 (de) * 1998-12-22 2003-09-25 Luk Fahrzeug Hydraulik Kompressor
JP2000249160A (ja) * 1999-03-01 2000-09-12 Sanden Corp 動力伝達機構
US6622986B2 (en) * 2000-06-27 2003-09-23 Siemens Canada Limited Regulator valve with spacing chamber
EP1281864A1 (en) * 2001-08-03 2003-02-05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A wobble plate arrangement for a compressor
US6955046B1 (en) 2002-11-07 2005-10-18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tuation of axle driving apparatus
US7165398B1 (en) 2002-11-07 2007-01-23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tuation of axle driving apparatus
US7073330B1 (en) 2003-10-15 2006-07-11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Steering system for a hydrostatic drive apparatus
EP1691074B1 (en) * 2004-12-22 2007-10-10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ya Compressor
JP2007024257A (ja) * 2005-07-20 2007-02-01 Nippon Soken Inc 電磁クラッチ付回転機
JP4803027B2 (ja) * 2006-12-29 2011-10-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
DE102014209894A1 (de) * 2014-05-23 2015-11-26 Mahle International Gmbh Axialkolbenmaschine
JP6868703B2 (ja) * 2017-03-24 2021-05-12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圧縮機
DE102017220256A1 (de) 2017-11-14 2019-05-16 Mahle International Gmbh Axialkolbenmaschine zur Regulierung einer Kraftfahrzeugklimatisierung
US11713237B2 (en) * 2020-07-14 2023-08-01 Paragon Tank Truck Equipment, Llc Liquid discharge system including liquid product pump having vibration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3738A1 (de) * 1977-12-02 1979-06-0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Winkelgeschwindigkeitsmesser
US4355959A (en) * 1979-10-26 1982-10-2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otation sensor of a swash-plate type compressor
JPS5664183A (en) * 1979-10-26 1981-06-01 Toyoda Autom Loom Works Ltd Driving force control device for compressor
DE3130338C2 (de) * 1980-08-26 1986-08-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Kariya, Aichi Unterbrechungskupplung zum Trennen eines Taumelscheibenkompressors von einem Antriebsaggregat
JPS60178985A (ja) * 1984-02-24 1985-09-12 Sanden Corp 回転数検出機能を有する圧縮機
JPS62117571U (ko) * 1986-01-20 1987-07-25
JPS62218670A (ja) * 1986-03-19 1987-09-26 Diesel Kiki Co Ltd 可変容量型揺動板式圧縮機
JPH0335891Y2 (ko) * 1986-09-04 1991-07-30
JPH0810230B2 (ja) * 1987-03-12 1996-01-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における回転検出装置
DE3801171C1 (en) * 1988-01-16 1989-05-18 Mtu Friedrichshafen Gmbh Device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shaft of an exhaust gas turbocharger
JP2715544B2 (ja) * 1989-05-10 1998-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検出装置
JP2532471Y2 (ja) * 1990-07-05 1997-04-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揺動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回転検出機構
JPH05263755A (ja) * 1992-03-23 1993-10-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流体機械
US5380161A (en) * 1992-12-11 1995-01-10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ariable capacity swash-plate compressor with electromagnetic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12570C2 (de) 1996-08-08
DE4412570A1 (de) 1994-10-20
US5540560A (en) 1996-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10B1 (ko) 압축기
KR940000212B1 (ko) 요동 경사판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용량 검출 장치
KR100212525B1 (ko) 압축기
US20080159878A1 (en) Compressor
US7785079B2 (en) Compressor and method of using compressor
KR0147885B1 (ko) 스크로울형 유체기계의 속도검출기
JP2687835B2 (ja) 圧縮機
US11143174B2 (en) Compressor
JP3296512B2 (ja) 圧縮機
KR102130409B1 (ko) 압축기
JPH0727058A (ja) 圧縮機
JPS60178985A (ja) 回転数検出機能を有する圧縮機
JPH0424662B2 (ko)
JP4652225B2 (ja) コンプレッサ
CN220354602U (zh) 一种阀装置
JPH0729733Y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212360803U (zh) 电子膨胀阀
JP3505250B2 (ja) インナーロータ型磁気軸受式ターボ分子ポンプ
JP2000249062A (ja) 圧縮機に接続される線状部品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2198516B1 (ko) 압축기
JP2000055694A (ja) 磁気センサー
JPH0253637B2 (ko)
JPH06102284A (ja) 圧縮機の回転検出器
JP2000102224A (ja) 揺動モ―タ及び揺動モ―タ位置調節方法
JPS58171673A (ja) 内燃機関の回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7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