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32550A - 부스(Booth)용 샤터 - Google Patents

부스(Booth)용 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2550A
KR960032550A KR1019950002938A KR19950002938A KR960032550A KR 960032550 A KR960032550 A KR 960032550A KR 1019950002938 A KR1019950002938 A KR 1019950002938A KR 19950002938 A KR19950002938 A KR 19950002938A KR 960032550 A KR960032550 A KR 96003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oth
guide
shaft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웅
Original Assignee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Lg 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32550A/ko
Publication of KR96003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5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용 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샤터가 상승 및 하강할 때 불규칙한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밀유지, 소음발생, 이물질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셔터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베어링에 뚫인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에 삽입되고 일단이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 타단이 이동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부스(Booth)용 샤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 부스용 샤터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부스용 샤터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 부스에서 샤터를 발췌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 부스용 샤터의 측면도.

Claims (2)

  1. 셔터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베어링에 뚫인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고 일단이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 타단이 이동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용 샤터.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은 샤프트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에 삽입되고 양단이 고정된 안내봉과, 상기 샤프트를 탄성력으로 양측에서 지지하여 주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용 샤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2938A 1995-02-16 1995-02-16 부스(Booth)용 샤터 Withdrawn KR960032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938A KR960032550A (ko) 1995-02-16 1995-02-16 부스(Booth)용 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938A KR960032550A (ko) 1995-02-16 1995-02-16 부스(Booth)용 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50A true KR960032550A (ko) 1996-09-17

Family

ID=6653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938A Withdrawn KR960032550A (ko) 1995-02-16 1995-02-16 부스(Booth)용 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32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809A (ko) 엔진의 보조기기 부착구조
KR920020001A (ko) 소음 및 진동 감쇠장치
FR2791110B1 (fr) Dispositif amortisseur d'oscillations a masses de debattement a roulement force
CA2167439A1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CO4771120A1 (es) Herramienta de perforacion con amortiguadores de choques
IT1314056B1 (it) Ammortizzatore di vibrazioni con forza di smorzamento variabile
KR950004149A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방진.방충장치
KR960032550A (ko) 부스(Booth)용 샤터
BR9000471A (pt) Mancal de borracha
SI1129819T1 (en) Casing element with bearing for transmission
KR910004899A (ko) 충격 운동공구의 완충장치
KR910001413Y1 (ko) 냉장고의 소음 방지 장치
KR970034760A (ko) 윈드쉴드 하단 장착구조
KR940017051A (ko) 모터의 진동 흡수장치
KR970039281A (ko) 범퍼의 완충구조
KR970046865A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970046157A (ko) 차량의 승강식 전자제어 시스템용 쇽 업소버
KR940015047A (ko) 댐퍼구조
KR950021958A (ko) 소음방지재를 갖춘 모우터
KR970046136A (ko) 스프링의 진동방지용 튜브
KR930000317A (ko)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KR20050035027A (ko) 자동차의 백도어 스토퍼 장치
KR970043666A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구조(A construction for mounting of inside handle for door in an automobile)
KR950009157A (ko) 에어컨 방진체의 구조
KR970041137A (ko) 충격흡수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