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6152B1 - 칫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칫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152B1
KR960016152B1 KR1019900701738A KR900701738A KR960016152B1 KR 960016152 B1 KR960016152 B1 KR 960016152B1 KR 1019900701738 A KR1019900701738 A KR 1019900701738A KR 900701738 A KR900701738 A KR 900701738A KR 960016152 B1 KR960016152 B1 KR 96001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oothbrush
head
blank
bris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700013A (ko
Inventor
바만 롤프
Original Assignee
롤프바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바만 filed Critical 롤프바만
Publication of KR91070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70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1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00Machines for finishing brushes
    • A46D9/02Cutting; Trimm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5Varied length bris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칫솔의 제조방법
제1도는 블랭크의 뒷면에서 본 칫솔블랭크의 평면도.
제2도는 칫솔용 강모(剛毛)가 칫솔의 머리부위에 이식된 후 칫솔 머리부위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강모 이식된 머리부위의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 전술한 머리부위를 음각만곡 처리후의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머리 부위를 양각만곡 처리후의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보이는 칫솔대의 한 변형예의 도면.
제7도는 제8도는 제2도와 제5도에 해당하는 부위의 두번째 변형예를 보인 도면.
제9도와 제10도는 제2도와 제5도에 도시된 부위의 세번째 변형예를 보인 도면.
제11도와 제12도는 제2도와 제5도에 도시되 부위의 세번째 변형예를 보인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칫솔의 머리부위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있어 제13도에 도시된 칫솔머리 부위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칫솔이 치아를 닦을 때 구조적으로 치아에 칫솔이 작용하는 상태를 보여준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칫솔 블랭크,10a : 머리부위,
10b, 10b1, 10b" : 손잡이,10c : 목부위,
11, 12 : 얇은 요면 또는 홈,11a, 11b : 바닥,
11b, 12b : 옆표면,13, 14, 15 : 머리부분,
16, 17 : 버팀부위,18 : 구멍,
19 : 강모뭉치,20 : 고정판,
20a, 21a : 열절연전도수단,21 : 노즐,
22 : 직선점단선,24 : 모서리부분,
100', 100a' : 칫솔머리,122a, 122b : 절단선,
123 : 머리부위
본 발명은 칫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의 머리부분이 적어도 세개의 칫솔 부위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 각각의 칫솔부위는 각 부위간에 형성된 요면 또는 홈(attenuation groove)으로 각기 분리되어 있으며 이 요면 또는 홈을 따라 서로 굽혀지는 각 칫솔부위에는 국부적으로 가열된 후 전술한 요면 또는 홈을 따라 평행으로 강모(剛毛)를 이식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의 각 머리 부위에 강모집단을 이식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칫솔로 치아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으며 특히 치아와 접한 잇몸부위까지도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의 하나는 가능한한 전반적으로 자동화 방법에 의해 칫솔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로, 사용하는데 효과적이고 모양이 간결하여 솔질효과도 좋으면서 동시에 적은 부피를 차지하고, 둘째로, 서로 연관된 강모 집단이 적당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믿을 만한 방법으로 생산되어야 하고, 셋째로, 음식물 찌꺼기, 치아에낀 잔유물, 혹은 그 유사물질이 강모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는 칫솔을 제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부분의 머리부위를 가진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며, 중간머리부위인 제1머리부위와 이의 양측으로 각기 배열된 제2 그리고 제3머리부위로 되어 있고 각기 양쪽의 제2 및 제3이 머리부위는 얕은 요면이나 홈으로 경계를 이르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칫솔의 머리부위는 각기 측면에서 각이 정확하게 지도록 배열된 예를 들어, 넷, 다섯 혹은 여섯의 강모 이식용 구멍부위를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르웨이국 특허출원 제 880072호와 연관된 칫솔과 관계는 있으나 그런 칫솔의 생산방식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서로 다른 머리부위에 강모를 이식하고 그곳에서 음각의 제1만곡선을 따라 굽힌 것과, 양각의 제2만곡선을 따라 굽힌, 제2 그리고 제3머리부위로 구성된 칫솔에 대한 것이다. 음각의 제1만곡은 크기를 정하고 마무리 손질장비로 강모의 길이를 정리하도록 되어 있다. 양각의 제2만곡은 각각에 대한 최종 각도를 정한 머리부위를 만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강모집단이 예를 든다면, 제1, 2, 3머리부위에 위치한 후 이 머리부위는 시작부위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모집단 사이에 배열된 가열장비를 이용하는 공간이 제한된다. 공개된 노르웨이국 특허출원 제 880072호에서의 머리부위의 음각만곡에서는 머리부위의 양각만곡전에 강모사이에 가열장비에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므로 반대방향의 만곡전에 음각만곡이 효과적이다.
여기에 제시된 해결책으로 머리부위사이의 강모수용면에 얕은 홈과 구멍을 고안하여 결과적으로 최종 만곡형태인 양각만곡이 구멍이 압축됨과 동시에 강모 수용부위면의 머리부분이 동시에 각기 밀착되게 밀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언급된 해결책의 문제점은 머리부분 강모 수용면의 홈들이 빽빽히 밀착될 경우 음식물 찌꺼기, 치약 그리고 유사물이 모일 수 있는 주머니형상을 만드는 경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부위가 배열될 때 머리부분이 함께 밀리는 것이 아니고 또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여기에 끼여 모인 것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의 강모부분에 각기 독립된 가열장비가 충분히 접근할 수 있도록 강모수용머리부분을 상대적으로 밀접히 접근시켜 이를 해결토록 하고 있다.
