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2895Y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95Y1
KR970002895Y1 KR2019930015014U KR930015014U KR970002895Y1 KR 970002895 Y1 KR970002895 Y1 KR 970002895Y1 KR 2019930015014 U KR2019930015014 U KR 2019930015014U KR 930015014 U KR930015014 U KR 930015014U KR 970002895 Y1 KR970002895 Y1 KR 970002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plate
present
furniture
prefabricated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495U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2019930015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895Y1/ko
Publication of KR950005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의한 조립식 가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상자 1a,3a,7a : 요부
3 : 판상부재 5 : 조립부재
7 : 받침대 11 : 폐쇄부재
13 : 공간부 15 : 서랍
15a : 손잡이 17 : 선반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상자와 판상부재와를 조립수단을 개재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분해 및 변형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구 예를 들면, 장식장, 오디오장, 책장 등의 수납장 또는 책상 등은 목재나 철재로 된 소재를 저마다의 용도에 맞도록 일체로 결합한 것이다.
이는 정형화되어 책이나 오디오 또는 기타 소품의 수납이나 책상과 같은 그 해당하는 용도로서만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는 부피가 클 뿐아니라 상당한 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사 혹은 한정된 공간에서의 이동시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 종래의 가구는 그 형상이 한정되어 일단 결합된 가구는 사용자가 임의로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진부한 느낌을 갖게 하며, 사용상에도 많은 불편함을 수반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정형화된 가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 가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판상 또는 상자형태로 된 목재를 단순 조합하여 일정 공간에 배치하게 되는데, 이는 조합과 변형성이 양호한 반면, 가구 자체의 하중이나 위에 올려 놓는 물건의 하중에 의존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후좌우와 같은 수평방향의 힘 즉, 측면으로부터 작용하게 되는 외력에 대하여 상당히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각각의 단위 구성요소들을 나사결합한 조립식 가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사결함 방식은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조립 및 분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조립수단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미관이 불량하게 되고, 녹이 발생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수르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상자와 판상부재와를 조립수단을 개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조립, 분해 및 변형성을 좋게 함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과 함께 수려한 미관을 갖도록 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불특정 다수개의 수납상자와 불특정 다수개의 판상부재와의 사이에, 조립수단을 개재하여 저마다 끼움결합하므로서, 조립, 분해 및 변형이 자유롭도록 조합하므로서 이루어지는 조립식 가구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수단은 수납상자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부와 판상부재의 적어도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요부와의 사이에, 저마다 동시에 끼움 결합되는 원통형의 판상 조립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식 가구의 하단부로 되는 수납상자 혹은 판상부재의 저면에는 원통상으로 되어 일측 혹은 양측면에 요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가, 조립부재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가구의 일 실시예로서 장식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가구 특히, 장식장은,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불특정 다수개의 수납상자(1)와, 불특정 다수개의 판상부재(3)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립식 가구의 하단부로 되는 판상부재(3)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7)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둘 이상의 다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판상부재(3) 뿐아니라 수납상자(1)의 저면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상자(1)와 판상부재(3) 및 받침부재(7)는 조립수단에 의해 단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조립, 분해 및 변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구조적인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제2도 및 제3도 참조)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수납상자(1)는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한변의 길이가 31.4㎝로 된 정육면체로서, 이는 상당한 응용이 가능한 치수로 된다.
즉, 상기 수납상자(1)의 내측 공간은, LP(Long Playing)판의 평면상의 넓이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이를 긴밀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다시 상기 수납상자(1)의 내측 공간을 ½로 분할하게 되면, CD(Compact Disk)판을 긴밀하게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상자(1)는, 내측 공간을 2분할 하는 선반부재(17)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통상의 책꽂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책꽂이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도시생략)에 의해 지지 설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수납상자(1)는 내측 공간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랍(15)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서랍(15)은 그 손잡이 (15a)가 수납상자(1)의 개방부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인입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장식장은 상하 판상부재(3)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보강판재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중량이 큰 물건을 수납상자(1)의 사이 공간에 배치할 경우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장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수납상자(1)와 판상부재(3) 및 받침부재(7)는, 조립수단에 의해 단순 끼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납상자(1)에는 그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요부(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판상부재(3)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도 마찬가지로 요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식장을 형성하는 최상측의 판상부재(3)에는 일측면에만 요부(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요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받침부재(7)에도 동일 형상의 요부(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수단은, 수납상자(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부(1a)와 판상부재(3)의 적어도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된 요부(3a) 및 받침부재(7)의 요부(7a)와의 사이에, 저마다 핀상의 조립부재(5)를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장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상자(1)와 판상부재(3) 및 받침부재(7)를 조립부재(5)를 개재하여, 일체로 끼움 결합하므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납상자(1)는 개방부에 대항하는 배면에 폐쇄부재(11)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수납상자(1)의 내측으로 소정 위치만큼 인입 형성되어, 이동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여분의 공간부(1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상자(1)의 개방부에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랍(15)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의 선단부 즉, 손잡이(15a)가 소정 위치만큼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장의 조립 상태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식장은, 2개의 받침부재(7)를 조립부재(5)를 개재하여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받침부재(7)를 마찬가지로 조립부재(5)를 개재하여 판상부재(3)의 배면에 형성된 요부(3a)에, 좌측과 우측이 각각 4개씩 되도록 결합시켜 베이스를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납상자(1)와 판상부재(3)를 교대로 적재하되, 상기 수납상자(1)와 판상부재(3)의 대향면에 저마다 형성되어 있는 요부(1a)(3a)에 조립부재(5)를 끼워 넣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한다.
한편, 장식장의 최상측 선반으로는 일측면 즉, 배면에만 요부(3a)를 형성한 판상부재(3)가 배치되어 지는데, 이는 조립된 장식장의 미관을 고려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장식장은 최하측에 배치된 좌우의 수납상자(1)에 저마다 2개의 서랍(15)을 슬라이딩 결합시켜, 가정에서 소용되는 작은 물건들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 형상을 갖는 모든 수납상자(1)에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타 수납상자(1) 혹은 판상부재(3)로 이루어지는 수납공간에는, 책이나 장식물과 같은 기타의 소품을 진열할 수 있으며, 특히, 수납상자(1)는 LP판의 보관에 적절하다.
게다가, 상기 수납상자(1)에는 선반부재(17)가 설치되어 지는데, 이는 CD판의 보관에 효과적인 구조를 갖는다.
반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식장은, 상기 조립방법의 역순으로 간단하게 분해가 가능하며, 이는 단순 끼움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타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분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수단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관이 수려하면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이 뛰어나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물론, 외부의 압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술한 장식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수납상자와 판상부재와 이를 상호 결합시키는 조립수단으로 구성되는 모든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조립식 가구는 분해,조립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술한 장식장과 오디오장, 책장 등과 같은 수납장과, 책상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가구는,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육면체상의 수압상자와 판상부재를 하나의 구조물로서 조립하되, 이를 핀상의 조립부재를 개재하여 실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조립 및 분해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며, 아울러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성들도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가구는 변형뿐아니라 근거리 이동이나 이사시에도 매우 편리하며, 주어진 공간에 맞도록 치수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수단은 모든 가구의 결합방법에 폭넓게 적용하므로서, 종래 기술의 못이나 나사 결합에 의한 정형화와 녹의 발생 및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5)

