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15629B1 -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 Google Patents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629B1
KR960015629B1 KR1019910007622A KR910007622A KR960015629B1 KR 960015629 B1 KR960015629 B1 KR 960015629B1 KR 1019910007622 A KR1019910007622 A KR 1019910007622A KR 910007622 A KR910007622 A KR 910007622A KR 960015629 B1 KR960015629 B1 KR 96001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nr
weight
parts
halobut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093A (ko
Inventor
마슈라 쟝
Original Assignee
롱-쁠랑 쉬미
앙드랄 크리스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쁠랑 쉬미, 앙드랄 크리스또프 filed Critical 롱-쁠랑 쉬미
Publication of KR91002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6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08Compositions of the inner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L23/283Iso-olefin halogenat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규산질의 광물 충전제로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며, 우수한 열기계적 성질 및 점착성을 지니는 탄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의 용도, 특히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용도 및 그로부터 수득 가능한 산물들에 관한 것이다.
할로부틸은 대개 공기 및 기체에 대해 매우 불침투성이 강한 흥미로운 성질을 지닌 탄성체로 알려져 있다. 비록 할로부틸 이외의 몇몇 특수한 탄성체들도 이같은 성질이 있으나, 할로부틸만이 가격면에서 적당하며, 다른 탄성체, 특히 천연 고무와 겸용 가능하다.
따라서 할로부틸을 기재로 한 탄성 조성물은 내부 튜브를 제조하거나 소위 튜브없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후자의 경우 조성물은 얇은 피복 시이트 형태(밀리미터의 몇분의 일), 즉, 튜브없는 타이어의 몸체의 내부 표면 봉함용 층으로서 사용된다. 본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탄성체의 기계적 특성을 증진시키는 주요 기능중 하나인, 보강 충전재를 함유한다. 따라서 보강 충전재로서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할로부틸과 카본 블랙의 배합은 통상의 가황시에 동적 응력 변형, 특히 굽힘/신장 응력 변형에 대한 내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그다지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혼합물은 이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덜 가황시키지만, 잉여 변형이 상당하여 동적 응력 변형시 다량의 열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보강 충전재로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고 판명되었 다. 실제로 실리카를 사용하면, 카본 블랙과는 달리, 굽힘/신장형의 응력 변형에 대한 매우 우수한 내성을 얻을 수 있으며(2 내지 3배 더 우수한) 열발생도 덜하다(약 15 내지 20℃ 감소).
그렇지만 할로부틸과 실리카의 혼합물은, 특히 천연 고무와 같은 일부 탄성체에 대한 점착력에 있어서 아직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완벽하게 안전한 타이어를 얻으려면, 타이어 몸체의 내부 표면의 봉함층이 동시-가황에 의해 몸체에 완전하게 부착되어야 하는 것이 하나의 조건이다.
특히, 만일 접촉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계적 힘을 가하여 두층을 분리시키려 한다면(타이어 몸체로부터 봉함층을 분리), 두층은 떨어지기 보다는 파괴되이야 한다; 즉, 두층간의 점착력이 두층중 하나를 파괴하는 힘보다 덜 강해야 한다. 할로부틸/실리카 조성물은 이러한 면에서 볼때, 할로부틸/카본 블랙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러므로 현 기술상태에 있어서, 열기계적 특성 및 불침투성이 매우 우수하며 동시에 특히 타이어 제조공업에서 사용되는 천연 탄성체(천연 고무)에 대해 점착력 또한 우수한 탄성 조성물이 대단히 요구된다.
실제로 다른 이떤 특성들을 포기하고서라도 상기 특성들 중에서 요구되는 개선을 얻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발명은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질의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로 된 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토대를 두고 있는 조성물이 타이어 몸체 혼합물과의 결합력이 상당히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기대밖의 매우 놀라운 발견이다. 접촉면에서의 결함이 매우 강하여 두층은 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 이루어진 봉함층은 전체적으로 파괴, 분열 또는 찢어진다. 할로부틸 실리카 혼합물의 우수한 열기계적 성질에 있어서 어떠한 유해 변화도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는 할로부틸보다 불침투성이 덜하므로, 할로부틸이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로 대치되면 불침투력의 손실이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며, 불침투력의 수준이 최소한 유지는 된다. 마지막으로,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의 배합으로 할로부틸을 기재로 한 혼합물의 전환이 감소하며 심지어는 없어지기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여러 측면을 예시하도록 고안된 비-제한적 실시예를 제외하고라도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훨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의 제1 내지 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험을 도시한다.
