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706637A -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 Google Patents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6637A
KR960706637A KR1019960702871A KR19960702871A KR960706637A KR 960706637 A KR960706637 A KR 960706637A KR 1019960702871 A KR1019960702871 A KR 1019960702871A KR 19960702871 A KR19960702871 A KR 19960702871A KR 960706637 A KR960706637 A KR 96070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multivariate calibration
samples
wat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227B1 (ko
Inventor
아른비다르손 뵈르쿠르
니가아드 라스
와벤 한센 페르
Original Assignee
토르벤 라데가아드 옌센
포스 일렉트릭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르벤 라데가아드 옌센, 포스 일렉트릭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토르벤 라데가아드 옌센
Publication of KR96070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G01N25/0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of melting point; of freezing point; of softening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4Dairy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77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liquids, e.g. polluted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Dairy Produ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Confectio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 시료의 적외선 (IR) 감쇠를 측정하고, (b) (a)의 측정치 및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와 외래수의 양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 중의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우유 시료에 함유된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시료의 빙점 강하를 측정하는 유사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또는 외래수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에 사용되기 위한 일련의 희귀 계수를 수립하는 방법에 관한다.

Description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두가지 시료 그룹의 측정된 빙점 강하(FPD:freezing point depression)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측정된 FPD 대 외래수가 포함된 시료를 이용한 교정에 기초하여 예측된 FPD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시료 중의 예측된 외래수 대 시료에 첨가된 외래수의 백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외래수의 예측량 대 테스트 시료 그룹의 측정된 FPD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시료에 첨가된 외래수의 실제 양 대 회수된 외래수의 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0)

  1. a)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 시료의 적외선 감쇠를 측정하고, b)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와 외래수의 양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 및 a)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우유 시료에 함유된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시료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a)의 측정치, (c)의 측정치, 및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 측정된 상기 전도도 및 외래수의 양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측정치를 시료 중 성분의 농도치로 실질적으로 개재 변환시킴이 없이 (b)단계의 평가에 이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물과 A/D 변환에 대한 가능한 표준화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개재 변환도 없이 (a)의 측정치를 (b)단계의 평가에 직접 이용하는 방법.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이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하나 이상의 시료에 외래수를 포함시킴에 의해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하나 이상의 시료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물만으로 이루어진 방법.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외래수의 효과에 상응하도록 조작된 데이타를 포함시킴으로써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다변량 교정에 앞서 하나 이상의 희귀 계수를 정의함으로써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9. a)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 시료의 적외선 감쇠를 측정하고, b) (a)의 측정치와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와 시료의 빙점 강하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의 빔점 강하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a)의 측정치는 시료 중의 성분들의 농도치로 실질적으로 개재 변환됨이 없이 (b)단계의 평가에 이용되는 것이 특징인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를 측정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가능한 A/D변환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개재 변환 없이 (a)의 측정치가 (b)단계의 평가에 이용되는 방법.
  11. a)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 적외선 감쇠를 측정하고, b) (a)의 측정치와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 및 시료의 빙점 강하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의 빙점 강하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는 다음 1)∼4)중 하나 이상의 수단에 의해 빙점 강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를 측정하는 방법; 1) 하나 이상의 시료에 물을 첨가하는 것, 2) 다변량 교정에 실질적으로 전적으로 물만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하나 이상 포함시키는 것, 3) 다변량 교정에, 외래수 효과에 상응하도록 조작된 데이타를 포함시키는 것, 4) 다변량 교정에 앞서 희귀 계수를 하나 이상 정의하는 것.
  12. 제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시료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a)의측정치, (c)의 측정치, 및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 측정된 전기 전도도 및 빙점 강하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의 빙점 강하를 측정하는 방법.
  1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외선 감쇠 측정을 라토스 흡수가 일어나는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 수행하는 방법.
  1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의 측정치와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 및 문제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농도와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으로부터 유도된 예정 희귀 계수를 이용하여 하나이상의 우유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유유 성분이 지방, 탄수화물, 예컨대 락토스, 단백질, 요소, 구연산, 유리 지방산, 항생제, 인산염, 체세포, 세균, 방부제 및 카제인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1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외선 감쇠의 측정을 2개 이상의 파장대에서 수행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외선 감쇠의 측정을 4개 이상의 파장대에서 수행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외선 감쇠의 측정을 8개 이상의 파장대에서 수행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외선 감쇠의 측정을 8∼15개의 파장대에서 수행하는 방법.
