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754Y1 -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54Y1
KR970004754Y1 KR2019940016788U KR19940016788U KR970004754Y1 KR 970004754 Y1 KR970004754 Y1 KR 970004754Y1 KR 2019940016788 U KR2019940016788 U KR 2019940016788U KR 19940016788 U KR19940016788 U KR 19940016788U KR 970004754 Y1 KR970004754 Y1 KR 970004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orizontal
fine adjustment
vertical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210U (ko
Inventor
선재권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김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김정국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6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54Y1/ko
Publication of KR960004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평면도
제 3 도는 수평미세조절기구의 상세도
제 4 도는 수직용접기구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부재 2 : 수평이동기구
3 : 윈치기구 4 : 용접수행기구
5 : 수직용접기구 6 : 수평미세조절기구
11, 12 : 레일 13, 14 : 로울러
15, 16 : 모터 21 : 케이블닥트
22 : 모터 23 : 롤러
31 : 와이어드럼 32 : 와이어
33 : 걸고리 41 : 후렉시블케이블
61 : 모터 62 : 밸트
63 : 나사봉 64, 65 : 축받침
66, 67 : 습동체 68 : 가이드
본 고안은 수직용접기구를 사용하여 임의의 부분을 수직용접하되 여러부분을 동시다발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수직용접기구라 하면 노동력을 절감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안정된 용접결과를 얻고자 고안된 것으로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그 구성을 보면 용접을 하고자 하는 벽체의 일측에 전자마그네틱으로 부착 고정이 가능한 수직의 레일 및 래크(a)가 있고, 이 레일 및 래크를 따라 승강하도록된 승강체(b)가 있으며, 이 승강체에는 용접토치(c)가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승강체(b)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d)과 호스(e) 등이 콘트롤 박스(f)로부터 연결되어 있어 상기한 승강체(b)가 래크와 그 속에 내장된 피니언에 의해 레일을 따라 상승하면 용접토치(c)는 미리 겨냥된 용접부분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해 용접작업을 한다 하더라도 제 1 도의 가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곳을 용접해야 하는 블럭체의 경우 일일이 들어 다음 장소로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그때마다 조정을 해야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 개선을 시도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여러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그 이동을 인력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동력기구를 사용하여 신속,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좌, 우양측의 레일상에서 각각의 모터로 자전가능한 로울러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 후이동이 가능한 수평부재와 상기한 수평부재의 양측 I 빔에 얹힌 로울러를 모터가 구동시킴에 따라 좌, 우이동이 가능하면서 케이블닥트로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둘이상의 수평이동기구와 상기한 수평 이동기구의 하반부에 탑재하되, 그 아래의 용접장비를 견인 하기 위해 와이어 드럼과 와이어와 걸고리로 이루어진 윈치기구와 상기한 윈치기구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되 상기한 수평이동 기구로부터 후렉시블케이블로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좌, 우 양측에서 와이어에 매달아놓은 한쌍의 수직용접기구와 그 각각의 수직용접기구가 갖는 가이드위치를 미세조절할 수 있는 수평미세조절기구를 포함하는 용접수행기구로 구성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개진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볼 수 있는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부분에 있는 수평미세조절기구의 구성도이다.
제 1 도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수평부재(1)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는 좌측의 레일(11)과 우측의 레일(12)을 따라 전, 후 이동가능하도록 하므로써 그 아래의 작업위치에 옮겨진 모든 블록체(g)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바, 좌, 우양측에는 각각의 레일위에 얹힐 로울러(13)(14)와 이 로울러들을 구동시킬 모터(15)(16)가 있다.