할로부틸계의 탄성체는 잘 알려져 있으며 시판되는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주로 기체에 대해서 침투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써,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 오랫 동안 사용되어온 할로겐화된 이소부텐-이소프렌 공중합체라는 것을 쉽게 상기에서 될 것이다. 이들 물질은 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500,000 중량 범위이며 불포화물(이소프렌 단량체에 의해 도입된)이 0.1 내지 5몰 퍼센트인 가황 가능 탄성체이다(J.A. BRTDSON, "고무 물질 및 그 화합물", Elsevier Applied Science, New York, 1988 참조, 비-제한 참고 문헌으로 인용).
본 발명에 특히 적당한 할로부틸은 클로로부틸 및 브로모부틸이다.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브로모부틸을 사용한다.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이후 ENR로 약칭함)는 또한 공지이며 시판되는 생성물이다. 그 에폭시화율은 천연 고무의 에폭시화 반응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상기의 J.A. BRYDSON 문헌 참조, 비-제한 참고 문헌으로 인용). 본 발명에 따르면, 특별히 25 내지 75몰 퍼센트의 에폭시화율을 가진 ENR가 사용된다. 특히 유리한 구체예에서, 약 50몰 퍼센트의 에폭시화율을 가진 EN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합체 모재내의 ENR의 비율은 매우 다양하다. 더욱 특별하게는 중합체(할로부틸+ENR) 100중량부 당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중량부의 ENR이 사용된다. ENR의 비율이 너무 작아서 약 1중량부 이하이면, 점착력의 향상을 가져오지 못하며, ENR의 비율이 너무 크면, 조성물의 일부 특성, 특히 기체 조밀성이 줄어들거나 손실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 할로부틸/ENR의 적정비율은 중량부로 95/5 내지 85/15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내에서 사용되는 규산질의 광물 충전재는 천연물 또는 합성물이다. 그것은 물론 천연 및/또는 합성의 규산질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것은 원래 입자 크기가 수 미크론 내지 수 밀리미터인 분말 형태(분말, 과립, 마이크로비이드)이다.
분명히, 규산질 충전재로 탄성체를 보강하는 기술에 있어서 아주 통상적이며 공지인 다른 션택 기준이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적용된다. 그러한 시도는 분명히,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탄성 모재내에서 안정하며 균질한 분산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얻기 위해 더욱 특별하게 선택된 생산물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를 기준은-고유하며 비-제한적으로-사용된 산물의 비 표면적, 세공 부피, 세공 부피 분포, 형태학, 오일 흡수, 연소시 중량 손실, 수분 회수 등에 기초한다. 이를 모든 기준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언급할 필요가 없다. 천연 석영질 산물의 몇몇 예로는 천연 실리카, 카올린 및 활석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특별하게는 열처리 실리카, 실리카겔, 침전 실리카 또는 침전에 의해 수득된 금속 실리케이트와 같은 합성 규산질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생성물은 모두 시판되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금속 실리케이트는 특히 예를 들어 소듐 실리케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와 알루미나 술페이트와 같은 금속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소듐 실리코 알루미네이트는 금속 실리케이트의 예로서 더욱 특별하게 언급된다. 본 발명에 특히 적당한 광범위한 금속 실리케이트는 틱솔렉스(THIXOLEXR)라는 상표명으로 롱-쁠랑에서 시판한다.
열처리 실리카는 예를 들어, 고온의 화염(1000℃) 속에서 실리콘 테트라클로라이드를 가수분해하거나 또는 소위 전기 아아크 방법에 의해서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산물은 특히 데구사 사에서 에어로실(AEROSILR)이라는 상표명으로 또는 카보(CABOT) 사에서 카로실(CAROSILR)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한다.
습식에 의해 수득된 실리카(실리카겔, 침전 실리카)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염산, 황산 또는 카르복실산과 같은 산과 함께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수득된다.