실제로 노르웨이국 특허출원 제 880072호의 자동화 생산장비로 칫솔생산을 실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별한 문제점은 각도를 주는 과정에서 혹은 머리의 배열에 관계하여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문제점은 주로 칫솔의 머리부위에 효과적인 가열을 할 때, 인접부위는 가열에서 가능한 멀어지도록 하는 결과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발생한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가열장비에 가능한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칫솔머리부위의 강모 이식용 구멍 혹은 얇은 홈의 공간을 선택하는 것이다. 전술한 얕은 홈 또는 구멍에서의 가열에 의해 V자 모양의 구멍이 동시에 I자 모양의 홈에 고정될 수 있는 최종형태의 만곡을 실행해야 하고 구멍의 표면이 계속적인 접촉으로 함께 녹아 붙는 수도 있었다. 또한 이런 공정은 전반적으로 자동화 공정과정으로 운영하기에는 힘든 것이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초기가열에서 가열장비용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나, 연속적인 가열조작에 있어 끝손질인 양각 머리부위 만곡 전에 칫솔머리부위의 강모수용면에 구멍 혹은 얕은 홈을 제공하여 가열장비가 더 잘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초기음각만곡은 V자 모양의 열린형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멍바닥 혹은 일반적인 얕은 홈에 가열장비가 가능한 한 접근할 수 있도록 처음 음각만곡전 그리고 연속적인 양각만곡전 모두에 칫솔머리부위의 복잡함 없이 성취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머리부위의 매우 제한된 부위 즉, 머리부위사이의 통로부분에 가열이 행해지도록 구멍 또는 얕은 홈의 고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더 빠르고 더 잘 조절되는 가열을 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자동화 생산에서 칫솔생산에 합리적인 공정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에 얕은 홈 혹은 구멍으로된 공지된 구조에서, 구멍이나 얕은 홈에 국부적으로 단단히 묶인 강모부위나 묶인 부위에 바람직하지 못한 가열로 인해 발생하는 강모부위 묶인 구멍의 변형으로 인해 칫솔의 묶인 부위가 느슨해지는 단점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단점을 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은 칫솔머리부분의 뒷편 즉, 강모수용면의 반대쪽에 구멍 혹은 얕은 홈을 구멍의 바닥에서 가열을 위한 열 유도수단으로 각 홈 또는 얕은 구멍을 이용한 바닥에서 칫솔머리 부위는 부분적인 가열 대상이 되고, 강모운반면에서, 또 일련의 얕은 홈에 배열되는 강모를 효과적인 각도로 이식하는 것이 특징이 있다.
고빈도가열을 이용한 경우 전기도체를 동시에 칫솔머리부위 반대편에 배열하면, 구멍 혹은 얕은 홈이 있는 중간부위바닥에 효과적인 가열을 인접한 강모부위 혹은 묶인 점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빈도 가열은 중간부위의 물질을 통한 유도전류의 결과로서 얻을 수 있다.
만일 온풍가열방식이 사용된다면 가열이 전반적으로 혹은 칫솔머리 뒷부분의 구멍 또는 얕은 홈의 바닥쪽에서 위쪽으로 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한 경우에 머리부분사이의 두꼐가 즉, 구멍의 두께가 이 벽부위의 열 통과를 빠르게 하기 위해 가능한 얇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머리 부위사이에 상대적으로 얕은 층을 사용할 때 특별히 빠르고 효과적인 가열을 얻을 수 있고, 머리부위사이 상기 부위의 가열이 정확하게 이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세개의 머리부위로 되어 있고 각기 얕은 요면이나 홈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머리부위가 적절한 위치에서 강모 집단을 묶어서, 각 머리부위 지역의 칫솔머리 부위에 부분적인 가열을 한 후에, 서로 연결된 머리부위의 얕은 요면이나 홈을 축으로 서로 연관되게 각이 지면서 굽혀진 머리부위로 구성되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과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칫솔머리부위뒷쪽 즉, 강모수용면의 반대편에 구멍 혹은 얇은 홈을 만들고 서로 연관된 머리부위에 각도를 위한 축이 연결된 구멍이나 얕은 홈에 반대쪽인 머리부위의 강모수용부위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모수용면의 반대쪽에 구멍 혹은 얕은 홈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몇몇의 중요한 잇점이 생긴다. 우선 물질적인 이점으로 최종 상태에서 블랭크가 효과적인 만곡 안내용 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얕은 요면이나 홈을 갖는 것이다. 다른 주요한 잇점은 강모수용면의 반대쪽인 칫솔머리부위에서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열조작(특히 온풍가열)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가열배치를 칫솔머리 부위와 얕은 홈에서의 상응하는 가열배치를 정확하게 배치하여, 인접머리부위의 강모에 의도하지 않은 가열위험없이, 부분적으로 제한되고 집중적으로 통과부위에 가열을 하도록 연결된 구멍 혹은 얕은 홈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머리부위의 만곡은 원하는 방식으로 두개의 이웃한 머리부위사이의 통과부위에 집중적인 만곡에 의해 정확하게 각각이 연결되며 굽혀지는 것이다. 얻어진 정확한 만곡으로 이웃한 머리부위는 외각머리부위의 강모집단과 중간머리부위의 강모집단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배열하기 위해 각기 서로 상관되게 모양을 만들어야 한다. 이웃한 머리부위에서 강모집단이 다른 강모집단의 외부끝에서 서로 받쳐주고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데 외각머리부위에서 남은 솔들은 그러한 여분의 고정이나 받침없이 중간머리부위의 바깥쪽에서는 덮혀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다른 머리부위의 솔에 의해 즉각적인 방식의 상이한 솔질효과를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세개의 머리부위가 얕은 요면이나 홈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연결된 구멍 혹은 얕은 요면이나 홈을 축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각을 가지고, 머리부위에 이식된 강모가 한 외각 머리부분의 강모가 다른 외각머리부분의 강모를 향해 비스듬하게 배열된 줄로 되어 있고, 강모집단에서 강모의 길이는 칫솔의 세로면 가장자리 반대편의 측면을 향해 칫솔머리부위 중간위치에서 길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되고, 특정 강모집단은 남은 강모집단의 강모보다 직경이 큰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강모집단"이란 표면은 어떤 일정한 길이로 현정된 합성섬유의 묶음 또는 다발을 뜻하는 것이다. "강모집단"의 표면은 돼지털, 말털 혹은 다른 자연적 산물과 같은 물질을 배제하지 않으나, 그러나 자연산물품의 공급이 부족할 경우에는 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강모집단"이란 표현은 칫솔머리부위에 각기 연결된 구멍의 공간에 이식되는 작은 묶음 혹은 다발과는 별개의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서 강모집단이 "줄"로 배열되었다고 언급될 때, 이것은 강모집단이 줄로 정확하게 배열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강모집단이 다른 방식 즉, 다소 불규칙하게 예를 든다면, 지그-재그 식의 변환 혹은 그 유사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해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목적은 사용자의 입에서 치아배열과 연관하여, 칫솔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칫솔로 치아와 치아사이, 치아와 잇몸, 그리고 치아의 내측과 외측 등에 가능한 최고의 솔질효과를 얻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강도, 그리고 위생 등 모든 면에서 가능한 최고의 칫솔머리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머리 부위간에 위치하는 얕은 요면이나 홈이 중간머리부위의 강모집단과 다른 두 외각 머리 부위 강모부분을 각기 분리하는 경계를 이르게하는 특징이 있다.