상기의 수평부재(1)는 제 2 도인 평면도에서 보듯이 사실상 한쌍의 I 빔(1a)과 이들을 연결, 구속하는 보조부재(1b)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I 빔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평이동기구(2)가 탑재되어 좌, 우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평이동기구(2)는 후렉시블한 케이블닥트(21)로써 이동이 있어도 계속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모터(22)와 롤러(23)로써 좌, 우 이동능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수평이동기구(2)에는 윈치기구(3)가 마련되어 있다. 즉, 수평이동기구의 하반부에 와이어드럼(31)과 와이어(32)와 그 와이어끝단의 걸고리(33)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는 용접수행기구(4)가 매달려질 것이다.
용접수행기구(4)는 상기한 수평이동기구(2)로부터 후렉시블 케이블(41)로 전원을 공급받으며, 한쌍의 수직용접기구(5)를 포함할 것인데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마그네틱으로 된 레일과 래크, 그리고 승강체, 용접 토치, 이들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박스, 연결케이블 등으로 이루어진 일체가 수평 미세조절기구(6)를 통해 연결될 것이다.
상기한 수평미세조절기구(6)는 제 3 도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이는 용접수행기구(4)의 베이스판(42)상에 모터(61)를 장착하고, 밸트(6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나사봉(63)을 양측의 축받침(64)(65)으로 설치하되, 상기의 나사봉(63)은 일측이 왼나사(63a)로 타측이 오른나사(63b)로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나삽된 각각의 습동체(66)(67)가 나사봉(63)이 회전할 경우 가이드(68)를 따라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수직용접기구(5)는 이 각각의 습동체의 아래로 취부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h는 지지기둥이고, g는 블록체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용접대상물인 블록체(g)가 지정된 작업장 즉, 수평부재(1)의 하방에 도착되면 작업자는 리모콘으로 모든 기구들을 조작하되, 먼저 둘이상 마련된 각각의 수평이동기구(2)를 용접하고자하는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윈치기구(3)의 와이어(32)를 풀어 각각의 용접수행기구(4)를 원하는 높이로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조작한 다음에는 용접수행기구(4)의 수직용접기구(5) 중에서 레일과 래크(a)를 용접하고자하는 측편에 전자마그네틱으로써 부착시켜주고, 용접을 지시하면 승강체(b)가 그 레일을 따라 하강하면서 용접부위를 일률적으로 깨끗이 용접하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은 각각의 용접수행기구(4)에 있는 다수의 수직용접기구(5)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며, 이때, 레일 및 래크(a)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고자 할 때는 제 3 도에서 보듯이 수평미세조절기구(6)의 모터(61)를 구동시켜 밸트(62)로 하여금 나사봉(63)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왼나사(63a) 및 오른나사(63b)에 나삽된 각각의 습동체(66)(67)가 좌로 혹은 우로 움직여 수직용접기구(5)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부작업이 끝나면 다시 용접수행기구(4)를 상승시키고, 수평이동기구(2)를 윈위치 시킨 다음 다음차례의 블럭체(g)를 용접하고자 할 때는 전, 후로 깔린 레일(11)(12)을 따라 수평부재(1) 전체를 이동시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재차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복수로 마련한 수평부재(1)상의 수평이동기구(2)와 그 각각의 수평이동기구(2)마다 한쌍씩 구비된 수직용접기구(5)를 이용해 반복적인 용접을 요구하는 블록체(g)에 동시다발적으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번 용접한후 인위적으로 이동시키고, 그때마다 조정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에 비해 1인이 다수의 장비를 콘트롤하여 작업성이 좋고, 공기단축, 공수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과밀로드 집중의 분산화, 물류관리가 용이한점등 여러방면으로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좌, 우 양측의 레일(11)(12) 상에서 각각의 모터(15)(16)로 자전가능한 로울러(13)(14)에 의해 레일을 따라 전, 후이동이 가능한 수평부재(1)와; 상기한 수평부재의 양측 I 빔(1a)에 얹힌 로울러(23)를 모터(22)가 구동시킴에 따라 좌, 우이동이 가능하면서 케이블닥트(21)로 전원을 공급받는 적어도 둘이상의 수평이동기구(2)와; 상기한 수평이동기구의 하반부에 탑재하되, 그 아래의 용접장비를 견인하기 위해 와이어 드럼(31)과 와이어(32)와, 걸고리(33)로 이루어진 윈치기구(3)와; 상기한 윈치기구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되, 상기한 수평이 동기구로부터 