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1076B1 -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76B1
KR970001076B1 KR1019920019535A KR920019535A KR970001076B1 KR 970001076 B1 KR970001076 B1 KR 970001076B1 KR 1019920019535 A KR1019920019535 A KR 1019920019535A KR 920019535 A KR920019535 A KR 920019535A KR 970001076 B1 KR970001076 B1 KR 97000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separation
droppers
foremost
p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로 다찌바나
요시히데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곤도오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곤도오 다까오 filed Critical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랜덤분리장치(dropper random-separating apparatus)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포올선택드럼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포올선택드럼에 의해서 구성되는 제1도의 분리포올의 평면도.
제4도는 분리포올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5 (a)는 분리될 포올선택드럼과 분리포올을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제5 (b)는 본리포올과 드롭퍼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
제6도는 드롭퍼의 분리작동의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드롭퍼의 분리장치 분리포올을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드롭퍼 11b : 사통공
11G : 드롭퍼군 11F : 최전방 드롭퍼
15 : 드럽퍼바아 22L,22R : 요동아암
21L,21R : 분리포올 24 : 링크부재
25L,25R : 전동부재 25a : 수동아암
26a : 오목부 26b : 외부면
30 : 서보모터 70 : 규제수단
본 발명은 사절 탐지용의 드롭퍼에 자동사통(系通)하는 장치에 설치되는 드롭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랜덤분기 작동이 가능한 드롭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직이 시작되기 전에 준비작업으로서 종광 또는 드롭퍼가 경가로 인통(引通)되는 사통 작업이 필요하다. 이 사통 작업은 종광 또는 드롭퍼를 통하여 1올씩 다수의 경사(예를 들면, 수천올의 경사)가 인통되는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자동사통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다. 드롭퍼의 사통구멍을 통하여 후크 니들을 통과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사통이 실행되는 사통장치는 공지의 사통장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계적 사통장치는 고속에서는 사통이 수행될 수 없고 충분한 사통성공률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사통작업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사통작업에서는 소정의 사통위치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드롭퍼를 분리시키려면 드롭퍼 분리장치에 필요하다.
상술한 유형의 드롭퍼 분리장치의 실례를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한다. 이 분리있치에서 일렬로 배출된 드롭퍼는 가압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서 약간 구부러지며 분리작업의 속도는 구부러진 드롭퍼의 최전방 드롭퍼를 해방함으로써 증가된다. 제7 (a) 및 (b)도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드롭퍼 열가운데서 한 열의 정면을 나타낸다. 비대칭 산부(1a)를 각기 갖는 드롭퍼(1)는 교호로 전후방으로 중첩되어서 두인접 드럽퍼 산부(1a)는 상호 겹쳐지지 않으며 드롭퍼 바아(2)상에 지지된다. 드럽퍼 바아(2)상에 지지된 드롭퍼는 가이드부재(4A),(4B)에 의해 안내된다. 그래서 드롭퍼 열의 최후방 드롭퍼는 가압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드롭퍼열의 최전방 드롭퍼는 상부 분리포올(3) 및 하부핀(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로 드롭퍼 열은 가압수단의 압력에 비례하여 휘어진다. 그러므로, 분리포올(3)이 제7도의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하면 분리포올(3)은 최전방 드롭퍼(1)의 산부(1a)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최전방 드롭퍼(1)는 굽혀진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다시 직진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소정의 드롭퍼 분리공간은 직진 상태에서의 최전방 드롭퍼 및 굽혀진 상에서의 드롭퍼 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드롭퍼 분리장치에 있어서는 평행하게 배열된 드롭퍼열이 분리순서가 일정하므로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최적 순서로 드롭퍼열에 사통시키기가 어렵다. 