중간에 위치하는 머리부위에서 중간 강모집단을 향하거나 혹은 서로 비스듬히 상호 충돌할 모양의 두 외각머리부위의 강모집단은 가장 깊숙한 줄로 배열된-주로 칫솔머리의 중간부위에 한정되는 가장 큰 강모직경을 가진 강모 집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더 유익한 해결책은 머리부위사이에서 칫솔머리부위의 반대쪽에 상당한 깊이의 구멍 혹은 얕은 홈과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에서의 상대적으로 얕은 구멍 혹은 얕은 홈을 생성하게 하는 이동부위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칫솔의 손잡이 부위와 그리고 각기 연관된 칫솔머리의 다른 머리부위에서 상당한 견고성과 강도가 큰 제품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발명의 특징과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머리부위(10a)와 손잡이(10b) 그리고 좁은 목부위(10c)로 구성된 칫솔 블랭크(10)를 보여준다. 칫솔의 세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즉, 손잡이(10b')와 (10b")와 평행하게 얇은 요면이 홈(11)(12)이 형성되어 있다. 얇은 요면이나 홈(11)(12)에 의하여 머리부위(10a)는 세개의 머리부분(13)(14)(15)으로 분할한다.
먼저 중간머리부분(13)은 머리부위(10a)와 손잡이(10b) 사이의 목부위(10c)와 평행하고 기본적으로 솟아오르듯이 뻗어 있다. 한쪽의 머리부위(14)는 홈(11)에서 바깥쪽으로 뻗어있고 다른쪽의 머리부위(15)는 홈(12)에서 바깥쪽으로 뻗어있다. 목부위(10c) 머리부위(14)와 목부위(10c)가 그리고 머리부위(15)와 목부위(10c)가 둥근모퉁이 버팀부위(16)(17)에 각기 연결되고 얇은 두께의 홈(11)(12)에 의하여 칫솔과 연결된다.
제2도에 의하면 블랭크의 두께와 각 머리부위(13)(14)(15)의 두께는 같다. 각 머리부위(13)(14)(15)에는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18)이 배열되어 있다. 제2도에서는 단지 횡방향으로 배열된 부분의 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첫머리부위(13)에서의 두개의 구멍과 양쪽의 머리부위(14)(15)에는 각각 네개의 구멍으로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각 부위의 열과 구멍의 수는 중요하지 않고 원하거나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한편, 칫솔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머리부위(13)의 각줄에 있는 구멍은 하나 혹은 두개로 만들 수 있다.
각 구멍(18)에 강모뭉치(19)를 끼워넣는다. 각 강모뭉치(19)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에 연결된 구멍(18)에 단단히 삽입된다. 강모뭉치(19)는 마찰에 의해 구멍(18)에 안전하게 고정판에 밀어 넣는다. 강모집단의 내부말단(19a)은 구멍(18)의 바닥에서 고정판(20)과 연결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제2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얕은 홈(11)(12)의 바닥(11a)(12a)의 강모집단의 묶음 판(20c)의 높이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배열된다. 홈(11)(12)은 이들의 높이(b) 혹은 열표면(11b)(12b)의 높이에 상응하는 넓이를 바닥부위(11a)(12a)에서 가지게 된다. 열표면(11b)(12b)은 약 15°의 V자 각으로 바닥(11a)(12a)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된다.
제1도와 제2도에서 얕은 요면이나 홈은 예를 들면, 최소넓이에 1mm를 더한 최대넓이(a')를 갖을 수도 있으며, 반면, 제5도와 제6도에서는 최소넓이에 3mm를 더한 최대넓이(a")를 갖을 수도 있다. 칫솔머리를 만드는데 있어 압축된 얇은 홈대신에, 강모 수용면의 얕은 홈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열조작에 따르는 만곡과정동안에 얕은 홈에서 특정한 뻗침작용의 결과로서, 머리부분 즉, 칫솔머리의 뒤쪽뿐 아니라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에도 약간의 확장된 연결부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칫솔은 칫솔머리에서 상당량의 음식물 찌꺼기, 치약잔류물, 기타 다른 유사물의 축적을 제거할 수 있고,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이 물질의 변화없이 비교적으로 균일하도록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머리부위(10a)는 칫솔대와 머리부위가 연결되는 부분이 시작부위에서(제1도와 2도) 약 34mm의 넓이와 20mm의 길이(손잡이(10b)와 평행하도록 추정한)를 가진다. 머리부위(13)(14)(15)는 5mm의 두께로 되어 있다. 머리부위(13)는 두께가 6mm인데 비해, 다른 머리부위(14)(15)는 5mm 두께로 되어 있다. 강모집단의 머리부위(13)(14)(15)의 구멍(18)은 약 3.7mm의 깊이로 되어 있다. 각 얕은 홈의 깊이는 대략 2.5 내지 3.5mm이고 이 폭은 대략 2mm이다.
제4도에서 머리부위(10a)는 첫번째 모양의 온풍노즐(20)로 강모 운반면에 그리고 두번째 온풍노즐(21)로 칫솔머리 반대편의 얕은 홈(11)(12)의 바닥에 열을 가한 후의 모양이다. 제4도에서 머리(10)의 머리부위(14)(15)는 얕은 홈(11)(12)의 첫 가열후에 머리부위(13)에 관련하여 음각만곡한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절단선에 따라 강모집단(19)이 절단되며 이와 같은 절단과정을 통해 각 열의 강모의 깊이를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강모의 절단 조절과정이 이루어진다.
제5도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온풍노즐(20)과 (21)로 재가열후 머리부위(10a)의 모습이다. 제5도의 머리부위(10a)는 칫솔의 최종 생산모양에 양각만곡으로 처리한 후의 모습이다.
제6도는 머리부위(14)(15)를 제5도에서 보인 양각만곡후에 칫솔에서 온풍노즐(20)(21)을 제거한 최종생산된 칫솔(10a')을 보여준다. 본 변형예에서 온풍 노즐은 온풍기류를 얕은 홈(11)(12)의 바닥부위(11a)(12a)를 가열하는 가열전도수단이 이용된다.
한편으로는 고빈도 열전도수단과 같은 다른 방식의 적절한 열전도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고빈도 열전도수단에 의한 집적 절연체 접촉은 칫솔머리의 반대쪽의 얕은 홈을 통한 열전도방법을 행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특별한 가열수단의 선별은 필요치 않고 얕은 홈의 바닥에만 전극으로 효과적인 부분가열을 할 수가 있다.
