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2124Y1 - 쌀통의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쌀통의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24Y1
KR970002124Y1 KR2019940027165U KR19940027165U KR970002124Y1 KR 970002124 Y1 KR970002124 Y1 KR 970002124Y1 KR 2019940027165 U KR2019940027165 U KR 2019940027165U KR 19940027165 U KR19940027165 U KR 19940027165U KR 970002124 Y1 KR970002124 Y1 KR 970002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orage space
drawer
hop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302U (ko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2019940027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24Y1/ko
Publication of KR960013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쌀통의 송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쌀통의 전체적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쌀통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구성도.
제4도는 제2도의 B-B 선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저장공간
111 : 후면판 120 : 뚜껑
130 : 호퍼 140 : 개폐밸브
150 : 서랍 160 : 송풍팬
161 : 흡입공 170 : 리미트스위치
180 : 통기공 190 : 배기공
본 고안은 본원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1808호의 구조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의 선출원고안에서 적용한 쌀의 건조를 위한 송풍수단인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팬을 쌀통의 후면상방에 설치하여 외기(外氣)를 하부에서 흡입, 쌀의 저장공간을 거쳐서 상부로 배기(排氣)되도록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자연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쌀통의 서랍을 개폐하면 리미트스위치의 전원단속에 의한 자동적인 강제송풍으로 쌀통내의 쌀을 변질없이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한 쌀통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통은 쌀을 일시적이거나 또는 장기간동안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용도의 쌀통은 현재까지 여러종류가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어 널리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쌀통들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쌀통은 대체적으로 입식의 직육면체형상으로서 쌀을 저장토록 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는 살의 투입시에 사용되는 뚜껑이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공간의 저면에는 자체중량에 의해 자연낙하하는 쌀을 안내하는 상광하협의 호퍼와 이 호퍼의 중심부 하단에는 쌀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배출구상에는 전면의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연동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개폐밸브의 직하부에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는 서랍이 전면에서 삽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쌀통은 내부의 저장공간에 단순히 쌀을 저장하였다가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밸브가 개방되면 저장공간내의 쌀이 자연낙하방식으로 배출구를 통하여 직하부의 서랍내로 배출되게한 기능만 부여된 것이어서, 쌀이 쌀통내에 저장되는 동안에는 전혀 통풍이 되지 아니하여 각종 쌀벌레가 서식하거나 습기등의 발생으로 쌀의 변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종래의 통풍이 전혀 되지 아니하는 밀폐형 쌀통의 저장공간내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쌀벌레의 서식이나 습기등으로 변질된 쌀은 비위생적일뿐만 아니라 쌀의 영양분을 파괴시켜 밥맛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보완하고자 쌀통내에 별도의 공기유통로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저장공간내로 유통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것도 역시 단순히 외부의 공기가 저장공간내로 자연대류방식에 의해서만 유통되도록 구성한 것이어서, 어느정도의 통풍효과는 기대할 수가 있을지라도 유통되는 공기가 저장되는 쌀들의 사이사이로 골고루 분산상태로 유통되지 못해 충분한 통풍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쌀통의 내부에 충분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쌀의 변질을 방지하여 저장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쌀통의 통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쌀통내로 외부의 공기를 자연대류식은 물론 강제송풍방식으로 통풍을 유도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쌀통상방의 후면소정위치에 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내로 외기를 강제흡입토록 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송풍수단은 서랍의 삽탈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쌀이 저장되어 있는 동안에는 자연대류식으로 통풍작용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쌀을 인출하기 위하여 서랍을 열면 상기 송풍수단이 작동하여 저장공간 내부로 외기의 강제흡입에 의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특징인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쌀통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내고있고, 제2도는 쌀통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쌀통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 본체(100)는 대략 직유면체형상의 입식으로서 내부에는 일정량의 쌀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10)과 그 직상부에는 저장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1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호퍼(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호퍼(130)의 하단 중심부에는 쌀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31)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배출구(131)에는 본체(100) 전면의 작동레버(141)의 조작에 의해 개폐작동되는 개폐밸브(1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31)의 직하부 위치에는 본체(100) 전면에서 삽탈가능케한 서랍(150)이 구비되어 배출구(131)에서 배출되는 쌀을 수납하여 외부로 이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대체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쌀통(100)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토록 하는 