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2712Y1 - 차량용 휴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712Y1
KR970002712Y1 KR2019940038906U KR19940038906U KR970002712Y1 KR 970002712 Y1 KR970002712 Y1 KR 970002712Y1 KR 2019940038906 U KR2019940038906 U KR 2019940038906U KR 19940038906 U KR19940038906 U KR 19940038906U KR 970002712 Y1 KR970002712 Y1 KR 970002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cave portion
vehicle
box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477U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19940038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712Y1/ko
Publication of KR960021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4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1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4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tissues or tissu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휴지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케이스 본체 2, 2' : 휴지박스 밀착판
3, 3' : 받침판 4 : 요입부
5 : 돌출부 6 : 걸림돌기
7 : 걸림홈
본 고안은 차량내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휴지(일명 크리넥스 티슈)를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된 대시보드(차량 전면부)에도 쉽게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휴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운전중에는 여러가지 필요에 의하여 휴지를 쓸때 한장씩 뽑아서 쓸 수 있는 휴지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휴지는 박스채로 차량의 앞부분이나 맨 뒷 부분에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들어 차량의 성능향상을 고려한 디자인 개선이 거듭 발전하면서 차량에 필요한 여러가지 소모품을 비치하던 대시보드를 유선형의 곡선으로 처리하므로써, 이 부분에는 아무 것도 올려 놓을 수 없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상기한 휴지나 각종 소모품들을 뒷좌석이나 뒷유리창 부분에 비치하였는바 운전자 혼자서 운전할 때에는 이러한 물품들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되었으며 대다수의 운전자들은 이러한 불편을 감수한채 운전을 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분할되는 브라켓 형태의 케이스 본체를 구성하고, 각각의 케이스본체에는 일측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돌출부와 요입부를 형성하여 그 측면에 복수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형성하므로써 휴지박스의 규격에 상관없이 케이스 폭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가 휴지박스를 압지한 상태에서 차량내부의 대시보드등의 원하는 위치에 본 고안을 부착하여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손쉽게 휴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능의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휴지박스 밀착판(2)이 받침판(3)으로 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를 좌우 양측으로 구비하여 각각의 받침판(3)(3')일측에 수개의 돌출부(5)와 용입부(4)를 대칭되게 구성하되 상기 돌출부(5)와 용임부(4)의 측벽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6)와 걸림홈(7)을 형성하여 되는 차량용 휴지 케이스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 본체(1)(1')에 각각 한개의 요입부(4)와 돌출부(5)를 대칭되게 구성하고 이 요입부(4)와 돌출부(5)에는 코일스크링(8)을 부착하여 케이스의 사용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코일스프링(8)이 유동할 수 있도록 휴지박스(10)의 저면과 공간을 화보하도록 해주는 단턱을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케이스(1)(1')에 휴지박스(10) 수납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도에서와 같이 좌우 케이스(1)(1')를 양방향으로 잡아당겨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받침판(3)(3')에 휴지박스를 올려놓은 후 좌우 케이스(1)(1')를 다시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휴지박스 밀착판(2)(2')이 휴지박스의 좌우에서 완전히 박스를 고정하여 주면서 걸림돌기(6)와 걸림홈(7)이 완전히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좌우 케이스(1)(1')중 한쪽의 바닥면만 차량내부의 대시보드에 접착하여 휴지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휴지를 교체할 때에는 상기의 결합방법의 역순으로 빈박스를 빼내서 다시 같은 방법으로 새 박스로 교체해 주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은 규격이 각각 다른 휴지박스의 여러가지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차량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선형의 곡면부로 되는 차량구조에 관계없이 휴지박스를 부착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손쉽게 휴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기능의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에 휴지박스 밀착판 (2)이 받침판(3)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1')를 좌우 양측으로 구비하여 각각의 받침판(3)(3')일측에 수개의 돌출부(5)와 요입부(4)를 대칭되게 구성하되 상기 돌출부(5)와 요입부(4)의 측벽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6)와 걸림홈(7)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지케이스.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받침판(3)(3')에 한개씩의 요입부(4)와 돌출부(5)를 대칭되게 구성하고 이 요입부(4)와 돌출부(5)에는 코일스프링(8)을 부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지 케이스.
KR2019940038906U 1994-12-30 1994-12-30 차량용 휴지 케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970002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06U KR970002712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휴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06U KR970002712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휴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77U KR960021477U (ko) 1996-07-18
KR970002712Y1 true KR970002712Y1 (ko) 1997-04-01

Family

ID=1940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906U Expired - Fee Related KR970002712Y1 (ko) 1994-12-30 1994-12-30 차량용 휴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7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477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402A (en) Receptacle for eyeglasses
USD357557S (en) Holder for pet feeding dish for use on a vehicle
GB2331737A (en) A container holder for a motor vehicle
US5065970A (en) Bracket to support a tissue box on a sun visor
KR970002712Y1 (ko) 차량용 휴지 케이스
USD382237S (en) Bumper facade for motor vehicle
JP2866032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1225700A (ja) 自動車用収納箱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0157780B1 (ko) 착탈 가능한 동전 보관 장치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JP2002240635A (ja) 保持部品の取付構造
JPS6130442A (ja) 自動車用物入れ
KR0118769Y1 (ko)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컵 홀더
KR970002713Y1 (ko) 자동차 실내용 화장지 케이스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JP3018694U (ja) 車両用傘収納具
JPH0722357Y2 (ja) 自動車の荷室カバー装置
KR0115724Y1 (ko) 메모지 보관함이 장착된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JPH0619699U (ja) シートアームレスト
JPH0672735U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H0243801Y2 (ko)
KR0132042Y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된 컵홀더
JPH0357547Y2 (ko)
KR970037118A (ko) 착탈가능한 서랍식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9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