예컨대 외관이상이한 드롭퍼는 사의 종류등에 대응하는 식별표식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평행하게 배열된 드롭퍼열의 분리순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랜덤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겹쳐진 복수의 드롭퍼를 각각 가지고 있고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드롭퍼열, 및 복수의 드롭퍼열에 대응하는 복수쌍의 분리포올로 구성된 드롭퍼 랜덤분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각쌍의 분리포올이 대응드롭퍼열의 최전방드롭퍼를 분리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서 소정의 드롭퍼분리공간이 최전방드롭퍼와 대응드롭퍼열의 후속 드롭퍼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캠은 동일의 회전축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캠은 대응분리포올을 구동시키기에 적합하다. 복수의 전동수단은 또한 캠과 분리포올사이의 전동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캠과 분리포올 사이에 제공된다.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는 복수쌍의 분리포올중에서의 하나의 분리포올이 대응캔에 대해서 작동되도록 동일 회전축을 구동시키기위한 구동수단과, 전동통로를 접속 및 차단하기 위한 규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분리포올의 작동은 동일회전축이 회전될때 대응전동통로를 차단시킴으로써 규제된다. 복수의 캠은 드럼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이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동안에 캠으로부터 분리포올까지의 전동통로는 규제수단에 의해서 차단된다.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되면, 진동통로는 접속되고 하나의 분리포올은 대응캠에 의해서 작동된다. 따라서 회전축의 회전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분리포올이 작동될 수 있고, 캠의 구동 시스템도 구조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캠이 드럼에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부품가공 및 조립작업이 단순화되며, 제조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상술된 그리고 여타의 목적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5도 내지 제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퍼 랜덤분리장치의 바람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참조번호(11)는 사통장치(전체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드롭퍼를 나타낸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드롭퍼(11)상단에 비대칭 산부(11a)가, 그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사통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비대칭 산부(11a) 및 사통공(11b) 사이의 드롭퍼(11)에는 긴 구멍(11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드롭퍼(11)는 교호로 전후방으로 중첩하여서 두개의 인접하는 드롭퍼(11)의 비대칭 산부(11a)는 상호 중첩되지 않으며, 드롭퍼들은 긴 구멍(11c)을 통하여 드롭퍼 바아(15)상에 정령되어 지지된다. 정렬된 드롭퍼(11)는 가이드핀(12A)(12B) 및 가이드레일(13)에 의해 안내되어 드롭퍼군(11G)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는 6열의 드롭퍼군이 제공되어 있다. 각 드롭퍼군(11G)의 최후방 드롭퍼는 푸셔 또는 가압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제5(b)도의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최전방 드롭퍼(11F)의 전방이동은 분리포올(21L) 또는 (21R)과 가이드로울(13)의 전방선단에 설치된 2개의 정지핀(14)(고정포올)에 의해 제한된다. 2개의 정지핀(14)은 최전방 드롭퍼(11F)의 하부선단의 전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포올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포올(21L),(21R)은 은 각 열의 드롭퍼에 구비되며 최전방 드롭퍼(11F)의 정면에서 드롭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가동포올이다.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포올(21L),(21R)은 또 최전방 드롭퍼(11F)의산부(11a)의 전방이동이 제한되는 드롭퍼 정지위치(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와 최전방 드롭퍼(11F)의 산부(11a)가 드롭퍼(11G)의 다음 드롭퍼로부터 분리되는 드롭퍼 분리 우치(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포올(21L) 또는 (21R)이 드롭퍼 정지위치에서 드롭퍼 분리위치로 이동되면 최전방 드롭퍼(11F)는 굽혀진 상태에서 직진 상태로 바뀌어져 분리된 최전방으로 드롭퍼(11F)와 굽혀진 드롭퍼 사이에 소정의 드롭퍼 분리공간이 형성된다.