반응은 임의의 방법으로 수행된다(실리케이트에 산을 첨가하면서, 동시에 물 또는 실리케이트 용액등에 산 및 실리케이트를 전부 또는 일부 첨가한다.)
침전 실리카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기준, 특히, 침전된 실리카는 그 불연속 구조로 인해서 고도로 분산된 기공 분포 형태를 갖는 반면, 겔은 연속적인 3차원 구조를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서 실리카겔과 구별된다. 침전 실리카는 일반적으로 pH 7 정도 또는 염기성 pH에서 침전되나, 겔은 산성 또는 매우 강산인 pH에서 통상적으로 수득된다. 습식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는 가열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보다 훨씬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침전 실리카는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시 표준 NFX 11-622(3.3)에 따르는 BET 표면적이 일반적으로 최대 400㎡/g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g인 침전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실리카는 또한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표준 NFT 30-022(March 53)에 따르는, 오일 흡수가 50 내지 400㎥/100g 범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광범위한 침전 실리카는 제오실(ZEOSILR)이라는 상표명으로 롱-쁠랑사에서 시판한다.
탄성 모재내의 규산질 충전재 비율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중합체 물질(할로부틸+ENR) 100중량부 당 1 내지 100중량부의 규산질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중합체 100중량부 당 20 내지 70중량부의 광물 충전재가 사용된다. 상기의 석영질 광물 충전재와는 별도로, 카본 블랙 또는 쵸오크 같은 다른 일정량의 충전재 또한, 본 발명의 맥락을 유지한 채로 탄성 모재내에 배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양은 규산질 충전재 분율에 비해 적도록 유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타이어의 불침투성 피복층 제조를 위해 고안되었으므로, 그 형태를 특히 얇은 시이트 형태로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첨가제를 물론 더 함유할 수 있다. 가소제, 윤활유 등과 같은 이들 성형 첨가제는 종래의 탄성체 성형 작업에 대한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을 위해 더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없다.
또한 타이어의 응용 면에서(비록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교 결합 가속화제 및/또는 활성화제와 같은 가황(황, 금속 산화물 또는 과산화물과의 경화)를 돕는 여러가지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은 탄성체의 가황시에 일반적인 통상적 고려이다.
소위 커플링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배합될 수 있다; 그 일차적 기능은 충전재와 탄성체간의 결합을 향상시켜서, 가황된 물질의 기계적 특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출원인의 프랑스 특허출원 번호 제2 476 666 및 2 571 721호 참조, 비-제한 참고 문헌으로 인용).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또한 노화 방지제 또는 유기 또는 무기 착색제 같은 통상적인 여러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이들 목록은 물론 제한적이지 않다.
상기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 방법으로 제조된다. 조성의 구성 성분은 함께 또는 따로 포함된다. 후자의 경우, 할로부틸/충전재 혼합물과 ENR/충전재 혼합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들을 바람직한 적당 비율로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과정은 제제의 성분 모두를 균일하게 조합함으로써, 조성물이 가능한 한 균질하도록 한다. 과정은 예를 들어, 내부-타입 공업용 혼합기 또는 원통형(소위 개방 혼합기)내에서 수행된다. 그리하여 수득된 조성물(조 혼합물)은 다음 단계로, 절단, 칼렌더링(calendering), 압출, 마무리 등에 의해 예비 형성되며, 다음으로 직접(염욕, 터널 등) 또는 압력을 가하는 성형기 내에서 가황되어서 원하는 용도로서 적당한 기계적 특성을 지닌 제조품이 수득된다.
이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용도는 합성 또는 천연 탄성체, 바람직하게는 천연 고무로 만들어진 타이어 몸체의 외부 표면에 불침투성이며 매우 견고한 피복물을 제공하도록 고안된 얇은층 또는 시이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미 얇은 시이트 형태로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아직 가황되지 않은 타이어의 바깥 표면(몸체의 바깥 표면, 즉 타이어의 내부 표면은 물론 바퀴테의 반대쪽이 되는 표면으로 이해된다.)에 사용되며, 타이어를 만드는 모든 부분은 성형기 내에서 압력하에 동시-가황되어서, 최종 수득된 가황 타이어의 내부 표면은 완전히 부착된 탄성층으로 피복되어, 완벽한 불침투성 및 우수한 열기계적 특성을 지닌다.