설명한 변형예에서 온풍노즐(20)(21)은 얕은 홈의 열표면(11b)(12b) 그리고 강모부위의 불필요한 가열을 막아주는 열절연전도수단(20a)(21a)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다. 전도수단은 예를 든다면, 화살표(23)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찬공기를 밀어낼 수도 있다. 온풍노즐(20)(21)과 열절연전도수단(20a)(21a)에 의해 머리부분(13)(14), 머리부분(13)(15) 사이의 통로부위에 대한 한정된 부분가열을 실행할 수 있고, 한편 얕은 홈의 옆면(11b)(12b)에서 머리부위(13)(14)(15)로의 적당한 가열이 유지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머리부위(13)(14)(15)의 원치않는 변형을 방지하고 각기 원하는 방향으로 머리부위의 정확한 만곡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강모집단 구멍에서 강모의 묶음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멍 혹은 얕은 홈의 옆면(11b)(12b)의 가열을 막고 구멍(18)의 바닥에서 머리부위(13)(14)(15)의 가열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방지하고 각 강모집단은 각각의 구멍의 금속판에 묶어 두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십자표식(14a)(15b)은 머리부위(14)(15)의 만곡축을 가리킨다. 머리부위(13)의 강모집단에 관계된 인접한 머리부위(14)(15)의 강모집단의 내측의 종열의 가장 적절한 위치를 얻기 위해서 굴곡축은 얕은 홈에 근접한 부위, 특히 머리부위(13)에서 가장 먼 지역에 위치해야 한다.
제4도는 적절한 음각만곡각이 설명되어 있다. 머리부위(13)의 강모길이에 연관되어 머리부위(14)(15)의 내측의 강모길이를 차이나게 하기 위해서는 제4도에 보인 것보다 더 큰 음각만곡각을 채택해야 한다.
제5도에는 적절한 양각 만곡각이 설명되어 있다. 머리부위(14)(15)에 있는 강모의 집단은 제5도에 보인 것보다 큰 양각만곡각을 유지하는 각각의 원안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조방식에 따르면 초기 조건에서의 블랭크는 제2도에서 보인 도안 대신에, 예를 들어 제4도에서 보인 것처럼 음각만곡각을 형성하여 머리부위 강모집단을 직접 채울 수 있다. 그후에, 제4도에 보인 직선점단선(22)을 따라 강모의 절단을 실행할 수 있다. 제4도에서 보인 음각 만곡의 실행대신에 강모집단위쪽을 따라 직접 요철모양을 만들 수 있는 적당한 손질장비를 이용하여 제2도에서 보인 것처럼 시작위치에서부터 직접 절단을 할 수도 있다. 온풍노즐(20)(21)에 의해 칫솔머리의 반대편에 가열하는 대신에 온풍노즐(20)을 사용하여 음각만곡전에 원한다면 가열할 수 있는 반면에, 만곡을 행하기전에 양각만곡각을 온풍노즐(21)을 이용하여 가열할 수도 있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얕은 홈의 바닥에서 가열은 모서리부분(24)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이로 인해 요면이나 얕은 홈의 바닥은 상당히 강한 정도의 가열이 행해지며 만곡조작동안에 머리부위(13)(14)(15)의 인접한 바닥사이의 통과부위층이 주로 양각만곡이 행해지게 된다.
제7도와 제8도는 두번째 변형예가 설명되어 있다. 제7도에서 제2도에 상응하는 시작부위에서 적절한 끝손질장비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아치모양의 절단선(122a)를 가지는 머리(10a)의 칫솔블랭크(100)를 보여준다. 제8도에서 제5도에 사용되는 부위 최종 유연한 칫솔머리(100')의 마무리 상태를 보여준다. 제7도와 제8도에 따른 변형예에서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얕은 구멍 혹은 홈과 칫솔머리부위 뒷편의 상대적으로 깊은 구멍과 홈을 만들 수 있다. 제8도에서 각 머리부위쌍(13)(14)와 (13)(15) 사이에 특히 얇은 벽의 통과부위를 얻을 수 있다.
제9도에서 제2도에서의 것에 상응하는 시작부위에서 생성되는 오목하고 볼록한 쌍으로 된 절단선(122b)을 가지는 칫솔머리(100a)의 제3변형예를 보여준다. 제10도에서는 제5도에서의 것에 상응하는 최종적으로 유연한 칫솔머리(100a')의 한 형태를 보인다. 제9도에 따라서 중간머리부위(13)의 강모집단은 이웃한 머리부위(14)(15)의 강모보다 결과적으로 더 길게 된다. 이것에 의해 머리부위(13)에 상대적으로 길고 다소 부드럽거나 딱딱한 강모가 이웃한 머리부위(14)(15)의 강모집단이 효과적인 방식인 V자 형식으로 받쳐주고 있다. 제10도에서 본 것과 같이, 머리부위(14)(15)의 강모의 어떤 것은 중간머리부분의 강모부위에 여분의 지탱을 위해 머리부위(13) 사이의 안쪽에 부분적으로 묶여있을 수 있다.
제9도와 제10도에 따른 구조에서 칫솔머리의 강모수용면에 구멍 혹은 얕은 홈대신에 칫솔머리뒷면의 특히 깊은 구멍 혹은 얕은 홈(11)(12)이 있고, 머리부위(13)(14)(15) 사이의 얇은 벽으로된 통과부위에 볼록한 아치형 구슬(11a)(12a)이 연결된 것을 보인다.
제11도와 제12도에서 칫솔머리(12a)의 제4변형예를 보여주는데, 여섯개의 분리된 머리부위(123)에 해당하는 다섯개의 서로 굽는 요면 또는 얕은 홈을 가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지 각 머리부위에 한줄의 강모만을 설명했으나, 필요에 따라서 원한다면 둘이상으로 각 머리부위의 강모줄의 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질의 칫솔을 생산하기 위해 100℃나 혹은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열에너지의 최소의 공급으로 유연성을 허용하는 열가소성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형태는 전반적 혹은 부분적인 만곡후, 필요하다면 경화과정을 거친후, 칫솔머리의 계질의 유연성에 따라 충분한 힘으로 100℃ 이하에서 점차적으로 실온의 온도에서 만곡을 얻을 수 있다.
제13도에서 세부분의 머리(13) 즉, 쌍을 이루어 연결된 상대적으로 가진 세개의 머리부위(31a)(31b)(31c)로 된 칫솔블랭크(30)를 보여준다. 두개의 바깥머리부위(31a)(31c)는 강모집단(23a-23e),(24a-24e),(25a-25e),(26a-26e)이 직각으로 분포되어 있다. 중간머리부위(31b)에서, 역시 직각인 강모집단(32a-32e)의 한줄이 보이는데, 실제로 중간머리부분에 강모집단을 두줄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13도에 따르면, 모든 강모집단은 칫솔머리에서 횡방향뿐 아니라 옆방향의 줄로 나타나있다.