  1. (정정) 적어도 일측면이 다수개의 수납상자(1)와 다수개의 판상부재(3)와의 사이에, 조립수단을 개재하여 조립되는 조립식 가구로서, 상기한 조립수단은, 수납상자(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부(1a)와 판상부재(3)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된 요부(3a)와의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핀상의 조립부재(5)를 갖고 있으며, 상기한 수납상자(1) 혹은 판상부재(3)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7)가 조립부재(5)에 의해 끼움 결합되며, 상기한 수납상자(1)는 개방부에 대향하는 폐쇄부재(11)가 내측으로 설치되어, 손잡이 기능을 갖을 수 있는 공간부(13)를 형성하는 조립식 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수납상자(1)는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랍(15)을 포함하며, 이 서랍(15)은 손잡이(15a)가 개방부의 선단 내측으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2019930015014U 1993-08-05 1993-08-05 조립식 가구 KR970002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014U KR970002895Y1 (ko) 1993-08-05 1993-08-05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014U KR970002895Y1 (ko) 1993-08-05 1993-08-05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495U KR950005495U (ko) 1995-03-20
KR970002895Y1 true KR970002895Y1 (ko) 1997-04-08

Family

ID=1936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014U KR970002895Y1 (ko) 1993-08-05 1993-08-05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8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426A (ko) * 1998-08-08 2000-03-06 아더 더블유 엘스워드 선반을 갖춘 모듈공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495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058A (en) Stackable interlocking modular storage system
US4171150A (en) Mountable storage furniture
US4408812A (en) Dismountable furniture
US6174116B1 (en) Adjustable interlocking panels
US8464408B2 (en) Hardware for furniture assembly
US3846002A (en) Building unit for furniture
USD501615S1 (en) Storage cabinet with drawers
US4714027A (en) Knockdown furniture
US3748009A (en) Cabinets and kits for making same
CA2561983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20080074014A1 (en) Collapsible desk
USD323251S (en) Combined desk, wall panel and storage unit
US4012090A (en) Knockdown put-together drawer
US3695190A (en) Knockdown sectional shelving
KR970002895Y1 (ko) 조립식 가구
US3945696A (en) Means for converting an open-shelved unit or etagere to a closed cabinet with slidable drawers
US20090107365A1 (en) Apparatus and systems for converting table height, methods for using and making same
KR20090115376A (ko) 장식장
US3269791A (en) Construction of wardrobes and other furniture
JP2573899Y2 (ja) 収納家具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KR200200815Y1 (ko) 조합식 가구
KR200222812Y1 (ko) 조립식 수납장
JP2822310B2 (ja) 書棚付き机ユニット
KR200248868Y1 (ko) 서랍을 구비한 책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08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6101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