이제 본 발명을 예시하는 몇몇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브로모부틸 및 에폭시화된 천연고무는 BBR 및 ENR로 간단히 명명한다.
실시예
1. 제제의 제조
시험 목적으로 하기의 제제(본 발명 및 비교예에 따르는 제제)에 도달하도록 각종 시료를 준비한다 :
- BBR/충전재 타입의 제제 :
·BBR/실리카(F1)
·BBR/카본 블랙(F10)
- BBR/ENR/충전재 타입의 제제 :
·BBR. ENR/실리카(F2,F3,F4,F8,F9)
·BBR. ENR/실리가+탈크(F5)
·BBR. ENR/실리카+카올린(F6)
·BBR. ENR/실리카+소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F7)
·BBR. ENR/카본 블랙(F11)
BBR/ENR/충전재 타입 제제의 제조 방법은 두가지 매스터 혼합물, 즉 먼저 BBR/충전재 매스터 혼합물 및 두번째로 ENR/충전재 매스터 혼합물을 특정 비율로, 하기에 주어진 조성물 및 작업 방식에 따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제는 다음을 이용하여 조제된다 :
(i) 2% 불포화된 BBR
(ii) 50몰% 에폭시화된 ENR(에폭시화된 천연 폴리이소프렌)
(iii) ZEOSIL85실리카(BET 비표면적이 80㎡/g인 합성 침전 실리카)
(iv) N 762 카본 블랙(CTAB 비표면적은 35㎡/g이고 DBP 오일 흡수는 65/100g
(vi) 탈크(미세화한 천연 마그네시아 실리케이트)
(vii) 카올린(미세화한 천연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viii) 틱솔렉스(TIXOLEX) 15 합성 소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BET 고유 표면적 80㎡/g)
하기의 경우 사용된 생성물의 양은 모두 중량부이다.
A. BBR/충전재 매스터 혼합물의 제조 및 조성
(표 A : 매스터 혼합물 A1및 A2)
[표 A]
(2) 방향성 및 낮은 올레핀 불포화도를 갖는 열가소성 탄화 수소 수지
(3) 벤조티아질 디술피드
(4) 타입 A 1100 아미노실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 첫단계로 황 및 ZnO를 제외한 모든 구성 성분을 내부 타입 혼합기 내에서 80 내지 90℃로 혼합하여 상당히 균질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 두번째 단계로 이미 수득한 혼합물을 내부타입 혼합기내에서 40℃로 황 및 ZnO와 함께 혼합한다.
B. ENR/충전재 매스터 혼합물의 제조 및 조성
(표 B : 매스터 혼합물 B1 및 B5)
[표 B]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 제1단계로 황, 가속화제 및 커플링제를 제외한 모든 구성 성분을 내부타입 혼합기 내에서 140∼150℃로 혼합하여 상당히 균질한 혼합물을 수득한다; 제2단계로 이미 수득한 혼합물을 내부 타입 혼합기 내에서 황, 가속화제 및, 적당한 경우 커플링제와 함께 약 100℃에서 혼합한다.
C. 최종 제제의 제조 및 조성
여러가지 BBR/충전재(A1 및 A2) 및 ENR/충전재(B1 내지 B5) 매스터 혼합물을 새로운 혼합 과정(내부 타입 혼합기)으로 다음의 BBR/ENR 비율 : 99/1; 99/5; 90/10; 80/20 및 70/30로 조합한다. 비율은 중합체(BBR+ENR) 100중량부 당 중량부로 표현된다.
다른 구성 성분은 모두 기본 매스터 혼합물 내에서 이 비율 및 그를 각각의 함량으로 최종 혼합물 내에 존재하고 있다. 최종 제형은 모두 하기 표 I 에 나타낸다; 표는 또한 제제를 수득하게 한 매스터 혼합물을 나타낸다.
II. 시험결과
A. 표 I은 가황된 물질의 레올로지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레올로지 측정은 몬산토(MONSANTO) RH 100S 레오미터(rheometer) 상에서 170℃로 수행한다.
