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3546Y1 -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 Google Patents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46Y1
KR970003546Y1 KR2019930015890U KR930015890U KR970003546Y1 KR 970003546 Y1 KR970003546 Y1 KR 970003546Y1 KR 2019930015890 U KR2019930015890 U KR 2019930015890U KR 930015890 U KR930015890 U KR 930015890U KR 970003546 Y1 KR970003546 Y1 KR 970003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ing screw
fixing pipe
lightning rod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09U (ko
Inventor
허용
Original Assignee
허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 filed Critical 허용
Priority to KR2019930015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546Y1/ko
Publication of KR950007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4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26Light rod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봉 2 : 하부 결합나사
3 : 고정공 4 : 고정구
5 : 고정관 6 : 고정공
7 : 보울트 8 : 접속구
9 : 연결관 10 : 체결나사공
11 : 후렌지 12 : 내측 단턱부
13 : 침봉 14, 15, 16 : 결합나사
본 고안은 피뢰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침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와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관을 분리 구성하여 침봉과 전선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구와 지지관 사이의 접속구 외주 나사산을 형성하여 별도의 도구없이 간단히 조립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피뢰침은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관이 4개의 침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고정관을 지면등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관 상부에 고정할 때 전운이 연결관에 도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속구를 고정관에 끼워 상부단턱이 연결관 상부면에 안치되도록 끼워넣어 보울트(조로 나사를 사용함)로 연결관의 외부에서 체결공을 통해 조여서 고정하여 왔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피뢰침은 고정관 내부로 끼워넣어 외면 체결공을 통해 보울트로 체결할 때 전선이 확실하게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는 결합이 있는 것이며 접속구를 보울트로 체결하여야 연결관에 고정되어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인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중앙과 원뿔형의 몸체 외주에 침봉(1)의 하부 결합나사(2)를 고정하기 위한 나선고정공(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와 전선을 고정관(5) 외주 나선 고정공(6)을 통해 보울트(7)로 고정되어 합성수지제 접속구(8)를 연결관(9) 상부 내측에 끼워 보울트로 결합하도록 하여서 된 통상의 피뢰침에 있어서, 고정구(4)와 고정관(5)을 분리구성하되 고정관(5)의 상부 중앙에 체결나사공(10)을 형성하고 외주에는 후렌지(11)을 형성하여 고정구(4)의 내측단턱부(12)에 후렌지(11)가 결합되게 구성하며 중앙의 침봉(13)의 하부 결합나사(14)가 고정관(5)의 체결나사공(10)에 체결하여 고정구(4)와 고정관(5)을 결합구성하고, 접속구(8)의 상부에는 결합나사(15)를 형성하여 연결관(9)의 상부내측 결합나사(16)에 체결되도록 결합구성 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연결관(9)에 접속구(8)가 결합될 때 나사로 결합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더욱이 고정구(4)와 고정관(5)을 분리구성함으로서 전선을 고정관(5)에 결합시킬 때 눈으로 전선이 명확히 고정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앙과 원뿔형의 몸체 외주에 침봉(1)의 하부 결합나사(2)를 고정하기 위한 나선고정공(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와 전선을 고정관(5) 외주 나선 고정공(6)을 통해 보울트(7)로 고정되어 합성수지제 접속구(8)를 연결관(9) 상부 내측에 끼워 보울트로 결합하도록 하여서 된 통상의 피뢰침에 있어서, 고정구(4)와 고정관(5)를 분리구성하되 고정관(5)의 상부 중앙에 체결나사공(10)을 형성하고 외주에는 후렌지(11)를 형성하여 고정구(4)의 내측단턱부(12)에 후렌지(11)가 결합되게 구성하며 중앙의 침봉(13)의 하부 결합나사(14)가 고정관(5)의 체결나사공(10)에 체결하여 고정구(4)와 고정관(5)을 결합구성하고, 접속구(8)의 상부에는 결합나사(15)를 형성하여 연결관(9)의 상부내측 결합나사(16)에 체결되도록 결합구성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4)와 고정관(5)을 분리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접속구(8)의 상부측에 결합나사(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KR2019930015890U 1993-08-18 1993-08-18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Expired - Fee Related KR970003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90U KR970003546Y1 (ko) 1993-08-18 1993-08-18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90U KR970003546Y1 (ko) 1993-08-18 1993-08-18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09U KR950007409U (ko) 1995-03-21
KR970003546Y1 true KR970003546Y1 (ko) 1997-04-17

Family

ID=1936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890U Expired - Fee Related KR970003546Y1 (ko) 1993-08-18 1993-08-18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90B1 (ko) * 2010-12-21 2011-07-04 이엠아이테크 (주) 낙뢰유도용 피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90B1 (ko) * 2010-12-21 2011-07-04 이엠아이테크 (주) 낙뢰유도용 피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09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6234A (en) Flange joint
US4403378A (en) Pipe clamp means
KR970003546Y1 (ko) 조립을 용이하게 한 피뢰침
JP2942139B2 (ja) ポリマー碍子用コロナリング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並びにコロナリング
KR200257555Y1 (ko) 피뢰침
US4433367A (en) Luminaire mounting structure
JPH0562713U (ja) プラグ装置
JPS6432990U (ko)
JP2501303Y2 (ja) 分岐接続管継手の接続構造
KR20000005020U (ko) 개량 피뢰침
KR960006391Y1 (ko) 관 이음매
KR19980057459U (ko) 파이프 십자 결속용 고리 고정구
JPS5833352Y2 (ja) カンツギテ
JPS6335495Y2 (ko)
KR20230114070A (ko) 고추지지대
JPH022141Y2 (ko)
JPH03562Y2 (ko)
KR890005301Y1 (ko) 전주용 스텝너트
JPS642488Y2 (ko)
JP2576560Y2 (ja) コルゲート管の継手の接続構造
JPS6161393U (ko)
KR900001282Y1 (ko) 진열장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
KR910002166Y1 (ko) 급수전 연결 조인트
JPH0612892U (ja) 異径ホース継手
KR100210475B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8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7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7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