분리포올(21L) 및 (21R)은 드롭퍼(11G)위에 위치된 요동-중심축(22c) 주위로 각기 요동되는 요동아암(22L)(22R)에 의해 지지된다. 요동아암(22L)(22R)은 고정프레임(23)에 의해 지지되어서 요동아암(22L) 및 (22R)은 상·하로 자유로이 요동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3)은 상기 사통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상에 확고하게 설치된다. 요동아암(22L)(22R)은 또 요동-중심 축(22c) 위의 위치에서 링크부재(24L)(24R)을 거쳐 종동자(25L)(25R)에 접속된다. 종동자(25R)가 포올선택드럼(26)과 결합하면, 포올(21R)은 요동-중심축(22C) 주위로 아래로 요동된다. 유사하게, 종동자(25L)가 포올선택드럼(26)과 결합하면 분리포올(21L)은 요동-중심축(22c) 주위로 상하로 요동된다. 요동아암(21L,22R), 링크부재(24L)(24R) 및 종동자(25L)(25R)는 포올선택드럼(26)으로부터 분리포올(21L)(21R)까지의 전동통로를 형성하는 전동부재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올선택드럼(26)에는 복수의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포올(21L) 및 (21R)은 드롭퍼(11)와 결합되고 또한 드롭퍼와 차단된다. 이 오목부(26a)는 드럼(26)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예컨대 등피치)으로 배열되어 있고 드럼(26)의 축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포올선택드럼(26)은 오목부(26a) 대신에 복수의 볼록부로 형성될 수 있다. 포올선택드럼(26)은 드럼의 오목부(26a)와 외부면(26b)(제1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캠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26c)상에 지지되어 있다. 종동자(25L) 및 (25R)는 스프링(27)에 의해서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통상 가압되어서 종동자의 수동아암(25a)은 드럼(26)의 외부면(26b)에 대하여 가압된다. 수동아암(25a)을 가진 종동자(25L) 또는 (25R)는 요동아암(22L) 또는 (22R)이 링크부재(24L) 또는 (24R)를 통하여 상향으로 요동되도록 한다. 요동아암의 상향운동은 선택포올(21L) 또는 (21R)이 드롭퍼 분리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동자(25L) 및 (25R)의 회전은 규제수단(70)에 의해서 확실하게 규제되어서, 후속사통작업이 1회 수행될 수 있다. 이 규제수단(70)은 스토퍼(71), 스토퍼(71)을 제어하기 위한 외부면(72a)을 가진 스토퍼제어캠(72) 및 인장스프링(73)을 포함하고 있다. 스토퍼(71)는 그 일단에 로울러(74)를 가지고 있고 그 중간부에서 중동자(25L) 및 (25R)와 결합하고 있다. 스토퍼(71)의 로울러(74)가 스토퍼제어캠(72)의 외부면(72a)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중동자(25L) 및 (25R)의 시계방향회전이 제한되고, 이 경우에는 종동자(25L) 및 (25R)의 수동아암(25a)은 포울선택드럼(26)의 오목부(26a)에 삽입되지 않는다. 분할 또는 색인 작업에 대한 포울선택드럼(26)의 회전은 스토퍼(71)의 로울러(74)가 스토퍼제어캡(72)의 외부면(72a)과 맞물려 있고 스토퍼(71)가 제1도에 도시된 요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참조번호(80)는 스토퍼 제어캡(72)을 구동시키는 전동장치이다.
포올선택드럼(26)은 드럼(26)의 회전축(26c)의 일단에 장착된 풀리(28) 및 벨트(29)를 통하여 서보모우터(30)(회전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포올선택드럼(26)의 분할 또는 색인 작동은 서보모우터(30)에 의해서 매 소정의 각도단위로 수행되어서 분리포일(21L) 또는 (21R)은 드롭퍼 분리위치로 이동된다. 인코더(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위치검출신호 및 사통될 드롭퍼 열에 대한 선택 명령신호를 근거로 하여 서보모우터(30)은 포올선택드럼(26)을 회전시키며, 선택명령 정보에 대응하는 드롭퍼열이 분리포올(21L) 또는 (21R)의 드롭퍼 분리위치로 이동된다. 각 포올선택드럼(26)의 구동은 임의의 회전각도를 통하여 서보모우터(30)의 회전축(30c)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이 회전각도는 분리될 드롭퍼혈의 분리포올(21L) 또는 (21R)에 대응하는 오목부(26a)가 드럼(26)의 최하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오목부(26a)의 갯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피치각도(예컨대 30°)의 단위이다. 그 다음에 포올선택드럼(26)의 최하위치에 위치된 오목부(26a)에 대향한 수동아암(25a)을 가진 종동자(25L) 또는 (25R)는 스프링(27)에 의해서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분리해야할 소망의 분리포올(21L) 또는 (21R)은 드롭퍼 분리위치로 이동되고 드롭퍼(11)로 부터 해제된다.