가황은 조성물을 170℃에서 25분 동안 방치하여 수행한다.
규산질 충전제에 의해 보강된 혼합물의 점도(분·커플)가 카본 블랙 충전재와의 혼합물의 점도 보다 더 높으나, 전자의 혼합물 내의 ENR 함유는 어떠한 변화도 가져오지 않음을 주목한다. 또한 BBR/ENR/규산질 충전재 혼합물의 가교 결합 수준(델타 커플)은 ENR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당히 일정하게 남아 있다.
한편, 카본 블랙으로 보강된 혼합물의 경우, 가교 결합 수준이 상당히 증가하여, 가황된 물질의 견고성이 매우 증가하며(20 이상의 경도 및 100% 이상의 탄성율), 이것은 가황된 물질의 굽힘에 대한 내성 면에서 볼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ENR 함량이 증가하면 BBR/규산질 충전재 혼합물의 전환 현상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것을 주목한다. 100/60(중량부) 비율의 ENR/실리카 혼합물이 -25의 매우 강한 전환을 나타내므로 본 결과는 훨씬 놀라운 일이다. 한편, BBR/카본 블랙 혼합물은 전환되며, 이 전환은 ENR의 존재에 있어서 더욱 심각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BBR/규산질 충전재 혼합물의 기계적 성질(특히 파괴에 대한 내성)이 카본 블랙으로 수득하였던 것 보다 우수하며, 전자의 혼합물 내에 ENR이 포함되어 있으면 어떠한 감지할만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B. 표 II는 제제 1 내지 11의 점착성 및 투과성을 나타낸다.
점착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기의 과정을 수행한다(제1도). 제제 F1 내지 F11로부터 만들어진 1㎜두께의 칼렌더링된 시이트(1)를 타이어 몸체용 천연 고무를 기재로 하는 두개의 전형적인 제제로부터 만들어진 4㎜ 두께의 시이트(2)와 함께 압력(170℃에서 25분)하에 동시-가황시킨다; 하나는 카본 블랙(C1)으로 보강된 천연 고무이며, 다른 하나는 실리카(C2)로 보강된 것이다.
분리 시험을 용이하게 하도록 삽입물(3)을 두개의 시이트 사이에 놓는다.
동시-가황된 블록에서 시료를 절단해내어, 두층 사이의 점착 정도를 2 접촉면에 대해 직각인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측정한다(제2도).
두가지 방법으로 점착 수준을 확인한다 :
- 정성적으로, 시료의 분리(제3도) 또는 쪼개짐(제4도) 또는 파괴(제5도)를 관찰함.
- 정량적으로, J/㎡로 표시되는 점착 에너지 기수를 측정함(힘-신장 곡선을 적분하여 검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지수가 높을수록, 점착력이 우수한 것이다.
표 II에 나타난 결과는 BBR/규산질 충전재 조성물내에 포함되어 있는 ENR의 이로운 효과를 분명히 보여준다.
실리카-보강된 천연 고무 타입의 몸체에 대해서만,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제제 F11에 대한 점착력에서의 확실한 향상이 있음을 주시한다.
㎡/Pa.s로 표시되는 침투력의 계수는 표준 NF 46037에 따라 일정 부피로 측정된다. 제제 F2 내지 F9의 불침투성은 ENR 없이도 제제 1에 비하여 적어도 유지는 되고 있다.
100/60(중량부)의 비율로 된 ENR/실리카 타입의 혼합물이 3.44㎡/Pa.s의 높은 침투력을 가지므로 상기 사실은 더욱 놀라운 일이다.
[표 1]
[표 2]
D = 분 리 C = 쪼개짐 R = 파열
(+) 또는 (-) 부호는 분리·쪼개짐 또는 파열이 다소 생성됨을 나타낸다.