송풍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송풍수단은, 쌀통(100) 상부의 후면상에 도시하지 아니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ON/OFF 작동되어 외부의 공기를 하부의 흡입공(161)에서 내측으로 흡입하여 송풍토록 하는 송풍팬(160)과 이 이면에는 배기공(190)이 갖추어져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160)은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후면판(111) 하부의 흡입공(1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0)으로 강제송풍토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 구동모우터는 후술하는 리미트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리미트스위치(170)는 서랍(150)이 삽탈안내되는 안내실의 후면상에 설치되어 서랍(150)을 닫으면 서랍(150)의 후면이 리미트스위치(170)를 OFF시키고, 서랍(150)을 열면 리미트스위치(170)를 ON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퍼(130)상에는 비교적 미세한 크기의 다시말해서 쌀은 통과되지 않고 송풍팬(16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만 통과되는 크기의 통기공(180)이 호퍼(130)의 전면에 걸쳐 뚫어져 있으며, 송풍팬(16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호퍼(130)상에서 저장공간(110)의 내부로 안내하게 되고, 저장공간(110)을 거친, 즉 쌀의 사이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에 위치하는 송풍팬(160)의 흡인력에 의해 배기공(190)을 지나서 외부로 배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통상적인 쌀통(100)과 같이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써, 먼저 쌀통(100)의 쌀을 배출하지 않고 저장하는 평상시에는 송풍수단은 작동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하부의 흡입공(161)과 호퍼(130)의 통기공(180), 그리고 상부 송풍팬(160)이 배기공(19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자연대류식으로 순환되어 저장되는 쌀에 필요한 최소한의 통풍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장되는 쌀을 취사의 목적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통상것과 같이, 서랍(150)을 열게 되면, 즉, 서랍(150)을 본체(100)로 부터 분리시키면 서랍(150)의 후면이 누르고 있던 리미트스위치(170)를 놓게 됨으로써 ON 시키게 되고, 이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송풍팬(160)을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송풍팬(16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공(161)을 통해 흡입하여 호퍼(130)의 통기공(180)들을 거쳐 저장공간(110)내로 송풍하게 되는 것이고, 저장공간(110)내로 송풍되는 공기는 그 상부 후면판(111)의 배기공(19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저장공간(110)내에 저장된 쌀의 일정량이 서랍(150)으로 배출됨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쌀은 배출된 그 양만큼 하부로 낙하되어 전체적으로 유동이 있는 상태로서 상기와 같이 송풍되는 공기는 저장된 쌀들의 사이사이로 골고루 송풍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쌀통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평상시에는 쌀이 저장된 저장공간 내부로 자연대류식으로 송풍이 이루어짐으로 쌀을 변질됨이 없이 안전하게 저장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송풍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됨과 동시에 쌀통의 쌀을 인출하기 위하여 서랍을 열게 되면 본 고안의 송풍수단이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저장공간내로 강제송풍하게 됨으로써 저장되는 쌀에 골고루 송풍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쌀통내에 발생되는 각종 벌레의 서식이나 습기등이 완전히 배제되므로, 쌀의 변질방지에 따라 위생성과 더불어 쌀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직육면체형상의 입식으로서 내부의 저면에 호퍼를 가지는 저장공간과, 호퍼의 하부에 개폐밸브 및 쌀을 인출하는 서랍으로 구성한 쌀통에 있어서, 본체(100)의 후면판(111)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작동되어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면에 배기공(190)을 갖는 송풍팬(160)과, 상기 서랍(150)이 삽탈되는 안내실의 후면상에 설치되고 서랍(150)에 의해 ON/OFF되어 송풍팬(1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170)와, 상기 호퍼(130)의 전면에 걸쳐 뚫어져 흡입되는 공기를 저장공간(110)내로 안내토록 하는 다수의 통기공(180)과, 상기 본체(100)의 후면판(111) 하부에 뚫어져 저장공간(110)내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시키도록 하는 다수의 흡입공(161)을 갖추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의 송풍장치.
KR2019940027165U 1994-10-18 1994-10-18 쌀통의 송풍장치 KR970002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165U KR970002124Y1 (ko) 1994-10-18 1994-10-18 쌀통의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165U KR970002124Y1 (ko) 1994-10-18 1994-10-18 쌀통의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02U KR960013302U (ko) 1996-05-17
KR970002124Y1 true KR970002124Y1 (ko) 1997-03-19

Family

ID=1939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165U KR970002124Y1 (ko) 1994-10-18 1994-10-18 쌀통의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262B1 (ko) * 2008-11-12 2011-06-21 이은두 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30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99756U (zh) 一种饮片炮制用抽湿干燥装置
KR970002124Y1 (ko) 쌀통의 송풍장치
KR970001173Y1 (ko) 쌀통의 송풍장치
CN110122376A (zh) 一种蜂箱及辅助设备
CN210168799U (zh) 一种甘蔗螟虫饲养装置
CN212374066U (zh) 一种血浆蛋白粉存储装置
CN206944352U (zh) 药材原料仓除湿机
JPH0524271Y2 (ko)
KR20090010716U (ko) 진공 한약장
JPH055867Y2 (ko)
CN221887605U (zh) 一种食用菌保鲜装置
KR100316158B1 (ko) 곡물저장고용배출장치
KR920000001Y1 (ko) 송출입장치를 부설한 농산물 건조실
CN218219579U (zh) 一种用于中药柜的除湿防霉装置
CN217228400U (zh) 一种杀菌剂储存装置
KR970004742Y1 (ko) 쌀 변질방지 장치를 구비한 쌀통
KR920002273Y1 (ko) 곡물 건조 장치
JP3020801U (ja) 米穀類、種子類等の貯蔵庫
CN215063090U (zh) 一种保湿冰箱
CN210734827U (zh) 果蔬保鲜盒
CN212075079U (zh) 储米装置
CN212677821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蔬菜种子储存箱
KR200235490Y1 (ko) 다기능 쌀통
CN209568892U (zh) 一种具有防潮透气功能的厨柜门板
KR200226097Y1 (ko)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0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