제14도에서 제13도에 상응하는 강모집단(32a'-32d'),(32"-32d")의 두줄로 칫솔머리부위에서 횡방향의 열뿐 아니라 옆줄은 상호 뻗어있는 도면을 볼 수 있으며, 이웃한 머리부위(31a)(31c)에서 강모집단의 가지런힌 옆방향으로 뻗어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머리부위(31b)의 각 강모집단은 인접한 머리부위(31a)(31c) 사이에 묶여져 있을 수 있거나 두 이웃한 강모집단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제13도와 제14도의 변형예에서 다른 강도를 가진 강모로된 칫솔블랭크를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각진 형태를 만들기 위해 머리부위를 만곡시키기 위해서 칫솔머리에 강모 집단을 얹고 우선 음각만곡을 시키고 그후에 음각 만곡위치에서 모든 강모를 절단한다.
제13도에는 머리부위(31a)(31c)에서는 상대적으로 최고의 견고성을 지닌 내부강모집단(23a)(23b)(23c)(23d)(23e)(전체가 검은색)과 중간정도의 견고성을 지닌 두번째 형식의 강모집단(24c)(25c)(26)(점이 찍힌 것)과 최소의 강도를 지닌 나머지 강모집단(24a)(26a) ; (24b)(26b) ; (24d)(25d)(26d)(24e)(25e)(26e)(전반적으로 흰색)으로 되어있음을 보여준다. 머리부분(31b)에서는 중간견고성을 지닌 두번째 형태인 강모집단(32a)-(32e)으로 (점이 찍힌) 되어 있다.
제14도에 따르는 머리부위(31a)(31c)에서는 상대적으로 최고의 견고성을 지닌 강모집단(23b-23d),(24b-24d)(전체가 검은)의 두개의 내부줄과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최적의 견고성을 지닌 강모집단(32a')-(32d'), (32a")-(32d")(전반적으로 흰)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모"나 섬유의 선별에서 예를 든다면 각기 특정한 강모직경 즉, A) 0.10mm, B) 0.15mm, C) 0.20mm, D) 0.25mm, E) 0.30mm의 다섯종류로 선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분류중에서 "D"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첫번째 형태의 것을 나타내고 분류 "C"는 중간정도의 견고성을 나타내는 두번째 형태이고, 분류 "B"는 견고성이 없거나 혹은 아주 부드러운 세번째 형태를 보여준다. 분류 "A"는 예를 든다면, 세번째 형태의 강모에서 특히 부드럽고 약간은 견고한 "강모"를 얻기 위해 "B"와 혼합된 형태으로 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분류 "E"는 첫번째 형태의 강모집단에 특별히 견고한 것을 얻기 위해 분류 "D"와 혼합된 형태가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분류 "A"에서 "E"를 다르게 혼합하여 강모집단의 다른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든다면, 강모집단의 첫번째 형태는 매우 견고한 강모 즉, 상대적으로 큰 강모직경 혹은 주로 직경이 큰 강모로 되고 덜 견고한 소량의 강모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강모집단의 두번째 형태는 큰 견고성을 지닌 강모를 반으로 하고 나머지는 중간정도의 직경을 지닌 강모로 구성될 수 있다.
강모집단의 세번째 형태로 주로 작은 직경의 강모로 되고 소량은 다소 큰 직경의 강모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강모집단의 세번째 형태는 작은 직경을 지닌 강모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다른 강모집단은 칫솔머리에 강모집단의 위치에 따라, 강모집단의 견고성에 따라서, 다양한 솔질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어떤 강모집단은 인접한 집단에 여분의 지탱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에 상응하는 다른 강모집단은 강모집단 인접한 강모에 지탱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5도에서 강모집단의 첫번째와 두번째 형태의 강모가 인접한 치아표면(27a)(27b)에 대해 내측과 외측에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 분명하게 보여주며, 강모집단의 세번째 형태의 강모가 치아(29)와 점막부위(28)에 그리고 치아표면(27c)에 인접한 곳을 효과적으로 깨끗이 닦아낼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된 종류의 칫솔은 어떤 강모집단으로 구성된 칫솔을 어금니 부분까지도 솔질할 수 있고 동시에 남은 강모집단은 치아의 목과 치아의 측면(내면과 외면)과 치아의 점막사이의 모든 부위에 걸쳐 솔질할 수 있다. 칫솔의 세로방향에 대해 칫솔의 머리를 적당히 회전하거나 혹은 치아의 내쪽 혹은 외쪽에 닿는 칫솔머리의 세로축의 회전에 의해 치아는 하나하나 솔질이 될 수 있고, 동시에 씹는 면인 치아의 치관은 약간 비스듬한 자세로 솔질할 수 있다.
치아사이의 효과적인 솔질과 치아와 잇몸사이의 부드러운 솔질효과를 얻기 이해서, 강모는 칫솔머리 부위에서 적당한 견고성과 적당한 부드러움을 가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한 칫솔의 구조에서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강모의 견고성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가지는 것은 지금까지는 불가능했고, 다른 강모집단은 치아의 다른 부위, 점막과 치아 중간공간에 대해 상당한 윤곽의 구조형태의 것이 필요하다.
보통의 평편한 칫솔머리에 있어서 강모끝이 균일한 칫솔로는 칫솔머리의 옆부분에는 부드러운 형태의 강모집단과 칫솔머리의 중간부분에는 견고한 강모집단의 형태를 이용하여 왔다. 이런 종류의 칫솔로는 치아의 돌출부위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은 칫솔머리의 중간부위에 상대적으로 견고한 강모의 사용으로 효과적인 솔질을 할 수 있다. 동시에 치아의 밀부위 즉, 칫솔머리의 강모부위가 잇몸이 접하는 부위는 특히 유연한 강모로 더 부드러운 솔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지의 방법의 칫솔은 치아의 치아사이 그리고 치아와 잇몸사이에 효과적인 솔질을 제공할 수가 없으며 칫솔머리부위의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강모는 나머지 견고한 강모에 의해 편평한 부위의 솔질을 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의 잇몸사이 그리고 치아사이의 공간에 효과적인 솔질은 동시에 치아의 돌출모서리 부위와 치아의 상대적으로 잘 닦아지지 않는 표면에도 효과적으로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한 목적이다.