Claims (17)

  1. 에폭시화된 천연 고무(ENR)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산질 광물 충전재로 보강된 할로부틸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중량부 당 1 내지 50중량부의 EN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2 내지 30중량부의 EN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5 내지 15중량부의 ENR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부틸이 클로로부틸 및 브로모부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할로부틸이 브로모부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산질 광물 충전재가 천연 또는 합성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규산질 충전재가 합성 타입이며, 가열 실리카, 침전 실리카, 실리카겔 및 금속성 침전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규산질 충전재가 침천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중량부 당 1 내지 100중량부의 규산질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20 내지 70중량부의 규산질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l 내지 4항중 이느 한 항에 있어서, 얇은 시이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천연 또는 합성 탄성체, 특히 천연 고무의 불침투성이며 내구성인 피복물을 위한, 제1 내지 13항중 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특히 타이이의 내부 표면을 피복하기 위해 고안된, 조성물의 용도.
  16. 타이어 몸체의 외부 표면을 탄성 봉함층으로 피복하고나서, 몸체 전체를 동시-가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유형의 기밀 타이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된 탄성 봉함층이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외부 표면이 탄성 봉함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타이어 몸체를 포함하는 유형의 기밀 타이어에 있어서, 언급된 탄성층이 제13항의 조성물을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19910007622A 1990-05-11 1991-05-11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960015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05887 1990-05-11
FR9005887A FR2661915B1 (fr) 1990-05-11 1990-05-11 Composition elastometrique a matrice halogenobutyl renforcee par une charge minerale siliceuse et son utilisation dans l'industrie pneu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93A KR910020093A (ko) 1991-12-19
KR960015629B1 true KR960015629B1 (ko) 1996-11-18

Family

ID=939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622A Expired - Fee Related KR960015629B1 (ko) 1990-05-11 1991-05-11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475051A (ko)
EP (1) EP0456571B2 (ko)
JP (1) JPH0757830B2 (ko)
KR (1) KR960015629B1 (ko)
CN (1) CN1043429C (ko)
AT (1) ATE124977T1 (ko)
AU (1) AU645081B2 (ko)
BR (1) BR9101855A (ko)
CA (1) CA2042297C (ko)
DE (1) DE69111137T3 (ko)
DK (1) DK0456571T3 (ko)
ES (1) ES2077192T5 (ko)
FI (1) FI912297L (ko)
FR (1) FR2661915B1 (ko)
GR (1) GR3017595T3 (ko)
MY (1) MY106355A (ko)
PT (1) PT97606B (ko)
TR (1) TR27212A (ko)
ZA (1) ZA913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940A (en) * 1993-09-17 1995-03-1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ulfur cured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epoxidized natural rubber and silica filler
EP0654364A1 (de) * 1993-11-08 1995-05-24 Semperit Reifen Aktiengesellschaft Kautschukmischung
ATA218194A (de) * 1994-11-24 1998-11-15 Semperit Ag Kautschukmischung
US6060552A (en) * 1997-10-06 2000-05-09 The Yokohama Rubber Co., Ltd.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modified polyisobutylene rubber
US6482884B1 (en) 2000-02-28 2002-11-19 Pirelli Pneumatici S.P.A. Silica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s of improved process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KR20030008157A (ko) * 2000-06-13 2003-01-24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카 충전된 탄성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040014869A1 (en) * 2001-05-09 2004-01-22 Wong Wai Keung Method for preparing silica filled elastomeric compositions
KR20030030645A (ko) * 2001-10-12 2003-04-18 금호산업 주식회사 타이어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CA2368363A1 (en) * 2002-01-17 2003-07-17 Rui Resendes Silica-filled elastomeric compounds
EP1576043B8 (fr) * 2002-12-19 2012-08-01 Compagnie Géné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Composition de caoutchouc pour pneumatique a base d un aluminosilicate renforcant