제6도에서 참조번호(31)은 자석(33)(33)을 구비한 분리아암을 나타낸다. 드롭퍼(11G)에서 분리된 드롭퍼(11F)는 분리아암(31)의 자석(33)에 의해 전방으로 끌어당겨지며 분리된 드롭퍼(11F)와 드롭퍼군(11G) 사이의 드럽퍼 분리공간이 더 증가된다.
그 다음 제1위치결정부재(41)는 증가된 드롭퍼 분리공간에 삽입된다. 제1위치결정부재(41)와, 이 제1위치 결정부재(41)와 협동하는 제2위치결정부재(42)는 구동메카니즘(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되어 상호 밀접하게 되면 드롭퍼(11F)의 상반부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수평으로 회전되며, 그때 드롭퍼(11F)의 사통공(11b)은 소정의 사통위치에 유지된다. 자석(34)를 구비한 불출아암(32)은 분리아암(31)의 정면에 구비되면 아암(31)(32)은 상·하방 및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가동프레임(51)에 지지된다. 사통된 드롭퍼(11F)는 불출아암(32)의 자석(34)에 의해 흡인되어 불출아암(3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참조번호(52)는 드롭퍼 바아(15)를 지지하는 사통장치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낸다. 고정프레임(52)에는 분리된 드롭퍼(11F)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부(53a)를 갖는 복귀-방지부재(53)가 부착되어 있다. 분리된 드롭퍼(11F)의 상단과 결합하는 결합부(53a)를 갖는 복귀-방지부재(53)가 부착되어 있다. 분리된 드롭퍼(11F)가 복귀-방지부재(53)의 결합부(53a)에 의해 드롭퍼(11G)으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구조의 드롭퍼 분리장치의 작동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사통장치의 운전에 앞서서 복수의 드롭퍼(11)은 교호로 전·후방으로 중첩되어서 두인접 드롭퍼(11)의 비대칭 산부(11a)는 상호 중첩되지 않으며 정렬된다. 정렬된 드롭퍼(11)는 가이드핀(12A)(12B) 및 가이드 레일(13)에 의해 안내되며 드롭퍼(11)의 긴구멍(11c)을 통하여 드롭퍼 바아(15)에 지지된다. 그 다음 이 드롭퍼군(11G)의 최전방 드롭퍼는 가압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며 최전방 드롭퍼(11F)의 전방이동은 하나의 분리포올(21L)(21R)과 가이드레일(13)에 설치된 정지핀(14)에 의해 그 상하단에서 제한된다. 그 결과 정렬된 드롭퍼(11G)는 가압수단의 압력에 비례하여 구부러진다.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드롭퍼(예컨대 상이한 칼라)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배열상태에서 사통장치의 운전이 개시되면, 드롭퍼(11)의 분리작동, 위치결정작업, 사통작업 및 불출작업이 연속으로 수행되고 드롭퍼군(11G)이 1올씩 사통된다. 이들 연속작동이 진행되면, 스토퍼 제어캠(72)은 회전되고 캠(72)과 결합하고 있는 스토퍼(71)는 분리작동중에 제1도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요동된다. 스토퍼(71)의 요동전에 서보모우터(30)는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포올선택드럼(26)은 소정의 각도단위에 의해서 회전되어서 분리될 드롭퍼열에 대응하는 오목부(26a)는 종동자(25L) 또는 (25R)의 어느 한쌍의 중동자(25L) 또는 (25R)의 수동아암(25a)에 대향되어 있다. 이것이 포올선택드럼(26)의 구동작업이다. 그러므로, 스토퍼(71)가 요동하면, 복수쌍의 종동자(25L) 및 (25R)중의 수동아암(25a)은 복수의 오목부(26a)중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남아있는 수동아암(25a)은 포올선택드럼(26)의 외부면과 맞물려 있다.