여기에서 상이한 견고성이 다른 형태의 강모는 광의의 개념으로, 분명히 다른 강모의 각각의 집단으로된 한면과 다른 종류의 강모로 혼합된 다른 한쪽면으로 된 것이다. 강모의 다른 집단은 서로 다른 형태와 다른 특징의 것으로 원한다면 강모집단의 첫째 또는 둘째 형태의 각 강모에 크기나 물질의 변화를 갖는 것으로 원한다면 세번째 강모형태에도 상응하는 변화와 형태로 분명하게 변화하는 강모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칫솔이 치아에 효과적으로 솔질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이유는 상대적으로 깅 강모로된 모서리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강모로된 중간부위에 강모의 서로 상이한 밀도와 위치배열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칫솔머리의 중간 부분에 상대적으로 짧고 견고한 강모집단의 치아의 씹는 표면과 치아의 윗쪽 모서리부분에 효과적인 솔질과 동시에 인접한 강모집단의 효과적인 상호지탱을 행할 수가 있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길고 견고성이 적은 강모는 칫솔머리의 말초부위를 따라 치아사이의 공간이나 접근하기에 어려운 부위와 잇몸사이를 효과적으로 솔질을 하는 특이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두개의 서로 유사한 윤곽과 특히 칫솔머리중간부위에 큰 밀도의 강모집단때문에 전술한 중간부위의 측면방향에서 충분한 상호버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칫솔머리의 중간강모는 칫솔머리의 세로방향으로 교차된 서로간에 안쪽으로 얽힌 것과 교차된 강모의 두 주된 집단을 방해없이 상대적으로 측면방향에서 굽힐 수 있다. 칫솔머리의 중간부위 쪽으로 경사지게 굽힐 경우 서로 교차된 강모는 서로 안쪽으로 밀면서 동시에 강모는 굽혀지게 되고 의도했던 치아는 안쪽으로 부드럽고 긴 나머지 강모를 밀어넣을 수 있다.
동시에 상호교차되어 얽힌 강모는 강모머리의 세로방향을 따라 상당한 정도로 세로쪽을 공유할 수 있다. 강모의 두번째 형태(즉, 강모집단의 첫번째 형태에 대해 옆쪽에 배열된)에 의해 특히 첫번째 그리고 두번째 강모집단의 견고성은 세번째(부드러운) 강모집단의 여분의 버팀과 부분적인 버팀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다른 강모집단을 솔질되는 표면에 대해 세로의 비스듬한 외곽쪽보다 의도했던 측면외곽쪽으로 더 쉽게 굽혀질 수 있다.
칫솔머리의 중간부위에서 솔질되는 표면이 인접 옆쪽을 형성하는 강모는 칫솔머리의 중간외곽부위의 나머지 강모에 방해없이 인접끝쪽을 형성하는 강모로 효과적인 솔질은 솔질표면에 대한 인접부위까지 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상호 상이한 견고성과 부드러운 강모집단을 이용하여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로와 측면의 상이한 지탱효과를 만들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방향에서 보다 특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더 자유롭고, 세번째(부드러움) 강모집단에 더 큰 탄성과 그로 인하여 세번째 강모집단의 더 나온 솔질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버팀작용은 치아의 표면 치아사이의 공간, 치아와 잇몸을 서로 다른 강모로 동시에 어떤 방해없이 솔질효과를 얻는데 적절하다. 여하한 방향에서의 지탱없이도 움직임의 자유로움과 어떤방향에서든지 상당한 버팀이 부분적으로 상이한 강모집단의 견고성과 칫솔머리의 머리부위에 위치한 강모집단으로 인하여 독특한 상호 배열의 강모집단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위치적으로 중앙부위와 양쪽측면부위의 칫솔 머리가 서로 충돌하는 특정 강모는 상대적으로 짧은(결과적으로 견고한) 강모와 서로 교차되는 밀집된 것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강모의 방향을 정해야 하고 상대적으로 길고 일반적으로 덜 견고한 나머지 강모 집단은 움직임이 자유로와 나머지 강모집단의 버팀과 부분적인 지탱을 제공하는 강모집단의 배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특정방향에서 큰 견고성을 제공하는 위치에 이식된 강모집단은 특별히 견고한 강모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외곽에 위치한 인접된 더 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강모의 방해없이 더 견고하게 솔질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중앙부위와 이와 연관하여 한쌍의 좌우 부위가 각기 중앙부위의 양쪽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이들 각 부위는 한면에는 다수의 강모가 이식되고 그 이면에는 중앙부위와 서로 접하는 지점을 따라 요면이나 홈으로 경계면을 갖는 블랭크를 제공하고, 전술한 좌우 부위가 중앙부위 쪽으로 요면이나 홈을 따라 만곡되도록 블랭크의 요면이나 홈을 따라 블랭크를 가열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블랭크의 가열이 블랭크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더운 공기의 흐름하에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블랭크에 가열하는 첫단계를 진행하는 동안에 더운 공기의 흐름에 따른 열로부터 강모를 격리시키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블랭크를 가열시키기 전에 이치형 머리부분에 뻗어있는 강모를 컷트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블랭크는 한면에 다수의 얕은 요면이 있고, 각 요면은 중앙부위와 각 좌우쪽 부위의 얇은 벽부분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블랭크를 가열시키기 전에, 면 또는 홈에 있는 강모를 컷트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머리부분을 갖는 칫솔 블랭크와 각기 인접한 머리부위가 각기 요면이나 홈으로 분리되고, 요면이나 홈을 따라 좌우의 부위가 중앙 부위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요면이나 홈이 열리면서 굽혀지도록 블랭크를 가열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좌우부위가 중앙 부위쪽으로 만곡되도록 블랭크의 요면이나 홈을 따라 블랭크를 가열하고 그후 서로 다른 길이의 강모의 묶음을 형상하도록 강모를 절단하는 과정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강모는 공동평면을 따라 컷트(cut)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강모가 블랭크의 중앙방향으로 갈수록 강모의 높이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도록 강모를 컷트시키는 과정을 거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부위와 좌우의 각 부위가 중앙 부위와의 경계를 이루는 요면이나 홈으로 이루어지는 축을 따라 각기 중앙 부위쪽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제조방법.