JP4043403B2 (ja) * 2003-05-13 2008-02-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518748B2 (ja) * 2003-06-02 2010-08-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変性天然ゴムラテックス、変性天然ゴ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805584B2 (ja) * 2005-01-21 2011-11-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JP4860162B2 (ja) * 2005-02-14 2012-0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JP4695898B2 (ja) * 2005-03-08 2011-06-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JP5095093B2 (ja) * 2005-09-20 2012-12-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ゴム組成物
US8957149B2 (en) * 2010-08-25 2015-02-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paration and use of silica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for truck tire tread
FR3017393B1 (fr) * 2014-02-07 2016-02-12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a base de polyisoprene epoxyde
JPWO2015145512A1 (ja) * 2014-03-26 2017-04-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CN105037970A (zh) * 2015-07-09 2015-11-11 安徽省华洋橡胶有限公司 一种抗菌丁基橡胶内胎料
CN114031862B (zh) * 2021-12-17 2023-10-27 青岛沃瑞轮胎有限公司 一种汽车用新型低碳节能环保轮胎气密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617A (en) * 1985-01-14 1986-05-27 Hercules Incorporated Crosslinking composition for butyl rubber or halobutyl rubber and epihalohydrin rubber blends
US4906706A (en) * 1986-09-05 1990-03-0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H0651805B2 (ja) * 1987-02-20 1994-07-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コ−ド複合体
US4822834A (en) * 1988-04-19 1989-04-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suitable for outer space temperature variations
US5073597A (en) * 1989-05-26 1991-12-17 Advanced Elastomer Systems, L. P. Dynamically vulcanized alloys having two copolymers in the crosslinked phase and a crystalline matrix
US5100947A (en) * 1989-05-26 1992-03-31 Advanced Elastomer Systems, L. P. Dynamically vulcanized alloys having improved stiffness/impact bal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93A (ko) 1991-12-19
TR27212A (tr) 1994-12-09
FR2661915B1 (fr) 1993-12-24
US5475051A (en) 1995-12-12
FI912297L (fi) 1991-11-12
AU7625791A (en) 1991-11-14
ES2077192T5 (es) 2000-06-16
CN1056306A (zh) 1991-11-20
EP0456571B1 (fr) 1995-07-12
MY106355A (en) 1995-05-30
DE69111137T3 (de) 2001-02-08
ATE124977T1 (de) 1995-07-15
ZA913533B (en) 1992-07-29
PT97606A (pt) 1992-02-28
CN1043429C (zh) 1999-05-19
ES2077192T3 (es) 1995-11-16
AU645081B2 (en) 1994-01-06
PT97606B (pt) 2001-07-31
JPH04227741A (ja) 1992-08-17
CA2042297C (fr) 1999-11-09
DE69111137T2 (de) 1996-01-04
FR2661915A1 (fr) 1991-11-15
EP0456571B2 (fr) 2000-01-26
CA2042297A1 (fr) 1991-11-12
EP0456571A1 (fr) 1991-11-13
DK0456571T3 (da) 1995-08-21
DE69111137D1 (de) 1995-08-17
GR3017595T3 (en) 1996-01-31
BR9101855A (pt) 1991-12-17
FI912297A0 (fi) 1991-05-10
JPH0757830B2 (ja) 199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629B1 (ko) 규산질 광물 충전재에 의해 보강된 할로부틸 모재를 함유하는 탄성 조성물 및 타이어 제조 공업에서의 그것의 용도
EP0695239B1 (en) Composite tire inner-liners and inner tubes
US5576373A (en) Composite tire innerliners and inner tubes
US5576372A (en) Composite tire innerliners and inner tubes
JP5189296B2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7166665B2 (en) Elastomeric composition and tire comprising the composition
US4256857A (en) Halobutyl of improved green strength
JP5044417B2 (ja) 車両タイヤのインナーライナー用のゴム組成物
EP0795581A1 (en) Starch composite reinforce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ith at least one component thereof
JP2007514022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ブチルゴム組成物
BRPI0722121A2 (pt) Pneu
WO2004067617A1 (en)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composite pigment
JPWO2019116804A1 (ja) 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069104B2 (ja) 乾燥液状改質剤で製造したシリカ強化エラストマーコンパウンド
JPH1135735A (ja) ゴム組成物
JPH11240982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S5834834A (ja) タイヤの白色サイドウオ−ル用ゴム組成物
EP3240822B1 (en) Terminal-functionalized polymer and related methods
EP1207185B1 (en) Rubber composition
EP1113044B1 (en) Rubber cement for marking unvulcanized rubber and rubber article marked with the same
JP2001011245A (ja)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WO2023243129A1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CN118922486A (zh) 橡胶组合物和轮胎
JP2007277338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WO2013008787A1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610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7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