그다음에 포올선택드럼(26)의 오목부(26a)에 삽입된 수동아암(25a)을 가진 종동자(25L) 또는 (25R)은 제2도의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 회전은 분리포올(21L) 및 (21R)중의 하나가 상향(상기 설명된 드롭퍼 분리위치)로 요동되도록 한다.
분리포올(21L) 또는 (21R)이 요동되고 최전방 드롭퍼(11F)의 산부(11a)로부터 결합해제되며, 이 드롭퍼는 굽혀진 상태에서 해제되어 직진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분리된 드롭퍼(11F)와 후속의 드롭퍼(11G)이 상반부 사이에 소정의 드롭퍼 분리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작동에 있어서는 분리포올(21L) 또는 (21R)이 드롭퍼(11)의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며 또한 요동중심축(22c)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된다. 또한, 하나의 분리포올(21L) 또는 (21R)이 드롭퍼분리위치로 분리되면, 후속 드롭퍼군(11G)은 다른 분리포올(21L) 또는 (21R)에 의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후속드롭퍼(11G)로부터 분리된 드롭퍼(11)는 드롭퍼(11)의 전방에서 정지된 분리아암(31)의 전방운동에 의해서 더 증가된다. 위치결정부재(41) 및 (42)는 이 증가된 드롭퍼 분리공간에 삽입되며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어서 드롭퍼(11F)는 제6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때 드롭퍼(11)는 자석(33)에 의해서 상축단부에 흡입되며 이 상태에서 이 상측단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된다.
이 분리된 드롭퍼(11F)의 위치결정이 완료되면, 드롭퍼(11F)이 사통공(11b)은 위치결정되어서 드롭퍼는 사통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사통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흐름을 사용한 사통노즐은 사통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드롭퍼(11F)가 사통되면, 분리아암(31)과 분출아암(32)은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된다. 분리아암(31)과 분출아암(32)은 소정의 양만큼 이동되고 다시 하강되면 원래 정지위치로 복귀하고 단일 드롭퍼 분리작동을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올선택드럼(26)의 회전으로 분리작동을 수행하도록된 분리포올(1L) 또는 (21R)에 대응하는 오목부(26a)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며, 드럼(26)의 회전중에 포올선택드럼(26)으로부터 분리포올(21L) 및 (21R)까지의 전동은 규제수단(70)에 의해서 방해되고, 분리작동을 수행하지 않는 분리포올(21L) 또는 (21R)은 드롭퍼정지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분리포올 사이에서 선택되는 분리포올(21L) 또는 (21R)만 서보모우터(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사이의 임의의 드롭퍼열의 분리작동 즉 랜덤분리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드롭퍼 열의 분리는 최적순서로 임의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분리순서는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외관이 다른 드롭퍼가 예컨대 사의 종류에 대응하는 식별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롭퍼분리장치에 있어서 오목부(26a)를 가진 캠이 포올선택드럼(26)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쌍의 분리포올(21) 및 (21R)은 단일 서보모우터(30)에 의해서 임의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분리장치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제2도에서 포올선택드럼(26)의 오목부(26a)는 드럼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등 간격으로 배열되었지만 이보다 더욱 효과적인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분리포올(21L)에 대응하는 오목부(26)는 소정의 각도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포올(21R)에 대응하는 오목부(26)는 소정의 각도공간과 동일한 태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분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각 드롭퍼 열은 인접하는 두 드롭퍼의 상부 단부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중첩된 복수의 드롭퍼를 가지는 복수의 드롭퍼열 ; 분리포올이 쌍을 이루어 각각의 드롭퍼열에 대응하며, 각 분리포올쌍은 상기 드롭퍼열의 최전방드롭퍼를 상기 드롭퍼열의 후속 드롭퍼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인접하는 두 드롭퍼의 상부단부와 맞닿으며, 각 분리포올은 최전방 드롭퍼가 유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최전방 드롭퍼가 미리 결정된 드롭퍼 분리공간 만큼 상기 드롭퍼열의 후속 드롭퍼들로부터 분리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한 복수의 분리포올; 각각의 캠이 대응하는 분리포올을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요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일 회전축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캠 ; 상기 분리포올중의 한 분리포올이 대응하는 캠에 의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상기 동일회전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 및 분리포올이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요동될때 각 분리포올의 움직임을 제어 및 규제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은 드럼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KR1019920019535A 1991-10-24 1992-10-23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Expired - Lifetime KR97000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75890 1991-10-24
JP3275890A JPH05117941A (ja) 1991-10-24 1991-10-24 ドロツパーランダム分離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076B1 true KR970001076B1 (ko) 1997-01-25

Family

ID=1756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535A Expired - Lifetime KR970001076B1 (ko) 1991-10-24 1992-10-23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09615A (ko)
EP (1) EP0539061A1 (ko)
JP (1) JPH05117941A (ko)
KR (1) KR970001076B1 (ko)
TW (1) TW2159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7881A5 (de) * 1993-09-13 1997-03-14 Staeubli Ag Zweigwerk Sargans Litzensepariervorrichtung fuer Kettfadeneinziehmaschinen.