KR1019900701738A 1988-12-13 1988-12-13 칫솔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60016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NO1988/000091 WO1990006701A1 (en) 1988-12-13 1988-12-13 Process for producing toothbrushes and blanks for use for same
NOPN088/00091 1988-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700013A KR910700013A (ko) 1991-03-13
KR960016152B1 true KR960016152B1 (ko) 1996-12-04

Family

ID=1990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738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6152B1 (ko) 1988-12-13 1988-12-13 칫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114214A (ko)
EP (1) EP0406239B1 (ko)
JP (1) JP2693268B2 (ko)
KR (1) KR960016152B1 (ko)
AT (1) ATE105154T1 (ko)
AU (1) AU621332B2 (ko)
CA (1) CA2005113C (ko)
DE (1) DE3889463T2 (ko)
DK (1) DK170886B1 (ko)
FI (1) FI92795C (ko)
IE (1) IE77155B1 (ko)
NO (1) NO175452C (ko)
WO (1) WO1990006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168A (en) * 1988-01-19 1994-02-08 Oral Logic, Inc. Tooth cleaning device
US5224764A (en) * 1988-01-19 1993-07-06 Klinkhammer Ronald W Tooth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9106511D0 (en) 1991-03-27 1991-05-15 Lingner & Fischer Gmbh Novel article
CA2056858C (en) * 1991-11-07 2000-07-18 Kenneth J. Hegemann Self-adjusting three sided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178582B1 (en) 1992-03-25 2001-01-30 Smithkline Beecham Consumer Healthcare Gmbh Toothbrush comprising a resilient flex region
US5327607A (en) * 1992-06-01 1994-07-12 Wagner Eugene C Toothbrush for cleaning multiple sides of teeth
US5351358A (en) * 1992-08-27 1994-10-04 Larrimore Babatu Toothbrush
US5511274A (en) * 1993-10-18 1996-04-30 Tucel Industries, Inc. Integrally fused brush construction
DK0649615T3 (da) * 1993-10-18 1999-03-22 Tucel Industries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sammensmeltet børstevareindretning
WO1995012333A1 (en) * 1993-11-05 1995-05-11 Simonds James A Toothbrush
US5398367A (en) * 1993-12-27 1995-03-21 Lu; Guixian Toothbrush with both soft and hard bristles
DE4412379A1 (de) * 1994-04-11 1995-10-12 Paraskevopoulos George Integrale Zahnbürste
US6219874B1 (en) 1994-07-13 2001-04-24 The Procter & Gamble Co. Resiliently flexible bristle bearing head toothbrush
US5673454A (en) * 1995-07-11 1997-10-07 Benefit International Products, Ltd. Three-head toothbrush
US5987688A (en) * 1995-11-09 1999-11-23 Gillette Canada Inc. Gum-massaging oral brush
US6996870B2 (en) * 1995-12-29 2006-02-14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ouring toothbrush head
TW384214B (en) * 1995-12-29 2000-03-11 Colgate Palmolive Co Contouring toothbrush head
US6408476B1 (en) 1996-01-18 2002-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with elastomer filled flexible head
US6314605B1 (en) 1996-08-02 2001-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US5839149A (en) * 1996-08-26 1998-11-24 Scheier; Paul A. Toothbrush with resilient flexible bristle support
US6514445B1 (en) 1996-12-24 2003-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ush making
CZ295399B6 (cs) 1997-02-24 2005-08-17 Smithkline Beecham Consumer Healthcare Gmbh Zubní kartáček
US6886207B1 (en) * 1999-06-14 2005-05-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US6298516B1 (en) 1998-03-06 2001-10-0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es
US6230355B1 (en) * 1999-01-04 2001-05-15 Stephen D. Harada Lingual toothbrush
USD428260S (en) * 1999-01-04 2000-07-18 Harada Stephen D Anterior lingual toothbrush
USD431908S (en) * 1999-01-04 2000-10-17 Harada Stephen D Toothbrush head with bristles
US6438786B2 (en) 1999-01-04 2002-08-27 Stephen D. Harada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bristle reinforcement
USD430401S (en) * 1999-01-04 2000-09-05 Harada Stephen D Set of bristles for a toothbrush
US6553604B1 (en) 2000-03-16 2003-04-2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USD434564S (en) * 2000-03-31 2000-12-05 Harada Stephen D Anterior lingual toothbrush
USD431366S (en) * 2000-03-31 2000-10-03 Harada Stephen D Toothbrush
USD443140S1 (en) 2000-05-05 2001-06-05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bristles
USD439745S1 (en) 2000-05-06 2001-04-03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bristles
USD446020S1 (en) 2000-05-06 2001-08-07 Stephen D. Harada Set of bristles for a substantially oval-headed toothbrush
USD444951S1 (en) 2000-05-06 2001-07-17 Stephen D. Harada Set of bristles for a substantially triangular-headed toothbrush
USD448932S1 (en) 2000-05-06 2001-10-09 Stephen D. Harada Toothbrush
USD462175S1 (en) 2000-05-06 2002-09-03 Stephen D. Harada Toothbrush
USD462176S1 (en) 2000-05-06 2002-09-03 Stephen D. Harada Toothbrush
USD438385S1 (en) 2000-05-06 2001-03-06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bristles
USD458452S1 (en) 2000-05-06 2002-06-11 Stephen D. Harada Toothbrush
USD442785S1 (en) 2000-05-06 2001-05-29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bristles
USD450927S1 (en) 2000-05-06 2001-11-27 Stephen D. Harada Toothbrush
JP2001346633A (ja) * 2000-06-07 2001-1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歯ブラシ
USD443141S1 (en) 2000-09-01 2001-06-05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USD445571S1 (en) 2000-09-01 2001-07-31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USD443142S1 (en) 2000-09-01 2001-06-05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USD460268S1 (en) 2000-12-21 2002-07-16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stepped bristle array
USD460624S1 (en) 2000-12-21 2002-07-23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stepped bristle array
USD459085S1 (en) 2000-12-21 2002-06-25 Stephen D. Harada Stepped bristle array for a toothbrush head
USD459084S1 (en) 2000-12-21 2002-06-25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ead with stepped bristle array
USD456137S1 (en) 2001-01-24 2002-04-30 Stephen D. Harada Toothbrush
USD465089S1 (en) 2001-01-24 2002-11-05 Stephen D. Harada Toothbrush handle
US7908699B2 (en) 2001-07-03 2011-03-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20030163882A1 (en) * 2002-03-04 2003-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US7841041B2 (en) 2002-08-09 2010-11-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806695B2 (en) 2002-08-09 2014-08-1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flexibly supported cleaning elemen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US8876221B2 (en) 2002-08-09 2014-11-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721376B2 (en) 2002-09-20 2010-05-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990996B2 (en) 2002-08-09 2015-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20060026784A1 (en) 2002-08-09 2006-02-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614111B2 (en) 2002-08-09 2009-11-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20060272112A9 (en)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US20040177462A1 (en) 2003-03-14 2004-09-16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head
ITPR20030022A1 (it) * 2003-03-21 2004-09-22 Paolo Ciarciello Spazzolino da denti.
