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8272A - 파스너조립체용 너트 - Google Patents

파스너조립체용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8272A
KR960018272A KR1019950043212A KR19950043212A KR960018272A KR 960018272 A KR960018272 A KR 960018272A KR 1019950043212 A KR1019950043212 A KR 1019950043212A KR 19950043212 A KR19950043212 A KR 19950043212A KR 960018272 A KR960018272 A KR 96001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rotrusion
bolt
fastener assembly
holl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4601B1 (ko
Inventor
헤랄드 베데니히 공학사
Original Assignee
라인하드 하이더
하카테 하이더 우. 데라비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0218494A external-priority patent/AT402223B/d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하드 하이더, 하카테 하이더 우. 데라비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하드 하이더
Publication of KR96001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the action of one or more springs or resilient retai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6Non-metallic fasten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heet Holders (AREA)
  • Dowe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파스너조립체가 나사가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와 상호작용하는 너트 1로 구성되며, 너트는 경질탄성재 특히 프라스틱으로 형성된 다듬질된 원기둥 또는 각긱둥중공체(11)에 의해 형성되며, 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향되어 중공체(11)와 일체로 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가 너트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며, 너트의 자유단부는 볼트의 나사와 상호작용하고,그 결과 나사볼트가 너트(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축방향변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의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한편 너트(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나사볼트와 너트(1)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록 된 파스너조립체용 너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는 대략 너트(1)와 접촉요소의 접촉면까지 연장되는 축방향돌출연장부(16)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스터조립체용 너트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을 따라서 취한 너트의 단면도.

Claims (13)

  1. 파스너조립체가 나사가 형성된 볼트와 상기 볼트와 상호작용하는 너트로 구성되며, 너트는 경질탄성재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다듬질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중공체에 의해 형성되며, 축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향되어 중공체외 일체로 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너트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며, 너트의 자유단부는 볼트의 나사와 상호작용하고, 그 결과 나사볼트가 너트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축방향변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한편 너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나사볼트와 너트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록 된 파스너조립체용 너트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는 대략 너트(1)와 접촉요소의 접촉면까지 연장되는 축방향돌출연장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는 중공체(11)의 내측벽과 접촉하여 돌출부(12)가 중심축으로부터 휘어지는 것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돌출연장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장부(16)의 내측에는 나사볼트를 안내하는 돌출부, 특히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는 선택적으로 다수회 세별된 원뿔형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는 중공체(11)의 축에 대하여 10~50°의 각도, 측히 대략 30°의 각도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의 자유단부에는 나사진행로의 일부의 역할을 하는 리브(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의 자유단부는 나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의 접속부의 벽두께는 돌출부의 벽부께보다 크게 작으며 대략 벽두께의 절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자유단부는 일지점에서 중절된 스트립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느느 열가소성재료, 엘라스토머재료, 듀로머(duromer)재료, 섬유강화플라스틱, 입자강화폴리머재료 또는 입자 및/또는 섬유강화 폴리머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섬유는 전적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축장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2. 파스너조립체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볼트에는 나사가 형성되고,너트는 구멍이 형성된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축에 비스듬히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측히 너트구성요소와 일체로 된 원뿔형링이 구멍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며, 그 결과 스크류볼트가 너트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축방향변위하여 구속요소의 탄성변형을 일으키며 너트에 대하여 회전하며, 스크류와 너트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힘이 절단되도록 된 파스너조립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2)에는 대략 너트(1)와 접촉요소의 접촉면까지 연장되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1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너트로서 작용하는 구성요소는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구체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조립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3212A 1994-11-24 1995-11-23 파스너조립용 너트 KR100204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218494A AT402223B (de) 1994-11-24 1994-11-24 Mutter für eine befestigungseinrichtung
ATA2184/94 199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72A true KR960018272A (ko) 1996-06-17
KR100204601B1 KR100204601B1 (ko) 1999-06-15

Family

ID=352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212A KR100204601B1 (ko) 1994-11-24 1995-11-23 파스너조립용 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04601B1 (ko)
AR (1) AR000180A1 (ko)
TW (1) TW317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247B1 (ko) 2004-05-10 2006-08-08 김명석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4601B1 (ko) 1999-06-15
AR000180A1 (es) 1997-05-21
TW317595B (ko) 199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2757B2 (ja) フアスナ構体用ナット
US3062557A (en) Sealing rings
US3449799A (en) Fastener for connecting apertured structure to another structure
US4834398A (en) Pipe gasket
JPH0412298Y2 (ko)
CA1258810A (en) Self-retaining anchoring assembly and seal therefor
US4993863A (en) Joint device
KR900006086A (ko) 푸쉬-인 패스너
KR970066241A (ko) 파이프 조인트
KR900010288A (ko) 호스 고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970016200A (ko) 수지제cvj부트
KR960001521A (ko) 더스트 부트 리테이너 고리
KR20040076282A (ko) 지지 부싱
KR840008047A (ko) 관 연결기
KR890000804A (ko) 조인트
JPS6242169B2 (ko)
FI80970B (fi) Kabelgenomfoering.
US4558494A (en) Plastic fastening component
WO2004113777A2 (en) Pipe joint and snap ring for thereof
US3431811A (en) Mounting and sealing nut
KR960018272A (ko) 파스너조립체용 너트
KR200178047Y1 (ko) 결착력이 증대되는 파이프 연결구조
JP4205607B2 (ja) グロメット
JP2008507245A (ja) 波形管用の連結接続部材
KR960027119A (ko) 케이블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