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2130B1 - 자동차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30B1
KR970002130B1 KR1019940025352A KR19940025352A KR970002130B1 KR 970002130 B1 KR970002130 B1 KR 970002130B1 KR 1019940025352 A KR1019940025352 A KR 1019940025352A KR 19940025352 A KR19940025352 A KR 19940025352A KR 970002130 B1 KR970002130 B1 KR 97000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mirror
headlamp
light
reflector
head 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78A (ko
Inventor
고준영
Original Assignee
고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영 filed Critical 고준영
Priority to KR101994002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30B1/ko
Publication of KR96001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조등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a 및 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하향 조사시 광선의 진료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3a 및 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상향 조사기 광선의 진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조등 11 : 헤드램프
12 : 제1반사경 13 : 제3반사경 고정부재
14 : 제2반사경 15 : 제3반사경
16 : 개구 17 : 외부 케이스
17a : 상부 장착홈 17b : 하부 장착홈
18 : 투명체 19 : 제4반사경
20 : 제4반사경 고정부재 21 : 구동모터
22 : 평기어 23 : 메인 연결부재
23a : 서브 연결부재 24 : 베벨기어
25 : 동력전달부재 26 : 연결축
26a : 고정축 27 : 하향 광원
27a : 고정축 27 : 하향 광원
27a : 상향 광원 28 : 보호 케이스
29 : 힌지 30 : 차량
이 발명은 자동차용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으로부터 일정하게 조사되는 빛을 제1 및 제3반사경을 통하여 난반사를 억제시키고, 제2반사경 및 개구를 통하여 집광된 빛을 제4반사경을 통하여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 교행하는 차량과의 상호 불빛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방해를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전조등의 구조는 반구형상의 반사판 내부의 중앙부에 일정한 광량을 갖는 전구가 장착되어 있고, 전방에 유리제품등의 투명판이 상기 반사판과 결합된 구조로 된 것으로써, 전구에 전원을 인가하여 줌에 따라 발산된 빛으로 주변을 밝혀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현재까지 실용화되어 있는 가장 근접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524호에 등록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차광판 지지구조가 있으며, 반사경 내부에 차광판 설치용 지지보스를 형성시키고, 차광판과 리벳으로 연결된 지지대를 상기 지지보스에 스크류로 연결 부착시키고, 헤드램프의 반사경 내부에 차광판을 간단하에 부착시킴으로써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차광판 및 반사판을 통하여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동차용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불빛은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에 상대편 차량과 서로 마주보며 진행하기 때문에 상호 상대편 차량의 전조등의 불빛에 의해 자동차 운전자에게 눈부심의 영향을 주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 안전주행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됨은 물론 주행방향의 차량 불빛도 백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심적 부담을 주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던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1607호에 등록된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를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면,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벡터 성분중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반사 편광자를 투과하도록 하고 다른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투과하지 않는 편광은 반사 편광자에게 반사되도록 하여 이 반사된 편광은 편광전환부재에서 반사 편광자를 투과한 편광과 같은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변환하여 전구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을 모두 동일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발산되게 하고 이 편광은 상대편 자동차의 편광판에 흡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전구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 편광자 및 편광판을 통하여 전방으로 조사되고, 상대편 자동차에서 난반사되는 빛은 편광전환부재를 통하여 억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은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불빛광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고, 운전자가 마치 썬글래스를 작용하고 운전하는 것과 같으므로 실용성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전면에 지지보스에 의한 차광판 착자구조를 갖는 유선형 반사경을 배치 설치함으로써 교행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전조등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전조등의 설치구조를 변경하여 전조등 몸체를 지면과 수직으로 하향되게 설치하고, 외부 케이스의 캐비티 내에 연결부에 의한 소정각도 조정기능을 갖는 제4반사판을 배치 설치함으로서 전조등의 하향 및 상향 선택 조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대방 전조등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전조등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조등의 비사용시 제1 내지 제4반사경을 통하여 반사 및 흡수된 일정량의 광량을 외부로 조사하는 투명체의 전면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가 장착된 자동차용 전조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특징은, 반구형상의 제1반사경 내부의 중앙부에 일정한 광량을 갖는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지면과 수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의 단부의 전면에 집광기능을 갖는 제2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제2반사경 전방에 일정크기의 개구를 갖는 제3반사경이 장착된 메인 헤드램프 몸체와; 상기 메인 헤드램프 몸체가 외부 케이스의 하부 장착홈에 착자되고, 상기 제3반사경을 통하여 