  20. 그의 지레비가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된 몇가지 우유 시료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와 외래수의 양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시료의 적외선 감쇠 측정 및 적외선 감쇠 측정치 및 일련의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 중의 외래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우유 시료에 함유된 외래수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에 이용되기 위한 일련의 희귀 계수를 수립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료를 외래수를 포함시킴으로써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지레비를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시키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료를 새로운 몇개의 시료로 나누어 공지량의 외래수를 이 새로운 시료의 적어도 일부에 첨가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하나 이상은 실질적으로 전적으로 물 만으로 이루어진 방법.
  24. 제20항 내지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외래수의 효과에 상응하도록 조작된 데이타를 포함시킴으로써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25. 제20항 내지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다변량 교정에 앞서 하나 이상의 희귀 계수를 정의함으로써 외래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26. 제20항 내지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5개 이상의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10개 이상의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20개 이상의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10∼20개의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30. 제21항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이용되는 2개 이상의 시료에 외래수를 첨가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이용되는 4개 이상의 시료에 외래수를 첨가하는 방법.
  32. 제21항 내지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이용된 시료의 약 삼분의 일 이상에 외래수를 포함시키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이용된 시료의 약 절반에 외래수를 포함시키는 방법.
  34. 제21항 내지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래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0.5% 이상에 해당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외래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1∼10%에 해당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외래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2∼8%에 해당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외래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3∼6%에 해당하는 방법
  38. 제20항 내지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희귀 계수 수립에 이용되는 우유 시료가 원유 시료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우유 시료가 수작업에 의한 착유 후 존재하는 그대로의 원유 시료인 방법.
  40. 그의 지레비가 빙점 강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된 몇가지 우유 시료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적외선 감쇠와 빙점 강하 사이의 관계와 관련한 다변량 교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시료의 적외선 감쇠 측정과 적외선 감쇠 측정 및 일련의 희귀 계수에 기초하여 시료의 빙점 강하를 평가함으로써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하는 장치에서 이용되기 위한 일련의 회귀 계수의 수립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료에 물을 부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지레비가 빙점 강하 측정과 관련하여 증가되어 있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시료가 전적으로 물만으로 이루어진 방법.
  43. 제40항 내지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된 물의 효과에 상응하도록 조작된 데이타를 포함시킴으로써 빙점 강하 측정과 관련하여 다변량 교정에 사용된 시료의 지레비가 증가되어 있는 방법.
  44. 제40항 내지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앞서 하나 이상의 희귀 계수를 정의함으로써 빙점 강하 측정과 관련하여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지레비가 증가된 방법.
  45. 제40항 내지 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몇가지 우유 시료를 준비하고, b) 하나 이상의 시료를 물을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시료로 대체시키고, c) 빙점 강하를 측정하고, d) 여러 파장대에서 각 시료의 적외선 감쇠를 측정하고, e) 공지의 빙점 강하와 각 시료의 측정된 적외선 감쇠치에 기초하여 장치의 다변량 교정을 수행함으로써 교정을 수행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f) (b)단계 후 (e)단계 전에 시료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이 전기 전도도를 다변량 교정에 포함시키는 단계가 추가되는 방법.
  47. 제45항 또는 4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각 시료를 새로운 몇개의 시료로 나누어, 이 새로운 시료 몇 개에 양을 달리하여 물을 첨가하는 방법.
  48. 제40항에 내지 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5개 이상의 시료에 대해 수행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10개 이상의 시료에 대해 수행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20개 이상의 시료에 대해 수행하는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을 10∼20개 시료에 대해 수행하는 방법.
  52. 제41항 내지 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2개 이상의시료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4개 이상의 시료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
  54. 제41항 내지 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시용되는 시료의 실질적으로 삼분의 일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
  55. 제41항 내지 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변량 교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실질적으로 삼분의 이에 물을 첨가하는 방법.
  56. 제41항 내지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0.5% 이상에 해당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물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1∼10%에 해당하는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물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2∼8에 대당하는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물의 첨가량이 각 시료 부피의 3∼6%에 해당하는 방법.