JPH09170144A (ja) * 1995-12-20 1997-06-30 Hamamatsu Photonics Kk フラットヘルド用ストッカ
WO2000014315A1 (de) * 1998-09-09 2000-03-16 Stäubli Ag Pfäffikon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geschirrelementen, insbesondere von lamellen
EP1177339B1 (de) * 1999-05-07 2004-04-14 Stäubli AG Pfäffik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gabe von vereinzelten webgeschirrelementen an eine transporteinrichtung
JP4900306B2 (ja) * 2008-04-03 2012-03-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ドローイングマシン
EP2843092B1 (de) * 2013-08-27 2017-05-17 Groz-Beckert KG Kettfadenwächter mit einer Führungsschiene
CN105696174B (zh) * 2016-03-18 2017-10-27 深圳市海弘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综丝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9958B (da) * 1969-02-06 1971-03-15 Titan Textile Machines As Fremgangsmåde ved gennemtrækning af en vævekædes tråde gennem lidser i et væveredskab samt apparat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JPS4822145B1 (ko) * 1970-05-14 1973-07-04
JPS6420359A (en) * 1987-07-10 1989-01-24 Teijin Seiki Co Ltd Heald transfer apparatus
JPS6420358A (en) * 1987-07-10 1989-01-24 Teijin Seiki Co Ltd Heald magaz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15933B (ko) 1993-11-11
US5309615A (en) 1994-05-10
JPH05117941A (ja) 1993-05-14
EP0539061A1 (en) 199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076B1 (ko) 드롭퍼 랜덤 분리장치
KR940011011B1 (ko)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한 방출사 안내부가 안내봉상에 배열된 날실편물기계
US5323518A (en) Dropper separat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US4568209A (en) Multicolor dot matrix printing system
US4138839A (en) Service device for one or more open end spinning frames
US4348876A (en) Weft thread laying apparatus
US6199249B1 (en) Device for delivering harness elements of a power loom
US4570463A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a knitting machine
US3709493A (en) Race game and chance programming apparatus therefor
CS200498B2 (cs) Zařízení na tvoření prostupu na kruhovém tkacim stroji
EP0122065A2 (en)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GB2189515A (en) Yarn selection in Axminster carpet looms
US3981458A (en) Single pin guide traverse
US5138850A (en) Spring biased pattern bars having electromagnetic selectors
US4525906A (en) Device for drawing warp threads into readied heddles and drop wires
CS214927B1 (en) Facility for programmed interchange of position particularly of nozzles of the jet loom
US3432897A (en) Machine for inserting leases in warps
US7451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aving leno fabric
EP0102063A2 (en) Weft inserting device for a jet loom and loom including the device
US2882057A (en) Selective multi-section ball shutter
KR790000949B1 (ko) 유체 분사직기(流體噴射織機)
SU4230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фотографических слоистыхматериалов в форме ленты с контактными меткамина определенном расстоянии друг от друга
USRE33038E (en) Dot matrix printing system
GB2231590A (en) Yarn selection in axminster carpet looms
EP0029193B1 (en) Device for producing inlaid or sculptured knitted fabrics particularly in linear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6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12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