집광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제4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외부 케이스의 상부 장착홈에 착설되며, 상기 제4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투명체가 외부 케이스의 전방에 부착된 서브헤드램프 몸체와; 상기 서브 헤드램프 몸체내의 제4반사경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고정축과 연결축에 의해 메인 연결부재가 동력전달부재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수평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를 이루어진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은 비사용시 메인 연결부재의 연결축에 추가로 서브 연결부재가 연동되도록 배치 설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투명체 보호 케이스를 열고 닫음으로써 헤드램프를 외부의 파손인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이 발명의 자동차용 전조등의 목적을 더욱더 바람직스럽게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은 기존의 개념과는 달리 수평 착자구조를 갖지 않고 지면과의 수직 착자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개념은 운전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난반사된 불빛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예를 살펴보면, 먼저, 메인 헤드램프 몸체는 지면과 수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12)의 단부의 전면에 집광기능을 갖는 제2반사경(14)이 고정부재(13)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반사경(14) 전방에 일정크기의 개구(16)를 갖는 제3반사경(15)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반구형상의 상기 제1반사경(12)의 중심부에는 전원공급에 의해 일정한 조도의 빛을 발산하는 헤드램프(1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메인 헤드램프 몸체는 외부 케이스(17)의 하부 장착홈(17b)에 착자되고, 상기 제3반사경(15)을 통하여 집광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제4반사경(19)이 고정부재(2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외부케이스(17)의 상부 장착홈(17a)에 끼워져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4반사경(17)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체(18)가 외부 케이스(17)의 전방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서브 헤드 램프 몸체내의 제4반사경(17)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고정축(26a)과 연결축(26)에 의해 메인 연결부재(23)가 동력전달부재(25)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재(25)는 구동모터(21)에 의해 수평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대, 상기 구동모터(21)의 동력은 평기어(22)와 베벨기어(24)에 의해 전달되어 메인 연결부재(23)를 통하여 제4반사경(19)이 부착된 고정부재(20)를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은 비사용시 메인 연결부재(23)의 연결축에 추가로 서브 연결부재(23a)가 연동되도록 배치 설치하여 힌지(29)를 중심으로 투명체 보호 케이스(28)를 열고 닫음으로써 헤드램프를 외부의 파손인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작용효과를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모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a 및 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하향 조사시 광선의 진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3a 및 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상향 조사시 광선의 진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2a도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도시생략됨)를 하향위치로 조작하면, 구동모터(21)의 동력전달에 의해 서브 연결부재(23a)와, 제4반사경 고정부재(20)를 소정각도로 끌어당김으로써 제4반사경(19)는 집광위치로 고정되고, 투명체 보호케이스(28)는 힌지(29)를 중심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수평위치로 고정된 후, 구동모터(21)의 동력 차단된다. 이어서, 점등 스위치(도시생략됨) 조작에 의해 헤드램프(11)가 점등되면, 전방으로 조사되는 불빛의 소정량은 제1반사경(12) 및 제3반사경(15)을 통하여 난 반사됨에 따라 열로 흡수되어 소모되어 버리고, 나머지 일정량의 불빛은 제2반사경(14)으로 집광된 후, 제3반사경(15)의 개구(16)를 통하여 제4반사경(19)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제4반사경(19)은 이미 하향 점등위치에 해당되는 소정각도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제3반사경(15)의 개구(16)를 통하여 입사된 불빛을 방향전환시켜서 외부 케이스(17)의 투명체(18)로 하여금 전방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빛의 난반사가 거의 없는 하향 광원(27)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b도에 도시된 모식도를 참조하면, 차량(30)은 진행방향에 대해서 지면쪽으로 하향 광원(27)을 비추게 되므로 상대방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제3a도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전조등 스위치(도시생략됨)를 상향위치로 조작하면, 구동모터(21)의 동력전달에 의해 제4반사경 고정부재(20)를 소정각도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4반사경(19)를 상향 집광위치로 고정시킬때, 서브연결부재(23a)에 의한 투명체 보호케이스(28)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서브 연결부재(23a)와 투명체 보호케이스(28)를 연결하는 힌지(29)에 약간의 유격을 두어서 해결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동모터(21)의 동력이 차단되고 점등 스위치(도시생략됨) 조작에 의해 헤드램프(11)가 점등되면, 전방으로 조사되는 불빛의 소정량은 제1반사경(12) 및 제3반사경(15)을 통하여 난반사됨에 따라 열로 흡수되어 소모되어 버리고, 나머지 일정량의 불빛은 제2반사경(14)으로 집광된 후, 제3반사경(15)의 개구(16)를 통하여 제4반사경(19)에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제4반사경(19)은 이미 상향 점등위치에 해당되는 소정각도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제3반사경(15)의 개구(16)를 통하여 불칩을 방향전환시켜서 외부 케이스(17)의 투명체(18)로 하여금 전방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빛의 난반사가 거의 없는 상향 광원(27a)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3b도에 도시된 모식도를 참조하면, 차량(30)은 진행방향에 대해서 지면쪽으로 상향 광원(27a)을 비추게 되므로 상대방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용 전조등을 사용하지 않을때 즉, 전조등의 조작 스위치를 오프하게 되면, 메인 연결부재(23)의 