  6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분 최소 자승 알고리듬 (Partial Least Squares algorithm), 주요요소 희귀(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다중 선형 희귀(Multiple Linear Regression), 및 인공 수치 네트워크(Artificial Neural Network) 학습 또는 이들의 조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다변량 교정을 수행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2871A 1993-12-10 1994-12-09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 KR100216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931385A DK138593D0 (da) 1993-12-10 1993-12-10 Forbedret maalemetode
DK1385/1993 1993-12-10
PCT/DK1994/000462 WO1995016201A1 (en) 1993-12-10 1994-12-09 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637A true KR960706637A (ko) 1996-12-09
KR100216227B1 KR100216227B1 (ko) 1999-08-16

Family

ID=810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871A KR100216227B1 (ko) 1993-12-10 1994-12-09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739034A (ko)
EP (1) EP0734523B1 (ko)
JP (1) JP3429000B2 (ko)
KR (1) KR100216227B1 (ko)
AT (1) ATE156912T1 (ko)
AU (1) AU679821B2 (ko)
BR (1) BR9408293A (ko)
CA (1) CA2178627C (ko)
DE (1) DE69405012T2 (ko)
DK (1) DK138593D0 (ko)
ES (1) ES2107298T3 (ko)
FI (1) FI115164B (ko)
NZ (1) NZ277479A (ko)
PL (1) PL314716A1 (ko)
WO (1) WO1995016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414A (ko) 2022-02-24 2023-09-0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4444A (en) * 1996-10-10 1998-09-08 Tolix Holdings Limited Hypothermic storage technology for biological material
DK34297A (da) * 1997-03-25 1998-09-26 Foss Electric As Måling af acetone i mælk ved brug af IR-spektroskopi
AU5726999A (en) * 1998-09-18 2000-04-10 Foss Electric A/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 control
US7097973B1 (en) 1999-06-14 2006-08-29 Alpha Mos Method for monitoring molecular species within a medium
US6975944B1 (en) 1999-09-28 2005-12-13 Alpha Mo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aterials used in electronics
AU768044B2 (en) 1999-10-21 2003-11-27 Foss Electric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roperties of food or feed
US7272510B2 (en) 2002-01-10 2007-09-18 Foss Analytical A/S Method and means for correcting measuring instruments
CN1800827B (zh) * 2004-12-31 2010-05-26 严衍禄 果汁中苯甲酸钠的近红外光谱快速无损检测方法
US12055506B2 (en) 2019-08-29 2024-08-06 Foss Analytical A/S Standardizing the output of an electrical property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82120D1 (de) * 1984-11-13 1991-04-18 Shields Instr Ltd Infrarot-spektrophotometrische vorrichtung.
DK165391D0 (da) * 1991-09-27 1991-09-27 Foss Electric As Ir-maalesystem
DK39792D0 (da) * 1992-03-25 1992-03-25 Foss Electric As Fremgangsmaade til bestemmelse af en k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414A (ko) 2022-02-24 2023-09-0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의료기관용 스마트밴드 및 환자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05012D1 (de) 1997-09-18
WO1995016201A1 (en) 1995-06-15
JP3429000B2 (ja) 2003-07-22
PL314716A1 (en) 1996-09-16
EP0734523A1 (en) 1996-10-02
AU1271795A (en) 1995-06-27
DE69405012T2 (de) 1997-12-11
FI115164B (fi) 2005-03-15
KR100216227B1 (ko) 1999-08-16
EP0734523B1 (en) 1997-08-13
ATE156912T1 (de) 1997-08-15
ES2107298T3 (es) 1997-11-16
FI962365A0 (fi) 1996-06-07
BR9408293A (pt) 1997-08-26
DK138593D0 (da) 1993-12-10
CA2178627A1 (en) 1995-06-15
CA2178627C (en) 2002-09-10
JPH09506432A (ja) 1997-06-24
NZ277479A (en) 1996-10-28
FI962365L (fi) 1996-07-05
AU679821B2 (en) 1997-07-10
US5739034A (en) 1998-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9792D0 (da) Fremgangsmaade til bestemmelse af en komponent
KR960706637A (ko) 우유 시료 중의 외래수, 또는 우유 시료의 빙점 강하 측정법(determination of extraneous water in milk samples, or the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milk samples)
WO2000019196A3 (de) Verfahren und testbesteck zur beurteilung der oxidativen modifikation proteinhaltiger stoffe mittels messung ihrer antiradikalen aktivität
JPH07503535A (ja) 赤外減衰測定系
DE10141408A1 (de)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Kalibrier-Intervallzeit von elektrochemischen Messsensoren
Ley et al. Errors in Penman-Wright alfalfa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es: II. Effects of weather sensor measurement variability
DK34297A (da) Måling af acetone i mælk ved brug af IR-spektroskopi
Robertson Cryoscopy of Milk, A 1954–1956 Survey: I. Distribution of Freezing Points Among 1,627 Herd Milks
Booy et al. The rapid estimation of the protein content of milk-Part I.
Núñez-Sánchez et al. Effect of moisture uptake on the repeatability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analyses of ewe milk using the dry extract system for infrared (DESIR) method
NÁDAI APPLICATION OF NIR TECHNIQUE FOR RAW MEAT COMPOSITION CONTROL
KR970010969B1 (ko) 가수된 쇠고기의 신규한 검사방법
UA152946U (uk) Спосіб визначення фальсифікації сметани і вершків рослинними оліями
Ye Application of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determination of nutrient contents in manure
De Silva Statistical approaches for milk composition determination using combined near infrared, Raman, conductivity, and refractive index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