후렉시블케이블(41)로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좌, 우 양측에서 와이어에 매달아놓은 한쌍의 수직용접기구(5)와, 그 각각의 수직용접 기구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수평미세조절기구(6)를 포함하는 용접수행기구(4)와; 로 구성하여 상기한 윈치기구(3)로써 용접수행기구(4)를 승, 하강시키고 그 각각의 용접수행기구에 매달린 다수의 수직용접기구(5)를 수평이동기구(2)와, 수평미세조절기구(6)로써 정위치 조정한 후 동시다발적으로 용접실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 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미세조절기구(6)는 용접수행기구(4)상에 마련하되, 우반부는 왼나사(63a)로, 좌반부는 오른나사(63b)로 형성되어 양측의 축받침(64)(65)에 지지된 나사봉(63)과; 상기의 나사봉에 모터(6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중단에 연결한 밸트(62)와; 상기한 각각의 왼나사(63a)와 오른나사(63b)에 나삽된체 나사봉(63)이 회전하면 가이드(68)를 따라 좌, 우이동할 습동체(66)(67)와; 로 구성한후, 상기한 습동체에 수직용접기구(5)를 취부하여 나사를 이용해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 용접장치.
KR2019940016788U 1994-07-07 1994-07-07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788U KR970004754Y1 (ko) 1994-07-07 1994-07-07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788U KR970004754Y1 (ko) 1994-07-07 1994-07-07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10U KR960004210U (ko) 1996-02-14
KR970004754Y1 true KR970004754Y1 (ko) 1997-05-19

Family

ID=193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788U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754Y1 (ko) 1994-07-07 1994-07-07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16B1 (ko) * 2007-12-03 2009-02-12 지엠케이이엔지(주) 절단장치
KR101218790B1 (ko) * 2010-03-16 2013-01-04 주식회사 디에스티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16B1 (ko) * 2007-12-03 2009-02-12 지엠케이이엔지(주) 절단장치
KR101218790B1 (ko) * 2010-03-16 2013-01-04 주식회사 디에스티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210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932B1 (ko) 회전형 패널작업대
US5464193A (en) Multi-functional wire and cable pulling apparatus
CN216730232U (zh) 一种龙门式多路数控焊机
US4553743A (en) Elevated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means in tapping converters
US5431246A (en) Device for displacing a gondola
KR970004754Y1 (ko) 수직용접기구를 이용한 다중용접장치
CN215681544U (zh) 一种输电线路检修机器人
JP5632641B2 (ja) 溶接装置
KR100724073B1 (ko) 승강 가능한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JP6418931B2 (ja) 高所作業車
CN110034507A (zh) 一种适用于电气开关柜中电流互感器的辅助拆装平台
JP2009201289A (ja) ケーブルの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US2627704A (en) Grinding apparatus
CN211254442U (zh) 一种码坯机
CN114932363A (zh) 臂架腹板拼焊定位装置和拼焊设备
US3391494A (en) Electrical control arrangement for a sandblasting machine
US4640383A (en) Movable staging scaffold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GB663379A (en) Arrangement for suspending and displacing an electric control box on a machine or apparatus
US2965094A (en) Sawing apparatus
JPH0630822B2 (ja) 多軸スポツト溶接装置
JPH05185222A (ja) 柱鉄骨仕口部の溶接装置
KR200389280Y1 (ko) 승강 가능한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CN222204597U (zh) 一种多层房屋建筑上料装置
DE3441299A1 (de) Fahrbares arbeitsgeruest
CN217833498U (zh) 一种发动机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7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7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1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1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3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