연결축(28)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서브 연결부재(23a)가 초기상태로 되어 힌지(29)를 중심으로 투명체 보호 케이스(28)를 닫음으로써 헤드램프를 외부의 파손인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목적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조등의 착설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전면에 지지보스에 의한 차광판 착자구조를 갖는 유선형 반사경을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 설치함으로써 교행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 불빛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은 반구형상의 제1반사경 내부의 중앙부에 일정한 광량은 갖는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지면과 수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의 단부의 전면에 집광기능을 갖는 제2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제2반사경 전방에 일정크기의 개구를 갖는 제3반사경이 장착된 메인 헤드램프 몸체와; 상기 메인 헤드램프 몸체가 외부 케이스의 하부 장착홈에 착자되고, 상기 제3반사경을 통하여 집광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제4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외부 케이스의 상부 장착홈에 착설되며, 상기 제4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투명체가 외부 케이스의 전방에 부착된 서브 헤드램프 몸체와; 상기 서브 헤드램프 몸체내의 제4반사경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고정축과 연결축에 의해 메인 연결부재가 동력전달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수평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전조등을 구현함으로써,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에 서로 마주보며 진행하는 상대편 차량에 전조등의 불빛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에 의하면, 전조등의 비사용시에는 투명체의 보호 케이스를 닫아서 헤드램프를 보호할 수 있고, 전조등의 사용시에는 투명체의 보호 케이스를 열어서 하향 또는 상향 점등 조작에 따라 교행하는 차량에 대해서 눈부심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은 사용자의 편의 사양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으므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의 극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조 변화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Claims (2)

  1. 반구형상의 제1반사경 내부의 중앙부에 일정한 광량을 갖는 헤드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은 지면과 수직으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의 단부의 전면에 집광기능을 갖는 제2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제2반사경 전방에 일정크기의 개부를 갖는 제3반사경이 장착된 메인 해드램프 몸체와; 상기 메인 헤드램프 몸체가 외부 케이스의 하부 장착홈에 착자되고, 상기 제3반사경을 통하여 집과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제4반사경이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외부 케이스의 상부 장착홈에 착설되며, 상기 제4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투명체가 외부 케이스의 전방에 부착된 서브 헤드램프 몸체와; 상기 서브 헤드램프 몸체내의 제4반사경의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축과 연결축에 의해 메인 연결부재가 동력전달부재의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수평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의 비사용시 상기 메인 연결부재의 연결축에 추가로 서브 연결 부재가 연동되도록 배치 설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투명체 보호 케이스를 열고 닫음으로써 헤드램프를 외부의 파손인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전조등.
KR1019940025352A 1994-09-30 1994-09-30 자동차용 전조등 Expired - Lifetime KR97000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52A KR970002130B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352A KR970002130B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용 전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78A KR960010378A (ko) 1996-04-20
KR970002130B1 true KR970002130B1 (ko) 1997-02-24

Family

ID=1939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352A Expired - Lifetime KR970002130B1 (ko) 1994-09-30 1994-09-30 자동차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78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992B2 (en) Lamp shield driving device and headla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070091629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20030095415A1 (en) Convenience lighting for interior and exterior vehicle applications
US6695466B2 (en) Headlamp
KR970002130B1 (ko) 자동차용 전조등
RU2124161C1 (ru) Поляризационный антиослепитель
CN202345542U (zh) 多功能汽车车外后视镜
US2084245A (en) Antiglare illumination apparatus
CN1077973C (zh) 汽车辅助安全照明方法及装置
KR0155979B1 (ko) 자동차의 선바이저 조명장치
JPS638506Y2 (ko)
JPH101346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200145179Y1 (ko) 색상변조가능한 자동차의 안개등장치
CN210717353U (zh) 一种防光晕车灯
KR920003945Y1 (ko)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EP0118477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100306120B1 (ko) 전조등 불빛 차단장치
KR0150399B1 (ko) 자동차의 가시거리 확장용 전조등장치
KR100231665B1 (ko) 수평조사각이 조정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립체
KR200292456Y1 (ko) 운전자의 안구(眼球)피로도가 감소되도록 유도하여주는 장치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0143353B1 (ko) 헤드 램프의 조향장치
CN119934456A (zh) 车灯系统、车灯及车辆
KR0139098Y1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 장치
KR0129337Y1 (ko) 포그램프의 차량실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701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