JP4396992B2 (ja) 2003-04-23 2010-01-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電動歯ブラシ
US20090044357A1 (en) * 2007-08-16 2009-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US7941886B2 (en) 2003-09-19 2011-05-17 Braun Gmbh Toothbrushes
NO322236B1 (no) * 2004-07-16 2006-09-04 Jordan As Anordning ved tannborste,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samt elektrisk drevet tannborste
US20070089256A1 (en) * 2005-10-22 2007-04-26 Chen Jeffrey M Toothbrush with inclined bristles
EP1958534A1 (de) * 2007-02-14 2008-08-20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US20110078867A1 (en) * 2009-10-01 2011-04-07 Michael Liangco Flexible toothbrush
DE202014102873U1 (de) * 2014-06-24 2014-07-03 Geka Gmbh Applikator mit geschlitztem Rohr und Kerben
US10792106B2 (en) 2016-10-28 2020-10-06 Covidien Lp System for calibrating an electromagnetic navigation system
WO2018102383A1 (en) * 2016-11-29 2018-06-07 Kidzstuff, Inc. Toothbrush
USD826568S1 (en) * 2017-05-11 2018-08-28 Gene Sheinkman Toothbrush
USD869172S1 (en) * 2018-02-23 2019-12-10 Darin Kassebaum Toothbrush
JP6448843B1 (ja) * 2018-08-17 2019-01-09 有限会社アジャスト 入れ歯磨き器
CN113163935A (zh) 2018-11-05 2021-07-23 阿尔克公司 自动牙刷
USD917174S1 (en) * 2019-04-18 2021-04-27 Anthony Christian Clark Toothbrush
JP2020198963A (ja) * 2019-06-06 2020-12-17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USD909760S1 (en) * 2019-07-18 2021-02-09 Jian Peng Head for children's electric toothbrush
EP4461157A1 (en) 2023-05-11 2024-11-13 Koninklijke Philips N.V. Oral health care
USD1059843S1 (en) * 2024-09-04 2025-02-04 Hanzhong Zhaoying network technology Co., LTD Toothbrush hea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0830C (ko) *
BE640683A (ko) *
US1901646A (en) * 1931-04-03 1933-03-14 Harry W Hicks Toothbrush
US1928328A (en) * 1931-11-25 1933-09-26 Erik Dempster Lindegren Toothbrush
US1967783A (en) * 1933-09-19 1934-07-24 Rudof Morris Method of making a toothbrush
GB426079A (en) * 1934-01-06 1935-03-27 William Sutcliff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othbrushes and the like
CH179403A (de) * 1934-09-25 1935-09-15 Landolt Cotti Emil Gerät zum Reinigen der Zähne und zum Massieren des Zahnfleisches.
AT150436B (de) * 1937-02-12 1937-08-25 Wilhelm Ernst Reeser Zahnbürste mit dreifachem Bürstenkoft.
US2244615A (en) * 1939-01-03 1941-06-03 Garcin Louis Toothbrush
US2701380A (en) * 1950-07-14 1955-02-08 Sophia T Ripper Attachment for toothbrushes
US2807820A (en) * 1952-07-01 1957-10-01 Dinhofer Milton Flexible brush head and means to retain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FR1075171A (fr) * 1952-08-28 1954-10-13 Brosse à dents
US3263258A (en) * 1965-04-01 1966-08-02 Lever Brothers Ltd Toothbrush
US4449266A (en) * 1976-03-02 1984-05-22 Noerthemann Karl Heinz Toothbrush with two segments of bristles
USD273153S (en) 1982-06-07 1984-03-27 Wagner Eugene C Toothbrush
US4570282A (en) * 1982-09-27 1986-02-18 Kaufman Martin H Toothbrush
US4757570A (en) * 1985-06-18 1988-07-19 Manfred Haeusser Toothbrush for simultaneous cleaning of teeth on both sides
NO162593C (no) * 1986-05-30 1990-01-24 Rolf Barman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en tannboerste.
ATE45071T1 (de) * 1986-05-30 1989-08-15 Rolf Barma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ahnbuerste und so erzeugte zahnbuer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9463T2 (de) 1994-08-18
FI903993A0 (fi) 1990-08-13
KR910700013A (ko) 1991-03-13
CA2005113A1 (en) 1990-06-13
CA2005113C (en) 1994-09-20
WO1990006701A1 (en) 1990-06-28
NO903337L (no) 1990-07-27
AU2817789A (en) 1990-07-10
HK1005844A1 (en) 1999-01-29
DE3889463D1 (de) 1994-06-09
AU621332B2 (en) 1992-03-12
DK170886B1 (da) 1996-03-04
DK191990A (da) 1990-08-13
EP0406239B1 (en) 1994-05-04
IE893774L (en) 1990-06-13
US5114214A (en) 1992-05-19
NO175452B (no) 1994-07-11
NO175452C (no) 1994-10-19
NO903337D0 (no) 1990-07-27
DK191990D0 (da) 1990-08-13
FI92795B (fi) 1994-09-30
JPH03503254A (ja) 1991-07-25
JP2693268B2 (ja) 1997-12-24
EP0406239A1 (en) 1991-01-09
ATE105154T1 (de) 1994-05-15
FI92795C (fi) 1995-01-10
IE77155B1 (en) 1997-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152B1 (ko) 칫솔의 제조방법
KR100709397B1 (ko) 칫솔
US4449266A (en) Toothbrush with two segments of bristles
EP2319361B1 (en) Toothbrush
WO1998005239A1 (en) A toothbrush
EP0812142B1 (en) Toothbrush
JP2000000118A (ja) 歯ブラシ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JP3305329B2 (ja) 歯ブラシ
JP2002515789A (ja) 歯ブラシ
KR100581613B1 (ko) 치솔
HK1005844B (en) Process for producing toothbrushes and blanks for use for same
JP3813734B2 (ja) 歯ブラシ
KR20030029150A (ko) 강모들을 갖는 제품
JPH09182627A (ja) 歯ブラシ
JPH1042958A (ja) 階段状植毛歯ブラシ
JPH0535702Y2 (ko)
JP2020198989A (ja) 歯ブラシ
JP2020065613A (ja) 歯ブラシ
JPH07255529A (ja) 歯ブラシ
PT94240A (pt) Processo de producao de escovas de dentes, a partir de escovas em bruto e escovas obtidas pelo mesmo
JPH0657232U (ja) 歯ブラシ
JP2002291533A (ja) 歯ブラシ
JP2004237031A (ja) 歯間及び歯周を平均的にブラッシング可能な歯ブラシ
KR19980064147A (ko) 칫솔모의 높이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규칙적인 요철이 되도록 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