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707B1 -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 Google Patents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07B1
KR970004707B1 KR1019940032021A KR19940032021A KR970004707B1 KR 970004707 B1 KR970004707 B1 KR 970004707B1 KR 1019940032021 A KR1019940032021 A KR 1019940032021A KR 19940032021 A KR19940032021 A KR 19940032021A KR 970004707 B1 KR970004707 B1 KR 97000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e
locator
shock absorber
panel
base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428A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07B1/ko
Publication of KR96001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 구조에 대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 구조의 조립도.
제3도의 (a)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b)는 제2도의 B-B 선 단면도.
(c)는 제2도의 C-C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부 2 : 후단부
3 : 휠 하우스 베이스판넬 4 :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
5 : 댐퍼 로케이터 6 : 내부 판넬
7 : 외부 판넬 8 : 지지벽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휠 하우스(WHEEL HOUSE)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하우스의 성형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쇽 업소어버 로케이터(SHOCK ABSORBER LOCATOR)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휠 하우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 하우스는 차축에 연결된 현가 장치를 수용하여 차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쇽 업소오버가 결합되어 엔진 룸안의 앞 차체의 내판 구조물중의 일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구조물을 칭한다.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업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특히 승용차에 있어서는 승차감을 좌우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가 장치에는 쇽 옵소오버와 스프링이 그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 된다.
따라서, 휠 하우스는 현가 장치에 작용하는 힘, 즉 차량 자체의 중량 및 노면에서 받는 충격에 의한 상하방향의 힘과, 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 그리고, 제동력 및 차량이 곡선길을 주행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 등과 같은 수평 방향의 힘에 견딜 수 있는 강한 구조가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휠 하우스 구조는 전체가 일체(ONE PIECE)로 제작되어, 한 겹의 판넬로 된 차체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우선 휠 하우스 전체를 하나의 구조물로 성형시키는 작업이 무척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제작 비용도 많이 소용되며, 이러한 커다란 구조물을 성형시키는 데 필요한 성형기와 금형도 대형이어야 하므로 큰 프레스 기기를 요구하는 이외에도 대형 금형을 성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휠 하우스는 한 겹의 판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측면 충돌에 대해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휠 하우스의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하고, 그 제작이 극히 용이하게 하며, 구조적으로 측면 충돌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휠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휠 하우스 구조는, 앞 구조물과 뒤 구조물의 2조각(TWO PIECE)로 되어 있고, 휠 하우스 상부에 위치하는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는 내부 윗면에 강화된 댐퍼 로케이터(DAMPER LOCATOR)로 보강되어 있으며, 휠 하우스를 지지하는 부분이 내부 판넬(INNER PANEL)와 외부 판넬(OUTER PANEL)로 이루어져 이들 판넬이 서로 맞대어져 결합됨으로써 폐쇄형 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휠 하우스 구조는, 각 부분별로 제작한 후 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조립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큰 부품을 일체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제작이 까다롭지 않고 용이하며, 제작 비용도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의 상부가 강화 댐퍼 로케이터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휠 하우스 자체의 강도가 증가되어 비포장 도로나 과대 하중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휠 하우스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강도가 증가하여 상하 좌우 방향의 충격이나 하중에 잘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 구조의 분리 사시도로서, 선단부(1)와 후단부(2)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위에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4)가 설치되고, 이 로케이터(4) 내부 윗면에 강화된 댐퍼 로케이터(5)가 보강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과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4)가 내부 판넬(6)과 외부 판넬(7)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지지벽(8)에 고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판넬(7)도 선단 판넬(7a)과 후단 판넬(7b)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선후단 판넬(7a,7b)은 서로 간단하게 삽입 결합시키거나 용접으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휠 하우스 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조립도에서와 같은 형태로 결합되어지는 바,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각각의 부품들이 결합되어 휠 하우스 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로서, 강화된 내부 판넬(6)과 외부 판넬(7)이 서로 접합되어 4각형 모양의 폐단면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각형 단면은 판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종방향에 대한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 구조물에 설치되는 휠 하우스를 보다 강하게 고정 지지하여, 현가 장치가 받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힘과 충격을 충분하게 지탱할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도의 (b)는 제2도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 위에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4)가 설치되고, 이 로케이터(4) 아래 내부 윗면에 다시 댐퍼 로케이터(5)가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보강해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과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4)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8)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로케이터(4)와 베이스 판넬(3)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벽(8)이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4)와 댐퍼 로케이터(5)에 지지되는 쇽 업소우버와 댐핑 스프링을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력을 상기 지지벽(8)이 충분하게 지지해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을 이루는 선단부(1)와 후단부(2)의 결합과 지지벽(8)의 결합,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판넬(3)과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4) 및 댐퍼 로케이터(5)를 지지벽(8)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용접으로 하거나 보울트 조임에 의한 연결 또는 간단한 끼움 구조에 의한 결합구조로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 조립 구조는, 비교적 큰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과 지지벽을 이루는 외부 판넬을 2개의 조립체로 구성시켜 이들을 각각 제작하여 간단하게 조립시킴으로써,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게 되고 제작 비용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가 보강되어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거나, 많은 승객 또는 하중을 싣고 주행하여도 현가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차량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며, 이 현가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벽의 구조가 폐단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차량이 튼튼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과 쇽 업소오버 로케이터 및 이들 베이스 판넬과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벽으로 이루어진 휠 하우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스 베이스 판넬(3)이 선단부(1)와 후단부(2)로 이루어져 서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판넬(3)과 쇽 업소우버를 지지하는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4)가 부착 지지되는 상기 지지벽(8)이 내부 판넬(6)과 외부 판넬(7)로써 구성되고, 이들 내외부 판넬(6,7)이 서로 폐단면을 이루도록 맞대어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휠 하우스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우버 로케이터(4)의 내부 윗면에 댐퍼 로케이터(5)가 보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휠 하우스 조립 구조.
KR1019940032021A 1994-11-30 1994-11-30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Expired - Lifetime KR97000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021A KR970004707B1 (ko) 1994-11-30 1994-11-30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021A KR970004707B1 (ko) 1994-11-30 1994-11-30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28A KR960017428A (ko) 1996-06-17
KR970004707B1 true KR970004707B1 (ko) 1997-04-02

Family

ID=1939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021A Expired - Lifetime KR970004707B1 (ko) 1994-11-30 1994-11-30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28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6891A (ko) 차체 결합 구조
KR970004707B1 (ko) 휠 하우스 조립 구조(Structure of wheel house assembly)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KR100369126B1 (ko)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KR200171468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임팩트 빔 보강구조
KR100387676B1 (ko) 차량의 센터필라 보강구조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31341A (ko)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KR0123501Y1 (ko) 차량의 전면 라디에이터 써포트용 프레임 구조
KR19980018092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100463407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지지체의 접합 구조
KR20020081932A (ko) 차량 센터필라의 보강구조물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0150168B1 (ko) 자동차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19980021257U (ko) 자동차용 프레임
KR19980045285U (ko) 차량프론트 플로어패널의 보강패널
KR19980012593U (ko) 자동차의 범퍼어셈블리
KR19980024138U (ko) 차체 프레임의 차체 바디 고정구조
KR19980024137U (ko) 차체 프레임의 차체 바디 고정구조
KR19990040013A (ko) 자동차의 루프레일 구조
KR19990058550A (ko) 자동차의 펜더 쉴드 보강 구조
KR19980030374U (ko) 자동차의 리어 휠 하우스 인너 패널과 리어 스커트 패널의 연결부 보강구조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2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5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